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927B1 - 배열모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배열모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927B1
KR100563927B1 KR1020040038873A KR20040038873A KR100563927B1 KR 100563927 B1 KR100563927 B1 KR 100563927B1 KR 1020040038873 A KR1020040038873 A KR 1020040038873A KR 20040038873 A KR20040038873 A KR 20040038873A KR 100563927 B1 KR100563927 B1 KR 10056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ignal
control
data
phase sh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771A (ko
Inventor
김상기
우무현
우회구
주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통신
Priority to KR102004003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27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05Array of radiating elements provided with a feedback control over the element weights, e.g. adaptive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여러개의 위상변위기가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는 다채널 위상변위기를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위상변위기를 집적화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현한 배열소자모듈과, 상위 제어기에서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는 각 위상변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고정제어신호와 제어 대상의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신호, 위상 제어 데이터 및 상위 제어기 전송되는 에러체크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되는 고정 제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위상 제어 데이터 및 상위 제어기에 전송되는 에러 체크 신호를 일시 저장하여 신호의 충돌 및 유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버퍼; 상위 제어기의 고정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위상 제어 데이터를 타이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ROM 데이터로 저장하며,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각 위상변위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의 구동제어를 위한 위상을 결정하는 초기 위상 결정부; 상위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고정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읽어들여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위상배열안테나, 위상변위기, 배열소자모듈, FPGA, 구동, 레지스터

Description

배열모듈 구동장치 {Array Module Driv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모듈 구동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모듈 구동장치를 통한 배열소자모듈의 구동 제어시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는 각 위상변위기에 대한 초기 위상 결정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모듈 구동장치를 통한 배열소자모듈 구동 제어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위상배열 안테나용 위상변위기를 구동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개의 위상변위기가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는 다채널 위상변위기를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더(Radar)는 전자파를 방사하여 목표 물체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전자파의 에코를 수신하는 장치로, 목표물의 존재를 에코의 검출 또는 목표물내 자동응답기(레이더응답기)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확인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장치이다.
상기 레이더에서 빔을 방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로는 접시 안테나(Parabolic Antenna), 위상배열안테나(Phased Array Antenna) 등이 사용된다.
상기의 접시 안테나는 기계식 회전방식에 의하여 빔을 주사(Scan)하고 있으며, 위상배열안테나는 위상을 제어하여 전자빔을 전자적으로 주사한다.
위상배열안테나는 요구하는 방사특성을 얻기 위하여 수직 다단 복사소자 또는 수평 다단 복사소자 등의 집합체를 전기적 기하학적으로 배열하여 빔(Beam)이 조사되도록 하고 있으며, 빔의 조사 방향은 위상변위기에 의해 조향된다.
위상변위기는 트랜스와 유사한 형태로 페라이트코어(Ferrite Core)에 코일이 권선되어 구성되며, 이를 통한 빔 조사 방향의 조정은 코일에 일정시간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자기장이 발생되도록 하며, 자화율(Magnetic Susceptibility)이 변화됨에 따라 복사소자에 급전되는 신호의 전파상수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전류의 세기 조정을 통한 자기장 세기의 변화로 각 복사소자에 급전되는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송수신시에 전자적으로 빔의 방향을 조향시킨다.
위상배열안테나는 상당히 많은 복사소자가 집합체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복사소자에서 방사되는 빔의 방향을 조향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복사소자에 대응하는 위상변위기가 구성된다. 하나의 위상배열안테나에는 대략적으로 수백∼수만개의 위상변위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위상배열안테나를 구성함에 있어 각각의 복사소자에 대응하는 위상변위기가 각각 배치됨에 따라 설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위상배열안테나의 크 기를 한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는 구동장치 역시 각각의 위상변위기에 대응되는 관계로 위상배열안테나의 제작에 원가 상승을 유발시키는 문제점과, 구동장치에 수급이 어려운 고가의 주문형 IC(ASIC)가 적용되는 관계로 제작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상배열안테나의 효율성을 위하여 여러개의 위상변위기를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하여 하나의 배열모듈로 다채널 위상변위기를 구현하고, 이 다채널 위상변위기로 구현되는 배열모듈을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능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 배열모듈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는 위상배열안테나에 있어서, 복수개의 위상변위기를 집적화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현한 배열소자모듈과; 상위 제어기에서 상기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는 각 위상변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고정제어신호와 제어 대상의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신호, 위상 제어 데이터 및 상위 제어기 전송되는 에러체크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고정 제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위상 제어 데이터 및 상위 제어기에 전송되는 에러 체크 신호를 일시 저장하여 신호의 충돌 및 유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버퍼; 상기 버퍼를 통해 인가되는 상위 제어기의 고정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위상 제어 데이터를 타이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ROM 데이터로 저장하며,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각 위상변위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위상을 결정하는 초기 위상 결정부; 상위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고정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읽어들여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상배열안테나를 구성함에 있어 개별적인 구성보다는 여러개의 위상변위기를 하나로 모아 모듈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에 따라 다채널 위상변위기를 구현하고 있는 배열모듈을 구동하는 구동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배열모듈 구동장치는 모듈화되는 위상변위기의 개수와 집적도, 취급 및 보관 등의 조건과 최소한의 배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선구조 및 기구적인 크기 및 배치 등의 조건이 감안되는 집적화 등의 조건이 고려되어 설계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열모듈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는, 인터페이스(110)와 버퍼(120), 제어부(130), 초기 위상 결정부(140), 구동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위상변위기, 바람직하게는 16개의 위상변위기가 하나의 모듈화되는 배열소자모듈(200)과 연결된다.
