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753B1 -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753B1
KR100561753B1 KR1020050109300A KR20050109300A KR100561753B1 KR 100561753 B1 KR100561753 B1 KR 100561753B1 KR 1020050109300 A KR1020050109300 A KR 1020050109300A KR 20050109300 A KR20050109300 A KR 20050109300A KR 100561753 B1 KR100561753 B1 KR 10056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wer
current
polarity
blow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영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to KR102005010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의 극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의 극성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류의 극성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상이한 경우에 고장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고장 발생 정보를 상위 검출장치 또는 변전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단말기에서 고장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단말기에서 전력구 출입구의 송풍팬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지중 전력구의 고장위치를 실시간을 통해 신속하게 검출 및 색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력구, 변전소, PLC 모뎀, 송배전 선로, 전등라인

Description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etecting Faults of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구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출입구의 송풍팬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3a는 고장위치를 검출한 후에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송풍팬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송풍팬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선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에 의하여 전류의 극성 변화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고장위치 없을 경우에 변류기가 감지한 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고장위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변류기가 감지한 극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배전 선로의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원공급부 12: PLC 모뎀부
14: 통신제어부 16: 제어부
18: 메모리부 20: 입력부
22, 22a-22g: 변류기 24: 송풍팬 가동부
100, 100a-100c: 검출장치
200: 변전소 202: 단말기
B1-B6: 송풍팬 L: 조명용 전등라인
M: 중성선 P: 전력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 선로의 전력구 구조물 내에 매설된 송배전 선로의 사고발생 지점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파악할 수 있는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거리로 전력을 송전하기 위하여 발전소로부터 변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수용가까지 해당 규격의 전력선이 연결되고, 이러한 전력선은 지상에 설치된 철탑이나 변대주 등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지상에 설치되는 철탑이나 변대주의 경우에는 위치 확보의 문제가 있고, 더욱이 철탑이나 변대주에 가설되는 전력선 등도 미관 문제와 위험성의 노출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심에서는 지상 및 공중에 설치되는 전력선을 지하, 즉 지중에 구조물로서 전력구를 형성한 후에 전력선을 배선함으로서 상기의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었다. 상기 전력구는 송배전선의 지중화를 위한 구조물로서 지하에 전력공급용 전선이나 통신용 케이블 등을 관로나 파이프 등에 매설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수 Km 이상의 전력구(공동구 포함)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사고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해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력구 내에 산소농도의 부족과 더불어 사고발생에 의해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농도가 높아 전력구 내부를 장시간동안 강제로 환풍시켜 전 구간의 전력구 내를 환기시킨다. 따라서 소정 시간 동안 환기가 이루어지면 전력구 내의 전체 산소농도와 메탄가스의 농도를 확인한 후에 사고발생 지점에 대하여 원인 규명이 될 때까지 해당하는 사고위치를 검출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사고위치에 대한 검출과 원인이 규명된 후에 본격적인 복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중 전력구 내에 매설된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실시간을 통해서 검출해내고, 해당 고장위치에 근접되게 위치한 송풍팬을 작동시켜 전력구 내에 신선한 공기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사고구간을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 내에 매설된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고장위치를 검출해내는 단말장치가 전력구 내에 배선된 조명용 전등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고, 그리고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상위 및 하위의 변전소 또는 단말장치들과 통신을 위한 통신라인으로 사용하여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중성선에 흐르는 고장전류의 흐름이나 크기와는 무관하게 변류기의 극성만을 판단하여 고장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의 