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721B1 -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 Google Patents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721B1
KR100563721B1 KR1020030058422A KR20030058422A KR100563721B1 KR 100563721 B1 KR100563721 B1 KR 100563721B1 KR 1020030058422 A KR1020030058422 A KR 1020030058422A KR 20030058422 A KR20030058422 A KR 20030058422A KR 100563721 B1 KR100563721 B1 KR 10056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arm
center hinge
inner diameter
protrusions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455A (ko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72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와 상기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삽설되는 사이드힌지아암의 좌,우측 외경부에 환형돌부를 형성하므로써 센터힌지아암의 내경부와 사이드힌지아암의 환형돌부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상부폴더와 하부폴더 사이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폴더의 하단에 돌설된 센터힌지아암과, 상기 센터힌지아암이 삽입되어 축설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폴더의 상단에 돌설된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의 대향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돌설되어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에 삽설되는 좌, 우측환형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제 1,2 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부에 삽설되도록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의 일단에 각각 돌설된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제 3, 4 돌기를 돌설하되, 단말기가 오픈상태일 때, 상기 제 1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과 제 3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 및 제 2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과 제 4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을 대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부폴더와 하부폴더 사이의 틈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2, 3, 4 돌기의 높이는 센터힌지아암의 내경에서 좌측환형돌부 또는 우측환형돌부의 외경을 뺀 치수의 1/2 이하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2, 3, 4 돌기는 러버재질로 형성하고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재로 각각 센터힌지의 내경부와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부착한다.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상부폴더, 하부폴더, 힌지결합부, 센터힌지아암, 좌측 사이드힌지아암, 우측 사이드힌지아암, 좌측 환형돌부, 우측 환형돌부, 제 1,2, 3, 4돌기

Description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hinge part of foleder typ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외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힌지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외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힌지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에서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좌,우측 환형돌부가 축결합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110 : 상부폴더 111 : 센터힌지아암
120 : 하부폴더 121 : 좌측 사이드힌지아암 121-1 : 좌측 환형돌부
122 : 우측 사이드힌지아암 122-1 : 우측 환형돌부 130 : 힌지결합부
140-1 : 제 1 돌기 140-2 : 제 2 돌기 140-3 : 제 3 돌기 140-4 : 제 4 돌기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와 상기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삽설되는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최소화하므로써 단말기가 오픈상태일 때, 상기 상부폴더와 하부폴더 사이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방지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폴더(10)와 하부폴더(20) 및 힌지결합부(30)로 대별되며, 상기 상부폴더(10)와 하부폴더(20)는 힌지결합부(3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일정각도 회동되어 단말기가 닫힘 및 열림상태가 되었다.
상기 힌지결합부(30)는 상부폴더(1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센터힌지아암(11)과, 상기 센터힌지아암(11)이 삽입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폴더(20)의 상단부에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설된 좌측 사이드힌지아암(21)과 우측 사이드힌지아암(21)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21,22)의 대향되는 각각의 일단에는 센터힌지아암(11)의 양측 내경부에 축방향으로 삽설되도록 각각 좌측환형돌부(21-1) 및 우측환형돌부(22-1)가 돌설되었다.
따라서, 상기 센터힌지아암(11)은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21,22) 사이에 삽입시, 상기 센터힌지아암(11)의 양측 내경부로 좌,우측 환형돌부(21-1,22-1)가 각각 축방향으로 삽설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폴더(10)와 하부폴더(20)는 힌지결합부(30)를 회동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회동하여 단말기(1)를 닫거나 개방하게되었다.
이때, 상기 단말기(1)를 개방한 상태는 상부폴더(10)와 하부폴더(20)가 힌지결합부(30)를 회동축으로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이며, 이는 또한 통화가능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는 상기 하부폴더(2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쥐어진 상태로 고정상태이며, 반대로 상부폴더(10)는 화살표"A" 방향으로 흔들림현상이 발생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 사용시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폴더(10)의 회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센터힌지아암(11)의 내경"D1"을 좌,우측 환형돌부(21-1,22-1)의 각각의 외경"D2"보다 크게 형성하므로써, 상기 센터힌지아암(11)의 내경"D1"과 좌측환형돌부(21-1)의 외경"D2" 및 우측환형돌부(22-1)의 외경"D2" 사이에는 발생되는 간격에 의하여, 단말기(1)를 개방한 상태(또는 통화상태)에서 상부폴더(10)가 일정간격 내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흔들리게된다.