상기에서 인터페이스(110)는 상위 제어기와 접속되어 상위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위상변위기에 대한 동작을 제어 하는 고정제어신호, 상기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중에서 제어 대상의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신호, 상기 각 위상변위기에 셋팅될 위상 제어 데이터를 버퍼(120)에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에 셋팅될 위상 제어 데이터는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또한, 상기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의 변위 시간에 대한 에러 체크 정보 및 결정된 초기 위상 펄스 등의 체크 신호를 상위 제어기에 인터페이스한다.
버퍼(120)는 상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상위 제어기에서 수신되는 고정 제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위상 제어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인터페이스되는 신호를 충돌 및 유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충시킨다.
또한, 제어부(130)에서 인가되는 에러 체크 정보 및 결정된 초기 위상 펄스 등의 체크 신호를 일시 저장한 다음 상위 제어기의 요구에 따라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전송시킨다.
제어부(130)는 내부 프로그램의 변경이 가능하고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성되며, 버퍼(120)를 통해 인가되는 상위 제어기의 고정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위상 제어 데이터를 타이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배열소자모듈(200)를 구성하고 있는 위상변위기를 그룹으로 나누어 ROM 데이터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ROM 데이터로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구동부(150)를 통해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가 구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결정되는 초기 위상에 대한 양자화 에러 및 그룹핑에 의한 에러를 재조정하는 기능이 포함되고, 구동부(150)의 동작 실행에서 검출되는 에러 체크신호를 상위 제어기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위상변위기를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 예를 들면 배열소자모듈(200)을 16개의 위상변위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4개의 그룹으로 분리한다.
초기 위상 결정부(140)는 시스템의 초기화 이후 동작 개시가 요구되는 경우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의 초기 위상을 결정하여 준다.
구동부(150)는 상위 제어기에서 배열소자모듈(2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제어신호, 즉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와,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신호(EWR),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 선택된 위상변위기의 동작구간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EOP), 선택되는 위상변위기의 셋(set) 혹은 리셋(reset)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에 따라 제어부(120)에 ROM 데이터로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D)를 읽어들여 배열소자모듈(200)내 선택된 위상변위기에 셋 혹은 리셋 전류를 공급시켜 방사되는 빔의 조향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동부(150)는 2채널 위상변위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개발한 다채널 구동IC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열소자모듈(200)을 16개의 위상변위기로 구성하는 경우 8개의 구동 IC를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배열소자모듈(200)에 구성되는 다채널 위상변위기를 구동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열소자모듈(200)에 16개의 위상변위기를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신호(EWR)는 제1신호(EWR1) 및 제2신호(EWR2)로 구분하여 각각 8개의 위상 제어 데이터를 담당하도록 하고,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는 8개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셋팅 신호(EWR1)(EWR2)에 따라 동작되도록 한다.
이에 따른 16개의 위상변위기의 선택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된다.
EWR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논리식 & & & & & & & & & & & & & & & &
WRRG 1 2 3 4 5 6 7 8 1 2 3 4 5 6 7 8
위상변위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상기 제어기에서 고정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가 "하이"레벨로 인가되면 제어부(130)는 ROM 데이터로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클리어하고, 구동부(150)는 상기한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에 대한 리셋 신호(RRG)에 따라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클리어하는 초기화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의 삭제에 의해 시스템의 초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16개의 위상변위기를 구동하기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의 초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동작이 개시되면 초기 위상 결정부(140)는 제어부(130)에 16개 위상변위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인 초기 위상을 결정하여 준다.
