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338B1 -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338B1
KR100564338B1 KR1020050008736A KR20050008736A KR100564338B1 KR 100564338 B1 KR100564338 B1 KR 100564338B1 KR 1020050008736 A KR1020050008736 A KR 1020050008736A KR 20050008736 A KR20050008736 A KR 20050008736A KR 100564338 B1 KR100564338 B1 KR 10056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be
safety valve
pressure
hydraulic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범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05000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5/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wo or more fluid pressure values simultaneous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1/00Valves and valve act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일러의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안전 밸브에 장착되는 SBE(Safety valve Bypass Element)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SBE에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공급 장치; 상기 유압 공급 장치에서 상기 SBE로 공급하는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입구측 압력계; 및 상기 SBE의 SBE 하부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출구측 압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는 SBE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장비가 부재하여 SBE의 이상 유무를 발견할 수 없어 각종 문제점이 발생한 후에 해당 장비를 교체하거나 정비를 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SBE의 이상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교체 또는 정비를 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일러, 안전 밸브, SBE, 시험 장치

Description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Safety Valve Bypass Element Tester}
도 1은 SBE가 장착된 안전 밸브의 사시도,
도 2는 화력발전소 보일러 안전 밸브의 유압 회로도,
도 3a는 보일러 정상 운행시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
도 3b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동작시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
도 3c는 SBE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
도 4a 및 도 4b는 SBE 시험 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c는 SBE 시험 장치가 장착된 SBE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일러 안전 밸브 110: 서보 밸브
120: SBE 210: 실린더 상부 유로
215: 실린더 하부 유로 220: 작동 실린더
230: SBE 상부 유로 235: SBE 하부 유로
240: 체크 밸브 250: 솔레노이드 밸브
260: 유량 조절 밸브 270: 바이 패스 라인
280: 디스크 400: SBE 시험 장치
410: 하우징 420: 공급 배관
430: 입구측 압력계 450:유압펌프
470: 배출 배관 480: 출구측 압력계
본 발명은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안전 밸브에 장착되는 SBE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 펌프를 이용하여 작동유를 공급한 후 입구측 및 출구측의 압력값을 측정함으로서 SBE의 솔레노이드 밸브 및 유량 조절 밸브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준 석탄 화력 발전소에는 증기 압력의 비정상적인 상승을 방지하는 설비인 안전 밸브가 발전기 각 호기 당 주 증기용 4개와 재열 증기용 4개의 총 8개가 설치되어 있다. 주 증기용 4개는 과열기 출구에 4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재열 증기용 4개는 재열기 입구측에 2개 출구측에 2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SBE가 장착된 안전 밸브의 사시도이다.
안전 밸브(100)는 보일러 내의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외부로 기체를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안전 밸브(100)에는 서보 밸브(110) 1개와 SBE(Safety valve Bypass Element: 120) 3개가 각각 90ㅀ 방향으로 위치하며, 내부에는 작동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서보 시스템은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변위를 제어하여 원하는 목표값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시스템을 말하며, 서보 밸브는 이와 같은 서보 시스템에서 원하는 기계적 변위을 얻기 위해 유압을 조절하여 작동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서보 밸브는 각종 발전소나 조선, 항공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화력발전소 보일러 안전 밸브의 유압 회로도이다.
보일러의 안전 밸브(100)는 서보 밸브(110), 작동 실린더(220) 및 SBE(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동 실린더(220)는 증기의 압력의 상승 유무에 따라 밸브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 실린더(220)는 복동 실린더이며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을 포함하고 피스톤은 하부측으로 디스크(280)와 연결되어 있다. 복동 실린더는 단동 실린더와 달리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양측에 공급 및 배출을 할 수 있는 포트를 포함하고 있어 실린더가 작동할 때 뿐만 아니라 복귀할 때에도 유압이 작용하여 유압의 힘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를 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실린더(220)는 실린더 상부 및 하부에 서보 밸브(110)으로부터 유압이 공급되는 실린더 상부 유로(210) 및 실린더 하부 유로(215)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 상부 유로(210) 및 실린더 하부 유로(215)는 각각 작동유가 공급되는 유로가 되기도 하며 또한 작동유가 배출되는 유로가 되기도 한다. 작동 실린더(220)는 복동 실린더로서 서보 밸브(110)의 유량 제어에 따라 실린더 상부 유로 (210)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은 하향으로 동작되며 실린더 하부에 있던 작동유는 실린더 하부 유로(215)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작동 과정은 피스톤이 상향으로 동작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역으로 작용한다.