이와같은 상부폴더의 흔들림은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된 통화상태 및 자세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 히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와 그에 삽설되는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에 각각 일정높이의 돌기를 형성하되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내경부에 돌설한 돌기와 좌, 우측 환형돌부의 외경에 돌설한 돌기의 선단면이 대접되도록 하여 단말기를 사용시 상부폴더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폴더의 하단에 돌설된 센터힌지아암과, 상기 센터힌지아암이 삽입되어 축설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폴더의 상단에 돌설된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의 대향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돌설되어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에 삽설되는 좌, 우측환형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제 1,2 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부에 삽설되도록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의 일단에 각각 돌설된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제 3, 4 돌기를 돌설하되, 단말기가 오픈상태일 때, 상기 제 1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과 제 3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 및 제 2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과 제 4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을 대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부폴더와 하부폴더 사이의 틈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2, 3, 4 돌기의 높이는 센터힌지아암의 내경에서 좌측환형돌부 또는 우측환형돌부의 외경을 뺀 치수의 1/2 이하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2, 3, 4 돌기는 러버재질로 형성하고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재 로 각각 센터힌지의 내경부와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부착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4,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외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힌지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에서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좌,우측 환형돌부가 축결합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3, 4,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폴더(110)와 하부폴더(120) 및 힌지결합부(130)로 대별되며, 상기 상부폴더(110)와 하부폴더(120)는 힌지결합부(130)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일정각도 회동되어 단말기가 닫힘 및 열림상태가 된다.
상기 힌지결합부(130)는 상부폴더(11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센터힌지아암(111)과,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이 삽입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폴더(120)의 상단부에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설된 좌측 사이드힌지아암(121)과 우측 사이드힌지아암(121)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121,122)의 대향되는 각각의 일단에는 센터힌지아암(111)의 양측 내경부에 축방향으로 삽설되도록 각각 좌측환형돌부(121-1) 및 우측환형돌부(122-1)가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양측단 내경부의 소정위치에는 각각 일정높이의 제 1,2 돌기(140-1,140-2)를 돌설하고, 상기 좌,우측 환형돌부(121-1,122-1)의 외경부의 소정부위에는 각각 일정높이의 제 3, 4 돌기(140-3, 140-4)를 돌설한다.
이때, 상기 제 1 돌기(140-1)의 돌출단의 선단면과 제 3 돌기(140-3)의 돌출단의 선단면 그리고 제 2 돌기(140-2)의 돌출단의 선단면과 제 4 돌기(140-4)의 돌출단의 선단면은 상부폴더(110)를 일정각도 회동하여 단말기(1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호 대접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 1, 2, 3, 4 돌기(140-1,140-2, 140-3, 140-4)의 높이는 센터힌지아암(111)의 내경"D3"에서 좌측환형돌부(121-1) 또는 우측환형돌부(22-1)의 외경"D4"을 뺀 치수의 1/2 이하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2, 3, 4 돌기(140-1,140-2, 140-3, 140-4)는 러버재질로 형성하여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제 (미도시)로 각각 센터힌지아암(111)의 내경부와 좌,우측 환형돌부(21-1, 22-1)의 외경부의 소정부위에 각각 부착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결합부(130)를 회전축으로하여 하부폴더(120)에서 상부폴더(110)를 일정각도 회동하여 단말기(10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단말기(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부폴더(110)와 하부폴더(120)의 사이각은 통상적으로 135°가된다.
이와같이 단말기(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4,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센터힌지아암(111)의 좌측단 내경부에 돌설된 제 1 돌기(140-1)의 돌출단의 선단면과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좌측단 내경부에 삽설된 좌측환형돌부(121-1)의 외경부에 돌설된 제 3 돌기(140-3)의 돌출단의 선단면이 대접되고, 동시에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우측단 내경부에 돌설된 제 2 돌기(140-2)의 돌출단의 선단면과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우측단 내경부에 삽설된 우측환형돌부(122-1)의 외경부에 돌설된 제 4 돌기(140-4)의 돌출단의 선단면이 대접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 1 돌기(140-1)는 제 3 돌기(140-3)에 적층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돌기(140-2)는 제 4 돌기(140-4)에 적층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 1 돌기(140-1)와 제 3 돌기(140-3) 또는 제 2 돌기(140-2)와 제 4 돌기(140-4)의 적층높이"H"와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내경"D3"에서 상기 좌측환형돌부(121-1) 또는 우측환형돌부(122-1)의 외경"D4"를 뺀 "D5"와같다.