즉, 도 2의 타이밍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클리어시키는 리셋 신호(RRG)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1신호(EWR1) 혹은 제2신호(EWR2)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8개로 구분된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시점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16개의 위상변위기에 대한 초기 위상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클리어시키는 리셋 신호(RRG)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1신호(EWR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제1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을 제1위상변위기의 초기 위상으로 결정한다.
또한,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클리어시키는 리셋 신호(RRG)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1신호(EWR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제8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8)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을 제8위상변위기의 초기 위상으로 결정한다.
또한,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클리어시키는 리셋 신호(RRG)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2신호(EWR2)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제1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 을 제9위상변위기의 초기 위상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클리어시키는 리셋 신호(RRG)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2신호(EWR2)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제8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8)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을 제16위상변위기의 초기 위상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에 대한 초기 위상이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상위 제어기로부터 인터페이스(110) 및 버퍼(120)를 통해 인가되는 고정 제어신호와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위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위상변위기에 대한 타이밍 데이터를 ROM 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위상변위기의 동작 구간 인에이블 신호(EOP)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는 펄스(Start)의 "하강" 에지에서 위상변위기의 전류 공급을 단속하여 해당되는 변위로 위상변위기를 구동시킨다.
즉,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1신호(EWR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위상변위기의 셋 혹은 리셋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각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Start)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상태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위상변위기중 제1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에서 제1위상변위기에 대한 위상 제어 데이터(D1)를 입력(writing)한 다음 구동부(150)의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30) FPGA의 내부 ROM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FPGA의 내부 ROM의 어드레스 데이터로 인가되어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1신호(EWR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위상변위기의 셋 혹은 리셋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각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Start)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상태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위상변위기중 제8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8)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에서 제8위상변위기에 대한 위상 제어 데이터(D8)를 입력(writing)한 다음 구동부(150)의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30) FPGA의 내부 ROM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FPGA의 내부 ROM의 어드레스 데이터로 인가되어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또한,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2신호(EWR2)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위상변위기의 셋 혹은 리셋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각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Start)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상태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위상변위기중 제1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1)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에서 제9위상변위기에 대한 위상 제어 데이터(D9)를 입력(writing)한 다음 구동부(150)의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30) FPGA의 내부 ROM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FPGA의 내부 ROM의 어드레스 데이터로 인가되어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그리고,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제2신호(EWR2)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위상변위기의 셋 혹은 리셋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며, 각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Start)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는 상태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위상변위기중 제16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신호(WRRG16)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면 그 시점에서 제1위상변위기에 대한 위상 제어 데이터(D16)를 입력(writing)한 다음 구동부(150)의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30) FPGA의 내부 ROM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FPGA의 내부 ROM의 어드레스 데이터로 인가되어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16개의 위상변위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150) 내부 데이터 셋팅(레지스터에 임시 저장)이 완료되면, 이를 이용한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위상변위기의 동작 구간을 인에이블 시키는 신호(EOP)가 "하이" 레벨로 인가되고, 위상변위기의 셋 혹은 리셋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가 "로우" 레벨로 인가되는 상태에서 지정된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는 펄스(Start)가 "로우"로 인가되는 하강 에지에서 구동부(150)는 제어부(150)로부터 레지스터에 임시 저장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여 대응되는 변위로 위상변위기를 구동시킨다.
즉, 도 3에서 P2의 하강 에지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비트1('1')(D1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위로 제어하고, P3의 하강 에지에서 배열소자모듈(200)을 비트2('2')(D2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위로 제어하고, P4의 하강 에지에서 비트3('4')(D3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위로 제어하며, P5의 하강 에지에서 비트4('8')(D4 데이터)에 해당하는 변위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한 동작에 따라 배열소자모듈(200)을 구성하고 있는 16개 위상변위기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 에러 체크는 16개의 위상변위기 중에서 임의의 1개를 선택 동작시켜 변위 타이밍의 확인을 통해 실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모듈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열모듈 구동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위상변위기가 하나의 모듈화로 구성되는 다채널 위상변위기를 하나의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함으로써, 위상배열안테나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집적화를 통한 구동으로 제작원가의 절감과 운용에 효율성을 제공한다.
또한, FPGA를 이용한 제어로 각 위상변위기의 제어 타이밍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운용에 안정성 및 효율성을 제공한다.