서보 밸브(110)는 작동 실린더(2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작동유를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서보 밸브(110)는 4포트 3위치 방식의 서보 밸브(110)이며, 따라서 작동유가 공급 및 배출되는 연결 포트가 4개가 있으며, 밸브의 전환 위치가 3가지가 된다.
서보 밸브(110)에는 유압 펌프에서 작동유가 공급되는 작동유 공급 포트와 오일 탱크로 되돌려 보내는 리턴 포트가 있으며, 작동 실린더(220)의 동작을 위해 유압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실린더 상부 유로(210) 및 실린더 하부 유로(215)에 결합되는 포트가 각각 하나씩 있다.
또한 서보 밸브(110)는 작동유를 실린더 상부 유로(210)로 공급을 하여 작동 실린더(220)를 동작하고 실린더 하부 유로(215)를 통해 오일 탱크로 리턴시키는 위치, 작동유의 공급을 중단하는 위치 및 작동유를 실린더 하부 유로(215)로 공급하여 작동 실린더(220)를 동작하고 실린더 상부 유로(210)를 통해 오일 탱크로 리턴시키는 위치가 있어 작동유의 선택적 공급으로 작동 실린더(220)를 제어한다.
SBE(120)는 보일러 내의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안전 밸브가 신속히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SBE(120)는 SBE 상부 유로(230), SBE 하부 유로(235), 체크 밸브(240), 솔레노이드 밸브(250), 유량조절 밸브(260) 및 바이패스 라인(2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SBE 상부 유로(230)는 작동 실린더(220)의 상부측 실린더에 있던 작동유를 급격하게 배출시키는 통로가 되며, SBE 하부 유로(235)는 SBE 상부 유로(230)로 유입된 작동유를 작동 실린더(220)의 하부측 실린더로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
그러므로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작동유가 체크 밸브(240)에서 솔레노이드 밸브(250)를 지나 유량 조절 밸브(260)에 전달되게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보일러 내의 증기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에 작동 실린더(220)를 급격하게 작동시키도록 작동유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원통형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때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여 작동유를 제어한다. SBE(120)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3포트 2위치 밸브이며 솔레노이드가 여자되면 작동유가 SBE 상부 유로(230)로부터 체크 밸브(240) 및 솔레노이드 밸브(250)를 지나 유량 조절 밸브(260)로 공급이 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전류가 차단되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어 작동유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유량 조절 밸브(260)로부터 작동유를 배출시킨다.
유량 조절 밸브(260)는 바이패스 라인(270)의 작동유가 SBE 하부 유로(235)를 통해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유량 조절 밸브(260)는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동작시에는 밸브 내의 압축 스프링과 솔레노이드 밸브(250)를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에 의해 밸브가 닫히게 되어 바이패스 라인(270)으로부터 작동유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유량 조절 밸브(260)는 실린더 형상의 포핏 밸브로 밸브 내부의 피스톤은 바이패스 라인(270)측 단면적이 솔레노이드 밸브(250)측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압축 스프링의 압력을 추가하여도 솔레노이드가 여자된 상태에서는 밸브가 항상 닫혀있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차단되면 유량 조절 밸브(260)의 작동유가 배출되면서 바이패스 라인(270)측의 압력이 커지게 되어 유량 조절 밸브(260)가 개방되면서 작동유가 바이패스 라인(270)으로부터 SBE 하부 유로(235)로 유동된다.
