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842B1 -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842B1
KR100564842B1 KR1020000000393A KR20000000393A KR100564842B1 KR 100564842 B1 KR100564842 B1 KR 100564842B1 KR 1020000000393 A KR1020000000393 A KR 1020000000393A KR 20000000393 A KR20000000393 A KR 20000000393A KR 100564842 B1 KR100564842 B1 KR 100564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ing
weight
bar code
zero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6567A (ko
Inventor
가와이히로아끼
이와구찌이사오
와따나베미쯔오
야마자끼고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0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weight of goods in commercial establishments, e.g. supermarket, P.O.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조작자(오퍼레이터)의 조작 에러나 부정 조작에 의해 정규로 정산되지 않은 것을 방지한다.
바코드 판독 장치는, 물체(4)의 바코드 형성면을 광학적으로 주사하여, 바코드(40)를 구성하는 명부 및 암부를 각각 복수개 포함하는 명암 패턴을 생성하고, 이 명암 패턴의 상기 각 명부의 폭 및 상기 각 암부의 폭을 나타내는 복수종의 모듈치로 변환하여 상기 바코드에 코드화되고 있는 캐릭터 데이타를 복조하는 바코드 처리 수단(10, 11)과; 계량 판매 대상인 물체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량 데이타를 생성하는 계량 수단(20)과 ; 상기 계량 수단을 초기화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 수단의 중량 계측 기능을 제로 설정시키는 제로 조정 제어 수단(11)과; 상기 계량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계량 데이타에 기초하여 중량의 제로로부터의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고, 상기 증가 변화일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를 가시 표시시키고, 상기 감소 변화일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가시 표시시키는 중량 변화 검출 수단(11)을 구비한다.
스캐너 기능부, 스케일 기능부, 스케일용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회로, 계량부, 계량대, 바코드 판독창, 스피커, 제로 조정 버튼, 물체 검지 센서

Description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BAR CODE READER, SCALING DEVICE AND SCA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바코드 판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바코드 판독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조작·표시 패널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제1 계량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제2 계량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처리 기능의 선택 실시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캐너 기능부
2 : 스케일(계량) 기능부
3 : 스케일용 디스플레이
4 : 상품
5 : 호스트 컴퓨터
10 : 광학계 회로
11 : 제어 회로
12 : 조작·표시 패널
13 : 제1 인터페이스 회로
14 : 제2 인터페이스 회로
20 : 계량부
21 : 제어 회로
15a : 계량대
15b : 바코드 판독창
15c : 바코드 판독창
121 : 스피커
122 : 제어 버튼
123 : 제로 조정 버튼
124 : 물체 검지 센서
125 : 표시 소자
본 발명은 바코드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반사광의 강도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바코드를 판독하고, 이것을 캐릭터 데이타로 복조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케일(계량) 기능을 갖는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통업등에서의 POS(Point of Sales) 시스템으로 대표되듯이, 상품등의 관리를 바코드에 의해 행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점의 POS 시스템에서는, 상품의 종류나 판매 가격등의 정보를 바코드의 포맷으로 코드화하여 상품에 인쇄 또는 접착해 둔다. 그리고, 정산 장소인 레지스터에 의해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요금 정산을 행함과 함께, 상품의 매상수를 리얼 타임으로 집계하여, 재고 관리나 매입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 판독 장치(스캐너 장치)는, 바코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품이 작은 경우에 이용되는 고정형과, 상품이 큰 경우 등에 이용되는 핸디형으로 대별된다.
이 중 고정형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는, 조작자(오퍼레이터)가 바코드의 방향을 그다지 의식하지 않아도 바코드의 판독을 할 수 있도록, 판독용의 조사광을 다수 방향으로 주사하는 기구(주사·집광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다. 즉, 판독 조사광으로서의 레이저 빔을 폴리곤 미러와 고정 반사경을 병용하여, 폴리곤 미러의 한 반사면에서의 주사 중에 다수의 방향으로 주사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사 중에 레이저 빔의 상품 표면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이 수광된 반사광의 강도 변화 정보(반사광 정보)를 복조 처리 회로(제어 회로)에서 바코드용의 복조 알고리즘에 의해 복조하고, 바코드에 코드화되어 있던 데이타를 추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정형의 바코드 판독 장치는, 상품의 계량 판매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바코드의 판독·복조를 행하는 상기 스캔 기능부와 함께 스케일(계량) 기능부를 갖는다.
종래의 상기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는, 스캔 기능부를 웨이크 업 상태(동작 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 버튼(스위치)이나 스피커의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정하는 음조정 버튼이, 스캔 기능부의 주사·표시 패널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케일 기능부에 접속된 스케일용의 디스플레이에는, 계량의 제로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로 조정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주사·표시 패널 및 스케일용 디스플레이의 다른 곳에 배치된 버튼이나 스위치를 필요에 따라 조작하는 것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버튼 조작은 대량 상품의 바코드 판독 조작과 상승하여,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증대시킨다.
또한,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은 상품을 얹어 놓기 전에만 행할 수 있다. 이것은, 상품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 제로 조정하면, 상품이 제거됐을 때, 중량 표시가 마이너스가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상품을 일단 제거한 후에, 재차 제로 조정을 행할 필요가 있어, 오퍼레이터의 부담 증대의 요인이 된다.
