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303B1 -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303B1
KR101434303B1 KR1020120100900A KR20120100900A KR101434303B1 KR 101434303 B1 KR101434303 B1 KR 101434303B1 KR 1020120100900 A KR1020120100900 A KR 1020120100900A KR 20120100900 A KR20120100900 A KR 20120100900A KR 101434303 B1 KR101434303 B1 KR 10143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ult
analysis
failure
information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337A (ko
Inventor
임성수
이재영
박근우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3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은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영정보와 이벤트정보를 수집하는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수집하고 종합실적결과를 분석하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 및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정보와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수집/분석한 정보를 관리하는 종합자료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는 상기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and alone 및 네트워크 형 중에서 선택가능)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시스템 발생 고장에 대한 고장정보 수집, 분류, 분석 및 시정조치가 자동화되기 때문에 고장에 대처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불필요한 인적자원의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FAILURE INFORMATION CORR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RAILWAY SYSTEM}
본 발명은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시스템 구축 완료 전 부터, 해당 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장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이를 사용자가 분석 / 판단하여 발생한 고장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정확한 상태인식과 향후 대처 및 유사고장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유지보수 지원체계를 능동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함으로써, 최적의 시정조치를 수립함과 동시에 전체 시스템 및 단일 시스템의 성능목표를 종합적으로 평가/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도시스템이라 함은 차량, 신호, 전기, 통신(AFC), 기계, 검수 등과 운영을 위한 관제 설비를 포함한 전체운영시스템을 말한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이러한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는 고장 발생 시 수동으로 각 운영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수집하여 분석을 하거나, 이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 및 분석하기 위하여 서는 해당 인력이 집중적으로 투입되어야 했다.
또한 일반적으로 철도시스템의 고장분석은 한 부분의 고장정보로 그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고, 종래의 시스템은 관련된 여러 가지 고장정보를 통해 다각적인 관점에서 정보를 분석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원인을 찾는데 별도의 시간이 더 많이 소모된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같은 고장정보가 서로 다른 개체로 인식되어 고장기록의 중복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존의 고장분석 시스템은 단일 장비에 대한 고장정보를 입수하고 기록만 하기 때문에, 가져온 정보는 사용되지 않아 정보가 쌓이고 난 후 활용 가능성이 떨어져 방치되거나 적기를 놓쳐 사용 이유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고장정보의 수집내용 자체가 사건이 일어나고 난 후에 대한 사항이므로 사후조치에 대한 조치내역의 추적이 필요함에도 관리자체가 없거나, 있더라도 추적성이나 연관도 없이 각자 별개로 구성되어 일관성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는 조회된 고장정보를 통한 통합 성능지표 분석 기능과, 고장경향(Tread) 분석 제공기능이 다양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수행사업 특성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유연하지 못하여 운영환경이 조금만 달라지더라도 재개발 하여야 하는 점 및 그 개발비용 또한 신규개발과 맞먹는 추가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은 Stand alone 및 네트워크 형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구현 되어야 하고, 따라서 인터넷 연결 유무 및 중앙서버와의 연결유무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쓰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연 및 장애 발생 시 특정장소에서만 재생(Play Back)이 가능하며, 구동을 위한 데이터다운 등의 대기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능동적인 장애분석 및 대처에 애로사항이 있다.
또한 고장을 빠른 시간에 발견 한다 해도 이에 대한, 적시적소의 대처 방법을 몰라 해당 전문가가 와서 다시 분석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과 대기 중 잘못된 조치로 그 문제가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 늘 상존해 있다.
