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522B1 -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522B1
KR100563522B1 KR1020037013623A KR20037013623A KR100563522B1 KR 100563522 B1 KR100563522 B1 KR 100563522B1 KR 1020037013623 A KR1020037013623 A KR 1020037013623A KR 20037013623 A KR20037013623 A KR 20037013623A KR 100563522 B1 KR100563522 B1 KR 10056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connecting device
rack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758A (ko
Inventor
네자트 쿨라코굴루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9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기어 캐비닛(1)의 모듈 랙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7)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장치(7)는 하우징(10)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직육면체의 분리 콘택 피이스(24)가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10)의 경면대칭적인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17, 18)는 한편으로는 이동가능한 분리 콘택 피이스용 유입개구(22)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케이블용 케이블 유입구(23)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블 유입구(23)는 하우징(10) 내에 있는 분리 콘택 피이스(24)를 고정 단자(12)와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장치(7)는 저가로 제조될 수 있고 낮은 전력 또는 낮은 정격전류를 갖는 모듈 랙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A MODULE RACK OF A LOW-VOLTAGE SWITCHGEAR CABINET}
본 발명은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길게 뻗은 케이블용 고정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모듈 랙은 스위치기어의 프레임 내에 배치된 랙 바닥상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절연물로 이루어진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모듈 랙과 상호작용하는 분리 콘택 피이스를 갖는다.
상기 방식의 연결장치는 예컨대 EP 0 695 470 B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연결장치는 모듈 랙과 큐비클 버스바(cubicle busbar)를 연결시키기 위한 도체 레일 및 모듈 랙의 출력부를 고정 단자와 연결시키기 위한 도체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단자에는 사용자 회로쪽으로 이어지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본 발명은 단지 고정 단자와 모듈 랙의 출력부의 연결만을 다루며 이를 위해서 특히 비교적 낮은 정격전류용으로 적합하고 고정 단자의 배열에 있어서 확실한 유연성을 달성하는 해결책을 추구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간단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저가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급적 간단한 부품들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요구들은, 각각의 분리 콘택 피이스가 고정 단자쪽으로 이어지는 연결 케이블용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 단자쪽으로 이어지는 개별 케이블용 연결장 치의 하우징이 케이블 유입구를 가짐으로써 함께 충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리 콘택 피이스와 단자 간의 고정된 공간적 관계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이한 길이의 연결 케이블을 분리 콘택 피이스 및 단자와 연결시킴으로써 스스로 상기와 같은 상이한 관계용으로 맞는 연결장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의 하우징을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은, 하우징이 경면대칭적인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를 가짐으로써 낮아지는데, 상기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는 분리 콘택 피이스, 이동가능한 분리 콘택 피이스용 유입개구 및 각각의 하우징 절반부쪽으로 이어지는 케이블 유입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 조립시에 발생하는 오류가 실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연결 케이블의 순서에 따른 고정은 상기 케이블 유입구에 의해 보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분리 콘택 피이스가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연결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나사를 위한 관통 홀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가 단지 하나의 홀 만을 갖는 통상의 프로필 재료의 섹션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가 직육면체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내에서의 조립 및 고정이 쉬워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은 분리 콘택 피이스용 지지부재로서 직육면체 형태에 매칭된 하우징 절반부의 홈을 가질 수 있으며 추가적인 지지부재로서 하우징의 분리면에 이르며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 리브(rib)를 가질 수 있다.
전기적이고 기계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우징 절반부가 하우징을 분리 콘택 피이스를 수용하는 개별 챔버로 분할하기 위해서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가지며, 또한 분리벽의 열 내에 슬리브형 확장부가 배치되는데, 상기 슬리브형 확장부는 양 하우징 절반부의 결합시 폐쇄되는 연결 부재 또는 고정 부재용 관통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랙 바닥 및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유니트를 도시하며,
도 3 및 도 4는 후측 케이블 유입구 및 이동가능한 분리 콘택용 유입개구를 볼 수 있는, 연결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의 하우징 절반부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1)은 공지된 바대로 프레임(2)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2)은 수직 프레임 부재(3),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메인 버스바(main busbar)(4) 및 수직 큐비클 버스바(cubicle busbar)(5)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3)에는 지지부로서의 랙 바닥(6), 그리고 자체 공지된 적합한 모듈 랙(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가이드 수단이 고정되며, 상기 모듈 랙의 후면에는 분리 콘택들이 제공된다.
상기 랙 바닥(6) 간의 간격은, 두 개의 랙 바닥(6) 사이에 있는 공간을 모듈 랙의 높이에 맞추기 위해서 상이하다. 비교적 낮은 랙 칸이 도 1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두 개의 랙 바닥(6) 사이에 형성되며, 이 정도만으로도 상응하는 낮은 정격 전류용 모듈 랙을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특히 적합한 연결장치(7)에 대해서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랙 칸 위에 위치한 랙 칸은 높은 전력의 모듈 랙용으로 제공되며, 상기 랙 칸은 높은 전력 또는 높은 정력전류에 매칭된 다른 연결장치(8)-본 출원의 대상이 아님-와 상호작용한다.
