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311B1 -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311B1
KR100565311B1 KR1020030084652A KR20030084652A KR100565311B1 KR 100565311 B1 KR100565311 B1 KR 100565311B1 KR 1020030084652 A KR1020030084652 A KR 1020030084652A KR 20030084652 A KR20030084652 A KR 20030084652A KR 100565311 B1 KR100565311 B1 KR 10056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toring
unit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980A (ko
Inventor
조아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311B1/ko
Priority to CNA2004100582615A priority patent/CN1622566A/zh
Publication of KR2005005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7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separate speech, e.g. cocktail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되는 혼합음성신호를 아이시에이 기술로 분리하고 적정한 레벨로 출력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저장된 신호를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입력된 신호와 분리된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인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는 아이시에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단말기에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제1 저장과정; 상기 제1 저장과정에서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아이시에이 처리하여 분리하는 분리과정; 상기 분리과정에서 분리된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제2 저장과정; 상기 제2 저장과정에서 분리 저장된 신호 중 한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과정에서 선택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혼합된 음성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고,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므로 명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SEPARATION FROM MIXED VOICE SIGNAL FOR MOBILE PHONE}
도1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기능 구성도,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혼합된 녹음신호 기록저장 상태 그래프도,
도4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분리된 녹음신호 기록저장 상태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입력부 20 : 키보드부 30 : 제어부
40 : 저장부 50 : 아이시에이부 60 : 출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되는 음성신호의 혼합상태를 분리하는 것으로, 특히, 아이시에이(ICA)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된 각 개인의 음성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접속되어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직접 휴대하는 통신장비 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통신에 직접 이용되는 시간이 적고, 통신에 대비하는 대기시간이 길므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낮은 활용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 기능 및 부가 서비스(이하 부가서비스라고 함)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부가서비스는, 일 예로, 계산기능, 메시지기능, 영상촬영 기능 등등을 포함하여 음성을 기록저장하는 녹음기능이 있다.
상기 녹음기능은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별도의 처리 없이 녹음하는 것으로, 다수의 음성신호원으로부터 동시에 발생되는 신호를 녹음하거나 또는, 신호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녹음되는 경우, 각 신호원이 서로 혼합되어 녹음되거나 주변의 잡음신호와 혼합되어 녹음되므로, 원래의 각 신호원을 분리하여 재생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음성신호원에 의하여 혼합되거나 또는 잡음이 혼합된 신호로부터 특정 신호원을 분리하는 종래 기술로 아이시에이(ICA: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기술이 있으며, 상기 아이시에이 기술을 휴대단말기에 적용하여 동시 녹음된 각 신호원을 분리하는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UE)에 부가서비스로 구비되는 녹음기능은, 입력되는 음성급 신호를 단순하게 기록저장한 후에 출력 확인하는 것으로, 다수 신호원의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경우, 각각의 음성신호가 혼합되어 녹음된다.