본 발명은 철도시스템의 발생 고장에 대한 고장정보 수집, 분류, 분석 및 시정조치를 자동화하여 고장에 대처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불필요한 인적자원의 소모를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시스템의 운영(사업)환경이 변화될 경우 해당 시스템의 커스터마이징을 유연하게 하여 시스템 개발기간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발생 시 단순한 정보제공이 아닌, 발생된 중요 정보를 정제하여 제공함으로써 고장 당시 관련 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중복 없이 명확하게 식별하게 하여 사용자가 적시적소에서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 장애에 대해 선택적으로 장애정보를 추출 할 수 있고, 관련 장애정보를 여러 가지 패턴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하여, 따로 입수된 장애정보를 재구성하고 정렬하는 등의 필요 이상으로 투입되는 분석시간을 줄이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능목표 산출 과정을 통해 수집되고 계산된 각 시점별 성능달성목표 결과값을 이용하여 고장상황에 따라 성능목표 달성여부를 계산하고 미리 예측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 고장 정보 수집으로는 알 수 없는 운행지연실적 관련 데이터를 가시화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구체적인 지연정보 및 장애 정보를 한눈에 분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정보를 단순히 현시해 주는 것이 아니라, 해당 전문가가 없더라도 과거 시정조치 방안을 검색하여 즉각 현장에서 조치권고를 할 수 있고,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 당시 상황을 재생 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 당시 조치 및 대처 현황에 대해 발생 시간대 및 정의된 관련 고장번호를 입력하면 발생 상황을 분석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은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영정보와 이벤트정보를 수집하는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수집하고 종합실적결과를 분석하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 및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정보와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수집/분석한 정보를 관리하는 종합자료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는 상기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스탠드 어로운 형(Stand alone type) 및 네트워크 형 중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된 방식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에 구축된 DB에는 철도시스템의 과거운영경험을 기초로 획득된 기본 고장시나리오가 탑재되어 있고, 철도시스템에 고장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기본 고장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상황에 맞는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경우, 책임귀책 고장의 유형정의와 기본 정의된 귀책 시간이 자동으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본 귀책 시간이외의 실제 발생한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두 시간의 차이를 자동 산정하도록 구성되고, 기본 성과지표 수식을 포함한 계산수식을 포함, 사업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인터페이스 입력조건을 손쉽게 마스터코드를 이용하여 변경 /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지연/장애 발생상황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 일자와 시간대 및 기 정의된 고장번호 입력 조건에 대해 운행현황 상태를 재생하여 그래픽화로 확인할 수 있고, 고장 분석을 위해 당시 운행상황 및 조치 내역을 초 단위별로 검색하고 해당 자료를 추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지연 이벤트 팝업창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이벤트 팝업창의 운행실적영역에는 해당 편성의 세부지연상태정보인 열차 운행 스케쥴상 계획도착시간과 실제도착시간 및 지연시간차가 초단위로 표시되고, 운행일자, 열차번호, 편성번호, 역사명, 운행방향, 지연시간, 지연순위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열차의 지연순위에 따라 할당된 표준색상코드를 이용하여 열차별로 지연의 심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고장설명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장설명영역에는 귀책여부 선택과 해당고장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 초동 보고를 기입하는 영역이 구비되고, 제품분류체계(PBS)를 이용하여 최하 단위부품까지 고장원인이 되는 시스템을 선택/조회 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입력된 정보 이외 상세한 고장 발생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기간을 설정하여 철도시스템의 운행현황을 조회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또는 종합자료 관리부에 구축된 DB에 저장된 과거 열차운행 상태와 각 해당 서브 시스템별 장비상태 및 각종 이벤트가 현시되고, 주요 장애 이벤트와 운행현황이 실시간으로 또는 과거 발생 이력 현황 정보의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고장 이벤트 로그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이벤트 로그는 검색하고자 하는 당시의 동일운행일자, 동일 열차번호, 동일 편성번호, 발생 동일 이벤트 메시지별로 조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를 기초로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은 자료생성 탭을 선택하여 해당일자를 선택 및 입력하여 조회를 클릭하는 경우, 기존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선택된 고장만을 정렬하여 리스트로 표시하고, 이후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하고 싶은 리스트를 자유롭게 선택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목표달성대비 성과지표 값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에서 입력 데이터의 손실이나 부적합이 발생할 경우 해당 리스트 중 지연 팝업창을 호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정 후 재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시뮬레이션 후 선택했던 리스트들은 그룹(Group)으로 자동으로 묶여 그 결과 값이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후 이에 대한 검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검증과정은 기 그룹으로 묶여있는 리스트를 건 별로 호출하거나 해당 일자를 조회하면 모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 분석자료는 역명, 운행일자, 열차번호, 도착시간, 지연시간, 편성번호를 포함하여 표시되며, 사용자가 해당 정보에 마우스만 근접시키는 경우 계획도착시간, 실제도착시간, 서비스 고장여부정보, 지연이벤트를 포함하는 기본 운행 실적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증과정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전체적인 조회 및 변화 추이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고, 추세를 반영하는 통계 탭으로 이동 전체 고장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 출력자료로도 화면상에서 백업(Back up)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종합자료 관리부에는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검색하는 고장개소파악에 고장진단 및 원인에 대한 과거 자료의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고장발생시 장애 조치자의 휴대 단말기로 적절한 장애 조치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권고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시스템의 발생 고장에 대한 고장정보 수집, 분류, 분석 및 시정조치가 자동화되기 때문에 고장에 대처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불필요한 