극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의 극성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류의 극성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상이한 경우에 고장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고장 발생 정보를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상위 검출장치 또는 변전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단말기에서 고장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단말기에서 각 고장위치 검출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각 고장위치 검출장치는 변전소 단말기의 제어신호로 각 전력구 출입구의 송풍팬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 내에 설치된 조명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조명용 전등라인이 구비되고, 전력 공급을 위한 송배전 선로가 지중에 매설된 전력구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전등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검출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모뎀부;
상기 PLC 모뎀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제어하고, 검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감지된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전력구의 출입구에 장착된 송풍팬을 제어부의 제어로 정·역회전시키는 송풍팬 가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전력선이 내부 및 외부의 환경에 의하여 지락이나 단락 또는 단선 등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고장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고, 감지된 극성 변화를 판단하여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상위 검출장치 및 변전소에 전력선 통신을 함으로써, 고장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해내고, 이와 동시에 고장 위치와 근접한 전력구 출입구의 송풍팬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동시키고, 다른 출입구의 송풍팬은 내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동시킴으로서 고장 위치의 빠른 색출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지하의 구조물로서 전력구(P)에는 전력선, 예를 들어 송배전 선로가 매설되고,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M)에 일정 간격으로 변류기(22a-22c)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변류기(22a-22c)는 고장위치 검출장치(100a-100c)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검출장치는 전력구(P) 내에 배선된 조명용 전등라인(L)에 연결되어 구동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력구(P) 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콘센트 등으로부 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변류기(22a-22c)는 교류의 큰 전류에서 그것에 비례하는 작은 전류를 얻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변류기를 통해 전류의 극성만을 이용한다.
그리고 조명등 전등라인(L)은 변전소(200)의 단말기(202)에 연결되어 있다. 단말기(202)는 고장위치 검출장치(100)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변전소와 변전소 사이의 전력선 통신이나 변전소와 복수의 고장위치 검출장치 사이의 전력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복수의 고장위치 검출장치는 각각의 식별을 위한 고유ID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고장위치 검출장치는 직접 변전소의 단말기로 자신의 고유ID로서 자신의 위치 및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고장위치 검출장치는 상위 검출장치를 거쳐 변전소의 단말기로 자신의 고유ID와 함께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고장위치 검출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전원공급부(10)는 조명용 전등라인(L)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검출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조명용 전등라인(L)은 전력구(P) 내부를 조명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것으로, 조명등 전등라인(L)에는 콘센트 등이 연결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10)는 조명용 전등라인(L)에 연결되어 검출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모뎀부(12)는 상기 조명용 전등라인(L)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PLC 모뎀부(12)는 전력선, 즉 조명등 전등라인(L)을 매개로 하여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4)는 상기 PLC 모뎀부(12)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16)는 상기 통신제어부(14)로부터 송수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제어하고, 검출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내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고, 전력선 통신을 포함하여 변류기(22)로부터 입력된 전류극성을 메모리부(18)에 저장하는 등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적용된다.
메모리부(18)는 상기 제어부(16)로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메모리부(18)는 각종의 ROM이나 RAM 등이 적용된다. 메모리부(18)에는 해당하는 고장위치 검출장치의 고유ID나 중성선(M)에서 현재 감지된 전류 극성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입력부(20)는 상기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M)에 설치된 변류기(22)로부터 감지된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여 제어부(16)로 출력하는 것이다.