또한, 신호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녹음하는 경우, 주변의 잡음이 함께 혼합되어 녹음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UE)에서는, 다수 신호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성신호와 잡음이 혼합된 음성신호를 단순하게 기록저장하므로, 재생과정에서 각각의 음성 신호원을 분리하지 못하는 동시에 녹음된 음성신호의 내용 확인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다수 신호원이 합성 녹음된 음성급 신호를 아이시에이 기술을 적용하여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고 명확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저장된 신호를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입력된 신호와 분리된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인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는 아이시에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제1 저장과정; 상기 제1 저장과정에서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아이시에이 처리하여 분리하는 분리과정; 상기 분리과정에서 분리된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제2 저장과정; 상기 제2 저장과정에서 분리 저장된 신호 중 한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과정에서 선택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 순서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된 녹음신호 기록저장 상태 그래프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분리된 녹음신호 기록저장 상태 그래프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는,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마이크(MIC)를 통하여 인가되는 혼합 음성신호 및 잡음신호 등에 의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인가받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입력부(10)와,
통신을 위하여 상대방 고유번호를 입력 호출하는 다이얼링 신호와 다수의 제어명령 신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20)와,
상기 입력부(10)로부터 혼합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기록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부(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기록저장된 음성신호를 분리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인가되는 혼합음성신호를 저장부(40)의 할당된 영역에 디지털(DIGITAL) 신호로 기록저장하고; 상기 아이시에이(ICA)부 를 통하여 인가되는 분리음성신호를 상기 저장부(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며; 상기 키보드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아이시에이부(ICA)가 분리한 음성신호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와 접속되어 혼합되어 입력되는 신호와 분리된 신호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저장부(40)와,
상기 제어부(30)에 접속되고 음성급 신호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 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아이시에이(ICA)부(50)와,
상기 제어부(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K: SPEAKER)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DIGITAL) 음성신호를 아날로그(ANALOG)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적정한 레벨(LEVEL)로 상향조정하여 출력하는 출력부(60)가 포함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신호는 혼자 또는 다수로부터 생성되는 동시에 주변의 잡음과 혼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마이크(MIC)에 인가되므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입력부(10)에 의하여 정합(MATCHING) 상태로 입력하고 제어부(30)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는 혼합된 음성신호를 저장부(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부(2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40)에 기록저장된 음성신호를 읽어 상기 아이시에이부(50)에 인가하므로, 각각의 음성신호원으로 분리된다.
상기 첨부된 도3 은 입력부(10)를 통하여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저장부(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되는 혼합음성신호 상태 그래프 도시도 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되는 이론적 근거는, 상기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고 혼합되어 저장부(40)에 기록저장되는 신호가 각 음성신호들의 선형 합으로 나타내어지며, 각 음성신호는 NON-GAUSSIAN INDEPENDENT COMPONENT이고, 상기 아이시에이(ICA)부(50)의 ICA 알고리즘에 의하여 혼합된 음성신호원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음성신호원으로 분리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저장부(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된다.
상기 첨부된 도4 는, 상기 아이시에이부(50)에 의하여 분리되고 상기 제어부(30)에 의하여 저장부(40)에 기록저장되는 음성신호원 상태 그래프 도시도 이다.
상기 키보드부(20)로부터 입력되는 확인모드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저장부(40)에 분리되어 기록저장된 각각의 음성신호를 선택된 순서로 상기 출력부(60)에 출력하므로, 디지털(DIGITAL) 음성신호가 아날로그(ANALOG)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적정한 레벨(LEVEL)로 상향변환되어 스피커(SPK)로 출력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단말기에 음성급 신호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 신호가 혼합 입력되는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디지털 저장하여 녹음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다수 신호원이 혼합되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의 과정(S10); 상기 과정(S10)에서 녹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단계의 과정(S20)으로 이루어진 제1 저장과정과,
상기 제1 저장과정에서 음성급 신호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가 혼합 저장된 신호를 분리하는 경우 아이시에이(ICA) 처리하여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저장과정에서 혼합상태로 기록저장된 음성신호를 각각의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과정(S30)과,
상기 분리과정(S30)에서 각각의 신호를 분리하는 경우에 아이시에이(ICA) 처리하여 분리된 각각의 신호원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저장과정(S40)과,
상기 제2 저장과정(S40)에서 분리 저장된 신호중 한 신호를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저장과정(S40)에서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되어 저장되는 음성신호의 확인모드를 운용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의 과정(S50); 상기 단계의 과정(S50)에서 분리된 음성신호 확인모드를 운용하는 경우에 확인할 음성신호를 선택 검출하는 단계의 과정(S60)으로 이루어지는 선택과정과,
상기 선택과정에서 선택 검출된 음성신호를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과정(S7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단말기(UE)가 주변의 다수 신호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것으로 음성급 신호가 포함되어 혼합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녹음하고자 하는 경우(S10), 상기 입력되는 혼합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20).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된 혼합음성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S30), 아이시에이(ICA) 처리기능부에 인가하여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 처리하고 각 신호원을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40).