인적자원의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도시스템의 운영(사업)환경이 변화될 경우 해당 시스템의 커스터마이징이 유연하여 시스템 개발기간이 줄어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장발생 시 단순한 정보제공이 아닌, 발생된 중요 정보가 정제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고장 당시 관련 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중복 없이 명확하게 식별하여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 장애에 대해 선택적으로 장애정보를 추출 할 수 있고, 관련 장애정보를 여러 가지 패턴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하여 분석시간을 줄일 수 있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능목표 산출 과정을 통해 수집되고 계산된 각 시점별 성능달성목표 결과값을 이용하여 고장상황에 따라 성능목표 달성여부를 계산하고 미리 예측할 수 있게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 고장 정보 수집 및 데이터 상으로는 분석이 어렵고, 알 수 없는 운행지연실적 관련 현황을 사용자에게 가시화 하여 보여줌으로써 구체적인 지연정보 및 장애 정보 정보를 한눈에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장정보를 단순히 현시해 주는 것이 아니라, 해당 전문가가 없더라도 과거 시정조치 방안을 검색하여 즉각 현장에서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장 당시 상황을 재생(Playback) 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 당시 운영상태와 조치 및 대처 현황을 사건발생 시간대 입력 및 정의된 고장번호를 사용하여 폭넓게 분석할 수 있게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그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은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10),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 및 종합자료 관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10)는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영정보와 이벤트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10)는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관련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는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10)가 수집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수집하고 종합실적결과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종합자료 관리부(30)는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10)가 수집한 정보와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수집/분석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간을 설정하여 철도시스템의 운행현황을 조회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또는 종합자료 관리부(30)에 구축된 DB에 저장된 과거 열차운행 상태와 각 해당 서브 시스템별 장비상태 및 각종 이벤트가 현시되고, 주요 장애 이벤트와 운행현황이 실시간으로 또는 과거 발생 이력 현황 정보의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열차의 지연순위에 따라 할당된 표준색상코드를 이용하여 열차별로 지연의 심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역명, 운행일자, 열차번호, 도착시간, 지연시간, 편성번호를 포함하여 표시되며, 사용자가 해당 정보에 마우스만 근접시켜도 계획도착시간, 실제도착시간, 서비스 고장여부정보, 지연이벤트를 포함하는 기본 운행 실적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지연 이벤트 팝업창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이벤트 팝업창의 운행실적영역에는 해당 편성의 세부지연상태정보인 열차 운행 스케쥴상 계획도착시간과 실제도착시간 및 지연시간차가 초단위로 표시되고, 운행일자, 열차번호, 편성번호, 역사명, 운행방향, 지연시간, 지연순위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고장설명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장설명영역에는 귀책여부 선택과 해당고장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 초동 보고를 기입하는 영역이 구비되고, 제품분류체계(PBS)를 이용하여 최하 단위부품까지 고장원인이 되는 시스템을 선택/조회 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입력된 정보 이외 상세한 고장 발생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에 구축된 DB에는 철도시스템의 과거운영경험을 기초로 획득된 기본 고장시나리오가 탑재되어 있고, 철도시스템에 고장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기본 고장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상황에 맞는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경우, 책임귀책 고장의 유형정의와 기본 귀책 시간이 자동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 귀책 시간이외의 실제 발생한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두 시간의 차이를 자동 산정하도록 구성되고, 기본 성과지표 수식을 포함한 계산수식은 사업수행 환경에 따라 입력조건을 변경하여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고장 이벤트 로그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이벤트 로그는 검색하고자 하는 당시의 동일운행일자, 동일 열차번호, 동일 편성번호, 발생 동일 이벤트 메시지별로 조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를 기초로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은 자료생성 탭을 선택하여 해당일자를 선택 및 입력하여 조회를 클릭하는 경우, 기존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선택된 고장만을 정렬하여 리스트로 표시하고, 이후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하고 싶은 리스트를 자유롭게 선택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목표달성대비 성과지표 값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에서 입력 데이터의 손실이나 부적합이 발생할 경우 해당 리스트 중 지연 팝업창을 호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정 후 재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시뮬레이션 후 선택했던 리스트들은 그룹(Group)으로 자동으로 묶여 그 결과 값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후 이에 대한 검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검증과정은 기 그룹으로 묶여있는 리스트를 건 별로 호출하거나 해당 일자를 조회하면 모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증과정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전체적인 조회 및 변화 추이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고, 추세를 반영하는 통계 탭으로 이동 전체 고장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 출력자료로도 화면상에서 백업(Back up)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제공하는 지연/장애 발생상황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조회한 일자에 및 기 정의된 고장번호에 대해 해당 운행현황 상태를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고, 고장 분석을 위해 당시 운행상황 및 조치 내역을 초 단위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합자료 관리부(30)에는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가 검색하는 고장개소파악에 고장진단 및 원인에 대한 과거 자료의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고장발생시 장애 조치자의 휴대 단말기로 적절한 장애 조치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권고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S01에서는, 시스템 로그인 화면에서 “운영자 선택(Admin or User)”, “ 운영방법선택(Stand alone or Netwrok 형)”, “초기 인터페이스 Setup 실시”를 선택한다.
