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191B1 -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 Google Patents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191B1
KR100569191B1 KR1020040078797A KR20040078797A KR100569191B1 KR 100569191 B1 KR100569191 B1 KR 100569191B1 KR 1020040078797 A KR1020040078797 A KR 1020040078797A KR 20040078797 A KR20040078797 A KR 20040078797A KR 100569191 B1 KR100569191 B1 KR 10056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mobile communication
barcode reader
communication terminal
portabl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빌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빌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빌아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04007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탑재하고,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통신포트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코드 리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상기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버턴으로 상기 바코드 리더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버턴으로 상기 바코드 리더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바코드 리더에 별도의 버턴으로 동작하는 종래에 비해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바코드 리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자석. 바코드 스캐너.

Description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Barcode reading system, mobile phone and barcode reader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리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바코드 리더의 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바코드 리더의 후면 케이스의 자석 수용 상태를 예시한 도 2의 Ⅲ-Ⅲ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코드 리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부를 예시한 부분 전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동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20: 바코드 리더 20a: 전면 케이스 20b: 후면 케이스
22: 24: 연결부 26: 단자 모듈
30: 스캐너 34: 보드 38: 인출구
40: 접속단자
50: 자석 수용홈 52: 자석 54: 스티커
102: 제어부 104: 키 매트릭스 회로 106: 디스플레이부
108: 무선통신부 110: 메모리 112: 통신부
202: 제어회로 204: 바코드스캐너 206: 통신부
본 발명은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착탈이 용이한 바코드 리더를 포함하며, 바코드의 리딩 동작이 가능토록 한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무선 인터넷 기능, 문자 전송 기능, 및 카메라 기능을 탑재 가능토록 상품화되고 있다.
최근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기능 구현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가 결합된 형태의 제품의 개발이 고려되고 있다.
바코드 리더는 택배물이나 특정 물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읽어서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바코드 리딩 시스템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성과 제어성이 보장되도록 구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먼저, 종래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은 이를 구성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는 각각 자체적인 제어 모듈에 의하여 동작되었다. 즉,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는 자체 설정된 버턴과 기능에 의하여 제어되고, 바코드 리더도 자체 설정된 버턴과 기능에 의하여 제어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우에는 이들을 세트로 조립하여 바코드를 스캔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를 별도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이유로 종래의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하기 불편하고 바코드 스캔을 위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폼을 통해 바코드 리더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상에 구현하여 바코드 리더를 제어할 수 있는 바코드 리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코드 리더의 착탈이 용이하고, 작업성 및 휴대성이 우수한 바코드 리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코드 리딩 시스템은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플랫폼을 탑재하고, 외부기기와 접속 가능한 통신포트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상기 통신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코드 리더;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상기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버턴으로 상기 바코드 리더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에 GVM, SK-VM, BREW, WIPI 중 어느 하나를 플랫폼으로 탑재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상기 바코드 리더에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로부터 전송되는 바코드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리더는 케이스 내에 바코드 스캐너와 보드를 실장하며, 일단부에 상기 보드로부터 인출된 배선을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상기 통신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선을 수용하는 관통구를 가지며, 일단부에 상기 케이스와 체결가능한 연결 단부를 가지고, 다른 일단부는 일방향으로 꺽어지며, 꺽어진 상기 다른 일단부에 접속 단자를 갖는 단자모듈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외벽에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리더의 일면에 자석이 부가되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는 상기 자석에 대응하여 자력으로 접합 가능한 부재가 더 부가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엔디 단면 2극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에 GVM, SK-VM, BREW, WIPI 중 어느 하나를 플랫폼으로 탑재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외부 접속 가능한 바코드 리더에 제공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로부터 전송되는 바코드 데이터를 전송받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코드 리더는 케이스 내에 바코드 스캐너와 보드를 실장하며, 케이스의 일면에 자석이 수용되고, 상기 스캐너가 실장된 단부에 빔 출입을 위한 창이 형성되며, 다른 일단부에 상기 보드로부터 인출된 배선을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연결구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보드에 실장 가능한 제어회로는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바코드 스캐너의 구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리딩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과 바코드 리더(20)가 결합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바코드 리더(20)에는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창(22)과 연결부(24)가 구성되며, 연결부(24)에는 단자 모듈(26)이 구성되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코드 리딩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는 바코드 리더(20)와 접하는 면에 자력으로 결합 가능한 철편(미도시)이 노출 또는 매립된 구성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이때 철편은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케이스 전면 또는 후면, 그리고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 후면에 구성 가능한 배터리 팩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바코드 리더(20)의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와 접하는 일면에 도 2와 같이 자석 수용홈(50)이 형성되고, 자석 수용홈(50)의 내부에 자석(52)이 수용된다. 자석이 수용된 상태의 단면은 도 3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자석 수용홈(50)의 직경은 자석(52)이 수용 가능하도록 자석(52)보다 크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고, 자석 수용홈(50)의 깊이도 자석(52)이 수용 가능하도록 자석(52)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석(52)은 수용된 상태에서 상면을 커버하는 스티커(54)에 의하여 테이핑됨으로써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별도로 자석(52)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자석 수용홈(50) 내부에 고정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석(52)은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철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코드 리더(20)는 도 4와 같이 전면 케이스(20a)와 후면 케이스(20b) 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 바코드 스캐너(30) 및 보드(34)가 수용된다.
