KR100569196B1 -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196B1
KR100569196B1 KR1020040010290A KR20040010290A KR100569196B1 KR 100569196 B1 KR100569196 B1 KR 100569196B1 KR 1020040010290 A KR1020040010290 A KR 1020040010290A KR 20040010290 A KR20040010290 A KR 20040010290A KR 100569196 B1 KR100569196 B1 KR 10056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camera
camera phone
base st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1966A (ko
Inventor
우창우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이노성
(주) 윌텍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성, (주) 윌텍정보통신 filed Critical 이노성
Priority to KR102004001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1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2260/023Two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32B2315/085Glass fiber cloth or fabric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폰의 카메라기능 잠금/잠금해제를 수행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폰은 기존 통신채널 상에서 보안/보안해제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카메라폰과 보안 기지국간에 양방향 통신의 보안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은 카메라폰과 통신채널을 확립한 후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 명령인 보안 신호 및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명령인 보안해제신호를 전송하는 보안 기지국과, 카메라폰을 받아들여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차단하고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안 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방사(radiation)하는 보안 터널과, 상기 보안 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차단 및 카메라 기능 정상 동작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보안서버를 구비한다.
카메라폰, 카메라, 휴대폰, 보안, 촬영, 동기채널, 페이징채널

Description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ecurity system of camera-phone and the method}
도 1은 카메라폰이 보안구역 내에 반입될 때 카메라 기능이 차단되는 모습과, 보안구역을 벗어날 때 카메라 기능이 다시 복원되는 모습을 도시한 시스템 상태도이다.
도 2는 보안터널, 보안 기지국, 보안서버간의 연결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보안 기지국의 주파수 할당(FA)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보안 기지국의 내부 구성블록도이다.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처리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IS-95 방식의 순방향채널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b는 IS-95 방식의 역방향채널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카메라폰의 보안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704: 보안 기지국과 보안 통신채널 확립 및 위치등록 메시지 전송
S706: 보안신호 수신 S708: 보안 카메라폰인가?
S710: 카메라폰의 카메라기능 잠금
S712: 보안 기지국에 카메라기능 잠금 성공 메시지 전송
본 발명은 카메라폰의 카메라기능 잠금/잠금해제를 수행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잠금/잠금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폰은 기존 통신채널 상에서 잠금/잠금해제 관련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양방향 통신 보안제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각종 부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이루어져 그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또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신호의 송수신 이외에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카메라 장치가 일체로 구성된 카메라폰의 등장으로 인하여, 상기 카메라폰을 이용하여 인물이나 사물 등을 카메라로 찍어 단말기 내부에 저장하거나 다른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폰에 있어서 그 사용의 간편함에 따른 각종 오남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목욕탕이나 탈의실, 수영장 및 지하철 등에서의 무단촬영에 의한 사생활의 침해나 각종 전시회장이나 산업현장 등에서의 임의적인 촬영에 의한 중요 정보 유출 등과 같이 사생활 침해 및 보안유지에 있어 심각한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구역의 출입 시에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도록 하는 방식 및 카메라의 작동 시에 일정 음성신호나 빛을 발생시켜 카메라의 촬영동작을 타인이 인지하도록 하는 방식을 법제화하는 등 정부와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에서 다양한 보안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수동적 방법으로서 근본적인 보안대책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정 구역 내에서는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나 현재까지는 이를 위한 방안이 규격화되거나 공표되어 상품화된 것이 없는 실정이다. 