시스템 로그인 화면이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S02에서 인터페이스 연동상태 확인을 체크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만약 인터페이스 연동상태를 확인하고 싶지 않을 경우는 “아니오”를 체크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만약, 인터페이스 상태가 오류를 표시할 경우, S03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환경 수정을 클릭하여 인터페이스 정보가 입수되지 않는 부분의 설정상태를 확인하고 연동검사를 실시,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S04에서는 입력된 정보가 코드마스터 부분에 제대로 풀 텍스트(Fulltext Mode)로 변환되어 상호간 트랜잭션(Transaction)이 정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S03에서 내부 커스터마이징 설정 부분을 클릭하여 기본 시스템 운영조건이 제대로 구성되었는지(차량편성, 시설물 정보 등) 확인한다.
만약, 외부와 통신망의 문제로 연결이 불가해 관련정보 입수가 어려울 경우 S04에서 코드마스터 부분에서 “찾기 및 저장” 실행 버튼을 눌러 관련 해당 정보를 수동으로 업로드시킬 준비를 한다. 이동식 메모리 장치를 이용하여 각 서브시스템에서 다운받은 각종 이벤트 정보와 운행정보를 해당 폴더에 이동시켜 저장 후 시스템 상에서 경로를 지정하여 파일을 복사한다. 단 선택조건이 있다. 화면에 DB 삽입(insert)을 선택(예: 삭제 후 저장, 아니오: 추가 저장, 취소: 저장 안함)하여 각 해당 정보를 업로드시키면 정상적인 경우 총 카운터 수와 진행 카운터수를 표시하며 본 시스템에 업로드 된다. 단, 업로드 중 에러가 발생할 경우 기본 옵션은 중간에 중지되더라도 자료는 사라지지 않고 원제목에 별도로 일련번호가 부가되어 자동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해당 정보를 다시 업로드하고자 할 경우는 재검색하여 DB 삽입(insert) 선택 “예, 아니오, 취소” 중 하나를 택하여 재 업로드를 실시한다.
S05에서 각 서브시스템 운영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발생이벤트 정보 및 운행실적 자료를 입수하여 운행결과분석을 실시한다. S06에서 동시에 사용자는 당일 운행실적 자료 및 해당 기간 중 원하는 운행실적자료를 “내부달력옵션” 기능을 선택하거나 해당 기간을 입력하여 운행현황을 조회하면 실시간으로 혹은 FRACAS DB에 저장된 과거 열차운행 상태 및 각 해당 서브시스템별로 장비상태와 각종 이벤트를 현시하고, 주요 장애 이벤트와 운행현황을 실시간 혹은 과거 발생 당시 현황을 시각적으로 보고 받을 수 있다. FRACAS DB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20)에 구축되어 있는 DB이다.
특히, S06에서 현시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의 경우 가장 지연된 열차를 순위별 색으로 입혀 가장 지연된 열차부터~ 최소지연 발생 열차 별로 표준색상코드를 이용하여 지연의 심각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표기하여 사용자의 인지를 용이하게 한다.
더불어, S06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기본정보로 역명, 운행일자, 열차번호, 도착시간, 지연시간(초), 편성번호가 표시되며, 별도로 클릭하지 않아도 보고자 하는 해당 정보에 마우스만 갖다 대어도 기본 운행 실적정보(계획도착시간, 실제도착시간, 서비스고장인가?, 지연이벤트는 무엇인가?)를 표출한다.