또한,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은 상품을 얹어 놓기 전에만 행하는 구성이므로, 오퍼레이터의 조작 에러(타이밍의 오차)등에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캔 기능부를 슬립 상태(부동작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 상태(동작 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 버튼(스위치) 및 스피커의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정하는 음조정 버튼이나,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로 조정 버튼의 조작을 한군데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바코드 판독 장치 및 계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한 군데에서 조작 가능하게 한 각종 기능 버튼을 동일 버튼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바코드 판독 장치 및 계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과제는,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등, 상품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도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등, 오퍼레이터의 조작 에러나 부정 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코드 판독 장치는, 물체의 바코드 형성면을 광학적으로 주사하고, 바코드를 구성하는 명부 및 암부를 각각 복수개 포함하는 명암 패턴을 생성하고, 이 명암 패턴의 상기 각 명부의 폭 및 상기 각 암부의 폭을 나타내는 복수종의 모듈치로 변환하여 상기 바코드에 코드화되어 있는 캐릭터 데이타를 복조하는 바코드 처리 수단과 ; 물체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량 데이타를 생성하는 계량 수단과 ; 상기 계량 수단을 초기화하는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 수단의 중량 계측 기능을 제로 설정시키는 제로 조정 제어 수단과 ; 상기 계량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계량 데이타에 기초하여 중량의 제로로부터의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고, 상기 증가 변화할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상기 감소 변화할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출력시키는 중량 변화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량 변화 검출 수단이 상기 감소 변화를 판정하여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출력시켰을 때, 상기 계량 수단의 중량 계측 기능을 강제적으로 제로 설정시키는 자동 제로 조정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계량 수단의 초기화 요구를 조작자로부터 입력 가능하게 하는 제1 스위치 수단과, 상기 바코드 처리 수단에 의한 상기 바코드의 판독 시의 확인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로부터의 음량 및 음색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다른 처리 기능의 기동을 상기 조작자로부터 가능하게 하는 제2 스위치 수단을 바코드 판독 장치의 케이스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코드 판독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이 동일 스위치 수단에 통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서, 상기 통합된 스위치 수단의 조작 횟수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됐을 때에 대응하는 처리 기능을 기동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된 스위치 수단의 조작 계속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됐을 때에 대응하는 처리 기능을 기동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계량기는, 제1 시점에서의 물체의 중량과 상기 제1 시점보다도 후의 제2 시점에서의 상기 물체의 중량을 비교하여 중량 감소 변화가 생겼을 때, 변화분의 정부를 역전시킨 계량 데이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계량기는, 제1 시점에서의 물체의 중량과 상기 제1 시점보다도 후의 제2 시점에서의 상기 물체의 중량을 비교하여 중량 감소 변화가 생겼을 때, 변화분의 절대치 대응의 계량 데이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계량기는, 제1 시점에서의 물체의 중량과 상기 제1 시점보다도 후의 제2 시점에서의 상기 물체의 중량을 비교하여 중량 감소 변화가 생겼을 때,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물체의 중량을 자동적으로 제로로 설정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계량 방법은, 제로 설정된 계량기에 의해 물체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량 데이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계량 데이타에 기초하여 중량의 제로로부터의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고, 상기 증가 변화할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상기 감소 변화할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출력시킨다.
이 계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를 제로 설정시키는 처리 기능의 기동과, 바코드의 판독 시의 확인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로부터의 음량 및 음색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다른 처리 기능의 기동을 동일 스위치 수단 의 조작법의 차이에 따라 선택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에 따르면,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등, 조작자(오퍼레이터)의 조작 에러나 부정 조작에 의해, 정규로 정산되지 않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등, 상품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도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작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립 상태(부동작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동작 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 버튼(스위치) 및 스피커의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정하는 음조정 버튼이나, 계량부의 제로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로 조정 버튼등의 스위치 수단의 조작을 한군데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군데에서 조작 가능하게 한 각종 기능 버튼을 동일 스위치 수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자의 부담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코드 판독 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코드 판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이 판독 장치는 스캐너 기능부(1) 및 스케일(계량) 기능부(2)를 구비하고,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 및 호스트 컴퓨터(예를 들면, POS 단말 : 5)에 접속된다.
(스캐너 기능부)
스캐너 기능부(1)는 광학계 회로(10), 제어 회로(11), 조작·표시 패널(12),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 및 제2 인터페이스 회로(14)로 구성된다.
광학계 회로(10)는 레이저 빔 L을 출사하는 레이저 광원을 지니고, 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빔 L은 주사·집광 광학계에 입사된다. 이 주사·집광광학계는 폴리곤 미러에 의해 레이저 빔 L을 편향함과 함께, 편향된 레이저 빔 L을 복수의 고정 미러로 여러가지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광학계이다. 이 주사·집광 광학계에 의하면, 폴리곤 미러의 일반 사면에 의한 편향 주기 내에서, 이 주사·집광 광학계의 상측을 향해, 복수의 방향에의 레이저 빔 주사가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사된 레이저 빔 L이 상품(4)의 표면에 닿으면, 이 표면에서 레이저 빔 L이 난반사되고, 그 반사광 R의 일부가 광학계 회로(10)의 주사·집광 광학계로 복귀된다. 광학계 회로(10)에 있어서, 주사·집광 광학계는 이 반사광 R을 광검지기에 입력한다. 광검지기는, 레이저 빔 L(반사광 R)과 동일한 파장의 빛만을 투과하는 필터가 씌워진 포토다이오드이고, 반사광 R의 강도 변화에 따른 전류를 출력한다.