다만, 보안 지역 내에서 특정 주파수 톤(tone)을 발생시켜 카메라폰의 영상정보 송신장치를 제어하는 "휴대폰 영상출력 제어장치" 발명(국내특허출원번호: 10-1999-0067252), 보안 지역 내에서 특정 주파수대에 카메라폰 작동 정지 명령 코드를 실려보내어 카메라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카메라폰의 보안장치" 등록실용신안(국내특허출원번호:10-2003-0052585 , 실용신안등록번호:20-0332363)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휴대폰 영상출력 제어장치" 및 "카메라폰의 보안장치"는 보안지역 내에서 특정 주파수대(447MHz)를 생성하여 이를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폰의 통화 주파수대(예컨대, 셀룰라폰의 경우 869 ∼ 894 MHz, PCS폰의 경우 1.8 GHz 주파수대) 이외에 별도의 카메라폰 보안 주파수대(447MHz)를 사용해야 하는 문 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폰 보안 주파수대를 수신하기 위하여 카메라폰의 RF 무선단은 통화주파수대 이외에 별도의 카메라폰 보안 주파수대(447MHz)가 수용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발명들은 특정 보안 주파수를 보안구역 내에서 출력하는 단방향 통신 구조를 취하고 있어, 보안구역 내에 존재하는 카메라폰을 실시간으로 감시, 관리할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카메라폰 보안 대책으로는 그 효율성에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제안된 것으로서, 특정 구역에서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자동으로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폰의 임의적인 촬영에 의한 사생활 침해나 중요 정보의 유출 등과 같은 각종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폰의 보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폰의 보안장치는, 카메라폰의 사용 주파수대의 순방향채널 상에 특정 보안코드를 실려 보내주어서 카메라폰의 카메라 동작을 제어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역방향채널을 통하여 보안구역 내에 있는 카메라폰의 카메라 동작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 구조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폰과 통신채널을 확립한 후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 명령인 보안 신호 및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명령인 보안해제신호를 전송하는 보안 기지국과, 카메라폰을 받아들여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차단하고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안 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방사(radiation)하는 보안 터널과, 상기 보안 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차단 및 카메라 기능 정상 동작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보안서버를 구비한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메라폰을 잠그는 방법은, 보안 터널에 들어선 카메라폰이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단절하고 보안 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확립하고 카메라폰 위치 등록을 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폰이 상기 보안 기지국과의 보안 동기채널(sync channel) 또는 보안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상에 있는 특정 프레임을 통해 상기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폰이 카메라 기능을 잠글 수 있는 보안 카메라폰인 경우에는 카메라 기능 잠금 성공 메시지를, 카메라 기능을 잠그지 못하는 일반 카메라폰인 경우에는 카메라 기능 잠금 실패 메시지를 상기 보안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을 관리하는 보안서버는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잠금 성공 메시지 및 카메라 기능 잠금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여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실패 여부를 경고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기능 잠금상태인 카메라폰을 잠금해제 시키는 방법은, 보안 터널에 들어선 카메라폰이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단절하고 보안해제신호를 발생하는 보안 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확립하고 카메라폰 위치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폰이 상기 보안 기지국과의 보안 동기채널 또는 보안 페이징채널상에 있는 특정 프레임을 통해 상기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한 카메라폰이 카메라 기능 잠금을 해제시켜 정상 동작시키고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결과 메시지를 상기 보안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을 관리하는 보안서버는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메시지를 수신하여 카메라폰의 정상적인 반출이 이루어졌음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카메라폰이 보안구역 내에 반입될 때 카메라 기능이 차단되는 모습과, 보안구역을 벗어날 때 카메라 기능이 다시 복원되는 모습을 도시한 시스템 상태도이다.
보안구역(110) 내에 들어가려는 자가 입구에 놓인 보안터널(210;이하, 입구 보안터널)에 자신의 카메라폰을 놓게 되면, 카메라폰은 입구 보안터널 안으로 흘러 들어가 외부 통신채널(100)과 차단된다. 즉, 입구 보안터널을 감싸고 있는 신호차단벽 때문에 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던 외부의 이동통신기지국(120;BTS)과의 통신채 널이 단절되는 것이다.
외부의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이 단절된 후에는, 카메라폰은 보안 기지국(220)으로부터 동기채널 또는 페이징채널을 통해 보안 신호를 수신받아 자신의 카메라 기능을 잠근다.
따라서, 상기 과정을 겪은 카메라폰이 입구 보안터널(210)을 통과하여 보안구역(110) 안에 들어가게 되면, 외부에 있는 이동통신기지국(120)의 지배를 받아 다시 정상적인 통화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나, 카메라 기능이 잠금 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없게된다.