상기 "D5"는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내경과 상기 좌측환형돌부(121-1) 또는 우측환형돌부(122-1)의 외경 사이의 최대 유격거리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기(140-1)가 제 3 돌기(140-3)에 적층되고 동시에 상기 제 2 돌기(140-2)가 제 4 돌기(140-4)에 적층되므로써, 상기 제 1, 2, 3, 4 돌기(140-1,140-2, 140-3, 140-4)에 따른 상기 센터힌지아암(111)의 좌,우측 내경부의 상,하측부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좌측환형돌부(121-1)의 외경부 또는 우측환형돌부(122-1)의 외경부의 상,하측부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되지않게된다.
이와같은 힌지결합부(130)의 결합상태에 의하여 단말기(100)를 개방하고 사 용자가 하부폴더(120) 만를 쥔 상태에서 상부폴더(110)는 화살표"C" 방향과 같이 좌우로 일정량 회동되지 않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형성한 돌기와 상기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삽설되는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형성한 돌기가 상하로 적층되여,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와 상기 상부폴더의 센터힌지아암의 양측 내경부에 삽설되는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상부폴더 사이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므로써 단말기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폴더의 하단에 돌설된 센터힌지아암과, 상기 센터힌지아암이 삽입되어 축설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폴더의 상단에 돌설된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의 대향면에 각각 일체형으로 돌설되어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에 삽설되는 좌, 우측환형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에 있어서;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제 1,2 돌기를 돌설하고, 상기 센터힌지아암의 양측단 내경부에 삽설되도록 좌,우측 사이드힌지아암의 일단에 각각 돌설된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각각 일정높이로 제 3, 4 돌기를 돌설하되, 단말기가 오픈상태일 때, 상기 제 1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과 제 3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 및 제 2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과 제 4 돌기의 돌출단 선단면을 대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상부폴더와 하부폴더 사이에 발생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 돌기 각각의 높이는 센터힌지아암의 내경에서 좌측환형돌부 또는 우측환형돌부의 외경을 뺀 치수의 1/2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4 돌기는 러버재질로 형성하고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재로 각각 센터힌지의 내경부와 좌,우측 환형돌부의 외경부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KR1020030058422A 2003-08-22 2003-08-22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KR10056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422A KR100563721B1 (ko) 2003-08-22 2003-08-22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422A KR100563721B1 (ko) 2003-08-22 2003-08-22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455A KR20050020455A (ko) 2005-03-04
KR100563721B1 true KR100563721B1 (ko) 2006-03-28

Family

ID=3722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422A KR100563721B1 (ko) 2003-08-22 2003-08-22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7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455A (ko)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71288A (zh) 具有旋转显示单元的移动通信终端
US6963766B2 (en)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 terminal
JP2000054719A (ja) ヒンジ・アセンブリ
US6104916A (en) Hinge pin
KR20050122551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563721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결합부
JP436696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384472Y1 (ko) 곡선 슬라이드형 휴대전화 단말기
US20090137292A1 (en) Recessed hinge
WO2010047012A1 (ja) 折り畳み式携帯電子機器
JP2005093219A (ja) 外部端子構造
JP3709312B2 (ja) ヒンジ部隠蔽キャップ、ヒンジ構造及びヒンジ部隠蔽キャップを備えた折り畳み型携帯通信機
KR100233170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100496967B1 (ko)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WO2010064339A1 (ja) 折り畳み式携帯電子機器
KR100529784B1 (ko) 가변 힌지부를 구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JP3678671B2 (ja) 携帯電話無線機のカバー収納構造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485069B1 (ko)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KR200348124Y1 (ko) 힌지 장치
KR100713855B1 (ko) 다기능 휴대기기
JP2006066679A (ja) カバー構造
KR200189133Y1 (ko) 접이식 붐타입 이어 마이크로폰
KR10060874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368176Y1 (ko) 이어마이크의 회전형 커버를 갖는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