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176A -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176A
KR20140105176A KR1020130019091A KR20130019091A KR20140105176A KR 20140105176 A KR20140105176 A KR 20140105176A KR 1020130019091 A KR1020130019091 A KR 1020130019091A KR 20130019091 A KR20130019091 A KR 20130019091A KR 20140105176 A KR20140105176 A KR 20140105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mode operation
security mode
ap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항규
김진용
박혜빈
전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5176A/ko
Publication of KR20140105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방법은,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기설정되어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CURITY MODE OPERATION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장치에서 잠금화면 같은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장소와 시간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같은 전자장치가 점차 복잡해지고 일상생활에서 점점 다양하게 사용됨에 따라 이에 따른 보안 문제가 대두 되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보안모드 동작이 구현되어 있고, 사용자는 보안레벨을 빈번하게 설정 또는 해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안모드 동작의 예를 들면, 비밀번호 설정 또는 패턴 설정을 이용한 화면잠금(locking) 기능, 비밀번호 설정 또는 패턴 설정을 이용한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한 기능, 또는 비밀번호 설정 또는 패턴 설정을 이용한 문서, MP3, 이미지 파일 등의 파일 액세스를 제한하는 기능, 환경설정 시 중요한 설정항목에 대한 접근권한 제한, 애플리케이션 설치시 해당 서버 외에 다른 출처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제한 등이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보안모드 동작을 수동으로 설정하고 필요시 상황에 맞게 직접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미리 사용하고자하는 보안 종류와 비밀번호나 기타 방식(예: 패턴인식)을 설정하여 전자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직접 미리 등록해 두었던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입력하여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한다. 이는 매번 반복적이 동작이 빈번하게 요구되며 특정 보안모드 동작이 필요없는 장소나 시간에서도 동일하게 반복적으로 이를 사용자가 직접 보안모드를 해지해 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전자장치에서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장치에서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P(Access Point) 목록을 이용하여 보안 모드 동작 여부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모드 동작 여부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보안모드 동작 해지 없이도, 자동으로 보안모드 동작 여부를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방법은,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기설정되어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진동이 울리거나 또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장치와 특정 AP(Access Point) 사이의 연결 여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주변 AP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주변 AP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상기 보안모드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은,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AP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지대 진입시 알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여부 및 상기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GPS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GPS 위치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상기 안전지대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고,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기설정되어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진동이 울리거나 또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상기 전자장치와 특정 AP(Access Point) 사이의 연결 여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주변 AP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주변 AP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고, 상기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상기 보안모드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AP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를 선택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 진입시 알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여부 및 상기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결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GPS 위치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GPS 위치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상기 안전지대로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에서 특정 장소에 따라 자동으로 보안모드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반복적인 보안모드 해지 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보안모드 해지 동작을 줄임으로써 좀더 효율적으로 전자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 해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지대를 벗어날 때의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보안모드 동작은 비밀번호 설정 또는 패턴 설정을 이용한 화면잠금(locking) 기능,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한 기능, 또는 문서, MP3, 이미지 파일 등의 파일 액세스를 제한하는 기능, 환경설정 시 중요한 설정항목에 대한 접근권한 제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설치시 해당 서버 외에 다른 출처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제한 기능을 의미한다. 그리고, 보안모드 동작 설정은 상기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켜지도록 하는 것이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는, 상기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 지역(100)은 안전지대로써, 타 사용자의 접근이 적어 사용자 자신 외에 타 사용자들이 전자장치를 액세스할 기회가 적은 곳이고, 반면 B 지역(110)은 비 안전지대로써, 타 사용자의 접근이 많아 사용자 자신 외에 타 사용자들이 사용자의 전자장치를 액세스할 기회가 많은 곳이다. A 지역(100) 및 B 지역(110)은 검색된 AP(Access Point) 목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가 A 지역(100)에서 B 지역(110)으로 이동될 때, 전자장치의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이 유지되거나 보안모드 동작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시 보안모드 동작이 설정될 수 있다(120).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비록 보안모드 동작이 설정되어 있더라도, 안전지대 즉, A 지역(100) 내에서는 보안모드가 해지되어 있고, 전자장치가 A 지역(100)에서 B 지역(110)으로 이동될 때, 해지된 보안모드를 동작시킨다. 반대로, 전자장치가 B 지역(110)에서 A 지역(100)으로 이동될 때, 전자장치의 보안모드 동작이 해지될 수 있다(130).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200단계에서 잠금화면 설정과 같은 보안모드 동작을 설정하여 유지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 설정 전에 안전지대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202단계에서 안전지대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시, 204단계로 진행하여, 주변 AP 목록을 검색한다. 즉, 전자장치는 안전지대 설정 메뉴선택시 AP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검색된 AP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주변 AP 목록은 이전에 검색되어 저장된 AP 목록일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206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된 AP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AP를 선택하고, 208단계에서 안전지대 진입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210단계에서,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의 이름을 설정한다. 이름설정은 사용자가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장소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212단계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214단계로 진행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하지 않을 시(즉, 비 안전지대에 있을 시), 216단계에서 해당모드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해당모드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하는지를 계속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214단계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220단계로 진행하고, 팝업창이 비활성화되어 있을 시, 224단계로 진행한다.