S06에서 현 지연상황을 선택하여 지연상태로 보고된 정보를 클릭할 경우 지연 이벤트 팝업(Pop ?up)화면이 뜨면서 “운행실적” 부분에는 해당 편성의 좀더 구체적인 지연상태(열차 운행 스케쥴상 계획도착시간과 실제도착 표시 및 지연시간차를 초단위로 표시), 운행일자, 열차번호, 편성번호, 역사명, 운행방향, 지연시간, 지연 순위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되며, “고장설명” 부분에는 귀책여부 선택과 해당고장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 초동 보고를 기입하는 곳이 있으며, 향후 조치에 따라 추가/수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품분류체계(PBS)를 이용하여 최하 단위부품까지 고장원인이 되는 시스템을 선택/조회 하도록 되어있으며, 자동으로 S03, S04에서 입력된 정보 이외 상세한 고장 발생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난 이 별도로 있다(예: OOO 역 방향 14km211 지점에서 발생). “고장시나리오” 부분에는 그 간의 경험을 통해 FICAM 운영자 입장에서는 귀책/ 비귀책 부분으로 나뉠 시 그 선택이 발생될 책임귀책의 고장형태와 그 조건이 그때그때 마다 매우 변화가 심하며 예측하고 계산 키 힘들었던 점을 감안하여, 그간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기본 “고장시나리오”를 탑재하여 고장 발생 당시 상황에 맞는 시나리오를 선택만 하여주면 책임귀책 고장의 유형정의와 기본 귀책 시간이 자동으로 표출 되도록 설계되었다. 기본 책임시간외 실제 발생한 자세한 시간을 입력하여 그 시간차이가 얼마나 발생이 되는지도 자동으로 산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이 모든 것은 S04의 코드마스터에서 사업환경에 따라 추가/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기본 성과지표 수식을 포함한 계산수식 또한 사업환경에 따라 입력조건을 달리하면 별도 개발이 필요 없이 즉시 적용하도록 되어있다.
S06에서 고장 이벤트 로그(Failure event Log) 부분은 검색하고자 하는 당시의 “동일운행일자”, “동일 열차번호”, “ 동일 편성번호”, “발생 동일 이벤트 메시지”별로 조회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검색 환경의 선택폭을 넓혀 별도로 일일이 다시 찾아 재조사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이렇게, 종합된 정보는 S07에서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자료생성 탭을 선택하여 해당일자를 선택 및 입력하여, 조회를 클릭할 경우 기존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선택 된 고장만을 정렬(Sort) 하여 리스트로 보여준다. 이후 시뮬레이션 하고 싶은 리스트를 자유롭게 선택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목표달성대비 성과지표 값이 자동으로 산출되게 제작되었다. 물론 해당 수식 및 지표(예:TOP(Total Operation),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MTTR(Mean Time To Repair) 등) 등은 사업환경에 따라 S04에서 수정이 가능하며 그외 기타 입력조건 또한 선택의 폭이 넓도록 구성되었다. 간혹, 입력 데이터의 손실이나 부적합이 발생 될 경우 S06에서 해당 리스트 중 지연 팝업(Delay Pop-up)을 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S08에서 수정 후 재저장 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후 선택했던 리스트들은 그룹(Group)으로 자동으로 묶여 그 결과 값 역시 저장된다.
S09에서 검증과정은 기 그룹으로 묶여있는 리스트를 건 별로 호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거나, 해당 일자를 조회하면 모두 표시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수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값의 전체적인 조회 및 변화 추이가 가시적으로 용이하며, 통계(추세) Tab으로 이동 전체 고장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 출력자료로도 화면상에서 백업(Back up) 이 가능하다.
FRACAS DB에는 S09자동 산출된 성과지표의 자료가 저장 되고, 본 시스템에서 운영하고 있는 운행결과 분석 정보와 그에 따른 시정초치 상황 및 고장보고서,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등의 자료가 운용된다.