도 1의 오른쪽 전방에 있는 수직 프레임 부재(3)는 케이블 연결 공간(9)의 내부를 더 보여주기 위해서 끊어진 상태로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연결 공간(9)은 랙 바닥의 측면에서 프레임(2) 보다 위로 연장된다. 사용자 회로쪽으로 이어지는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블 연결 공간(9) 내부로 연결장치(7 및 8)의 단자가 돌출한다.
랙 바닥(6) 및 연결장치(7)로 이루어진 유니트가 도시된 도 2를 보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7)는 하우징(10), 연결 케이블(11) 및 고정 단자(20)를 포함한다. 상기 랙 바닥(6)은 측면 에지(13)를 가지며, 상기 측면 에지(13)는 작동위치 및 분리위치나 검사위치에서 모듈 랙을 로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 하나의 위치 연결 링크(14)를 갖는다. 상기 랙 바닥(6)의 측면에는 크로스빔(crossbeam)(15)이 설치되며, 상기 크로스빔(15)의 단부에는 고정 링크(16)가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크로스빔(15)은 연결 블록으로서 형성된 단자(12)의 지지부로서도 사용된다.
상기 연결장치(7)의 하우징(10)은 두 개의 경면대칭적인 하우징 절반부(17 및 18)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 절반부(17 및 18)는 한편으로는 측면 돌출부(19)를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리세스(20)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19) 및 리세스(20)가 서로 매칭됨으로써 하우징 절반부(17 및 18)의 상호간의 방향설정 및 중심설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직각 지지부(21)에 의해서 랙 바닥(6)의 후방 에지에 고정되는데, 이때 유입개구(22)가 모듈 랙(도시되지 않음)에 존재하는 (이동가능한) 분리 콘택 피이스와 정반대편에 놓인다. 상기 하우징(10)의 반대편에 놓인 (후방) 부분에는 연결 케이블(11)(도 1 및 도 2에 도시됨)용 케이블 유입구(23)가 배치된다. 상기 유입개구 및 케이블 유입구(22)는 하우징 절반부(17 및 18)에 의해 각각 그 절반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7)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는데, 여기서는 하부 하우징 절반부가 별도로 도시되고 특히 삽입된 분리 콘택 피이스(24)가 제공된다.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4개의 분리 콘택 피이스(3개의 위상 도체 및 하나의 중성 도체)-이 중 3개가 도시됨-를 수용할 정도의 치수를 갖는다. 각각의 분리 콘택 피이스(24)에 있어서 각각의 하우징 절반부(17 및 18)에는 홈(26) 형상의 지지 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24)는 하우징(10) 내에 횡방향으로 놓인 리브(2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홈(26)은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24)의 직육면체 형상에 상응하여 매끄러운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은 분리벽(28)에 의해서 각각 하나의 분리 콘택 피이스(24)를 포함하는 챔버로 분할된다. 두 개의 외부 분리벽(28)의 열 내에 슬리브형 확장부(29)가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형 확장부(29)는 동심의 함몰부(30) 및 동심의 돌출부(31)를 갖는다. 하우징 절반부(17 및 18)의 결합시 상기 함몰부(30)와 돌출부(31)가 서로 맞물리고 리벳(rivet)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를 위한 폐쇄된 관통부를 형성한다.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24)는 케이블 유입구(23)쪽으로 향한 단부 지점에 연결 케이블(도 2, 11)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연결나사용 관통개구(25)를 갖는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7)는 분리 콘택 피이스(24)의 측면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전방 섹션이 이동가능한 분리 콘택 피이스의 결합을 위해 연결나사를 구비한 연결 케이블(11)의 단부를 포함하는 후방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능도 갖는다. 이로 인해 분리벽(28)의 배열상태와 마찬가지로 연결장치의 기계적이고 전기적으로 안전한 형상을 보장된다. 고정 단자(12)의 배열은 확실히 가변적이다. 소정의 위치에 따라서 짧은 연결 케이블이 사용되거나 긴 연결 케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1)의 모듈 랙을 길게 뻗은 케이블용 고정 단자(12)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7)로서, 상기 모듈 랙이 상기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프레임(2) 내에 배치된 랙 바닥(6)상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연결장치(7)가 절연물로 이루어진 하우징(1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모듈 랙과 상호작용하는 분리 콘택 피이스(24)를 갖도록 구성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리 콘택 피이스(24)가 고정 단자(12)쪽으로 이어지는 연결 케이블(11)용 연결 수단을 가지며, 상기 연결장치(7)의 하우징(10)이 상기 단자(12)쪽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연결 케이블(11)에 대해서 케이블 유입구(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7)의 하우징(10)이 두 개의 경면대칭적인 하우징 절반부(17, 18)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 절반부(17, 18)는 분리 콘택 피이스(24)용 지지 부재, 이동가능한 분리 콘택 피이스용 유입 개구(22) 및 각각의 하우징 절반부에 대한 케이블 유입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24)가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연결 수단으로서 연결 케 이블(11)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 나사용 관통 홀(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24)용 지지 부재가 직육면체에 매칭된 하우징 절반부(17, 18)의 홈(26)으로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10)의 분리면에 이르며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된 추가의 리브(27)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절반부(17, 18)가 상기 분리 콘택 피이스(24)를 수용하는 개별 챔버로 하우징(10)을 분할하기 위하여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28)을 가지며, 상기 분리벽(28)의 열 내에 슬리브형 확장부(29)가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형 확장부(29)는 상기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17, 18)의 결합시 연결부재 또는 고정부재를 위한 폐쇄된 관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20037013623A 2001-04-20 2002-04-05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 KR100563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50140.9 2001-04-20