전자장치는 218단계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린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팝업창을 통해 현재 보안모드 동작 유지 또는 해지에 대응하는 입력을 제공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220단계에서,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224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22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은 안전지대 설정 초기 화면으로써, 초기 화면에 "current location"(302) 및 "Import my place"(303)가 나타난다.
"current location"(302)는 현재 장소의 AP를 검색/선택하여 신규 안전지대로 등록하기 위한 메뉴이고, "Import my place"(303)는 외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장소정보를 제공받아 신규 안전지대로 등록하기 위한 메뉴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적외선 통신, 근거리통신망 등을 통해 특정 존(zone)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더하여, 초기 화면에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시 이를 통보하는 팝업창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설정한다. 즉, "ON"으로 설정될 시, 안전지대 진입을 통보하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고, "OFF"로 설정될 시, 안전지대 진입을 통보하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301).
도 3의 (b)는 도 3의 (a)의 "current location"(302)가 선택될 시 디스플레이되는, AP 검색을 위한 설정화면으로써, 전자장치는 WiFi 사용이 꺼져있을 시, WiFi 사용이 "ON"시켜 주변 AP를 검색하여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AP 목록으로부터 안전지대 또는 비 안전지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AP가 선택될 수 있다(304).
도 3의 (c)는 도 3의 (b)에서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가 선택될 시, 선택된 AP에 대응하는 이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305). 즉, 새로 추가되는 안전지대의 이름이 결정된다.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안전지대를 인지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신규로 등록된 안전지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다.
예를 들면, 도 3의 (d)에서, AP1이 안전지대로 선택되었고(304), 안전지대 진입을 통보하기 위한 팝업창의 디스플레이가 "OFF"로 설정되었고(301), AP1에 대응하는 안전지대의 이름은 "My studio"로 설정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 동작 해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의 (a)는 특정 장소가 안전지대로 설정된 후,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하는 전자장치가 절전상태로 천이되어 화면이 off되어 있는 화면이다.
도 4의 (b)는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진동 울림,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진동 울림 대신 알림음(혹은 경보음)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안전지대에 진입했음을 알려주는 팝업창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이 등록되지 않았다면, 안전지대 이름은 제공되지 않는다.
초기 팝업창에 "Do not show agin"와 관련한 체크박스(401)가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팝업창에서 체크박스(401)가 비활성화될 때, 안전지대 재진입시 상기 팝업창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팝업창에서 "YES"(402)가 선택되면 기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이 해지되고, "NO"(403)가 선택되면 기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이 유지된다.
도 4의 (c)는 검증화 단계(verification step)로써, 안전지대 등록 후 최초 진입시 검증을 한번 거친 후 이후 재진입부터 안전지대가 자동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최초 진입에 때에, 비밀번호 입력 또는 패턴입력을 통해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이후 재진입시에는 비밀번호 입력 또는 패턴입력 없이 자동으로 보안모드 동작이 해지된다.