상기 제2 처리과정(S40)의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분리 기록된 각각의 신호원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확인모드를 설정하고(S50), 분리 기록된 각각의 신호 중에서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확인할 신호를 선택 또는 지정하여 기록저장된 영역으로부터 읽어 내는 검출처리하며(S60), 상기와 같이 검출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동시에 적정한 레벨(LEVEL)로 증폭 조정하여 출력한다(S7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음성급 신호가 포함되는 다수 신호원이 혼합된 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용이하게 분리하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각 분리된 신호원의 레벨을 적정하게 증폭 조정하므로 명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 신호원이 혼합된 음성신호를 녹음하고 각각의 신호원으로 실시간 분리하여 저장하며, 확인모드에 의하여 선택된 신호원을 적정한 레벨로 확인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혼합된 음성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고, 적정한 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하므로 명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하나 이상의 제어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키보드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저장된 신호를 분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입력된 신호와 분리된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인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하는 아이시에이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혼합음성신호를 상기 저장부의 할당된 영역에 디지털신호로 기록저장하고,
    상기 아이시에이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분리음성신호를 상기 저장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며,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아이시에이부가 분리한 음성신호를 선별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며 적정한 레벨로 상향조정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4. 단말기에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제1 저장과정,
    상기 제1 저장과정에서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아이시에이 처리하여 분리하는 분리과정,
    상기 분리과정에서 분리된 신호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제2 저장과정,
    상기 제2 저장과정에서 분리 저장된 신호 중 한 신호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선택과정에서 선택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다수 신호원이 혼합되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과정에서 녹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과정은,
    상기 제1 저장과정에서 혼합상태로 기록저장된 음성신호를 각각의 음성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과정은,
    상기 제2 저장과정에서 각각의 신호원으로 분리되어 저장된 음성신호의 확인모드를 운용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과정에서 분리된 음성신호 확인모드를 운용하는 경우에 확인할 음성신호를 선택 검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방법.
KR1020030084652A 2003-11-26 2003-11-26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KR10056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52A KR100565311B1 (ko) 2003-11-26 2003-11-26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CNA2004100582615A CN1622566A (zh) 2003-11-26 2004-08-20 便携终端的混合语音信号分离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52A KR100565311B1 (ko) 2003-11-26 2003-11-26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80A KR20050050980A (ko) 2005-06-01
KR100565311B1 true KR100565311B1 (ko) 2006-03-30

Family

ID=3479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652A KR100565311B1 (ko) 2003-11-26 2003-11-26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5311B1 (ko)
CN (1) CN16225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23B1 (ko) * 2007-04-10 2008-01-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성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2890936A (zh) * 2011-07-19 2013-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音频处理方法、终端设备及系统
CN103888610B (zh) * 2014-03-18 2016-03-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同时通话和录音的方法和通讯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80A (ko) 2005-06-01
CN1622566A (zh)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965B2 (en) Adaptive system for manag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speakers
US96411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according to audio tables
US201700842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udio processing thereof
KR20140146491A (ko) 오디오 시스템, 오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의 채널 맵핑 방법
US2012028728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voice prompt function and voice prompt method
CN107135452A (zh) 助听器适配方法及装置
CN110996308A (zh) 声音播放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JP2006254064A (ja) 遠隔会議システム、音像位置割当方法および音質設定方法
KR100565311B1 (ko) 휴대단말기의 혼합음성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JP2009177592A (ja) 通信端末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
KR20190045506A (ko)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06352250A (ja) 音響出力装置、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音響出力プログラム
US20140324418A1 (en) Voice input/output device, method and programme for preventing howling
JP2022016997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296976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8124597A (ja) 音声会議システム
US2013022658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2003283644A (ja) 拡声用アダプタおよび拡声用通信装置
JP2007201658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7111202B2 (ja) 収音制御システム及び収音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5056676A (ja) 音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35686B2 (ja) 遠隔通話装置、遠隔通話プログラム、及び遠隔通話方法
JP2011151621A (ja) 音声制御装置
KR200280780Y1 (ko) 유무선단말기에서 발신번호를 음성으로 재생하는 장치
JP2017152863A (ja) 拡声装置および拡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