더욱이 검출장치(100)에는 송풍팬 가동부(24)가 연결되어 있고, 송풍팬 가동부(24)에는 전력구 출입구에 설치된 송풍팬(B)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즉 검출장치(100)의 제어부(16)는 변전소 단말기(202)로부터 송풍팬(B)의 구동에 관한 제어신호를 PLC 모뎀부(12) 및 통신제어부(14)를 통하여 수신한 다음에 송풍팬 가동부(24)를 제어하여 송풍팬(B)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송풍팬 가동부(24)는 검출장치(100)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변전소 단말기(202)의 제어에 의해서 일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변전소 단말기(202)가 해당 검출장치의 고장위치를 수신하여 인식하면, 해당 검출장 치와 근접한 숭풍팬과 다른 송풍팬을 제어하여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변전소 단말기(202)에는 전력구 출입구에 설치된 송풍팬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력구(P) 내에 배선된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M)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변류기(22)로부터 중성선(M)에 흐르는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고(S10), 이렇게 감지된 전류의 극성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가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부(18)에 저장한다(S11). 즉 전류의 극성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중성선(M)에 설치된 변류기(22d-22g)는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의 극성이 각각 (+) 및 (-)로 형성되므로 해당하는 검출장치(100)는 변류기(22d-22g)로부터 이를 감지하여 메모리부(18)에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감지된 극성의 변화가 있는지를 입력부(20)를 통해 변류기(22)로부터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메모리부(18)에 저장된 극성에 관한 정보와 비교 판단하게 되고(S12), 만약 도 4b와 같이 중성선(M)이 지락이나 단락 또는 단선 등에 의하여 변류기(22e)와 변류기(22f) 사이에 고장이 발생되면, 변류기(22e)와 변류기(22f)는 입력단과 출력단이 동일한 극성을 검출하게 되어 제어부(16)는 고장 발생 정보를 생성한다(S13).
상기 제어부(16)에서 생성된 고장 발생 정보는 통신제어부(14)를 통해 PLC 모뎀(12)에서 정보 데이터로 변환하여 조명등 전등라인(L)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정보 데이터는 고장을 감지한 검출장치(100)의 고유ID와 함께 상위 검출장치 또는 변전소(200)의 단말기(202) 명령에 따라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S14). 정보 데이터의 송신은 고장위치를 검출한 검출장치가 상위 검출장치로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면, 이를 수신한 상위 검출장치는 하위 검출장치의 정보 데이터와 자신의 고유ID(또는 일련번호)를 포함하여 다시 상위 검출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직접 변전소(200)의 단말기(202)가 해당하는 검출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 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변전소(200)의 단말기(202)에서 고장위치 검출장치(100)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고장위치를 인식하게 되고, 이를 사이렌 등으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경광등을 구동시켜 관리자(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S15). 이때 단말기(202)는 고장이 발생한 위치를 가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기나 문자 등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자(또는 작업자)는 실시간을 통해 고장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도 3a와 같이, 고장위치를 검출한 후에 변전소(200)의 단말기(202)는 전력구(P) 내의 출입구에 설치된 송풍팬(B1-B6)이 가동되도록 조명등 전등라인(L)을 통해 전력선 통신으로 각 검출장치(100)로 명령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검출장치(100)는 수신된 명령신호에 따라 송풍팬 가동부(24)를 제어하여 연결된 송풍팬(B)을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킨다. 이때 변전소의 단말기(202)는 고장위치를 검출한 초기에는 고장위치를 검출한 장치와 그렇지 않은 장치를 각각 구별하여 송풍팬(B)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장위치를 검출한 장치의 송풍팬(B)은 해당 전력 구 출입구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른 검출장치의 송풍팬(B)들은 외부의 공기가 전력구 출입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가동시킨다(S16). 따라서 고장위치의 검출 이후, 전력구(P) 내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검출장치(100a-100c)의 제어부(16)는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은 고장위치로부터 발생된 화재가 전력구(P)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전력구 내의 화재발생 여부에 따른 송풍팬의 가동은 고장위치의 검출과는 별도로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설치된 경우에도 화재발생에 따른 송풍팬을 제어부의 제어로 가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고장위치가 검출된 후에 설정된 시간동안 각 검출장치에서 송풍팬을 설정된 방향으로 가동시켜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가 배출 또는 투입되도록 한 다음에, 도 3b와 같이, 변전소(200)의 단말기(202)는 고장위치를 검출한 검출장치와 가장 근접한 하나 이상의 송풍팬(B3)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전력구(P)의 출입구로 강하게 투입되도록 하고, 다른 출입구의 송풍팬(B1, B2, B4-B6)은 전력구(P)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동시킨다. 따라서 전력구(P) 내부의 공간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이나 메탄가스 등을 배출시키고, 특히 고장위치에 해당하는 출입구로는 외부 공기의 흡입으로 희박해져 있는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전력구(P) 내부로 투입되어 작업구간, 즉 고장위치의 색출을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전력구(P) 전 구간에 걸쳐 가스나 산소의 농도를 확인하지 않고 검출된 고장위치에 해당하는 출입구에만 가스나 산소의 농도를 확인하면 된다. 그러므로 전력구(P) 내부의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공기 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작업자의 작업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팬의 가동은 변전소 단말기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검출장치의 제어부에서 송풍팬 가동부를 제어함으로서 이루어지지만, 송풍팬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설정시간이나 회전방향의 변경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또는 작업자)가 전력구(P) 내부에 투입된 공간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투입되는 동안 다른 출입구에는 작업시간 동안 여유 있게 내부의 정체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관리자(또는 작업자)는 검출장치에서 검출된 고장위치를 색출해내기 위하여 검출장치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만 색출작업을 수행하여도 된다(S17).