도 4의 (d)는 보안모드 동작이 해지된 후 화면이 on되어 있는 화면이고, 도 4의 (e)는 도 4의 (d)에서 수 초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을 때, 보안모드 동작이 해지된 전자장치가 절전상태로 천이되어 화면이 off되어 있는 화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의 WiFi 사용이 "ON"되어 있거나 주기적으로 AP 검색을 수행하는 중에, 기설정된 특정 AP, 즉, 안전지대로 설정된 AP가 검색될 시 현재 장소가 안전지대로 등록된 장소임을 인식하고, 현재 동작중인 보안모드 레벨을 낮은 단계로 낮추거나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하나의 AP가 안전지대로 등록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5의 (a) 및 (b)처럼 둘 이상의 AP 조합을 이용하여 안전지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검색된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검색된 AP 목록으로부터 AP1, AP2, AP3가 AND 조건으로 안전지대로 설정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전자장치가 AP1, AP2, 그리고 AP3로부터 일정레벨의 수신신호가 감지되는 지점(500)을 안전지대로 인식하게 된다.
비록 3개 AP의 AND 결합에 의해 안전지대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구현에 따라, 3개 이상이 AP의 AND 결합 또는 3개 이하 AP의 AND 결합에 의해 안전지대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에 따라, 3개 AP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 AP2, 그리고 AP3 중 AP1과 AP2로부터 또는 AP1과 AP3로부터 또는 AP2와 AP3로부터의 일정레벨의 수신신호가 감지되는 지점을 안전지대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600단계에서 잠금화면 설정과 같은 보안모드 동작을 설정하여 유지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 설정 전에 안전지대 설정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602단계에서 안전지대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시, 604단계로 진행하여, GPS 수신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GPS 수신기 동작이 비활성화되어 있을 때, 전자장치는 GPS 수신기 동작을 활성화하여 GPS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서, GPS 위치정보와 AP의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안전지대 설정을 설정할 수 도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NFC 등 근거리 통신망과 GPS 위치정보의 결합으로 안전지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606단계에서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수십 미터 이내의 범위를 안전지대로 설정하고, 608단계에서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610단계에서,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설정한다. 이름설정은 사용자가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장소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612단계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614단계로 진행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하지 않을 시(즉, 비 안전지대에 있을 시), 615단계에서 해당모드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해당모드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하는지를 계속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614단계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616단계로 진행하고, 팝업창이 비활성화되어 있을 시, 622단계로 진행한다.
전자장치는 616단계에서 보안모드를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린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팝업창을 통해 현재 보안모드 동작 유지 또는 해지에 대응하는 입력을 제공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618단계에서,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622단계로 진행하여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620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되어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도 6에서 GPS 수신기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좌표정보를 수신하여 안전지대로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하기 도 7과 같이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수의 안전지대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는 지도 위에 안전지대로 설정하고 싶은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700) 위에 3개의 터치 지점(701, 702, 703)이 선택될 시, 지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각각 반경 수십 미터 이내의 범위를 안전지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800단계에서 주변 AP를 검색하고 802단계에서 검색된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804단계에서 검색된 AP 목록에 있는 AP 각각에 대해서 안전지대 여부를 선택한다. 다시 말해, AP 목록에 있는 AP 각각에 대해 안전지대로 설정하기 비 안전지대로 설정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ON"으로 설정될 시 해당 AP는 안전지대로 설정되고, "OFF"로 설정될 시 해당 AP는 비 안전지대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전자장치는 806단계에서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를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의 이름을 설정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808단계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810단계로 진행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하지 않을 시(즉, 비 안전지대에 있을 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하는지를 계속 감지한다.
전자장치는 810단계에서 보안모드를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을 시 812단계로 진행하고, 팝업창이 비활성화되어 있을 시, 816단계로 진행한다.
전자장치는 812단계에서 보안모드를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린다.
이후, 전자장치는 814단계에서,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816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818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안전지대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검색된 AP들이 표시되고(900), 각각의 AP에 대해 ON/OFF 설정(902)을 통해 해당 AP를 안전지대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에서 "ON"으로 설정될 시 해당 AP는 안전지대로 설정되고, "OFF"로 설정될 시 해당 AP는 비 안전지대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 AP3는 안전지대로 설정되고, AP2, AP4, AP5는 비 안전지대로 설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지대를 벗어날 때의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1000단계에서 도 2 또는 도 6, 또는 도 8과 같이 안전지대를 설정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1002단계에서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1004단계로 진행하여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1006단계에서 안전지대에서 벗어날 때, 즉, 비 안전지대로 이동할 때, 1008단계로 진행하여 해지된 보안모드 동작을 다시 보안모드를 동작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안전지대에서 비 안전지대로 이동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11의 (a)는 안전지대에서 보안모드 동작이 해지된 전자장치가 절전상태에서 화면이 off된 화면이다.