Claims (6)

  1. 위상배열안테나에 있어서,
    복수개의 위상변위기를 집적화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현한 배열소자모듈과;
    상위 제어기에서 상기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는 각 위상변위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가되는 고정제어신호와 제어 대상의 위상변위기를 선택하는 어드레스 신호, 위상 제어 데이터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인터페이스되는 고정 제어신호, 어드레스 신호 및 위상 제어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여 신호의 충돌 및 유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버퍼;
    상기 버퍼를 통해 인가되는 상위 제어기의 고정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위상 제어 데이터를 타이밍 데이터로 생성하여 ROM 데이터로 저장하며,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출력하여 각 위상변위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위상을 결정하는 초기 위상 결정부;
    상위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고정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에 따라 제어부에 저장된 타이밍 데이터를 읽어들여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ROM 데이터로 저장되는 타이밍 데이터는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대상 위상변위기가 선택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열소자모듈을 구성하고 있는 각 위상변위기의 변위 시간 및 초기 위상 펄스에 대한 에러 체크 신호를 상위 제어기에 인터페이스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부 프로그램의 변경이 가능하고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FPGA로 구성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밍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 배열소자모듈를 구성하고 있는 위상변위기를 그룹으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위 제어기에서 인가되는 고정 제어신호는 셋팅된 위상 제어 데이터를 '0'으로 리셋시키는 신호(RRG);
    위상 제어 데이터를 셋팅시키는 신호(EWR2);
    위상변위기의 셋 혹은 리셋 동작모드를 선택시키는 신호(PWR);
    위상변위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Start);
    복수개의 위상변위기중 제어 대상을 지정하는 신호(WRRG);
    위상변위기의 동작 구간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EOP)가 포함되는 배열모듈 구동장치.
KR1020040038873A 2004-05-31 2004-05-31 배열모듈 구동장치 KR10056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873A KR100563927B1 (ko) 2004-05-31 2004-05-31 배열모듈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873A KR100563927B1 (ko) 2004-05-31 2004-05-31 배열모듈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771A KR20050113771A (ko) 2005-12-05
KR100563927B1 true KR100563927B1 (ko) 2006-03-23

Family

ID=3728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873A KR100563927B1 (ko) 2004-05-31 2004-05-31 배열모듈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90A1 (ko) * 2018-01-18 2019-07-2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41B1 (ko) * 2017-09-05 2018-06-21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이득 위상 변위기
KR101865612B1 (ko) * 2017-09-05 2018-06-11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이득 위상 변위기
WO2019050098A1 (ko) 2017-09-05 2019-03-1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이득 위상 변위기
KR102010409B1 (ko) * 2017-12-12 2019-10-21 한국과학기술원 광 위상배열 안테나에 대한 인가전압 결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90A1 (ko) * 2018-01-18 2019-07-2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42686B2 (en) 2018-01-18 2022-05-24 Dongwoo Fine-Chem Co., Ltd. Film antenna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771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9164B2 (en) Phased array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directivity of a beam-formed signal
CN100592106C (zh) 利用互补发射接收波束场型进行微波成像的系统和方法
US3775769A (en) Phased array system
US4307613A (en) Electronically focused ultrasonic transmitter
JP5165694B2 (ja) アンテナ・アレイの偏波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JP4404277B2 (ja) 多次元トランスデューサ・アレイ装置
US5307085A (en) Display apparatus having shift register of reduced operating frequency
JP2019502311A (ja) セルを駆動するための分散直接駆動装置
EP2187477A1 (en) Frequency scanning antenna
EP0600715A2 (en) Active transmit phased array antenna
KR100563927B1 (ko) 배열모듈 구동장치
CN102813530A (zh) 驱动二维换能器阵列的设备和方法、医学成像系统
US4215584A (en) Method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ltrasonic beams using ultrasonic transducer element array
CN102751592A (zh) 多波束天线阵列及多波束天线
KR20220156011A (ko) 메타물질 무선 주파수(rf) 안테나를 위한 전기적 어드레싱
GB2402215A (en) Bridge circuits and drive signals for ultrasonic transducers
EP0132378A2 (en) Multiple beam scanning radar system
US7741997B1 (en) Multiple-beam phased array with switchable element areas
KR100586705B1 (ko) 위상배열안테나의 빔 조향 제어장치
WO2007057476A1 (en) Frequency scanning antenna
KR100563928B1 (ko) 다채널 위상변위기의 구동장치
KR20230040568A (ko) 전송효율 달성을 위한 수신전력 기반 빔 스캐닝 알고리즘을 갖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H03244203A (ja) 電子走査アンテナ
CN109381218B (zh) 一种三维超声成像方法及装置
US20230168371A1 (en) Ultrasound im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