보안 기지국(220)은 입구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잠금 성공 여부를 수신하여 보안서버(230)에 전송해주는데, 보안서버(230)는 이를 표시창이나 상태알림판(232)에 디스플레이해준다. 따라서, 보안구역 관리자는 보안구역내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차단 여부를 보안서버의 표시창이나 상태알림판(232)을 통해 실시간으로 알 수 있어 보안 유지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보안구역(110) 내에 있던 카메라폰이 외부로 반출될 때는 출구 보안터널(211)을 통과하게 된다. 출구 보안터널(211)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은 보안기지국으로부터 카메라기능 잠금을 해제하는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기능을 정상으로 돌려놓음으로써, 보안구역 밖에서 정상적인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안터널, 보안 기지국, 보안서버의 동작 모습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카메라폰이 입구에 설치된 보안터널에 들어가게 되어 보안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기능을 잠그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지만, 마찬가지로 보안구역을 나설 때 출구에 설치된 보안터널에 들어간 카메라폰이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기능 잠금을 해제시키는 과정도 동일함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보안구역 내에 들어서는 외부 출입자가 자신의 카메라폰을 보안터널(210)의 컨베이어 벨트(212) 위에 올려놓으면, 카메라폰(218)은 컨베이어 벨트(212)를 따라 보안터널 통로로 들어간다.
보안터널(210)은, 신호차단벽(214)에 의해 둘러싸여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잠그는 보안 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안 안테나(216)가 설치된 곳으로서, 상기 신호차단벽(214)은 외부의 전파 신호를 차단시키는 매체로 이루어져 외부의 어떠한 전파도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폰(218)이 보안터널(210) 안으로 들어서게 되면 카메라폰은 외부 신호와 차단되면서 보안터널 내의 보안 안테나(216)에서 나오는 보안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보안 안테나(216)에서 나오는 보안 신호는 외부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대를 보내줌으로서 카메라폰(218)으로 하여금 외부 신호를 차단함과 동시에 새로운 보안 신호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똑같은 동기(sync)를 유지하고 대기상태(idle state)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카메라폰(218)이 외부의 이동통신기지국(BTS)과 주파수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보안 터널로 들어서게 되면, 카메라폰은 외부의 이동통 신기지국과의 채널이 단절(drop)되고 보안 기지국(220)과의 채널이 설정됨으로써 보안 기지국(220)으로 채널 설정 및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핸드오프(HandOff) 과정을 겪는 것이다.
보안 터널내의 카메라폰이 보안 기지국(220)으로 채널 설정 및 위치 등록을 하게되면, 보안 기지국(220)은 카메라폰 보안 신호를 순방향채널에 실려 전송함으로써 카메라폰으로 하여금 카메라 기능을 잠그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 폰(218)은 보안터널(210)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의 잠금 성공여부를 접속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보안 기지국(220)에 전송해주고, 보안 기지국(220)은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의 잠금 여부를 보안서버(230)로 전송해줌으로써, 보안서버(230)로 하여금 보안터널을 통과한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 여부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카메라폰이 보안터널을 벗어나 보안구역내에 들어서게되면, 카메라폰은 보안 기지국(220)과의 통신채널을 종료(drop)하고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다시 설정한다. 따라서, 보안터널을 통과한 카메라폰은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호(call)가 재설정되지만, 카메라 기능은 잠금 상태가 됨으로서 해당 보안구역 내에서 카메라폰의 사용이 차단된다.
보안터널내의 보안 안테나(216)는 셀룰라폰 주파수대(800 MHz) 및 PCS폰 주파수대(1.8 GHz)를 방사함으로써,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218)의 통신 서비스 기종에 제한을 받지 않고 모든 카메라폰에 보안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안터널내의 카메라폰과 접속채널(access channel)을 가진 역방향채널 링크를 확립함으로써 카메라폰으로부터 위치등록 메시지 및 카메라 잠금 성공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안테나(216)는 무선 주파수를 보안터널 내의 에어(air)상에 실려보내는 매체로서, 상기 보안 안테나에서 출력하는 보안 신호는 보안 기지국(220)에서 생성된 것이다.
보안서버(230)는 보안 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해주는 장치로서, 카메라폰이 보안 터널을 통과할 때 보안 기지국으로 전송해 준 해당 카메라폰의 위치등록 정보 및 카메라 기능 잠금 성공 여부를 보안 기지국(220)으로부터 전달받아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들 정보를 상태 표시 창에 디스플레이 해주어 관리자가 손쉽게 보안구역 내 카메라폰의 보안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기지국(220)은 보안 터널 내에 출력할 무선 주파수를 발생하는 기능부로서, 셀룰라 카메라폰과 PCS 카메라폰을 제어하기 위한 주파수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해당 주파수 대역폭의 할당(FA)을 한다. 예를 들어, 셀룰라 카메라폰을 위한 3개의 주파수 할당(3FA)과 PCS 카메라폰을 위한 3개의 주파수 할당(3FA)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룰라 카메라폰을 위한 3개 대역폭(302,304,306)과 PCS폰을 위한 3개 대역폭(308,310,312)을 발생시킬 주파수 발생 장치를 구비한다.