도 11의 (b)는 안전지대를 벗어날 때, 진동 울림 혹은 알림음(혹은 경보음)을 통해 해지된 보안모드 동작이 다시 보안모드 동작으로 천이된다. 이때, 전자장치가 절전상태에서 스크린이 off된 화면을 유지한다.
실시 예에 따라, 진동 울림 혹은 알림음(혹은 경보음)과 함께 해지된 보안모드 동작이 다시 보안모드 동작으로 천이되었음을 알려주는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1의 (c)는 보안모드 동작으로 천이된 후에, 화면을 ON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하드웨어 키를 눌렀을 때, 스크린이 on되어 있는 화면이다.
도 11의 (d)는 도 11 (c)에서 수 초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을 때,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하는 전자장치가 절전상태로 천이되어 화면이 off되어 있는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장소에 따라 보안모드 동작 수락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제어기(1200), 스피커/마이크로폰(1210), 카메라(1220), GPS 수신기(1230), RF 처리기(1240), 센서모듈(1250), 터치스크린(1260), 터치스크린 제어기(1265), 확장 메모리(1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1200)는, 인터페이스(120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2, 1203) 그리고 내부 메모리(120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기(120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12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2), 통신 프로세서(1203), 내부 메모리(1204)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 프로세서(1203)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1202, 1203)는 확장 메모리(1270) 혹은 내부 메모리(1204)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1202, 1203)는 확장 메모리(1270) 혹은 내부 메모리(12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2)가, 보안모드 동작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안전지대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시, 주변 AP 목록을 검색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된 AP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AP를 선택하고, 안전지대 진입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의 이름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2)가, 보안모드 동작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안전지대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시, GPS 수신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수십 미터 이내의 범위를 안전지대로 설정하고,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2)가, 주변 AP를 검색하고 802단계에서 검색된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검색된 AP 목록에 있는 AP 각각에 대해서 안전지대 여부를 선택하고, 다시 말해, AP 목록에 있는 AP 각각에 대해 안전지대로 설정하기 비 안전지대로 설정할지를 결정하고,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를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의 이름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202)가, 안전지대 설정 후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안전지대에서 벗어날 때, 즉, 비 안전지대로 이동할 때, 해지된 보안모드 동작을 다시 보안모드를 동작시킨다.
한편, 다른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201)는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 제어기(1265) 및 확장 메모리(1270)에 연결시킨다.
센서모듈(1250)은 인터페이스(1201)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 및 광센서가 인터페이스(1201)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인터페이스(1250)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220)는 인터페이스(1201)를 통해 센서모듈(1250)과 결합하여,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F 처리기(1240)는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1203)의 제어하에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세서(1203)로 제공하거나 통신 프로세서(1203)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프로세서(1203)는 다양한 통신방식에 기저대역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방식,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통신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방식,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 WiMax 통신방식 또는/및 Bluetooth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마이크로폰(1210)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스피커/마이크로폰(1210)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이 외부포트를 통해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1265)는 터치스크린(126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6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1265)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스크린(126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60)은 전자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126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전자장치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126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GPS 수신기(12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위치, 속도, 시간 등의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위성과 GPS 수신기간 거리는 빛의 속도와 신호도달 시간을 곱하면 계산되며, 3개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구하여 공지된 삼각측량의 원리로 전자장치의 위치가 측정된다.
확장 메모리(1270) 혹은 내부 메모리(120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메모리(1270) 혹은 내부 메모리(1204)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및 MPEG 모듈,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RF 처리기(124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된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12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렌더링 엔진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270, 1204)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더하여, 상기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 내 동적으로 변하는 객체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실행버튼 및 선택메뉴를 포함하고 있다(도 3(a) 내지 3(d)).
