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117B1 -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117B1
KR100560117B1 KR1020050124763A KR20050124763A KR100560117B1 KR 100560117 B1 KR100560117 B1 KR 100560117B1 KR 1020050124763 A KR1020050124763 A KR 1020050124763A KR 20050124763 A KR20050124763 A KR 20050124763A KR 100560117 B1 KR100560117 B1 KR 10056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egment
width
fenc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준
Original Assignee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원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된 가로수나 꽃을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의 구획 폭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정착하기 위한 앵커(11a)가 구비되고 상단에 연결 조립을 위한 내입요부를 갖는 하부 세그먼트(11)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11)로부터 일정 높이 연설(連設)되기 위해 양 단이 내입형 요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세그먼트(12)와, 상기 최상단의 중간 세그먼트(12)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끝을 마감하는 상부 세그먼트(13)를 포함하는 포스트부재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마주하는 각 세그먼트(11)(12)(13) 사이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결합돌부(14a)를 갖고, 편심 일측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14)가 개재되며; 상기 포스트부재의 각 세그먼트(11)(12)(13)와 연결구(14)의 내부에, 구성간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보강심재(15)가 개재되고; 동일한 위상을 갖는 각 연결구(14)의 나사결합부에, 다수의 링크 조합에 의해 식재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이 구획되며, 그 구획 폭은 링크 간의 회절작동에 의해 가변되는 폭 구획 및 가변수단(20);이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식재, 울타리, 앵커,

Description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Good transformation planting protection f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의 구성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하부 세그먼트 11a: 앵커
12: 중간 세그먼트 13: 상부 세그먼트
14: 연결구 14a: 결합돌부
15: 보강심재 20: 폭 구획 및 가변수단
21: 이음구 22: 폭 링크
23: 회절구
본 발명은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된 가로수나 꽃을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의 구획 폭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매연을 정화하기 위해 도로와 인접하는 인도에 가로수나 꽃을 식재하게 된다.
이러한 식물들은 식재 위치상 사람이나 차량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를 설치하게 되는데, 통상의 보호 울타리는 단순히 나무를 가공하여 각재로 만든 임시용이 대부분이고 또한 못을 박아 일정한 틀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구조가 취약하여 쉽게 망실되거나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무의 크기나 꽃의 무리가 다양할 경우 구획하기 위한 폭을 일정하게 정할 수 없어 각기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재된 가로수나 꽃을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의 구획 폭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정착하기 위한 앵커가 구비되고 상단에 연결 조립을 위한 내입요부를 갖는 하부 세그먼트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로부터 일정 높이 연설(連設)되기 위해 양 단이 내입형 요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세그먼트와, 상기 최상단의 중간 세그먼트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끝을 마감하는 상부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포스트부재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마주하는 각 세그먼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결합돌부를 갖고, 편심 일측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가 개재되며;
상기 포스트부재의 각 세그먼트와 연결구의 내부에, 구성간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보강심재가 개재되고;
동일한 위상을 갖는 각 연결구의 나사결합부에, 다수의 링크 조합에 의해 식재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이 구획되며, 그 구획 폭은 링크 간의 회절작동에 의해 가변되는 폭 구획 및 가변수단이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폭 구획 및 가변수단은,
각 연결구에 나사결합하는 연결 이음구와,
상기 연결 이음구와 암수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제 2연결 이음구와,
일단이 상기 제 2연결 이음구에 연결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폭 링크, 및
위상이 같은 폭 링크의 각 타측단을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식재식물의 보호공간이 구획되어지는 회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의 설치상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의 구성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의 결합상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며,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재공간 구획을 위한 울타리설비에서 뼈대역할을 하는 포스트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부재는 하나의 일체형이 아닌 다수의 구성이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조립부재이다.
즉, 상기 포스트부재는 지면 상에 정착하기 위한 앵커(11a)가 구비되고 상단에 연결 조립을 위한 내입요부를 갖는 하부 세그먼트(11)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11)로부터 일정 높이 연설(連設)되기 위해 양 단이 내입형 요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세그먼트(12)와, 상기 최상단의 중간 세그먼트(12)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끝을 마감하는 상부 세그먼트(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세그먼트(12)의 조합개수는 식재종류, 설치장소, 나무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마주하는 각 세그먼트(11)(12)(13)의 내입요부에 끼워 연결되는 결합돌부(14a)를 갖고, 편심 일측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14)가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부재의 각 세그먼트(11)(12)(13)와 연결구(14)의 내부에, 구성간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보강심재(15)가 개재되어, 포스트부재의 각 세그먼트(11)(12)(13)와 연결구(14)의 조합구조와 함께 울타리를 위한 하나의 버팀대가 완성되며, 이러한 구조의 버팀대는 최소 2개가 한 쌍이 된다.
한편, 동일한 위상을 갖는 각 연결구(14)의 나사결합부에, 다수의 링크 조합에 의해 식재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이 구획되며, 그 구획 폭은 링크 간의 회절작동에 의해 가변되는 폭 구획 및 가변수단(20)이 마련되는데,
상기 폭 구획 및 가변수단(20)은 각 연결구(14)에 나사결합하는 연결 이음구(21)와, 상기 연결 이음구(21)와 암수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제 2연결 이음구(21a)와, 일단이 상기 제 2연결 이음구(21a)에 연결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폭 링크(22)와, 위상이 같은 폭 링크(22)의 각 타측단을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식재식물의 보호공간이 구획되어지는 회절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부재의 중간 세그먼트(12)의 소요개수를 정한 다음 연결구(14)를 각 세그먼트(11)(12)(13) 사이에 개재시키고, 보강심재(15)를 끼워 넣음으로서, 하나의 포스트(10)를 완성한다.
이러한 포스트(10)에 위상이 같은 연결구(14)와 연결구(14)에 연결 이음구(21)를 설치하고, 각 제 2연결 이음구(21a)에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폭 링크(22)를 연결한 다음 회절구(23)를 각각 조립하게 되면 울타리의 폭이 완성됨과 동시에 상기 폭 링크(22)의 회절에 의해 좁혀지거나 넓어질 수 있도록 원하는 위치가변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한,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간단한 조립만으로 울타리가 완성되기 때문에 숙련공이 아닌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해체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관 유지가 유리하고, 무엇보다 울타리의 공간 폭을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어 식재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적용범위가 넓다.