광학계 회로(10) 후단의 제어 회로(11)는 후술된 계량 처리, 계량부의 제로 조정 처리 및 웨이크 업 처리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CPU 외에 바코드 인식·복조 관계 회로를 포함하지만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어 회로(11)에 포함되는 미분 회로는 광검지기로부터 출력된 반사광 R의 강도 변화에 따른 전류 신호의 상승 및 하강시, 즉 바코드(마진을 포함함)의 흑바(암부)로부터 백바(명부)에의 변 화점 및 백바로부터 흑바에의 변화점에서 전류 신호 레벨에 따른 진폭의 미분 신호(엄밀하게는, 1회 미분의 전압 신호)를 2진화 회로로 출력한다.
이 2진화 회로는 미분 회로로부터의 미분 신호와 슬라이스 레벨 발생 회로로부터의 제1 슬라이스 레벨 및 제2 슬라이스 레벨을 비교하고, 미분 신호의 진폭이 제1 슬라이스 레벨을 넘을 때는 바코드의 흑바로부터 백바에의 변화점(백 엣지)을 나타내는 백 엣지 펄스(WEG)를 출력하고, 미분 신호의 진폭이 제2 슬라이스 레벨을 넘을 때는 바코드의 백바로부터 흑바에의 변화점(흑엣지)을 나타내는 흑엣지 펄스(BEG)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11)에 포함되는 슬라이스 레벨 발생 회로는 2진화 회로에 입력하기 위한 제1 슬라이스 레벨 및 제2 슬라이스 레벨의 전압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1 슬라이스 레벨은 2진화 회로에서 백엣지를 검출하기 위한 +레벨의 임계치이고, 제2 슬라이스 레벨은 흑엣지를 검출하기 위한 -레벨의 임계치이다. 이 슬라이스 레벨 발생 회로는 미분 회로의 출력의 미분 신호의 피크 홀드를 구하고, 미분 신호의 진폭이 클 때에는, 그 진폭에 따른 제1 및 제2 슬라이스 레벨을 가변 설정하지만, 미분 신호의 진폭이 작을 때에는, 제1 및 제2 슬라이스 레벨을 미리 정한 레벨로 고정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제어 회로(11)에 포함되는 바폭 카운터는 2진화 회로로부터 입력된 백엣지 펄스 및 흑엣지 펄스에 기초하여, 백엣지 펄스의 타이밍으로부터 흑엣지 펄스의 타이밍까지의 시간(바코드(40)중의 백바의 폭에 대응하는 것으로 기대됨)과, 흑엣지 펄스의 타이밍으로부터 백엣지 펄스의 타이밍까지의 시간(바코드(40) 내의 흑 바의 폭에 대응하는 것으로 기대됨)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 바폭 카운터는 이들 바폭에 대응하는 시간을 계측하기 위해 클럭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고, 이들 바폭에 대응하는 카운트치를 나타내는 바폭 카운트치(BCD)를 메모리 회로에 출력한다. 바폭 카운터는 이 바폭 카운트치와 동시에, 그 바가 흑바나 백바를 나타내는 색 식별 신호(B/W)를 메모리 회로에 출력한다.
제어 회로(11)에 포함되는 바코드 인식·복조 회로는 메모리 회로로부터 판독한 각 바폭 카운트치에 대해 소정의 인식·복조 처리를 실행하여, 바코드(40)에 코드화되어 있던 각종 캐릭터 데이타를 추출하는 프로세서이다.
스캐너 기능부(1)를 구성하는 조작·표시 패널(12)은, 도 2에 상세 구성을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너 기능부(1)를 슬립 상태(부동작 상태)로부터 웨이크업 상태(동작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기동 버튼(스위치)과 바코드 판독시의 확인음을 송출하는 스피커(121)의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정하기 위한 음조정 버튼을 겸한 제어 버튼(122)과, 스케일 기능부(2)의 계량부(로드셀부)의 제로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로 조정 버튼(123)을 구비한다. 또한, 조작·표시 패널(12)은, 바코드(40)를 형성한 상품(4)이 바코드 판독창의 근방에 이동 또는 놓여진 것을 검지하기 위한 물체 검지 센서(124)와, 각종 상태를 가시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125)를 구비한다.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는 제어 회로(11)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에 스케일 기능부(2)로부터의 계량(중량) 데이타등을 가시 표시한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는 제어 회로(11)와 스케일 기능부(2)의 제어 회로(21) 사이의 송수신 커맨드 및 데이타를 중계한다.
제2 인터페이스 회로(14)는 제어 회로(11)와 호스트 컴퓨터(5) 사이의 송수신 커맨드 및 데이타를 중계한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14)는 보편적 비동기 레시버 트랜스미터(UART)에 의해 구성된다.
(스케일(계량) 기능부)
스케일(계량) 기능부(2)는 계량부(로드셀부 : 20) 및 제어 회로(21)로 구성된다.
계량부(20)는 상품(4)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계량 대상의 상품(4)이 스캐너 기능부(1)의 계량대(도 2참조)에 얹어 놓으면, 상품(4)의 중량에 따라 왜곡을 생기게 하고, 왜곡량(중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로드셀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21)는 스캐너 기능부(1)의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11)와 각종 커맨드 및 계량 데이타를 송수신함과 함께, 계량부(20)를 제어하여 상품(4)의 계량을 행하게 하고, 계량 데이타를 판독한다.
(스케일용 디스플레이)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는 스케일 기능부(2)의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신되어 스캐너 기능부(1)의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11)가 수신한 계량 데이타를 가시 표시한다.
