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363B1 -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 Google Patents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363B1
KR100564363B1 KR1020030091826A KR20030091826A KR100564363B1 KR 100564363 B1 KR100564363 B1 KR 100564363B1 KR 1020030091826 A KR1020030091826 A KR 1020030091826A KR 20030091826 A KR20030091826 A KR 20030091826A KR 100564363 B1 KR100564363 B1 KR 10056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failure
code
accident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255A (ko
Inventor
박기준
이호용
안태기
김길동
신정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3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체계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각 부품의 사고 및 고장 발생시 유지보수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사고 및 고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유지보수 시스템에 고장유형, 고장상황, 고장현상, 고장장치, 고장세부장치 및 고장부품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정형화된 고장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해 생성된 상기 고장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코드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도시철도 유지보수체계를 정보화함으로서 각 도시철도 운영기관내 또는 도시철도 운영기관간에 유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여 도시철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철도, 차량, 고장코드, 분류

Description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Error code standardization method for maintenance of railway car}
도1은 종래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사용되어온 고장코드별 고장내역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유지보수를 위한 사고 및 고장 코드체계 표준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도3에 따른 고장코드의 항목별 연관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도5에 따른 고장코드의 항목별 연광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및 고장코드체계의 표준화 처리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유지보수 시스템 210 : 사용자 단말기
220 : 데이터베이스(DataBase) 230 : 응용시스템
300 : 고장코드 310 : 고장유형
320 : 고장상황 330 : 고장현상
340 : 고장장치 350 : 고장세부장치
360 : 고장부품 400 : 조치코드
410 : 고장원인유형 420 : 고장원인
430 : 고장조치 440 : 고장조치결과
본 발명은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철도의 차량에서 사용되는 고장코드체계를 각 장치별 고장 및 고장원인, 조치내역 등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도입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고 차량의 현상에 대하여 정확한 진단 및 예방정비가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고장코드 체계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철도 차량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장코드 체계는 단순히 기기별 고장 분류를 위한 간단한 방식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장코드 체계를 확장하여 고장분류, 고장발생시 파급범위, 고장발생 현상, 조치이력 등의 정보와 연계하여 차량의 신속한 고장복구와 예방진단이 되지 않고 있다.
도1은 현재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고장코드별 고장내역을 도 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각각의 코드(100)에 대해서 대상기기(110), 고장검지내용(120), 고장기록표시명(130), 표시/기록조건(140)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 운영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러한 고장내역은 향후 적용될 도시철도 분야의 정보화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있으므로 정보화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이 되더라도 충분한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시철도의 유지보수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도시철도 차량분야에서 사용되는 고장코드 체계를 부품코드체계의 표준화와 연계하여 각 장치별 고장 및 고장원인, 조치내역 등을 포함하는 표준코드체계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고장코드체계의 표준화는 사고 발생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며, 차량의 고장 현상에 대하여 정확한 진단 및 예방정비가 가능한 사고 및 고장 코드의 표준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특정장치의 고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에 따라 표준화된 조치내용을 기록해놓음으로써 향후 재발되는 고장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조치코드 체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체계 표준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각 부품의 사고 및 고장 발생시 유지보수작업을 지원하기 해 사고 및 고장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유지보수 시스템에 고장유형, 고장상황, 고장현상, 고장장치, 고장세부장치 및 고장부품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정형화된 고장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해 생성된 상기 고장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c) 상기 단계(a)로 부터 고장원인유형, 고장원인, 고장조치방법 및 고장장치결과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조치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조치로 인해 생성된 상기 조치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e) 상기 단계(b) 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검수자 또는 작업자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저장된 고장코드 및 조치코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 상기 단계(b) 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검수자 또는 작업자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저장된 고장코드 및 조치코드 정보를 수정/변경/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g)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장코드 및 조치코드 정보의 수정/변경/삭제시에 권한여부를 확인하는 승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유지보수를 위한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장코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도3에 따른 고장코드의 항목별 연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코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도5에 따른 고장코드의 항목별 연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고 및 고장코드체계의 표준화 처리흐름도이다.