바코드 스캐너(30)와 보드(34) 사이는 배선(36a)으로 연결되고, 배선(36a)은 스캐너(30)와 보드(34) 사이의 전기적 접속 및 통신에 이용된다.
그리고, 바코드 스캐너(30)가 위치된 단부에 대응되는 케이스(20)에는 창(22)이 구성되고, 그 반대방향의 단부 즉 보드(34)의 배선(36b)이 인출되는 위치에는 인출구(38)가 형성된다.
창(22)은 스캐너(30)에서 주사된 스캐닝 빔과 반사빔이 출입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며, 인출구(38)는 연결부(24)의 단부(24a)가 결합되는데 이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24)는 외벽에 주름이 형성되면서 단부가 일방향으로 꺽어진 형상을 가지며, 꺽어진 단부에 단자 모듈(26)이 구성된다. 그리고, 단자 모듈(26)은 대체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단부에 형성된 통신 포트와 결합 가능한 접속 단자(40)를 갖는다.
연결부(24)는 내부에 관통구(24b)가 꺽어진 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며, 관통구(24b)를 통하여 배선(36b)이 연장되고, 배선(36b)의 연장된 일단부는 접속단자(40)의 각 핀(도시되지 않음)과 접속된다.그리고, 연결부(24)의 케이스(20)와 결합되는 단부(24a)에는 인출구(38) 보다 면적이 큰 연결 단부(24a)가 형성되고, 연결 단부(24a)와 주름진 영역 사이에는 오목한 홈이 각 변부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연결 단부(24a)에 이어지는 홈은 인출구(28)에 끼움 결합 가능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자력으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와 바코드 리더(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부(24)로 구성되는 단자모듈(26)의 접속 단자를 해당 포트에 접속 시킴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는 불필요한 경우에는 연결 상태를 해제시켜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와 바코드 리더(20)를 분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 시킨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연결부(24)는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꺽임이 용이하여 착탈이 편리하고, 접속을 위하여 길게 연장되는 배선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보관의 편리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와 바코드 리더(20)의 결합에 이용되는 자석(52)은 자기장의 범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 2극으로 착자된 엔디(ND) 단면 2극 자석을 이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의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자석의 자력이 바코드 스캐너(30)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바코드 스캐너(30)는 주사되는 빔을 스캔될 수 있도록 진동하는 진동판이 구성되며, 빔 소스에서 주사된 빔이 진동판에 반사되어 바코드가 인쇄된 목적 방향으로 주사된다.
상기한 방법으로 빔이 스캔되는 바코드 스캐너(30)에 근접하게 자석이 배치되는 경우, 자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기장이 금속성 진동판 및 빔에 영향을 미쳐서 빔이 정상적으로 주사되는 것을 방해한다. 그리고, 자석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이외에도 장시간 자석이 부착된 경우 자석에 의하여 보드가 자화되어 바코 드 스캐너(3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현상이 유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디 단면 2극 자석을 채용하여 상기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엔디 단면 2극 자석은 자속의 세기가 크고 자장의 영향폭을 제한시킨 자석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세팅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 리딩 시스템은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 플랫폼을 장착하여 바코드 리더(20)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통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버턴을 조작함으로써 바코드 리더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플랫폼은 GVM, SK-VM, BREW, WIPI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과 바코드 리더(20)의 블록도를 살펴보면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과 무관한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개략적인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는 제어부(102)가 구성되며, 제어부(102)에는 버턴매트릭스 회로(104), 디스플레이부(106), 무선통신부(108), 메모리(110), 및 유선 통신부(112)가 연결된다.
버턴매트릭스 회로(104)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턴에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02)에 제공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부(106)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이 제어되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며, 무선통신부(108)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고, 메모리(110)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되며, 유선통신 부(112)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02)는 사용자의 버턴 매트릭스 회로(104) 조작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며, 조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06)로 표시하고, 필요한 경우 원격지와 무선통신부(108)를 통하여 통신하고, 제어 및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하며, 유선통신부(112)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바코드 리더(20)에 전송하고, 바코드 리더(20)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바코드 리더(20)는 제어회로(202)와 통신부(206) 및 바코드 스캐너(20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바코드 스캐너(204)는 바코드 스캐닝 동작을 수행하여 스캐닝된 바코드 데이터를 제어회로(202)로 전달한다.제어회로(202)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유선통신부(112) 및 통신부(206)를 통하여 전달받아서 바코드 스캐너(204)를 제어하고, 스캐닝된 바코드 데이터를 통신부(206) 및 유선통신부(112)를 거쳐서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유선통신부(112)와 통신부(206)는 전기적인 프로토콜 변환과 물리적인 접속을 수행한다.