(바코드 판독 장치의 구조)
도 1을 참조하여 전기적 구성에 대해 상술된 바코드 판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리적 구성을 채용한다. 스캐너 기능부(1)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표시 패널(12)은 확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스캐너 기능부(1)에는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가 접속되어 있다. 또, 스캐너 기능부(1)는 계량대(15a) 및 바코드 판독창(15b, 15c)을 갖는다. 계량대(15a)는 계량 대상의 상품(4)이 적재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스캐너 기능부(1)의 케이스 내에는 도 1에 도시된 각종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이 스캐너 기능부(1)에는 계량부(20) 및 제어 회로(21)를 내장한 스케일 기능부(2)가 결합된다. 계량부(20)는, 계량 대상의 상품(4)이 스캐너 기능부(1)의 계량대(15a)에 얹어 놓으면, 이 계량대(15a)를 통해 4개의 아암 부재(20a, 20b, 20c, 20d)에 가해지는 중량을 계측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로드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코드 판독 장치는, 거의 수직으로 설치된 판독창(15b)과, 수평으로 설치된 판독창(15c)과의 2개의 판독창을 구비한다. 판독창(15b)으로부터는 수평 방향으로, 또한 판독창(15c)으로부터는 상측에 주사광이 각각 출사되기 때문에, 광범위한 바코드 판독를 행할 수 있다.
<바코드 판독 장치의 동작>
이상 설명한 구성을 채용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계량 처리(1))
조작자(오퍼레이터)가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상품(4)을 계량 판매를 행할 때의 제1 계량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스케일 기능부(2)의 제어 회로(21)는 스캐너 기능부(1)의 제어 회로(11)로부터 계량 지시 커맨드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수신한다(순서: S300). 제어 회로(21)는 이 계량 지시 커맨드에 기초하여 계량부(20)를 기동하고, 계량부(20)로부터 중량 대응의 크기를 갖는 신호를 수취한다(S301). 제어 회로(21)는 이 신호의 대소에 기초하여 계량치를 나타내는 계량 데이타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응답 데이타로서 제어 회로(11)에 반송한다(S302). 이 때, 제로 조정이 정확하게 행해지는 경우, 계량 데이타는 「0그램」이 된다.
제어 회로(11)는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신된 계량 데이타를 수신한다. 제어 회로(11)는 수신한 계량 데이타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에 가시 표시시킨다(S303).
오퍼레이터는, 이 상태에서 계량부(20)의 제로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 또는 살 사람으로부터의 요구가 있었을 때, 조작·표시 패널(12)의 제로 조정 버튼(123)을 누른다. 제어 회로(11)는 제로 조정 버튼(123)의 누름 상태를 검출했을 때(S304), 제로 조정 지시 커맨드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로 송신한다(S305).
제어 회로(21)는 이 제로 조정 지시 커맨드에 기초하여 그 시점에서의 계량 데이타를 「0」으로 리셋트한다(S306). 제어 회로(21)는 이 계량 데이타를 응답 데이타로서 제어 회로(11)로 반송한다(S307).
제어 회로(11)는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신 된 계량 데이타를 수신한다. 제어 회로(11)는 수신한 계량 데이타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에 가시 표시시킨다(S308). 이 결과, 디스플레이(3)에는 0그램이 표시된다. 또, 상기 S306의 제로 조정 실시에서 어떠한 이상이 생겼을 때, 제어 회로(11)는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데이타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를 판별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함과 함께, 이상시의 처리를 실시한다.
제어 회로(11)는, S304에서 제로 조정 버튼(123)이 눌려지지 않았을 때, 또는 S308에서 제로 조정 처리가 완료했을 때, 조작·표시 패널(12)의 스피커(121)로부터 계량 판매 대상의 상품(4)을 계량대(15a)에 얹어 놓은 취지의 지시음을 송출시킨다(S309). 오퍼레이터는 통상의 경우, 이 지시에 따라 이 시점에서, 계량대(15a)에 상품(4)을 얹어 놓는다.
이어서, 제어 회로(11)는 계량 지시 커맨드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에 송신한다. 제어 회로(21)는 이 계량 지시 커맨드에 기초하여 계량부(20)를 기동시키고, 계량부(20)로부터 중량 대응의 크기를 갖는 신호를 수취한다. 제어 회로(21)는 이 신호의 대소에 기초하여 계량치를 나타내는 계량 데이타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응답 데이타로서 제어 회로(11)에 반송한다(S310).
제어 회로(11)는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출된 계량 데이타를 수신한다. 직전의 계량 데이타는 소정 기간 또는 중량 변화가 있을 때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현재의 계량 데이타와의 비교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수신한 현재의 계량 데이타가 직전의 계량 데이타에 비교하여 증가했는지의 여 부를 판단한다(S311).
그 결과, 중량 증가시, 제어 회로(11)는 현재의 계량 데이타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킨 후(S312), 제2 인터페이스 회로(14)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5)에 그 계량 데이타를 송신하고, S300의 처리로 복귀한다(S313).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3)의 계량 표시를 확인하여 상품(4)을 계량대(15a)로부터 제거하므로, 제어 회로(11)는 S300으로부터 S313의 상술된 순서에 따라 다음 상품(4)을 차례로 계량할 수 있다. 그러나, 오퍼레이터의 조작 타이밍의 편차에 따라 계량 에러가 생긴다. 예를 들면, 원래 오퍼레이터가 제로 조정을 행한 후, 계량 대상의 상품(4)이 계량대(15)에 적재된다. 그러나, 오퍼레이터가 먼저 상품(4)을 계량대(15)에 얹어놓고, 그 후에 제로 조정을 행하면, 상품(4)이 얹어 놓여짐에도 불구하고, 중량 표시는 「0그램」으로 되어 버려, 중량 증가는 검출되지 않는다. 이 결과, 정규의 요금 징수가 불가능해진다.