도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유지보수를 위한 사고 및 고장코드체계의 표준화를 위해 유지보수 업무를 하는 검수자 및 작업자 등은 자신이 보유하거나 사용이 가능한 유무선의 사용자 단말기(210) 및 기타 터미널 등을 이용해 유지보수 시스템(200)에 접근하여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정보와 그 고장에 대한 조치정보를 요청하거나 입력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유지보수 시스템(200)은 이와 같은 차량분야에서 발생하거나 또 는 발생 가능한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DataBase)(220)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지보수 시스템(200)으로부터 관리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코드의 분류체계는 전문가 시스템과 같은 여타 응용시스템(230)과 연계 및 공유에 있어 호환성이 있어야 하고, 특정 산업분야에서도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반드시 하나의 분류체계로 분류되어야 하는 유일성을 만족하야만 하고, 특정 분류기준에 맞추어 일관되게 분류되어야 하는 일관성을 만족해야하고, 실제 업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성이 있어야 하고, 신규 DB의 등록시를 고려한 코드체계의 확장성 및 다수의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이용 및 접근이 용이하도록 편리성을 갖춘 구성이어야 한다.
한편, 고장의 유형에 따라 긴급한 고장속보 내용은 유지보수 시스템(200) 내부에서 발행하여 검수자 및 작업자가 정비작업시 자동으로 작성하여 정비 작업시 참조하여 진행하도록 하고, 고장발생의 유형별/장치별 추이 등을 분석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지보수 시스템에 기입력되지 않은 고장발생 정보나 정비작업시 발견된 고장발생코드는 추가적으로 정비작업시 검수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기(210)를 통해 등록하거나 변경함도 가능하다.
또한 정비작업시 고장발생의 부품 등을 등록하여 관련 도면 및 정비지침서의 참조를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고장발생에 따른 조치사항 정보는 검수자가 정비 작업결과로서 등록 하여 고장발생에 따른 조치방법을 누적하여 고장발생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전문가 시스템과 연동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지보수 시스템(200)에서 사용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코드(300) 체계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장유형(310)과, 고장상황(320)과, 고장현상(330)과, 고장장치(340)와, 고장세부장치(350)와 고장부품(360)의 6가지 항목으로 분류되고,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부품코드 체계와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고 및 고장코드 항목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장유형(310)은 고장의 유형에 대한 분류 항목으로서 '중대고장', '경미한 고장', '화재' 등의 고장 발생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상황(320)은 고장발생 당시 또는 정비작업 시행시 상황에 대한 분류 항목으로서 '전동차가 멈추었다', '전동차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 등의 고장 발생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현상(330)은 고장발생 당시 또는 정비작업 시행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분류 항목으로서 'ATC 주고장 LAMP 현시', 'ATC 보조고장 LAMP 현시' 등의 고장 발생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장치(340)는 고장발생장치에 대한 분류 항목으로서 '고전압장치', '차체', '부속장치' 등의 고장 발생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세부장치(350)는 고장장치내의 세부장치에 대한 분류 항목으로서 'ATC', '난방장치', '방송장치' 등의 고장 발생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부품(360)은 고장발생 장치내의 고장의 원인이 된 부품에 대한 분류 항목으로서 '휴즈', '토글스위치' 등의 고장 발생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도4는 상기 도3에 따른 고장코드의 항목별 연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상술한 고장코드(300)의 고장유형(310)과, 고장상황(320)과, 고장현상(330)과, 고장장치(340)와, 고장세부장치(350)와 고장부품(360)의 6가지 항목을 유기적으로 분류하여 '고장유형(310) -> 고장상황(320) -> 고장현상(330) -> 고장장치 (340) -> 고장세부장치(350) -> 고장부품(360)'의 순서로 유기적으로 상위계층 항목인 고장유형(310)에서 촤하위계층 항목인 고장부품(360) 까지 일관되게 설계하여 사용자 단말기(210)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고 및 고장 발생시에 어느부분에 사고 및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어떤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확인이 가능하고,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이와 같은 검수자나 작업자가 직접 현장에서 사용자 커퓨터 등의 단말기를 도원하여 분류 저장도 가능하여 정보를 즉시 공유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고장코드(300) 항목은 상위항목에서 하위항목으로 분류시에 하나의 상위항목에서 다수의 하위항목으로 세밀하게 분류되도록 트리(tree)구조를 형성함이 바림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유지보수 시스템(200)에서 사용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조치코드 체계는 도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장원인유형(410)과, 고장원인(420)과, 고장조치(430)와, 고장조치결과(440)의 4가지 항목으로 분류된다.
