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555B1 - 볼캐스터의 구조 - Google Patents

볼캐스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555B1
KR100566555B1 KR1020040008464A KR20040008464A KR100566555B1 KR 100566555 B1 KR100566555 B1 KR 100566555B1 KR 1020040008464 A KR1020040008464 A KR 1020040008464A KR 20040008464 A KR20040008464 A KR 20040008464A KR 100566555 B1 KR100566555 B1 KR 10056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housing
retainer
caster
stee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526A (ko
Inventor
이영상
Original Assignee
이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상 filed Critical 이영상
Priority to KR102004000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5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나 가구류 등과 같은 대상물에 방향성 없이 360°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은 물론, 하중이 실렸을 경우에는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바닥면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볼캐스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나 가구류에 장착되어 구름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캐스터에 있어서, 스틸볼을 수용하고 있는 리테이너가 부세수단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있게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볼캐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스틸볼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경우에는 대상물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편이 바닥면에 접촉하여 스틸볼의 구름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볼캐스터, 스틸볼, 리테이너, 볼베어링, 하우징

Description

볼캐스터의 구조{A structure for ball-ca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캐스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볼캐스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3은 고정판과 리테이너 사이에 설치되는 부세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4는 고정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볼캐스터 20: 리테이너
21: 스틸볼 22: 상부캡
22a: 수용홈 23: 하부캡
23a: 이탈방지편 24: 볼베어링
30: 하우징 31: 나사부
32: 걸림턱 33: 지지편
40: 고정판 40a: 몸체부
40b: 플랜지 41: 나사봉
42: 너트 43: 스페이서
44: 걸림턱 45: 요홈
46a,46b: 체결나사 50: 탄성스프링
60A,60B: 자석
본 발명은 볼캐스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나 가구류 등과 같은 대상물에 방향성 없이 360°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은 물론, 하중이 실렸을 경우에는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바닥면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볼캐스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를 구성하는 받침다리나 혹은 이동이 가능한 가구류의 바닥판에는, 하우징 내부에 볼(Ball)이나 원판형 로울(Roll)이 장착되어 있는 캐스터 (Caster)가 설치되어 대상물의 위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39417호, 제20-031190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볼캐스터는 의자다리의 바닥면에 고정판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하우징(커버)과, 이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볼(바퀴)을 구비하 고 있으며, 이들 하우징의 내면과 볼 사이에는 다수의 볼베어링이 개재되어 있는 리테이너(Retainer)가 부설되어 볼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볼캐스터는, 단순히 대상물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을 부가하여 볼이 구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87-18252호, 제93-23357호 공보에 개시된 경우에는, 냉장고나 가구 등의 프레임 저면에 바퀴가 장착된 하우징을 부착하고, 이 하우징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나사부에 지지캡을 나사맞춤시킴으로써, 바퀴에 의한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지지캡을 돌려서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인 경우에는, 대상물의 이동 후에 프레임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캡을 돌려서 바닥면에 고정시켜 주어야만 하고, 그 작업 자체가 프레임 저면과 바닥면 사이의 좁은 틈새 내에서 행해져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나 가구류 등의 대상물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경우에는 리테이너에 수용되어 있는 스틸볼에 의해 방향성 없이 360°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반대로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지지편이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대상물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볼캐스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자나 가구류에 장착되어 구름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캐스터에 있어서, 스틸볼을 수용하고 있는 리테이너가 부세수단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있게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볼캐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스틸볼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경우에는 대상물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편이 바닥면에 접촉하여 스틸볼의 구름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캐스터는, 바닥면에 접촉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스틸볼을 수용하고 있는 리테이너와, 이 리테이너가 끼워넣어지는 내주면의 상, 하단에 나사부 및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하단에 지지편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상단의 나사부에 나사맞춤되어 조립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이 플랜지가 형성된 평판형상의 몸체부에 체결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형성된 플랜지 내주면과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 장착되어 스틸볼에 탄력을 제공하는 부세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반구형상의 수용홈을 가지는 상부캡과 이탈방지편을 가지는 하부캡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캡의 수용홈에 볼베어링을 개재하여 스틸볼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고정판의 몸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 및 이 나사봉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부세수단은 고정판의 플랜지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과 리테이너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고정판의 플랜지 및 리테이너의 내주면에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서로 대향하여 장착되어 있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세수단은 고정판의 플랜지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하우징을 풀거나 조여줌에 따라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캐스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볼캐스터(10)는 의자나 가구류 등의 프레임(A)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스틸볼(21)을 구비하고 있는 리테이너(20)와, 이 리테이너(20)를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30)과, 이 하우징(30)의 상단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판(40) 및 상기 스틸볼(21)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세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리테이너(20)는 반구형상의 수용홈(22a)을 가지는 상부캡(22) 및 이 상부캡(22)의 저면에 장착되는 이탈방지편(23a)이 형성된 하부캡(23)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캡(22)의 수용홈(22a)에는 다수의 작은 볼베어링(24)을 개재 하여 스틸볼(21)이 바닥면(B)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은 리테이너(20)의 바깥둘레에 끼워넣어지는 내주면의 상단에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리테이너 (20)의 하부캡(23)이 걸림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외주면의 하단에는 지지편(3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상단에 체결되는 고정판(40)은 평판형상의 몸체부(40a)를 가지고 있으며, 이 몸체부(40a)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30)의 나사부(31)에 체결되는 플랜지(4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40)의 몸체부(40a)에는 의자 등의 프레임(A)에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수단은,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고정판(40)의 몸체부(40a) 중앙에 상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41) 및 이 나사봉(41)에 체결되는 너트(42)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A)과 고정판(40)의 몸체부(40a) 상면 사이에 스페이서 (43)를 개재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40)의 플랜지(40b) 내주면과 상기 리테이너(20)의 사이에는 스틸볼(21)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세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부세수단은, 고정판(40)의 플랜지(40b) 안쪽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진 걸림턱(44)에 의해 형성된 요홈(45)과 리테이너(20)를 구성하는 상부캡(22)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상기 리테이너(20)와 고정판(40) 사이에 장착되는 부세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고정판(40)에 형성된 플랜지(40b)의 내주면과 리테이너(20)를 구성하는 상부캡(22)의 내주면에 각각 자석(60A,60B)을 설치한 경우이다.