EP01250140A EP1251612B1 (de) 2001-04-20 2001-04-20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Geräteeinschub eines Niederspannungs-Schaltfeldes
PCT/DE2002/001346 WO2002087036A1 (de) 2001-04-20 2002-04-05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geräteeinschub eines niederspannungs-schaltfel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758A KR20030090758A (ko) 2003-11-28
KR100563522B1 true KR100563522B1 (ko) 2006-03-27

Family

ID=818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623A KR100563522B1 (ko) 2001-04-20 2002-04-05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251612B1 (ko)
KR (1) KR100563522B1 (ko)
CN (1) CN1268049C (ko)
AT (1) ATE511232T1 (ko)
DE (1) DE10291772D2 (ko)
UA (1) UA73853C2 (ko)
WO (1) WO2002087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1731A1 (de) * 2011-04-01 2012-10-04 Igel Elektronik Gmbh Vorrichtung zum Sanftanlauf
CN112087909A (zh) * 2019-06-13 2020-12-15 广东海坤电气实业有限公司 一种内部空间高效利用的电气柜
CN111509611B (zh) * 2020-04-27 2021-05-04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电缆过渡箱的修换方法
FR3129040A1 (fr) * 2021-11-10 2023-05-12 Speedinnov Armoire électrique, notamment pour un véhicule ferroviai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6376A5 (en) * 1979-08-08 1988-07-15 Schweizer Ag Karl Drawer inset for modular control appts. - has vertical cable shaft defined by aligned cut=outs in base of each insert
DE29505257U1 (de) * 1995-03-28 1995-07-06 Kloeckner Moeller Gmbh Laststromstecker einer Niederspannungs-Schalt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1612A1 (de) 2002-10-23
KR20030090758A (ko) 2003-11-28
WO2002087036A1 (de) 2002-10-31
EP1251612B1 (de) 2011-05-25
CN1268049C (zh) 2006-08-02
DE10291772D2 (de) 2004-04-15
UA73853C2 (en) 2005-09-15
CN1500302A (zh) 2004-05-26
ATE511232T1 (de)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28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모듈화 단자 및 이를 장착한 배선용차단기
RU2420845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09494570B (zh) 低压配电板
US5008493A (en) Holder with busbars for a busbar system
EP1975966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interlocking phase barrier therefor
EP3454436A1 (en) Compartment-partitioning and busbar-supporting device in a cabinet for a low voltage electrical switchboard
MX2007012516A (es) Recinto electrico y conjunto interior para el mismo.
US20070274061A1 (en) Connection module for a power switch
JP4925974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引出形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及び端子装置の相間絶縁板
KR100563522B1 (ko) 저전압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모듈 랙을 위한 연결장치
CA2196444A1 (en) Electrical distribution equipment
US11114824B2 (en) Prefabricated support for a rack-mountable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such a support
US3510729A (en) Circuit breaker mounting arrangement
EP1130683A1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WO1996024941A1 (en)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for high ampere-circuit breaker
KR100607393B1 (ko) 모듈 랙을 포함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을 위한 연결장치
JP3520796B2 (ja) 端子装置および分電盤
US4602312A (en) Control bus device
MXPA01011738A (es) Soporte de interruptor de circuito y ensamble de interruptor de circuito.
JP3843675B2 (ja) 多極開閉器の端子ユニット
CN113412004A (zh) 用于低压和中压应用的电气开关设备
UA74863C2 (en) Contact device for detachable connection of a mobile appliance unit to a fixed conductor rail
CN215645623U (zh) 配电箱外壳及配电箱组
RU2806084C1 (ru) Улучшенный четырехполюсный выходной штепсельный узел
CN107591262B (zh) 控制与保护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