그리고,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플랫폼은 메모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랫폼은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에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반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그보다 하위 레벨의 펌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가 켜진 상태에서 바코드 리더(20)를 접속하면, 제어부(102)는 통신부(112)의 포트 상태를 체크하여 접속 상태를 인식한 다.
바코드 리더(20)가 접속되면, 바코드 리더(20)는 동작 전원을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으로부터 전달받고, 동작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회로(202)는 대기 상태로 바코드 리더(20)의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전원은 유선통신부(112)와 통신부(206) 간의 접속을 이루는 일부 포트를 이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바코드 스캔을 위하여 설정된 버턴를 조작하면, 버턴 매트릭스 회로(104)는 그에 해당하는 버턴신호를 제어부(102)로 전달하고, 제어부(102)는 버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유선 통신을 통하여 바코드 리더(20)로 전달하고, 바코드 리더(20)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바코드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캔된 바코드 데이터는 바코드 리더(20)에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으로 전달되고,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제어부(102)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플랫폼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른 저장 또는 인식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코드 리더(20)의 제어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1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만 조작함으로써 간편하게 바코드 리더(20)를 이용한 바코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코드 리더(20) 조작의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용화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포트는 동일 규격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플랫폼을 탑재시킴으로써 모든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기종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버턴으로 상기 바코드 리더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바코드 리더에 별도의 버턴으로 동작하는 종래에 비해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와 바코드 리더가 자석에 의해 세트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성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특히, 상기 자석이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의 오작동을 일으키지 아니하는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이용에 완전함을 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소정의 바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바코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바코드 리더;
    상기 바코드 리더와 통신하며, 바코드 리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바코드 리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엔디 단면 2극 자석; 및
    상기 엔디 단면 2극 자석과 접합 가능하며,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접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는
    케이스 내에 바코드 스캐너와 보드를 실장하며, 일단부에 상기 보드로부터 인출된 배선을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선을 수용하는 관통구를 가지며, 일단부에 상기 케이스와 체결가능한 연결 단부를 가지고, 다른 일단부는 일방향으로 꺽어지며, 꺽어진 상기 다른 일단부에 접속 단자를 갖는 단자모듈을 포함하며, 외벽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플랫폼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턴부;
    상기 버턴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버턴매트릭스회로부; 및
    상기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바코드 리더에 전송하고, 상기 바코드 리더로부터 바코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바코드 리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GVM, SK-VM, BREW, WIPI 중 어느 하나인 바코드 리딩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40078797A 2004-10-04 2004-10-04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KR10056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97A KR100569191B1 (ko) 2004-10-04 2004-10-04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797A KR100569191B1 (ko) 2004-10-04 2004-10-04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9191B1 true KR100569191B1 (ko) 2006-04-07

Family

ID=3718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97A KR100569191B1 (ko) 2004-10-04 2004-10-04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758U (ko) * 2007-01-17 2008-07-22 이광재 플러그와 소켓 일체형 콘넥터가 부착된 바코드 스캐너 장치
CN106647944A (zh) * 2016-12-14 2017-05-10 国网浙江省电力公司 一种轻薄分离式手持终端及其快速组装拆卸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758U (ko) * 2007-01-17 2008-07-22 이광재 플러그와 소켓 일체형 콘넥터가 부착된 바코드 스캐너 장치
CN106647944A (zh) * 2016-12-14 2017-05-10 国网浙江省电力公司 一种轻薄分离式手持终端及其快速组装拆卸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776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adapting a mobile device having a camera to a reader for electro-optically reading targets
EP2445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information recognition module
KR20090007166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7172598A (ja) カード型保存装置
EP2661057B1 (en) Mounting structure for circuit boards
US20150084818A1 (en) Antenna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JP2004227071A (ja) 情報端末装置システム
KR100569191B1 (ko) 바코드 리딩 시스템, 그에 이용되는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 및 바코드 리더
KR101955661B1 (ko) 전자태그 리더기
US20030153349A1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modules
KR20180133764A (ko) 휴대폰 커버 타입 전자태그 리더기
JP2007293572A (ja) Rfidリーダ/ライタ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JP4124244B2 (ja) 携帯電話
JP7196672B2 (ja) 情報読取装置
JPH10269339A (ja) 携帯型端末装置
JP2004220504A (ja) バーコードハンディターミナル
KR101088048B1 (ko) 정보인식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CN212724052U (zh) 一种无线声光定位终端的结构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JPS6132443Y2 (ko)
US20140185228A1 (en) Read/write function providing device
JP2017107504A (ja) 情報読取装置
JP3844344B2 (ja) バーコードリード機能付き携帯無線装置
JP2000194792A (ja) バ―コ―ドリ―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