이 문제는 다음 처리 순서를 채용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즉, S311에서 중량 증가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제어 회로(11)는 현재의 계량 데이타가 직전의 계량 데이타에 비교하여 감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4). 제로 조정이 행해진 후에, 상품(4)이 계량대(15)로부터 제거되면, 중량이 감소하지만, 그 감소분은 상품(4)의 정미량(正味量)이다. 그 결과, 중량 감소일 때, 제어 회로(11)는 현재의 계량 데이타(마이너스 그램 표시)의 절대치를 구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시킴과(S315) 함께, 제2 인터페이스 회로(14)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5)에 절대치의 계량 데이타를 송신하고, S300의 처리로 복귀한다(S316).
또, 제어 회로(11)가 S314에서 중량 감소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는, 중량 감소가 아니라, 상품(4)의 계량이 실시되지 않았을 때이고, S300의 순서로 복귀된다.
상기 S313 또는 S316의 처리에서, 제어 회로(11)로부터 송신된 중량 대응의 그램 표시의 계량 데이타 또는 절대치 표시의 계량 데이타를 수신한 호스트 컴퓨터(5)는, 상기 상품(4)의 단위 중량당의 가격과 계량 데이타에 기초하여 이것을 요금 데이타(엔)로 변환하고, 요금 표시용의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가시 표시한다. 단가 데이타는 상품(4)을 식별하는 정보(상품 코드)와 함께, 호스트 컴퓨터(5)에 설치되는 프라이스 룩-업 테이블(도시 생략)에 저장되어 있다. 상품(4)의 바코드(40)가 판독되면, 이 테이블이 참조되어, 단가 데이타가 판독된다.
상술된 제1 계량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조작 타이밍의 오차에 따라 생기는 계량 에러, 또한 계량 대상의 상품(4)이 정산 전에 부정하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중량 감소 변화가 생기는 요인으로서 다음 3개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오퍼레이터가, 상품(4)이 계량대(15)에 얹어 놓여지는 것을 알아차리지 않고 제로 조정을 행한 후, 어떤 시점에서 상품(4)을 제거한 경우이다. 둘째, 오퍼레이터가, 상품(4)을 계량대(15)에 얹어 놓은 후에 제로 조정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상품(4)이 얹어 놓여진 상태에서 제로 조정을 행하고, 그 후에 상품(4)을 제거한 경우이다. 또한, 세째, 오퍼레이터가 고객과의 부정 합의에 따라, 상품(4)을 계량대(15)에 얹어 놓은 후, 제로 조정을 행하고, 상품(4) 을 계량대(15)로부터 제거한 경우이다. 이 세째의 상품(4)을 제거했을 때, 이후 계량되는 상품(4)의 중량보다도 표시 중량쪽이 작아져서, 계량 판매에 있어서의 지불액이 정규 가격보다 낮아진다.
(계량 처리(2))
이어서, 오퍼레이터가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전원을 투입하고, 상품(4)을 계량 판매를 행할 때의 제2 계량 처리에 대해, 도 1,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된 제1 계량 처리에서는, 제어 회로(11)가, S314에서 중량 감소라고 판단했을 때, S315에서 절대치의 계량 데이타를 디스플레이(3)에 가시 표시하고, S316에서 절대치 표시의 계량 데이타를 호스트 컴퓨터(5)에 송신하는 순서를 채용하였다.
이 제2 계량 처리에서는, 호스트 컴퓨터(5)에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가 송신된 후에, 자동적으로(강제적으로) 계량부(20)의 제로 조정을 실시한다. 제어 회로(11)는 제로 조정 지시 커맨드를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에 송신한다(S401).
제어 회로(21)는 이 제로 조정 지시 커맨드에 기초하여 계량 데이타를 「0」으로 리셋트한다(S402). 제어 회로(21)는 이 계량 데이타를 응답 데이타로서 제어 회로(11)에 반송한다(S403).
제어 회로(11)는 제1 인터페이스 회로(13)를 통해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신된 계량 데이타를 수신한다. 제어 회로(11)는 수신한 계량 데이타를 제1 인터페이 스 회로(13)를 통해 스케일용 디스플레이(3)에 가시 표시한다(S404). 이 결과, 디스플레이(3)에는 0그램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계량부(20)의 제로 조정을 중량 감소시의 일련의 계량 처리의 완료시에, 제어 회로(11)가 자동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제1 계량 처리의 S304로 되돌아가 다음 상품(4)의 계량을 차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402의 제로 조정 실시에서 어떠한 이상이 생겼을 때, 제어 회로(11)는 제어 회로(2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데이타에 기초하여 이상 상태를 판별하여 디스플레이(3)에 표시함과 함께, 이상시의 처리를 실시한다.