즉, 상기 자석(60A,60B)은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리테이너(20)에 설치되어 있는 스틸볼(21)을 항상 바닥면(B) 쪽으로 밀어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고정판(4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의자가 아닌 일반 가구류에 적용할 경우 평판형상의 몸체부(40a) 양측을 체결나사(46a,46b)로서 프레임(A)의 저면에 장착시키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예컨대 볼캐스터(10)가 장착되는 대상물이 의자인 경우,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고정판(40)의 몸체부(40a)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41)을 프레임(A)에 조립시킨 후 너트(42)를 조여줌으로써, 의자를 구성하는 프레임(A)에 볼캐스터(10)를 간단히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20)에 수용되어 있는 스틸볼 (21)이 바닥면(B)에 접촉되어 있는 동시에 하우징(30) 끝단의 지지편(33)은 바닥면 (B)에서 일정 높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스틸볼(2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의자의 위치이동이 손쉽게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시트(도시생략)에 앉게 되면 그 수직하중이 리테이너(20) 내의 스틸볼(21)에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리테이너(20)는 탄성스프링 (50)에 저항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지지편(33)이 바닥면(B)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스틸볼(21)에 의한 의자의 구름이동이 억제됨과 동시에 하우징 (30)의 지지편(33)에 의해 프레임(A)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의자에서 일어나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스프링(50)에 의해 다시 스틸볼(21)이 하향 이동하여 바닥면(B)에 접촉되므로 의자의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자석(60A,60B)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판(40)의 플랜지(40a)와 리테이너(20)의 상부캡(2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60A,60B)이 서로 같은 극성끼리 마주 보고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스틸볼(21)이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바닥면(B)에 접촉되어 있지만,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수직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하우징(30)의 지지편(33)이 바닥면(B)에 접촉되어 프레임(A)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일반 가구류와 같이 밑판이 평편한 프레임(A)에 볼캐스터(10)의 고정판(40)을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해 몸체부(40a)의 양측을 평편하게 하여 체결나사 (46a,46b)로서 장착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판(40)의 플랜지(40b)에는 하우징(30)이 나사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30)을 돌려서 풀거나 조여줌에 따라 리테이너 (20)와 고정판(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0) 또는 자석(60A,60B)의 장력을 어느 정도 조절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 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캐스터의 구조에 의하면, 의자나 가구류 등의 볼캐스터가 장착되는 대상물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경우에는 하우징 내의 리테이너에 수용되어 있는 스틸볼에 의해 방향성 없이 360°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반대로 대상물에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스틸볼이 탄력있게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이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별도의 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대상물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삭제
  2. 반구형상의 수용홈(22a)을 가지는 상부캡(22)과 이탈방지편(23a)을 가지는 하부캡(23)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면(B)에 접촉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스틸볼(21)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캡(22)의 수용홈(22a)에 볼베어링(24)을 개재한 리테이너(20);
    상기 리테이너(20)가 끼워넣어지는 내주면의 상하단에 나사부(31)과 걸림턱(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하단에 지지편(33)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30);
    상기 하우징(30) 상단의 나사부(31)에 나사맞춤되어 조립되는 플랜지(40b)를 가지며, 이 플랜지(40b)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몸체부(40a) 중앙에 나사봉(41)이 형성되어 이 나사봉(41)과 너트(42)로 체결되는 고정판(40); 및
    상기 고정판(40)의 플랜지(40b)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45)과 리테이너(20) 사이에 장착되어 스틸볼(21)에 탄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캐스터의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의자나 가구류에 장착되어 구름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캐스터에 있어서,
    스틸볼(21)을 수용하고 있는 리테이너(20)가 같은 극성끼리 대향하여 설치되는 자석(60A, 60B)에 의해 하우징(3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있게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볼캐스터(10)를 구비하며, 상기 스틸볼(21)에 하중이 실리지 않는 경우에는 대상물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하중이 실리는 경우에는 하우징(30)에 형성된 지지편(33)이 바닥면(B)에 접촉하여 스틸볼(21)의 구름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캐스터의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60A, 60B)은 고정판(40)의 플랜지(40b)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하우징(30)을 풀거나 조여줌에 따라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캐스터의 구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볼캐스터(10)는,
    반구형상의 수용홈(22a)을 가지는 상부캡(22)과 이탈방지편(23a)을 가지는 하부캡(23)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면(B)에 접촉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는 스틸볼(21)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캡(22)의 수용홈(22a)에 볼베어링(24)을 개재한 리테이너(20);
    상기 리테이너(20)가 끼워넣어지는 내주면의 상하단에 나사부(31)와 걸림턱(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하단에 지지편(33)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30);
    상기 하우징(30) 상단의 나사부(31)에 나사맞춤되어 조립되는 플랜지(40b)를 가지며, 이 플랜지(40b)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몸체부(40a) 중앙에 나사봉(41)이 형성되어, 이 나사봉(41)과 너트(42)로 체결되는 고정판(40); 및
    상기 고정판(40)의 플랜지(40b) 및 리테이너(20)의 내주면에 같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서로 대향하여 장착되어 스틸볼(21)에 탄력을 제공하는 자석(60A,6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캐스터의 구조.
KR1020040008464A 2004-02-09 2004-02-09 볼캐스터의 구조 KR10056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464A KR100566555B1 (ko) 2004-02-09 2004-02-09 볼캐스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464A KR100566555B1 (ko) 2004-02-09 2004-02-09 볼캐스터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002U Division KR200342099Y1 (ko) 2003-11-27 2003-11-27 볼캐스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26A KR20050051526A (ko) 2005-06-01
KR100566555B1 true KR100566555B1 (ko) 2006-03-31