Claims (2)

  1. 지면 상에 정착하기 위한 앵커(11a)가 구비되고 상단에 연결 조립을 위한 내입요부를 갖는 하부 세그먼트(11)와, 상기 하부 세그먼트(11)로부터 일정 높이 연설(連設)되기 위해 양 단이 내입형 요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세그먼트(12)와, 상기 최상단의 중간 세그먼트(12)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끝을 마감하는 상부 세그먼트(13)를 포함하는 포스트부재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고;
    마주하는 각 세그먼트(11)(12)(13) 사이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결합돌부(14a)를 갖고, 편심 일측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14)가 개재되며;
    상기 포스트부재의 각 세그먼트(11)(12)(13)와 연결구(14)의 내부에, 구성간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보강심재(15)가 개재되고;
    동일한 위상을 갖는 각 연결구(14)의 나사결합부에, 다수의 링크 조합에 의해 식재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이 구획되며, 그 구획 폭은 링크 간의 회절작동에 의해 가변되는 폭 구획 및 가변수단(2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 구획 및 가변수단(20)은
    각 연결구(14)에 나사결합하는 연결 이음구(21)와;
    상기 연결 이음구(21)와 암수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연결 이음구(21a)와;
    일단이 상기 제 2연결 이음구(21)에 연결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폭 링크(22)와;
    위상이 같은 폭 링크(22)의 각 타측단을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식재식물의 보호공간이 구획되어지는 회절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KR1020050124763A 2005-12-16 2005-12-16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KR100560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763A KR100560117B1 (ko) 2005-12-16 2005-12-16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763A KR100560117B1 (ko) 2005-12-16 2005-12-16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117B1 true KR100560117B1 (ko) 2006-03-10

Family

ID=3717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763A KR100560117B1 (ko) 2005-12-16 2005-12-16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1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357A (ja) * 2000-06-14 2001-12-26 Mitsuhiro Kakizaki 簡易自在フェンス
JP2003184351A (ja) * 2001-12-12 2003-07-03 Sankyo Alum Ind Co Ltd フェンス
JP2004162360A (ja) * 2002-11-13 2004-06-10 Koshii Preserving:Kk 柵構造
KR100520884B1 (ko) * 2005-02-25 2005-10-11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울타리용 식생 조경화분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357A (ja) * 2000-06-14 2001-12-26 Mitsuhiro Kakizaki 簡易自在フェンス
JP2003184351A (ja) * 2001-12-12 2003-07-03 Sankyo Alum Ind Co Ltd フェンス
JP2004162360A (ja) * 2002-11-13 2004-06-10 Koshii Preserving:Kk 柵構造
KR100520884B1 (ko) * 2005-02-25 2005-10-11 주식회사 무이 이엔지 건축사 사무소 공동주택 울타리용 식생 조경화분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2030A (en) Fence post module
US51195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dscape edging
CA1262610A (en) Building structure and components thereof
US7444788B2 (en) Extruded permanent form-work for concrete
EP0267909B1 (en) Building structures
EP0981948B1 (de) Begrenzungsmauer, insbesondere für Beeteinfassungen, Frübeete, Abgrenzungen in Garten- und Grünanlagen oder dergleichen
EP2729631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three dimensional upwardly convex frame
US5117607A (en) Sectional hollow metal pole structure
US10774519B2 (en) Fortified radial arch structure
KR100509408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EP0016353A1 (de) Bauelementensatz zur Errichtung von Raumgitterkonstruktionen
KR100560117B1 (ko) 건축용 가변형 식재 보호 울타리
WO2014100855A1 (en) Modular fence comprising self-closing gate
KR101072007B1 (ko)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US20070283659A1 (en) Modular truss system
KR20110051712A (ko) 인공지반 녹화용 보행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133758A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지주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
KR100590403B1 (ko)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1293718B1 (ko) 도시계획단지 조경용 가로수 보호대 설치구조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WO2021012016A1 (en) Module for drainage and method of assembly
KR20090060687A (ko) 펜스고정장치
CA2298319C (en) Extruded permanent form-work for concrete
WO2014164537A1 (en) Custom lightweight wall or fence
KR101990548B1 (ko) 벽면보강 조립식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