(처리 기능의 선택)
상술된 제1 및 제2 계량 처리는 스캐너 기능부(1)의 조작·표시 패널(12)에 제어 버튼(기동 버튼겸 음조정 버튼 : 122) 및 제로 조정 버튼(123)을 개별적으로 배치한 구성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 실시하였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바코드 판독 장치의 각종 처리 기능, 즉 계량 처리(바코드 판독·복조 처리를 포함함), 웨이크 업 처리(스피커 음조정 처리를 포함함), 및 계량부의 제로 조정 처리를 동일 버튼(스위치)의 조작법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스캐너 기능부(1)의 조작·표시 패널(12)의 제어 버튼(기동 버튼 겸 음조정 버튼 : 122) 및 제로 조정 버튼(123)을 물리적으로 하나로 통합하여, 처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으로서 설치한다. 단, 도 2에는 이 상태에서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 다.
오퍼레이터가 바코드 판독 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면, 스캐너 기능부(1)의 제어 회로(11)는 도 5에 도시된 순서 S500의 처리 기능의 선택 순서로 들어간다. 오퍼레이터가 조작·표시 패널(12)의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을 1회 누르면, 제어 회로(11)는 그 조작 상태를 검출하여 웨이크 업 처리 및 스피커 음조정 처리(동작 모드1)를 실시한다.
이 동작 모드(1)에서는, 제어 회로(11)는 우선 각 회로가 동작 가능 상태인지의 여부, 즉 슬립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10). 이 판단을 위해, 제어 회로(11)는 RAM 메모리 회로(도시 생략)의 플래그의 설정 상태를 참조한다. 이 플래그는 슬립 상태일 때 「1」로, 또한 슬립 상태가 아닐 때 「0」으로 각각 제어 회로(11)에 따라 설정된다. 제어 회로(11)는 타이머의 계시에 따라,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아무 조작이 없을 때, 이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S510에서 제어 회로(11)는 슬립 상태라고 판단했을 때, 광학계 회로(10)의 모터 기동 제어등을 포함하는 각 회로의 웨이크 업 처리를 실시한다(S511). 제어 회로(11)는 이 웨이크 업 처리시, 상기 RAM 메모리 회로의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여, 다음 스피커 음조정 처리를 실시한다.
제어 회로(11)는 S510에서 슬립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을 때, 또는 S511의 웨이크 업 처리를 완료한 후, S512의 스피커 음조정 처리를 실시한다. 이 스피커 음 조정 처리에서는, 제어 회로(11)는 오퍼레이터가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에 의해 설정한 음량 또는 음색을 스피커(121)로부터 출력할 수 있도록, 조작·표시 패널(12)의 스피커 구동 회로(도시 생략)를 제어한다. S512의 처리가 종료하면, S500의 처리 기능의 선택 순서로 되돌아가고, 다음 처리 요구를 대기한다.
이어서,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2회 눌러지면, 제어 회로(11)는 그 조작 상태를 검출하여 계량부(20)의 제로 조정 처리(동작 모드(2))를 실시한다. 이 동작 모드(2)에서의 제로 조정 처리의 순서 S520은 상술된 제1 계량 처리의 S305부터 S308과 동일하다. 이 제로 조정 처리가 종료하면, S500의 처리 기능의 선택 순서로 되돌아가고, 다음 처리 요구를 대기한다.
이어서,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눌러지지 않고, 상품(4)이 계량대(15a)에 얹어 있거나, 바코드 판독창(15b, 15c) 근방에 위치했을 때는, 계량 처리 및 바코드 판독·복조 처리(동작 모드(3))가 실시된다. 이 동작 모드(3)에서는, 계량 처리 또는 바코드 판독·복조 처리(S530)가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호스트 컴퓨터(5)에 설치된 전환 버튼(도시 생략)을 사전에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제어 회로(11)는, 계량 처리시에 상품(4)이 계량대(15a)에 얹어놓여지면, 상술된 제1 또는 제2 계량 처리의 순서에 따라, 상품(4)의 계량을 실시한다. 또한, 바코드 판독·복조 처리시에 상품(4)이 바코드 판독창(15b, 15c)을 통과하면, 바코드(40)에 조사한 레이저 빔의 반사광의 명암 패턴을 판독하고, 바코드(40)에 코드화된 캐릭터 정보를 복조하여, 호스트 컴퓨터(5)에 송신한다. 또, 바코드 판독·복조의 상세 수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방법」이라는 제목의 渡邊光雄 등에 의한 발명: 특개평9-81663호를 참조할 수 있으므 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상술된 처리 기능의 선택에서는, 하나에 통합한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의 누름 횟수에 따라, 복수의 동작 모드(1, 2, 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 누름 횟수에 대체하여 누름 시간에 따라 복수의 동작 모드(1, 2, 3)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작·표시 패널(12)의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의 누름 시간을 검지하는 회로를 제어 회로(11)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술된 제1 및 제2 계량 처리는 스캐너 기능부(1)의 조작·표시 패널(12)에 제어 버튼(기동 버튼겸 음조정 버튼 : 122) 및 제로 조정 버튼(123)을 개별로 배치한 구성의 바코드 판독 장치에서 실시하였다. 그러나, 각종 처리 기능, 즉 계량 처리(바코드 판독·복조 처리를 포함함), 웨이크 업 처리(스피커 음정 처리를 포함함), 및 계량부의 제로 조정 처리를 동일 버튼(스위치)의 조작법의 차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는, 제로 조정 버튼(123)의 누름 상태 검출 순서(도 3중, S304)로 동작 모드 선택 버튼(126)의 누름 횟수 또는 누름 시간을 검출하는 수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등, 조작자(오퍼레이터)의 조작 에러나 부정 조작에 의해, 정규로 정산되지 않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계량 판매를 행할 때 등, 상품을 얹어 놓은 상태에서도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작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캔 기능부를 슬립 상태(부동작 상태)로부터 웨이크 업 상태(동작 상태)로 이행시키는 기동 버튼(스위치) 및 스피커의 음량 또는 음색을 조정하는 음조정 버튼이나, 스케일 기능부의 계량의 제로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로 조정 버튼등의 스위치 수단의 조작을 한군데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군데에서 조작 가능하게 한 각종 기능 버튼을 동일 스위치 수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자의 부담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바코드 판독 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바코드 형성면을 광학적으로 주사함으로써, 바코드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명부(bright area) 및 복수개의 암부(dark area)를 포함하는 명암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명암 패턴을 상기 각각의 명부의 폭 및 상기 각각의 암부의 폭을 나타내는 복수 종의 모듈치로 변환하고, 상기 바코드를 캐릭터 데이타로 복조하는 바코드 처리 수단;
    상기 물체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량 데이타를 생성하는 계량 수단;
    상기 계량 수단의 중량 계측 기능을 제로 설정시키는 제로 조정 제어 수단;
    상기 계량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계량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제로 설정 후에 상기 물체가 상기 계량 수단 상에 위치할 때의 제로 중량으로부터의 증가 변화, 및 상기 제로 설정 후에 상기 물체가 상기 계량 수단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의 감소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여, 상기 증가 변화일 때는 대응하는 계량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상기 감소 변화일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출력시키는 중량 변화 검출 수단; 및