도 4는 상기 보안 기지국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보안 기지국은 종래 이동통신망 상의 이동통신기지국(BTS)과 그 구성을 같이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있는 구성부를 설명한다.
보안 기지국은 이동통신기지국의 파일럿채널(pilot channel), 동기채널(sync channel),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 접속채널(access channel)과 동일한 채널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폰과의 통신채널을 확립함으로써, 카메라폰의 보안 상태를 전달받는 구성을 가진다. 다만, 일반적인 이동통신기지국은 통화를 위한 통화채널을 필요로 하지만, 본 보안 기지국은 보안 신호 송수신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통신채널인 통화채널을 생성할 필요가 없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4a에서는 보안 기지국의 순방향채널 생성부(410), 보안채널부(430), RF 상승변환부(440), 전력증폭부(440)를 포함한 송신 경로와, 카메라폰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방향채널 수신부(420)를 도시되었다.
역방향채널 수신부(420)는 보안 접속채널 수신모듈(416)을 두어서 접속채널(access channel)을 통해 카메라폰으로부터 위치등록 메시지 및 카메라 기능 잠금/정상동작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순방향채널 발생부(410)는 카메라폰이 보안서버를 인지하도록 하는 보안 파일럿채널 모듈(410), 카메라폰이 보안서버와 동기화를 이루도록 하는 보안 동기채널 모듈(412), 카메라폰이 대기상태(idle state)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안 페이징채널 모듈(414)을 갖는다. 따라서, 순방향채널 발생부(410)는 소정의 정보 비트를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보안 파일럿채널의 신호, 보안 동기채널의 신호, 보안 페이 징채널의 신호가 결합된 기저대역 채널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기저대역 채널신호는 할당된 FA로 상승 변환된다. 보안채널부(430)는 한 개 이상의 SSC(Security Channel Card) 보드를 가지고 있는데, 만약 셀룰라 카메라폰을 위한 3개의 주파수 할당(3FA)과 PCS 카메라폰을 위한 3개의 주파수 할당(3FA)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SSC 보드는 각각 셀룰라 3개의 FA, PCS 3개의 FA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SSC 보드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최대 7장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사용되는 전체 FA를 수용할 수도 있다.
각 SCC 보드에서 생성된 상승 변환된 신호들은 PCS부(440)와 셀룰라부(460)로 각각 분배된 후, 전체 25MHz와 30MHz의 신호를 RF 상승변환부(460)와 전력증폭부(470)를 통해 적절한 전력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을 RF 상승변환부와 전력증폭부를 통해 적용할 경우 하드웨어의 복잡성과 비용이 상승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신호를 묶어서 하나의 RF 상승변환부(460)와 전력증폭부(470)를 사용하여 생성된 보안신호를 방사하게 된다.
참고로, 도 4a의 블록도의 신호 흐름의 예시로서, 도 4b에 신호 흐름도를 도시하였다.
한편, 카메라폰이 보안 터널에 들어가 보안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기지국간의 일반적인 호(call)처리 절차를 간단히 살펴본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인가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램(RAM)에 셋팅한 다음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동기 채널(sync channel)을 이용하여 이동통신기지국과 동기화를 이루고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갖는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부팅(booting)하고 파일럿 채널, 동기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기 초기화(S504), 단말기가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동작을 완료한 다음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을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대기상태(S506;idle state),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인 통화상태(S508;traffic channel)를 갖는다.
만약,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동작을 완료하면 다시 대기상태 또는 트래픽 상태가 되며 대기상태에서 페이징채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초기화 과정부터 다시 시작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을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기지국이 수행하기 위해서, IS-95 방식은 순방향채널(도 6a)과 역방향채널(도 6b)로서 서로 다른 채널 구조를 제시한다. 즉, 이동통신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통신채널인 순방향채널에는 파일럿채널(pilot channel), 동기채널(sync channel),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 통화채널(traffic channel)이 있는데, 파일럿채널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신호 중 가장 큰 신호를 선택하여 인접한 기지국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채널이며, 동기채널은 단말기와 이동통신기지국 타이밍을 망의 시스템 시간과 동기시키기 위한 채널이며, 페이징채널은 확산코드를 결정하기 위한 채널이다. 따라서, 파일럿채널 → 동기채널 → 페이징채널 → 통화채널 순서로 이동통신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의 채널 설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기지국으로의 통신채널인 역방향채널은 접속채널(access channel)과 통화채널(traffic channel)이 있는데, 접속채널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기지국과 통화를 시도하거나 페이징채널에서 받은 메시지에 대해서 응답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널이다.