S11의 지연/ 장애 발생 상황 모드에서는 조회한 일자 및 기 정의된 고장번호에 대해 운행현황 상태를 생생히 재생하여 볼 수 있다. 고장 분석을 위해 그 당시 운행상황 및 조치 내역을 초 단위별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종합자료 관리부(30)에 구축된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는 FRACAS DB에서 검색하는 고장개소파악에 고장진단 및 원인에 대한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고장발생시 장애 조치자의 휴대 단말기로 적절한 장애 조치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권고가 가능하도록(13) 되어있다. 이후 S14에서 고장 조치자는 고장보고서를 작성하여 FRACAS DB에 입력/저장하고, 시스템 운영자는 이를 확인하고 등록승인 및 후속조치사항에 대해 FRACAS DB의 추적성을 유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
20: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
30: 종합자료 관리부

Claims (16)

  1.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에 있어서,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영정보와 이벤트정보를 수집하는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기초로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를 수집하고 종합실적결과를 분석하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 및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정보와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수집/분석한 정보를 관리하는 종합자료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는
    상기 철도시스템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은
    로그인 화면이 정상적으로 인증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 연동상태 확인을 체크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인터페이스 연동상태가 이상이 있는 경우 시스템 인터페이스 환경 수정을 클릭하여 인터페이스 정보가 입수되지 않는 부분의 설정상태를 확인하고 연동검사를 실시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면서, 입력된 정보가 코드마스터 부분에 제대로 풀 텍스트(Fulltext Mode)로 변환되어 상호간 트랜잭션(Transaction)이 정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며, 외부 통신망의 문제로 연결이 불가해 관련정보 입수가 어려울 경우 상기 코드마스터 부분에서 관련 해당 정보를 이동식 메모리 장치를 이용해 수동으로 업로드시키도록 한 후, 이벤트정보 및 운행실적 자료를 입수하여 운행결과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정보 및 이벤트정보 수집부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스탠드 어로운 형(Stand alone type) 및 네트워크 형 중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된 방식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에 구축된 DB에는 철도시스템의 과거운영경험을 기초로 획득된 기본 고장시나리오가 탑재되어 있고,
    철도시스템에 고장 발생시 사용자가 상기 기본 고장시나리오를 참조하여 상황에 맞는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경우, 책임귀책 고장의 유형정의와 기본 정의된 귀책 시간이 자동으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귀책 시간이외의 실제 발생한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두 시간의 차이를 자동 산정하도록 구성되고,
    기본 성과지표 수식을 포함한 계산수식을 포함, 사업환경에 따라 변화되는 인터페이스 입력조건을 손쉽게 마스터코드를 이용하여 변경 /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지연/장애 발생상황 재생 모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조회 일자와 시간대 및 기 정의된 고장번호 입력 조건에 대해 운행현황 상태를 재생하여 그래픽화로 확인할 수 있고, 고장 분석을 위해 당시 운행상황 및 조치 내역을 초 단위별로 검색하고 해당 자료를 추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지연 이벤트 팝업창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 이벤트 팝업창의 운행실적영역에는 해당 편성의 세부지연상태정보인 열차 운행 스케쥴상 계획도착시간과 실제도착시간 및 지연시간차가 초단위로 표시되고, 운행일자, 열차번호, 편성번호, 역사명, 운행방향, 지연시간, 지연순위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열차의 지연순위에 따라 할당된 표준색상코드를 이용하여 열차별로 지연의 심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고장설명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장설명영역에는 귀책여부 선택과 해당고장이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는지 초동 보고를 기입하는 영역이 구비되고,
    제품분류체계(PBS)를 이용하여 최하 단위부품까지 고장원인이 되는 시스템을 선택/조회 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으로 입력된 정보 이외 상세한 고장 발생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기간을 설정하여 철도시스템의 운행현황을 조회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또는 종합자료 관리부에 구축된 DB에 저장된 과거 열차운행 상태와 각 해당 서브 시스템별 장비상태 및 각종 이벤트가 현시되고, 주요 장애 이벤트와 운행현황이 실시간으로 또는 과거 발생 이력 현황 정보의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는 고장 이벤트 로그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이벤트 로그는 검색하고자 하는 당시의 동일운행일자, 동일 열차번호, 동일 편성번호, 발생 동일 이벤트 메시지별로 조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분석자료를 기초로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은 자료생성 탭을 선택하여 해당일자를 선택 및 입력하여 조회를 클릭하는 경우, 기존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선택된 고장만을 정렬하여 리스트로 표시하고, 이후 사용자가 시뮬레이션 하고 싶은 리스트를 자유롭게 선택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목표달성대비 성과지표 값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에서 입력 데이터의 손실이나 부적합이 발생할 경우 해당 리스트 중 지연 팝업창을 호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정 후 재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시뮬레이션 후 선택했던 리스트들은 그룹(Group)으로 자동으로 묶여 그 결과 값이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조건별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후 이에 대한 검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검증과정은 기 그룹으로 묶여있는 리스트를 건 별로 호출하거나 해당 일자를 조회하면 모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제공하는 열차운행결과 분석자료는 역명, 운행일자, 열차번호, 도착시간, 지연시간, 편성번호를 포함하여 표시되며, 해당 정보에 계획도착시간, 실제도착시간, 서비스 고장여부정보, 지연이벤트를 포함하는 