    제1 시점에서의 물체의 중량을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점에서의 상기 물체의 중량과 비교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하되,
    제1 중량을 갖는 제1 물체와 별개의 제2 중량을 갖는 제2 물체가 상기 계량 수단 상에 있고 상기 제1 물체가 제거되면, 상기 제1 중량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계량 수단의 조작자는 물체의 일시적인 제거 후에 제로 조정을 재실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변화 검출 수단이 상기 감소 변화를 판정하여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출력시켰을 때, 상기 계량 수단의 중량 계측 기능을 강제적으로 작동시켜서 상기 제로 설정을 실행하는 자동 제로 조정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의 초기화 요구를 조작자가 입력 가능하게 하는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바코드 처리 수단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판독했을 때의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확인음의 음량 및 음색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다른 처리 기능을 조작자가 기동 가능하게 하는 제2 스위치 수단
    을 바코드 판독 장치의 상자 본체(box body)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은 동일 스위치 수단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의 초기화 요구를 조작자가 입력 가능하게 하는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바코드 처리 수단에 의해 상기 바코드를 판독했을 때의 스피커로부터 송출되는 확인음의 음량 및 음색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다른 처리 기능을 조작자가 기동 가능하게 하는 제2 스위치 수단
    을 바코드 판독 장치의 상자 본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은 동일 스위치 수단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로서 중량의 감소 변화가 생겼을 때, 변화의 플러스 마이너스를 역전시킨 계량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로서 중량의 감소 변화가 생겼을 때, 변화의 절대치에 대응하는 계량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로서 중량의 감소 변화가 생겼을 때,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물체의 중량을 제로로 자동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10. 계량 방법에 있어서,
    제로 설정된 계량 수단에 의해 물체의 중량을 계측하여 계량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계량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제로 설정 후에 물체가 상기 계량 수단 상에 위치되었을 때 제로 중량으로부터의 증가 변화 및 상기 제로 설정 후에 상기 물체가 상기 계량 수단으로부터 떨어질 때 제로 중량으로부터의 감소 변화 중 적어도 한쪽을 판정하는 단계;
    제1 시점에서의 물체의 중량을 상기 제1 시점 후의 제2 시점에서의 상기 물체의 중량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증가 변화일 때는 대응하는 계량 데이타를 출력시키고, 상기 감소 변화일 때는 대응하는 상기 계량 데이타의 절대치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중량을 갖는 제1 물체와 별개의 제2 중량을 갖는 제2 물체가 상기 계량 수단 상에 있고 상기 제1 물체가 제거되면, 상기 제1 중량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계량 방법을 이용하는 조작자는 물체의 일시적인 제거 후에 제로 조정을 재실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방법.
KR1020000000393A 1999-06-04 2000-01-06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 KR100564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58059 1999-06-04
JP15805999A JP4460084B2 (ja) 1999-06-04 1999-06-04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計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567A KR20010006567A (ko) 2001-01-26
KR100564842B1 true KR100564842B1 (ko) 2006-03-28

Family

ID=1566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393A KR100564842B1 (ko) 1999-06-04 2000-01-06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8207B1 (ko)
JP (1) JP4460084B2 (ko)
KR (1) KR100564842B1 (ko)
CN (1) CN117929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77U (ko)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테스트원 시험기 부정 방지 시스템
KR200481743Y1 (ko) 2015-07-24 2016-11-07 (주)쿼티시스템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0424B2 (en) * 2000-11-24 2009-06-02 Metrologic Instruments, Inc. Compact bar code symbol reading system employing a complex of coplanar illumination and imaging stations for omni-directional imaging of objects within a 3D imaging volume
JP4803906B2 (ja) * 2001-06-07 2011-10-2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学式情報読取装置の設定用バーコードの生成方法、光学式情報読取装置の設定変更方法、設定用バーコード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6942145B1 (en) * 2003-06-11 2005-09-13 Ncr Corporation Checkout device with enhanced security label detection
US7347367B2 (en) * 2004-02-13 2008-03-25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item placement on a security scale
US7287694B2 (en) * 2004-08-25 2007-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based automated product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7367499B2 (en) * 2004-12-21 2008-05-06 Symbol Technologies, Inc. Scanner with vertical plate force detection and compensation
USD723560S1 (en) * 2013-07-03 2015-03-03 Hand Held Products, Inc. Scanner
JP6369258B2 (ja) * 2014-09-22 2018-08-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商品登録装置、商品登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132026B (zh) * 2017-04-11 2019-04-30 上海汇尔通信息技术有限公司 扫描设备支持的最低显示设备背光亮度的测试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7686A (ja) * 1990-03-08 1991-11-18 Fujitsu Ltd バーコード自動読取装置
KR930002965A (ko) * 1991-07-19 1993-02-23 고바야시 쥰 체크 아웃 장치
JPH05182079A (ja) * 1992-01-07 1993-07-23 Tokyo Electric Co Ltd 商品売上登録装置
JPH0612574A (ja) * 1992-04-24 1994-01-21 Hitachi Ltd 計量販売商品の販売価格決定方法及びpos端末装置
KR950013877A (ko) * 1993-11-18 1995-06-15 세끼사와 다까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
JPH09120483A (ja) * 1996-08-27 1997-05-06 Tec Corp バーコード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631A (en) * 1971-07-12 1973-06-05 Super Key Asso Automatic checkout and inventory control
CH548073A (de) * 1972-02-14 1974-04-11 Gretag Ag Ausruestung fuer einen selbstbedienungsladen.