도 7은 보안터널내의 카메라폰이 보안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기능 잠금 동작을 수행하고 카메라기능 잠금 성공여부를 보안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채널을 외부 통신채널(외부 파일럿채널, 외부 동기채널, 외부 페이징채널)이라 부르기로 하고, 보안터널 안에서 보안 기지국과의 채널을 보안 통신채널(보안 파일럿채널, 보안 동기채널, 보안 페이징채널)이라 부르기로 한다.
카메라폰이 외부에 있을 때는 외부 무선망에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기지국(BTS)과 채널을 유지하여 대기상태(idle)에 있어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보안구역에 들어서기 위해서 카메라폰을 보안터널에 진입시키면, 신호차단벽에 의해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이 단절된다.
보안구역 내에서 방사되는 신호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에서 각 FA별로 가 장 큰 파워(power)를 가지며 PN을 이용하여, 파일럿 지연(pilot dealy)도 맞추어 방사하게된다. 그러므로, 보안 구역내로 들어온 카메라폰은 대기 상태에서 깨어난 경우, 자신이 통신하고 있는 FA에 동일한 PN으로 바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며 카메라폰 잠금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동일한 FA내의 여러 PN이 존재하며 대기 상태에서 깨어나 자신이 통신하고 있던 FA내에 동일 PN이 없는 경우는 파일럿을 탐색하고, 동기 신호, 페이징 신호를 수신한다. 이는 카메라폰이 잠금 메시지 신호를 빠른 시간 내에 수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GPS 모듈을 이용하여 주기를 생성하며 GPS에 동기된 10MHz를 생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주변 환경에 따라 각 FA별 최대 파워를 가지는 PN을 탐색하고, 그 PN의 딜레이(delay)를 측정하여 각 패스(path)에 적용할 수 있는 외부 시스템이 추가되어진다. 이를 이용하면, 주변 기지국이 FA 증설을 행하는 경우 경고 신호 등의 발생으로 보드 추가 및 FA 추가의 필요성을 알려줄 수 있다.
즉, 카메라폰이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 수시로 확인(ACK)신호를 주고받는 외부 페이징채널과의 단절이 발생(S702)되면, 카메라폰은 다시 외부 통신채널을 유지하기 위하여 파일럿채널 탐색을 수행한다.
상기 파일럿채널 탐색 중 보안터널 내에서 보안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보안 파일럿채널을 감지한 경우에는, 카메라폰은 보안 기지국과 보안 파일럿채널을 확립한 후, 다시 보안 동기채널 및 보안 페이징 채널을 접속함으로써, 보안 기지국과의 보안 통신채널을 확립(S706)한다.
보안 파일럿채널은 아무런 데이터가 없고 왈시(Walsh) 0으로 하여 확산한 보안 기지국의 식별코드인 쇼트(short)코드만 전송하기 때문에 카메라폰은 손쉽게 보안 기지국과 동기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카메라폰이 상기 보안 파일럿채널을 이용하여 보안 기지국과 시스템을 인지한 후, 동기채널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보안 기지국과 타이밍을 동기시킨 후 계속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여 대기상태로 됨으로써, 카메라폰은 보안 기지국과의 보안 통신채널을 확립하고 위치등록 메시지를 보안 기지국에 전송(S704)한다.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는 카메라폰의 고유번호,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들어있는 메시지로서, 보안 기지국은 수신한 상기 위치등록 메시지를 보안서버에 재전송해 준다.
보안 통신채널이 확립되어 보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S706)한 동기채널, 페이징채널에 보안 신호가 들어 있을 때는 카메라폰은 카메라 기능을 잠그는 동작(S710)을 수행한다. 즉, 보안 신호가 동기채널 또는 페이징채널 내 프레임의 특정 필드에 들어 있을 때는 카메라기능을 잠그고(S710) 카메라 잠금 성공 메시지를 보안 기지국으로 전송(S712)한다.