기본 운행 실적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과정을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값의 전체적인 조회 및 변화 추이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고, 추세를 반영하는 통계 탭으로 이동 전체 고장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 출력자료로도 화면상에서 백업(Back up)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자료 관리부에는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고장진단패턴 및 지식공유 DB는 고장정보수집 및 종합실적결과 분석부가 검색하는 고장개소파악에 고장진단 및 원인에 대한 과거 자료의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고장발생시 장애 조치자의 휴대 단말기로 장애 조치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권고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KR1020120100900A 2012-09-12 2012-09-12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KR10143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00A KR101434303B1 (ko) 2012-09-12 2012-09-12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900A KR101434303B1 (ko) 2012-09-12 2012-09-12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37A KR20140036337A (ko) 2014-03-25
KR101434303B1 true KR101434303B1 (ko) 2014-08-29

Family

ID=5064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900A KR101434303B1 (ko) 2012-09-12 2012-09-12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7727A4 (en) * 2018-05-31 2021-03-31 CRSC Research & Design Institute Group Co., Ltd.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8171A1 (zh) * 2015-11-27 2017-06-01 深圳市坐标系交通技术有限公司 列车告警处理方法和系统
KR102078654B1 (ko) * 2018-05-17 2020-04-07 정규식 전동차의 고장을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4500271B (zh) * 2018-09-30 2024-04-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基站间通信方法、基站和通信系统
CN110816589A (zh) * 2019-10-31 2020-02-21 北京英诺威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学习的ctcs3故障诊断方法
CN112801346B (zh) * 2021-01-12 2024-04-09 北京交通大学 一种铁路货物全过程运输计划编制方法
CN113837579B (zh) * 2021-09-14 2024-04-12 上海电气泰雷兹交通自动化系统有限公司 Atc报警与现场故障日志的数字化分析统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251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 유지보수 정보화 예방정비 분석을 이용한예방 정비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60255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KR20110071691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251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 유지보수 정보화 예방정비 분석을 이용한예방 정비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60255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 차량분야의 사고 및 고장 코드 체계 표준화 방법
KR20110071691A (ko) * 2009-12-21 2011-06-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7727A4 (en) * 2018-05-31 2021-03-31 CRSC Research & Design Institute Group Co., Ltd.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37A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303B1 (ko) 철도시스템의 고장정보수집분석시스템
US10069684B2 (en) Core network analytics system
US10310968B2 (en) Developing software project plans based on developer sensitivity ratings detected from monitoring developer error patterns
US90491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managing event records associated with network incidents
US7974387B2 (en) Proactive analysis of communication network problems
US20060064486A1 (en) Methods for service monitoring and control
US20130311977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del-based testing
US11533216B2 (en) Aggregating alarms into clusters to display service-affecting event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2087593A (zh) 远程设备管理界面
EP3663919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fault correc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EP30200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instability when upgrading software
JP2019116377A (ja) 昇降機故障診断システム
CN104583968A (zh) 管理系统及管理程序
US9397906B2 (en) Scalable framework for monitoring and managing network devices
Bauer et al. Practical system reliability
EP3543923A1 (en) System and method to auto create aircraft maintenance records by aircraft data
CN112152823B (zh) 网站运行错误监控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201701693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t least one component requiring maintenance in an appliance and/or installation
CN111108481B (zh) 故障分析方法及相关设备
JP4842738B2 (ja) 障害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管理方法
Tola et al. On the resilience of the NFV-MANO: An availability model of a cloud-native architecture
CN102045213B (zh) 故障定位方法及装置
US20120271682A1 (en) Assessment of skills of a user
Idrees et al. Enhancing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for e-business-the road towards optimization
US20120215492A1 (en) Methods & apparatus for remotely diagnosing grid-based comput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