US3986012A (en) * 1974-05-02 1976-10-12 Reliance Electric Company Digital weight measuring and computing apparatus with automatic zero correction
US3951221A (en) * 1974-09-30 1976-04-20 National Controls, Inc. Computing postal scale
US4036316A (en) * 1974-09-30 1977-07-19 National Controls, Inc. Computing scale and method with taring capability
US4108363A (en) * 1975-06-25 1978-08-22 Iida Susumu Record controlled mechanical store
US4139070A (en) * 1976-09-10 1979-02-13 National Controls, Inc. Dual platform counting scale
US4241407A (en) * 1979-06-14 1980-12-23 Triner Scale and Manufacturing Co. Electronic scale
US4398253A (en) * 1981-05-04 1983-08-09 Sanitary Scale Company Scale controller
US4716281A (en) * 1986-05-27 1987-12-29 Ncr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isplay indication
US5086879A (en) * 1989-03-24 1992-02-11 Spectra-Physics, Inc. Scale calibration/zeroing in data gathering system
US5724267A (en) * 1996-07-02 1998-03-03 Richards; James L. Weight measuring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US5967264A (en) * 1998-05-01 1999-10-19 Ncr Corporation Method of monitoring item shuffling in a post-scan area of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7686A (ja) * 1990-03-08 1991-11-18 Fujitsu Ltd バーコード自動読取装置
KR930002965A (ko) * 1991-07-19 1993-02-23 고바야시 쥰 체크 아웃 장치
JPH05182079A (ja) * 1992-01-07 1993-07-23 Tokyo Electric Co Ltd 商品売上登録装置
JPH0612574A (ja) * 1992-04-24 1994-01-21 Hitachi Ltd 計量販売商品の販売価格決定方法及びpos端末装置
KR950013877A (ko) * 1993-11-18 1995-06-15 세끼사와 다까시 자체 스캐닝 기능을 갖는 구입상품 수납운반장치 및 pos 시스템
JPH09120483A (ja) * 1996-08-27 1997-05-06 Tec Corp バーコード読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177U (ko)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테스트원 시험기 부정 방지 시스템
KR200481743Y1 (ko) 2015-07-24 2016-11-07 (주)쿼티시스템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46700A (ja) 2000-12-15
JP4460084B2 (ja) 2010-05-12
CN1179292C (zh) 2004-12-08
KR20010006567A (ko) 2001-01-26
CN1276576A (zh) 2000-12-13
US6488207B1 (en) 200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1281A (en) Scanning control systems
US6080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tting a product scale of a retail checkout terminal
KR100564842B1 (ko) 바코드 판독 장치, 계량기 및 계량 방법
EP0267273B1 (en) Method of weighing using an electronic scale
EP0268653B1 (en) Method of checking merchandise items
EP1251450A1 (en) Item processing device with barcode reader and intergrated RFID interrogator
US6325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out large items with a self-service checkout terminal
EP2600277B1 (en) Determining the source of an optical code presented to an optical code scanner
US4760539A (en) Method of calibrating a weighing apparatus
US20100211471A1 (en) Commodity sal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3892625A (zh) 自助计价购物篮
US6732931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ading
KR100319414B1 (ko) 바코드판독방법
US6343742B2 (en) Bar code reader and bar code reading method
EP2575074B1 (en) A hybrid optical code scanner user alert
EP0372845B1 (en) Checkout system
US105394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zeroing a weigh scale
US5196686A (en) Checkout system with inlaid checkout counter keypad
JP6148089B2 (ja) 光学コードスキャナー、その操作方法、及び購買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システム
US20020074404A1 (en) Portable bar code simulator device and method
JPS63146198A (ja) 定置式バ−コ−ド読取装置を用いた商品販売方法
US7347372B1 (en) System and method of notifying an operator of a result of attempting to read a product label
EP0429259A1 (en) Checkout counter with keypad
JP2772691B2 (ja) バーコード信号転送装置
KR200283554Y1 (ko) 바코드 스캔기능과 직접회로 칩 및 아이알디에이 회로를포함한 유,무선 양방향 액정표시창 바코드 스캐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