바이패스 라인(270)은 SBE 상부 유로(230)로부터 공급된 작동유를 SBE 하부 유로(235)로 유동시켜 보일러내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할 때 작동 실린더(220)가 즉시 상향으로 이동되어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발전소의 안전 밸브는 보일러 내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장치이며, 각 안전 밸브에는 3개의 SBE(120)가 설치되어 증기 압력의 상승시 즉시 안전 밸브가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3개의 SBE(120) 중 단 하나만이라도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안전 밸브의 작동시기가 지연되어 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평소 SBE(120)의 점검이 필수적이며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SBE(120)를 평가할 수 있는 시험 장치가 없어 SBE(120)에 대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SBE(120)의 비정상적인 동작 사례가 종종 발견됨으로서 발전소의 대형 사고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SBE에 포함된 솔레노이드 밸브 및 유량 조절 밸브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SBE에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공급 장치, 유압 공급 장치에서 SBE로 공급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입구측 압력계 및 SBE 하부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출구측 압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의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안전 밸브에 장착되는 SBE(Safety valve Bypass Element)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SBE에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공급 장치; 상기 유압 공급 장치에서 상기 SBE로 공급하는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입구측 압력계; 및 상기 SBE의 SBE 하부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출구측 압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는 보일러 정상 운행시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경우에는 안전 밸브(100)의 작동 실린더(220)는 서보 밸브(110)에 의해서 제어된다. 서보 밸브(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위치 제어가 가능하므로 안전 밸브(10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린더 상부 유로(210)를 통하여 작동유를 공급하며 실린더 하부 유로(215)를 통하여 작동유를 배출하여 오일 탱크로 되돌린다.
또한 SBE 상부 유로(23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는 체크 밸브(240)를 통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50)로 공급되며, 솔레노이드는 보일러의 정상 운행의 경우에는 항상 여자되어 있으므로 작동유를 유량 조절 밸브(260)로 공급한다. 이때 유량 조절 밸브(260)의 포핏 밸브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바이패스 라인(270)을 막아 바이패스 라인(270)으로부터 작동유가 SBE 하부 유로(235)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일러가 정상 작동하는 경우에는 작동 실린더(220)의 상부측 실린더에는 작동유가 공급되며 하부측 실린더는 작동유가 배출되어 작동 실린더(220)는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도 3b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동작시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보일러 내부의 증기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안전 밸브(1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서보 밸브(110) 실린더 상부 유로(210) 및 실린더 하부 유로(215)에 작동유를 공급하지 않는 위치로 제어된다.
이때, 디스크(280)에 작용하는 과도한 압력을 감지하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250)에 작용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 (250)는 유량 조절 밸브(260) 내의 작동유를 배출하는 위치로 동작된다.
유량 조절 밸브(260)의 포핏 밸브에 작용하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대적으로 바이패스 라인(270)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서 포핏 밸브가 개방된다.
따라서, 작동 실린더(220)의 상부측 실린더에 포함되어 있던 작동유는 SBE 상부 유로(230)를 통해 SBE(120)로 유입되며 작동유는 바이패스 라인(270)과 SBE 하부 유로(235)를 통하여 작동 실린더(220)의 하부측 실린더로 공급되어 작동 실린더(220)는 상향으로 압력을 받아 안전 밸브(100)가 개방된다.
도 3c는 SBE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유압 회로도이다.
SBE(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내의 압력이 기준치 이하에서는 유량 조절 밸브(260)의 유로가 폐쇄되며 보일러 내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만 SBE(120)가 동작하여 안전 밸브(100)가 개방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도 3c와 같이 SBE(12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일러 내부의 압력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어 서보 밸브(110)에서 실린더 상부 유로(210)로 작동유를 공급하게 될지라도 SBE(120)의 유량 조절 밸브(260)가 개방되어 작동유가 바이패스 라인(270)과 SBE 하부 유로(235)를 통해 하부측 실린더로 배출되어 디스크(280)에 작용하는 증기압에 의해 안전 밸브(100)는 개방된다.
이와 같이 유량 조절 밸브(260)의 유로가 개방되는 이유는 유량 조절 밸브(260) 자체의 이상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250)의 작동 불량이 원인이 된다.