만약, 보안 신호를 수신하였지만 상기 카메라폰이 카메라 기능을 차단할 수 있는 카메라폰(이하, 보안 카메라폰이라 함)이 아닌 일반 카메라폰일 때(S708a)는 카메라 기능 잠금 실패 메시지를 보안 기지국에 전송해줌으로써, 보안 관리자는 보안구역 내에 카메라 기능을 차단하지 않은 카메라폰이 보안구역내에 반입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보안 기지국이 보안 터널내의 카메라폰에 보안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하나는 보안 동기채널의 프레임 특정 필드에 보안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보안 페이징채널의 프레임내 시스템 파라미터에 보안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이때, 보안 파일럿채널을 이용해서는 보안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데, 보안 파일럿채널의 경우에는 별도의 데이터 프레임을 갖고 있지 않아 보안신호를 삽입할 데이터 프레임이 없기 때문이다.
우선, 보안 신호를 보안 동기채널에 싣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안 동기채널은 여러 가지 파라미터 정보를 담아서 카메라폰에 전송하는 보안기지국의 정보 채널로서 이동통신기지국의 동기채널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카메라폰은 상기 보안 파일럿 채널에서 시스템 동기를 획득한 후에 왈시(Walsh) 함수를 0에서 32로 바꾸어 동기채널에 접속할 수 있는데, 동기채널에 실리는 프레임 정보는 프로토콜 정보, 기지국 시스템 ID(SID), 네트워크 ID(NID), 파일럿 채널 PN offset 번호, long code 상태, 시스템 시간 및 이와 관련된 정보, 페이징 채널 속도, 주파수 채널번호 등의 필드가 포함된다. 따라서, 보안신호를 상기 동기채널의 여러 프레임 중에서 보안기지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프레임에 보안신호를 삽입하여 보안터널내로 방사(radiation)하는 것이다.
보안 신호를 싣는 다른 한가지 방법인 보안 페이징채널에 싣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안 페이징채널은 크게 두 가지의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하나는 서비스 영역 내의 모든 단말기에 전송되는 오버헤드(Overhead) 메시지와 특정 단말기에 전송되는 개인 단말기 지정(Personal station Directed) 메시지가 있다.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에는 시스템 파라미터, 단말기의 접속(access)에 관련된 정보, 기지국 주파수 정보, 국제 로밍을 위한 정보, 이웃 기지국에 대한 정보, 단말기 등급에 따른 반송 메시지 등이 있다.
따라서, 보안 기지국은 페이징채널상의 시스템 파라미터에 미리 약정한 보안신호를 삽입하여 보안터널 내로 방사하는 것이다.
결국, 보안 기지국이 동기채널이나 페이징채널의 특정 프레임에 보안 신호를 나타내는 보안 코드를 실어 전송해 줌으로써, 카메라폰은 카메라 동작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은 카메라 기능을 잠그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지만, 입구 보안터널을 통과한 카메라폰이 카메라기능 잠금 상태에 있다가 다시 출구 보안터널을 통과하여 카메라 기능의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 역시 도 7의 플로우차트와 유사한 과정을 겪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서는 보안터널안에서 보안신호를 방사하지만, 카메라 기능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보안해제신호를 보안 동기채널이나 보안 페이징채널 상으로 방사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통신채널을 차단하고 보안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카메라 잠금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보안구역 내에서 카메라 기능을 잠글 수 있다. 또한, 양방향 통신 구조를 취함으로써 카메라폰으로부터 위치등록 메시지 및 카메라폰 잠금 성공 여부를 수신할 수 있어 보안구역내의 카메라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카메라폰과 통신채널을 확립한 후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 명령인 보안 신호 및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명령인 보안해제신호를 전송하는 보안 기지국과,
    카메라폰을 받아들여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차단하고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안 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방사(radiation)하는 보안 터널과,
    상기 보안 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차단 및 카메라 기능 정상 동작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보안서버
    를 구비한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보안 기지국은,
    카메라폰이 보안 기지국을 인식하도록 하는 보안 파일럿채널, 보안 기지국과의 시스템 타이밍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보안 동기채널, 대기상태(idle state)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안 페이징채널이 결합된 기저대역 채널신호를 발생하는 순방향채널 발생부와,
    상기 기저대역 채널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할당(FA)하는 보안채널부와,
    상기 기저대역 채널신호를 통신 서비스 주파수 대역으로 상승 변환하는 RF 상승변환부와,
    상기 주파수 상승 변환된 기저대역 채널신호를 송신 출력레벨로 증폭시키는 전력증폭부와,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잠금/정상동작 정보 및 카메라폰의 위치등록 메시지를 접속채널을 통하여 수신하는 역방향채널 수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RF 상승변환부는 모든 이동통신사업자의 통신 서비스 주파수 범위를 수용하도록 주파수 할당(FA;Frequency Assignment)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보안 기지국이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차단 명령인 보안 신호 및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명령인 보안해제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보안 동기채널(sync channel)상의 특정 프레임에 상기 보안 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실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보안 기지국이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차단 명령인 보안 신호 및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명령인 보안해제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보안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상의 시스템 파라미터에 상기 보안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실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보안터널은,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의 보안신호 및 보안해제신호를 보안터널 통로 내에서 방사하는 안테나와,
    카메라폰이 상기 보안터널통로를 흘러 지나가도록 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외부 이동통신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채널을 차단하는 신호차단벽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보안서버는,