상기한 조치코드(400)의 항목들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장원인유형(410)은 고장발생 원인의 유형별 분류 항목으로서 '제작불량', '조작불량', '부품노후' 등의 고장조치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원인(420)은 고장발생 현상, 장치, 부품에 대한 원인 분류 항목으로서 '퓨즈 용손' 등의 고장조치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조치(430)는 고장발생에 대한 조치사항 분류 항목으로서 '퓨즈 교환' 등의 고장조치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장조치결과(440)는 고장발생에 대해 처리한 결과 분류 항목으로서 '교환후 양호' 등의 고장조치 항목의 예를 들 수 있다.
도6은 상기 도5에 따른 조치코드의 항목별 연관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상술한 조치코드(400)의 고장원인유형(410)과, 고장원인(420)과, 고장조치 (430)와, 고장조치결과(440)의 4가지 항목을 유기적으로 분류하여 '고장원인유형 (410) -> 고장원인(420) -> 고장조치(430) -> 고장조치결과(440)'의 순서로 유기적으로 상위계층 항목인 고장원인유형(410)에서 촤하위계층 항목인 고장조치결과 (440) 까지 일관되게 설계하여 사용자 단말기(210) 등을 이용하는 검수자 및 작업자가 사고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어느부분에 어떻게 조치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조치를 취한 결과가 어떠한지를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확인이 가능하다.
물론 이때에도, 고장코드(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조치코드(400)를 구성하는 상위항목에서 하위항목으로 분류시에 하나의 상위항목에서 다수의 하위항목으로 세밀하게 분류되도록 트리(tree)구조를 형성함이 바림직하다.
이하, 도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부품의 표준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220)가 구축된 유지보수 시스템(200)에서 상기 사고 및 고장 정보를 참고로 이들을 분류하여 고장유형(310), 고장상황(320), 고장현상(330), 고장장치(340), 고장세부장치 (350) 및 고장부품(360)의 6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는 정형화된 고장코드(300)가 생성되어 상기 유지보수 시스템(200)의 데이터베이스(220)에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저장되어 관리된다.(s500)
다음으로 고장발생시에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철도차량의 사고 및 고장에 대한 고장원인유형(410), 고장원인(420), 고장조치방법(430) 및 고장장치결과(440)의 4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진 조치코드(400)를 생성하고 이 역시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게 된다.(s510)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관리된 고장코드(300) 및 조치코드(400)는 검수자 또는 작업자가 정비 및 유지보수 작업시에 사용자 단말기 (210)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고장 상황에 따라 고장속보로서 정비작업시 필요한 고장정보를 작업지시서 등의 자료에 포함시켜 유지보수 시스템(200)에서 직접 제공하여 검수자 및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10)를 통해 확인하도록 함으 로써 정비의 효율을 증대시킨다.(s520)
한편, 상기 고장코드(300) 또는 조치코드(400)는 새로운 사고 및 고장의 발생과 부품의 변경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코드의 필요성 또는 변경필요성 등에 의해 부가적으로 수정/변경/ 삭제 등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장코드(300) 및 조치코드(400) 체계의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530)
이때, 고장 발생의 유형에 따라 검수자 또는 작업자가 사용자 단말기(210)를 이용해 접근시 정보 제공에 대한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어느 단계(예를 들면, '중대고장', '화재', '본선 20분이상 지체' 등의 사고/고장은 시스템 관리자의 승인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까지만 정보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주게 된다.