이와 같이 변전소(200)의 단말기(202)가 고장위치 검출장치로부터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전력선 통신으로 송수신한 정보 데이터로 최소화된 고장위치 범위에 의하여 색출작업이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장위치가 색출된 후에 고장의 원인 규명 및 원상복구가 이루어지면 변전소의 단말기 및 각 검출장치는 리셋상태가 되어 고장위치의 감시상태로 전환되고, 가동 중인 송풍팬의 가동은 중지된다.
더욱이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조명용 전등라인(L1-L3)이 전력구(P) 내에서 변전소와 변전소 또는 변전소와 검출장치 사이에 복수로 연결된 경우에는 고장위치 검출장치에는 PLC 리피터(Repeater)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LC 리피터(Repeater)는 전력선 통신을 위한 조명용 전등라인에서 전송신호를 증폭시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전송거리를 확장시켜 주는 것이다. 즉 복수의 조명용 전등라인(L1-L3)이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하는 변전소 또는 검출장치의 신호는 다른 변전소나 검출장치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때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는 지중 구조물로서 전력구 내에 배선된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변류기가 설치되고, 변류기는 고장위치 검출장치로 전류의 극성 정보를 제공하며, 검출장치는 조명등 전등라인을 통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력선 통신으로 변전소의 단말기의 명령에 따라 송수신하도록 하고, 고장위치에 해당하는 전력구의 출입구에 설치된 송풍팬을 가동시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 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투입되도록 하여 고장위치 색출을 위한 전력구 내의 작업 편의를 제공하며, 보다 신속한 고장위치의 색출을 도모할 수 있어 고장위치 색출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수용가에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의 극성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변류기에서 감지된 전류의 극성이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류의 극성과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상이한 경우에 고장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고장 발생 정보를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상위 검출장치를 거쳐 변전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단말기에서 고장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변전소 단말기에서 각 고장위치 검출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각 고장위치 검출장치는 변전소 단말기의 제어신호로 각 전력구 출입구의 송풍팬을 가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장위치 검출장치에서 생성하는 고장 발생 정보에는 고장 발생을 검출한 장치의 ID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을 검출한 검출장치와 근접한 출입구의 송풍팬은 초기에 전력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동시키고, 다른 출입구의 송풍팬은 외부의 공기가 전력구 내부로 흡입되도록 가동시키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고장 발생을 검출한 검출장치와 근접한 출입구의 송풍팬은 전력구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되도록 가동시키고, 다른 출입구의 송풍팬은 전력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방법.
  4. 전력구 내에 설치된 조명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조명용 전등라인이 구비되고, 전력 공급을 위한 송배전 선로가 지중에 매설된 전력구에서의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전등라인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검출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조명용 전등라인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모뎀부;
    상기 PLC 모뎀부의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
    상기 통신제어부로부터 송수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제어하고, 검출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송배전 선로의 중성선에 설치된 변류기로부터 감지된 전류의 극성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전력구의 출입구에 장착된 송풍팬을 제어부의 제어로 정·역회전시키는 송풍팬 가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전등라인이 다를 경우에 검출장치에는 PLC 리피터(Repeater) 기능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 위치 검출 장치.