도 4a 및 도 4b는 SBE 시험 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BE 시험 장치(400)는 유압 펌프(450), 입구측 압력계(430), 출구측 압력계(480), 하우징(410), 공급 배관(420) 및 배출 배관(4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압 펌프(450)는 SBE(120)를 시험하기 위한 작동유를 공급한다.
SBE(120)의 정상 작동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안전 밸브(100)의 정상 작동 조건과 같이 서보 밸브(110)에서 공급하는 압력과 같은 정도의 작동유를 공급해야 하므로 유압 펌프(450)는 고압의 작동유를 입구측 압력계(430)를 거쳐 공급 배관(420)으로 공급한다.
입구측 압력계(430)는 유압 펌프(450)에서 가압된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며, 출구측 압력계(480)는 SBE 상부 유로(230)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가 SBE(120)를 통과한 후 배출되는 출구의 유압을 측정한다.
입구측 압력계(43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유압 펌프(450)에서 가압된 작동유의 압력과 같으며, 출구측 압력계(48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SBE(120)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의 압력값으로 양측의 압력값의 차이를 측정하여 SBE(120)의 정상 작동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하우징(410)은 공급 배관(420) 및 배출 배관(470)을 포함하고 있어, SBE 시험 장치(40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다.
공급 배관(420)은 유압 펌프(450)에서 가압된 작동유가 입구측 압력계(430)를 통해 하우징(410)을 거쳐 SBE(120)로 공급되도록 하며, 배출 배관(470)은 SBE(120)로부터 배출된 작동유를 출구측 압력계(480)로 공급한다.
도 4c는 SBE 시험 장치가 장착된 SBE의 유압 회로도이다.
SBE(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E 시험 장치(400)를 SBE(120)에 면과 면이 접합하도록 장착한다.
이때 SBE 시험 장치(400)의 공급 배관(420)은 SBE 상부 유로(230)에 직접 연결되며, 배출 배관(470)은 SBE 하부 유로(235)에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SBE 시험 장치(400)는 SBE(120)의 솔레노이드 밸브(250) 및 유량 조절 밸브(260)를 시험할 수 있다.
먼저, 솔레노이드 밸브(250)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E 시험 장치(400)를 SBE(120)에 장착한 후 솔레노이드를 여자시킨다. 솔레노이드를 여자시키면 솔레노이드 밸브(250)는 작동유를 SBE 상부 유로(230)에서 유량 조절 밸브(260)으로 공급하는 위치로 제어된다.
그 다음에 유압 펌프(450)를 가동하여 입구측 압력계(430)의 압력값이 150 ㎏/㎠이 되도록 작동유를 가압한다. 이때 출구측 압력계(480)의 압력값은 0 ㎏/㎠이 되어야 정상이다. 입구측 압력계(430) 및 출구측 압력계(480)의 압력값이 변하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50) 또는 유량 조절 밸브(26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다시 유량 조절 밸브(26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해야 한다.
유량 조절 밸브(26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0)의 시험 조건에서 솔레노이드 밸브(2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전원이 차단된 즉시 입구측 압력계(430)와 출구측 압력계(480)의 압력 값이 동압을 이루어야 정상이다. 솔레노이드 밸브(250)에 전원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50)가 스프링 압력에 의해 위치가 전환되며, 유량 조절 밸브(260) 내부에 포함된 작동유가 배출되면서 포핏 밸브가 열려 작동유는 바이패스 라인(270)을 통해 SBE 하부 유로(235)로 배출되어 입구측 압력계(430)와 출구측 압력계(480)는 동일한 압력값을 지시하게 된다.