상기 단계(s420)에서 상기 유지보수 시스템(200)은 고장이 발생한 부품에 대한 표준화된 부품코드와 연계하여 특정 응용 시스템(230)과 연계하여 해당되는 도면 및 정비지침서를 전송받고 검수자 및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코드를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도시철도 유지보수체계 정보화함으로서 각 도시철도 운영기관내 또는 도시철도 운영기관간에 유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여 도시철도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하여 도시철도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a)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각 부품의 사고 및 고장 발생시 유지보수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사고 및 고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갖춘 유지보수 시스템에 고장유형, 고장상황, 고장현상, 고장장치, 고장세부장치 및 고장부품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정형화된 고장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해 생성된 상기 고장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c) 상기 단계(a)로 부터 고장원인유형, 고장원인, 고장조치방법 및 고장장치결과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조치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사고 및 고장에 대한 조치로 인해 생성된 상기 조치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e) 상기 단계(b) 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검수자 또는 작업자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저장된 고장코드 및 조치코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f) 상기 단계(b) 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검수자 또는 작업자가 외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접속하여 저장된 고장코드 및 조치코드 정보를 수정/변경/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g)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장코드 및 조치코드 정보의 수정/변경/삭제시에 권한여부를 확인하는 승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KR1020030091826A 2003-12-16 2003-12-16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KR10056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26A KR100564363B1 (ko) 2003-12-16 2003-12-16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26A KR100564363B1 (ko) 2003-12-16 2003-12-16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55A KR20050060255A (ko) 2005-06-22
KR100564363B1 true KR100564363B1 (ko) 2006-03-27

Family

ID=3725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826A KR100564363B1 (ko) 2003-12-16 2003-12-16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55B1 (ko) * 2015-04-28 2016-08-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시간 철도 이용객 정보 표준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303B1 (ko) * 2012-09-12 2014-08-2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CN105225068A (zh) * 2015-10-29 2016-01-06 黄志富 一种电动车电池组快速交换系统
KR102415464B1 (ko) * 2017-02-24 2022-07-01 주식회사 오비고 다수의 차량에 탑재된 모듈들을 관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차량 모듈 관리 장치 및 서버
CN113760873B (zh) * 2020-10-10 2024-04-05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Agv维修数据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55B1 (ko) * 2015-04-28 2016-08-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실시간 철도 이용객 정보 표준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55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let Comparison of some selected methods for accident investigation
US20170236234A1 (en) Ris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a land transporation system
Körvers et al. Accidents: a discrepancy between indicators and facts!
CN107678936B (zh) 业务系统预先稽查方法、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912413B (zh) 分析系统、特别是安全关键系统的可用性的方法和装置
Khan et al. Development of risk‐based process safety indicators
KR102232876B1 (ko) 디지털 설비의 고장 유형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6355673A (zh) 一种机载防撞系统故障记录系统及故障记录解码系统
CN110119325A (zh) 服务器故障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Ouedraogo et al. Toward an application guide for safety integrity level allocation in railway systems
KR100564363B1 (ko)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Pasquale et al. Hazard analysis of complex distributed railway systems
Bridges et al. Key issues with implementing LOPA
WO2020116895A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Rangra et al. On the study of human reliability in transportation systems of systems
CN113380065B (zh) 车辆管理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89076B (zh) 一体化工艺危害分析方法、系统及存储介质
Liu et al. Dynamic analysis of FRAM: A case study of accident investigation
JP2007265112A (ja) 保全支援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189349A (zh) 一种安全监测预警平台、安全监测预警方法及存储介质
CN106355672A (zh) 一种机载防撞系统故障记录方法
Summers et al. A practical approach to preventing systematic error in the maintenance of instrumented safeguards
Tashjian The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as a design tool for nuclear safety systems
Sammarco Addressing the safety of programmable electronic mining systems: lessons learned
JP2011113217A (ja) 信頼性解析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