KR1020050109300A 2005-11-15 2005-11-15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056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300A KR100561753B1 (ko) 2005-11-15 2005-11-15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300A KR100561753B1 (ko) 2005-11-15 2005-11-15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753B1 true KR100561753B1 (ko) 2006-03-15

Family

ID=3717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300A KR100561753B1 (ko) 2005-11-15 2005-11-15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25B1 (ko) 2006-08-22 2007-11-09 주식회사 동명전력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4454B1 (ko) 2009-03-10 2011-09-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측기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495A (ko) * 1996-07-24 1998-04-30 유기범 통신구 집중 관리 시스템의 보조 장치에 있어서 감시 및 제어 방법
KR980013476A (ko) * 1996-07-24 1998-04-30 유기범 통신구 집중 관리 시스템의 원격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 remotest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in a CATMS)
JP2000292475A (ja) 1999-03-31 2000-10-20 Miwa Electric Co Ltd 地中分岐送電線の地絡事故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35014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전력공사 고장표시기와 고장전류값을 함께 고려한 배전계통고장구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44575A (ko) * 2002-11-21 2004-05-31 (주)맥컴정보기술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495A (ko) * 1996-07-24 1998-04-30 유기범 통신구 집중 관리 시스템의 보조 장치에 있어서 감시 및 제어 방법
KR980013476A (ko) * 1996-07-24 1998-04-30 유기범 통신구 집중 관리 시스템의 원격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 remotestation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in a CATMS)
JP2000292475A (ja) 1999-03-31 2000-10-20 Miwa Electric Co Ltd 地中分岐送電線の地絡事故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35014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전력공사 고장표시기와 고장전류값을 함께 고려한 배전계통고장구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44575A (ko) * 2002-11-21 2004-05-31 (주)맥컴정보기술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25B1 (ko) 2006-08-22 2007-11-09 주식회사 동명전력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4454B1 (ko) 2009-03-10 2011-09-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계측기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935B1 (ko) 스마트 화재 관리 시스템
US7515058B2 (en) Carbon monoxide detector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561754B1 (ko)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CN101837736B (zh) 一种电力机车供电系统漏电流检测方式及装置
CN104715580A (zh) 自校准式gis室内六氟化硫气体泄漏监测报警系统
KR20200045860A (ko)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CN105225375A (zh) 实时提示的消防疏散系统和方法
CN106223775B (zh) 一种跨越消防分区方法、装置及系统
KR100561753B1 (ko) 지중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09249A (ko) 가로등 및 그 선로의 원격감시 시스템
KR101643317B1 (ko) 공동주택의 원격 소방 점검 시스템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CN207867309U (zh) 一种地下泵房报警装置及系统
KR102254007B1 (ko) 특고압 지중 배전선로의 위치 감시 장치
KR200462647Y1 (ko) 고장상태를 알리는 보안등 점멸기
KR101023787B1 (ko) 대피 유도등 그룹 제어 시스템
KR20230152928A (ko) 송배전 선로의 고장위치 검출 방법
CA2688274A1 (e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device parameters
CN207049027U (zh) 一种潜水泵连续运行性能监控装置
KR102271905B1 (ko) 소방차량용 원격 정비관리 시스템
KR102361372B1 (ko) IoT 통합모듈 분전반을 통한 스마트시티 전지역 통합 네트워크 관제 시스템
KR200293217Y1 (ko) 가로등 원격제어장치
CN101861028A (zh) 一种路灯故障检测装置、方法和路灯信号发射装置
KR200346966Y1 (ko) 조명등 선로구간 누전지점 표시장치
KR100803379B1 (ko) 가로등 분전함용 감시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