만일 양측의 압력값이 즉시 동압을 이루지 않는다면 유량 조절 밸브(260)가 즉시 개방되지 않는 것이므로 유량 조절 밸브(26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SBE에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공급 장치, 유압 공급 장치에서 SBE로 공급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입구측 압력계 및 SBE 하부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출구측 압력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는 SBE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장비가 부재하여 SBE의 이상 유무를 발견할 수 없어 각종 문제점이 발생한 후에 해당 장비를 교체하거나 정비를 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SBE의 이상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기 전에 미리 교체 또는 정비를 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보일러의 증기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안전 밸브에 장착되는 SBE(Safety valve Bypass Element)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SBE에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공급 장치;
    상기 유압 공급 장치와 연통되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유를 상기 SBE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
    상기 공급 배관의 측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입구측 압력계;
    일 단은 상기 SBE와 연결되어 있고 타 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SBE로부터 상기 작동유가 배출되는 배출 배관; 및
    상기 배출 배관의 폐쇄된 타 단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출구측 압력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는 상기 입구측 압력계 및 상기 출구측 압력계와 연결되고 일체로서 형성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공급 장치는 유압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KR1020050008736A 2005-01-31 2005-01-31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KR10056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36A KR100564338B1 (ko) 2005-01-31 2005-01-31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36A KR100564338B1 (ko) 2005-01-31 2005-01-31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338B1 true KR100564338B1 (ko) 2006-03-27

Family

ID=3717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736A KR100564338B1 (ko) 2005-01-31 2005-01-31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97B1 (ko) 2009-01-05 2011-11-22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JST Co.,Ltd)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가드
KR101155528B1 (ko) * 2009-11-04 2012-06-19 한국동서발전(주) Sbe 감시 장치
KR101690972B1 (ko) * 2016-09-27 2016-12-29 주식회사 상준 스프링 행거 내의 스프링 작동여부 감지장치
CN111358223A (zh) * 2020-03-23 2020-07-03 深圳市三分之一睡眠科技有限公司 气囊自检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997B1 (ko) 2009-01-05 2011-11-22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JST Co.,Ltd)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가드
KR101155528B1 (ko) * 2009-11-04 2012-06-19 한국동서발전(주) Sbe 감시 장치
KR101690972B1 (ko) * 2016-09-27 2016-12-29 주식회사 상준 스프링 행거 내의 스프링 작동여부 감지장치
CN111358223A (zh) * 2020-03-23 2020-07-03 深圳市三分之一睡眠科技有限公司 气囊自检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121B1 (ko) 제어 또는 전환 밸브를 포함하는 아마추어의 작동을 위한 유압 또는 공압 구동기
RU25584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величения усиления привода с блокиру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20090114284A1 (en) Detecting of faults in a valve system and a fault tolerant control
RU237867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егулирующим клапаном посредством цепи управления, а также для выявл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этой цепи
US9651067B2 (en) Hydraulic system with a dynamic seal
US7322270B2 (en) Safety circuit for media-operated consumers and process for its operation
CN101696641B (zh) 电子可控制和可测试的涡轮机跳闸系统
JP2005320986A (ja) 緊急遮断弁装置
KR100564338B1 (ko)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시험 장치
EP2074488B1 (en) Direct acting hydraulic trip block with majority voting
US20100078089A1 (en) Hydraulic trip unit for a valve unit in a prime mover plant, especially for a fast-acting shut-off valve of a turbine plant
US8753067B2 (en) Steam valve apparatus
KR100856540B1 (ko) 컨트롤타입 유압엑츄에이터용 테스트블럭
CN107965610A (zh) 经由定位器评估对电磁阀的测试的方法和装置
RU2722289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аварийного отключения для турбины, приводной узел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аварийного отключ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отсечного клапана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аварийного отключения
CN105443507A (zh) 一种液压系统常见故障模拟实验台
KR101085997B1 (ko) 보일러 안전 밸브의 sbe 가드
CZ282934B6 (cs) Pohon plnicího ventilu
CN203452856U (zh) 汽轮机调节系统电液伺服油动机
US10900375B2 (en) Turbine with quick-closing valves and regulating valves
KR101155528B1 (ko) Sbe 감시 장치
KR101662131B1 (ko) 비상 트립 장치의 테스트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KR101892387B1 (ko) 터빈밸브 유압 구동기 및 이를 구비한 터빈 발전 시스템
Siivonen et al. Pressure bas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of a digital valve system
KR102169666B1 (ko) 발전소용 액추에이터의 퀵 클로징 테스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