Family

ID=3866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464A KR100566555B1 (ko) 2004-02-09 2004-02-09 볼캐스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2117A (zh) * 2018-12-13 2019-03-26 谭复兴 低触距轮承载的轮盒及箱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526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031B1 (en) Caster assembly for a bed frame member or furniture
JP2005537173A (ja) キャスターにおける、またはそれに関する改良
JPH06278403A (ja) 異物混入防止性ベアリングカップを有するキャス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42099Y1 (ko) 볼캐스터의 구조
JPH0321364Y2 (ko)
KR100566555B1 (ko) 볼캐스터의 구조
US20080148514A1 (en) Direction stabilized compact swivel caster
KR101037763B1 (ko) 의자용 캐스터
JP2007210375A (ja) ボールキャスタ
KR200349204Y1 (ko) 의자 바퀴의 제동구조
JP3035439B2 (ja) キャスタ装置
KR20160045450A (ko) 기능성 볼바퀴 장치
JPH09276069A (ja) スプリングを設けたキャスター付椅子
US10913312B1 (en) Caster assembly
KR200396813Y1 (ko) 의자다리 받침장치
JP2007177947A5 (ko)
KR100460124B1 (ko) 캐스터
JP3145826B2 (ja) スツール
JPS62214003A (ja) キヤスタ−
JP2520203Y2 (ja) 制動機構を有するキヤスタ−
JPH08216606A (ja) キャスター
JP2596322Y2 (ja) キャスター付き椅子
JP2577468Y2 (ja) キャスター付き椅子
JP3014949U (ja) キャスター
TWM559815U (zh) 腳輪之定向及剎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