    상기 보안터널을 통과한 카메폰의 카메라기능 잠금/정상동작 정보 및 카메라폰의 위치등록 메시지를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보안터널을 통과한 카메라폰에 대한 카메라기능 잠금/정상동작 여부를 경고 표시해주는 경고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8. 소정의 보안 터널에 들어선 카메라폰이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단절하고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명령인 보안 신호를 발생하는 보안 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확립하고 카메라폰 위치 등록을 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폰이 상기 보안 기지국과의 보안 동기채널(sync channel) 또는 보안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상에 있는 특정 프레임을 통해 상기 보안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신호를 수신한 카메라폰이 카메라 기능을 잠글 수 있는 보안 카메 라폰인 경우에는 카메라 기능 잠금 성공 메시지를, 카메라 기능을 잠그지 못하는 일반 카메라폰인 경우에는 카메라 기능 잠금 실패 메시지를 상기 보안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을 관리하는 보안서버는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잠금 성공 메시지 및 카메라 기능 잠금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여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실패 여부를 경고 디스플레이해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 방법.
  9. 소정의 보안 터널에 들어선 카메라폰이 외부 이동통신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단절하고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명령인 보안해제신호를 발생하는 보안 기지국과의 통신채널을 확립하고 카메라폰 위치 등록을 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폰이 상기 보안 기지국과의 보안 동기채널(sync channel) 또는 보안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상에 있는 특정 프레임을 통해 상기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해제신호를 수신한 카메라폰이 카메라 기능 잠금을 해제시켜 정상동작시키고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결과 메시지를 상기 보안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보안터널을 통과하는 카메라폰을 관리하는 보안서버는 상기 보안 기지국으로부터 카메라 기능 정상동작 메시지를 수신하여 카메라폰의 정상적인 반출이 이루어 졌음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 잠금 해제 방법.
KR1020040010290A 2004-02-17 2004-02-17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569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290A KR100569196B1 (ko) 2004-02-17 2004-02-17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290A KR100569196B1 (ko) 2004-02-17 2004-02-17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966A KR20050081966A (ko) 2005-08-22
KR100569196B1 true KR100569196B1 (ko) 2006-04-07

Family

ID=3726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290A KR100569196B1 (ko) 2004-02-17 2004-02-17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58B1 (ko) * 2004-12-07 2011-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12144B1 (ko) * 2006-03-21 2007-04-2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보안 시스템의 연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05176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966A (ko) 200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67070B (zh) 唤醒时间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204393B (zh) 灵活频谱使用无线通信系统中基于优先级的公平性和干扰信令技术
JP4988753B2 (ja) 低電力伝送モードを有する方法、基地局、及びモバイル端末
US5726981A (en) Methods for making active channel measurements in a personal base station environment
FI108268B (fi) Lisälaiterajapinta monikanavaisessa radiolaitteessa
US200602324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wireless device with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EP3755112B1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1758267B (zh) 频率资源授权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023201A1 (en) Terminal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WO2014158064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selecting a synchronization reference
US20230337128A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3979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backhaul link
CN114071647A (zh) 接入控制方法及装置
US20070019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69196B1 (ko)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EP4192054A1 (en) Method for splitting end-to-end qos requirement information,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CN114902730A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4503702A (zh) 一种上行同步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3543276A (zh) 网络接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08113179A (ja) 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54717B1 (ko) 무선 단말기 기능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3143532A1 (zh) 资源选择方法及装置、终端
WO2022116098A1 (zh) Ssb位置的确定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2183388A1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1042758B1 (ko) 이동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