본 발명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상기 도 2, 도 6, 도 8, 도 10 참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보안모드 동작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안전지대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시, 주변 AP 목록을 검색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검색된 AP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AP를 선택하고, 안전지대 진입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의 이름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보안모드 동작을 설정하여 유지하고, 안전지대 설정 이벤트가 발생할 시, GPS 수신기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수십 미터 이내의 범위를 안전지대로 설정하고,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주변 AP를 검색하고 802단계에서 검색된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검색된 AP 목록에 있는 AP 각각에 대해서 안전지대 여부를 선택하고, 다시 말해, AP 목록에 있는 AP 각각에 대해 안전지대로 설정하기 비 안전지대로 설정할지를 결정하고, 안전지대 진입시 보안모드를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할지를 선택하고,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AP의 이름을 설정하고, 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할지를 문의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입력을 기다리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될 시, 기설정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보안모드 동작 해지가 선택되지 않을 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유지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안전지대 설정 후기설정된 안전지대로 진입할 시,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고, 안전지대에서 벗어날 때, 즉, 비 안전지대로 이동할 때, 해지된 보안모드 동작을 다시 보안모드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processing)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어기: 1200
인터페이스: 12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202
통신 프로세서: 1203
RF 처리기: 1240
확장 메모리: 1270

Claims (24)

  1.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기설정되어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진동이 울리거나 또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장치와 특정 AP(Access Point) 사이의 연결 여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주변 AP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주변 AP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상기 보안모드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은,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AP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대 진입시 알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여부 및 상기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은,
    GPS 위치좌표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GPS 위치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상기 안전지대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는,
    GPS 위치정보와 AP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거나,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GPS 위치정보와 상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획득된 정보의 결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고,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기설정되어있는 보안모드 동작을 해지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진동이 울리거나 또는 알림음을 출력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상기 전자장치와 특정 AP(Access Point) 사이의 연결 여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주변 AP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주변 AP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주변 AP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특정 AP들의 신호 세기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는 명령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했는지 감지하고,
    상기 기설정된 비 안전지대에 진입할 시, 상기 보안모드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AP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AP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를 선택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 진입시 알림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여부 및 상기 안전지대에 대응하는 이름을 결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는,
    GPS 위치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GPS 위치좌표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상기 안전지대로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안전지대를 설정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지대는,
    GPS 위치정보와 AP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거나,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GPS 위치정보와 상기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획득된 정보의 결합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0019091A 2013-02-22 2013-02-22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05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91A KR20140105176A (ko) 2013-02-22 2013-02-22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091A KR20140105176A (ko) 2013-02-22 2013-02-22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176A true KR20140105176A (ko) 2014-09-01

Family

ID=5175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091A KR20140105176A (ko) 2013-02-22 2013-02-22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517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66A (ko) * 2004-02-17 2005-08-22 이노성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6396B1 (ko) * 2004-08-18 2006-07-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구역 기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특정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및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KR20060134574A (ko) *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구역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기능 제어 방법
KR20070059545A (ko) * 2005-12-07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120138857A (ko) * 2011-06-16 2012-1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66A (ko) * 2004-02-17 2005-08-22 이노성 카메라폰 보안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6396B1 (ko) * 2004-08-18 2006-07-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구역 기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특정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및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KR20060134574A (ko) *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구역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기능 제어 방법
KR20070059545A (ko) * 2005-12-07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120138857A (ko) * 2011-06-16 2012-1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내방객 출입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38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geo-fence ser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10189223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황인식을 이용한 알람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U20132575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camera module in sleep mode
KR102032247B1 (ko) 휴대단말에서 엔에프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11538328B2 (en) Mobile device self-identification system
US20120174237A1 (en) Location aware self-lock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device
KR10159091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JP2014225860A (ja) 地磁気センサーを用いた通信部制御方法及びこのための電子機器
US9788275B2 (en)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0515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arget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EP33018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larm i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40024174A (ko) 전자장치에서 상황인식에 따라 진동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165404B2 (en) Method for triggering oper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109937B1 (ko)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40187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JP2015211268A (ja)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44415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 checking method, position checking program, and position checking system
KR102244040B1 (ko) 전자장치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105176A (ko) 전자장치에서 보안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35829B1 (ko) 휴대단말기의 ap 스캔 방법 및 장치
CN111649760A (zh) 智能导航方法、系统、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163201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6939B1 (ko) 보안 처리를 위한 통신 단말장치
KR20140128815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