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443B1 -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443B1
KR100559443B1 KR1019990057127A KR19990057127A KR100559443B1 KR 100559443 B1 KR100559443 B1 KR 100559443B1 KR 1019990057127 A KR1019990057127 A KR 1019990057127A KR 19990057127 A KR19990057127 A KR 19990057127A KR 100559443 B1 KR100559443 B1 KR 10055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oil
anticorrosive
corros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817A (ko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5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4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8Monitoring fou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에다 히트(HT)를 구비한 냉각수조(61)와 냉각수 순환펌프(60)를 통해 유량계(FM)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유량계(FM)에 pH 측정기(91)와 부식도 측정센서(100)를 통해 상기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를 연결 설치한 구성으로 공장냉각수 방식제의 품질평가지수로서 온도 및 유량변화와 일정한 pH조건하의 수질환경조건을 측정하되, 방식제가 투입된 냉각수조(61)내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방식제의 온도를 구하고, 유량계(HT)로 유량변화, pH 측정기(91)로 pH를 측정하여 측정된 방식제의 온도, 유량변화, pH의 수질환경조건 하에서 부식도 및 청결도를 연속측정하여 시험함으로써 방식제의 방식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전위차계를 사용한 1차 실험후 현장적용에 앞서 현장 조업조건을 모사 실험하므로서 성능 부적합의 사용위험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짧은 시간동안에 현장조업상의 여러 수질조건에 대한 조업시험을 수행함으로서 적정 조업조건을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식제의 개발 또는 적용등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냉각수, 방식제, 스케일장해, 슬라임장해.

Description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Deposit test method of cooling water and its apparatus}
도 1은 종래 전기화학적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는 종래 열교환기 모사 냉각수 침적도 모니터링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한 열교환기 모사 냉각수 침적도 모니터링장치의 구성
도,
도 4는 본 발명 냉각수 침적도 시험장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화학적 부식도 측정용 전위차계 실험장치
2 : 전위차계 3 : 시험용액
4 : 표준전극 5 : 시편전극
6 : 보조전극 7 : 회전장치
8 : 접촉로드 9 : 가스퍼징관
10 : 표준브리지관 20 ; Dats 침적도측정장치
21 : 입구블록 22 : 입구온도센서
23 : 히터블록 24 : 히터블록 온도센서
25, 35 : 부식시편 배관
30 : 전기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
31 : 카트리지 히터 40 : 냉각수 순환관
51 : 냉각수 입구측 온도센서 52 : 냉각수 출구측 온도센서
53 : 히터표면 온도센서 60 : 냉각수 순환펌프
61 : 냉각수조
70 :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
80 : 오일중탕조 81 : 오일 열매체 순환관
82 : 오일입구온도 83 : 오일출구온도
84 : 오일냉각기 85 : 오일 저장조
86 : 오일순환펌프 87 : 유량제어밸브
88 : 오일유량계 89 : 온도계
91 : pH측정기 100 : 부식도 측정센서
본 발명은 공장냉각수 배관의 부식억제를 위해 투입하는 방식제의 농도 또는 방식제의 종류별로 부식도 및 스케일생성 거동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므로서 공장냉각수의 현장조건을 모사하여 방식제의 품질평가를 수행하는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각을 주용도로 하는 공업용수는 값이 저렴하고 냉각효율이 양호하며 손쉽 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산업분야에서 공정설비 냉각을 위한 수단으로 냉각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급격한 용수 수요의 증대를 가져와 급기야 공업용수의 부족현상을 초래하게 되면서 재순환 사용량이 점차 증대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용수부족 및 재순환 사용량의 증대는 냉각수의 급격한 수질저하를 가져오게 하였으며, 공장냉각수계에 있어서 1)부식장해, 2)스케일장해, 그리고 3)미생물에 의한 슬라임장해를 유발하여 설비의 정상가동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냉각수 부식 및 스케일과 관련된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인자들에 의해 일어나는 바, 설비 및 배관재료의 종류, 조업조건 등이나 냉각수의 pH, 용존산소량, 경도, 온도 또는 유속 등과 이를 고려하여 선정되는 방식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방식제의 선정과정에서 현장적용에 앞서 현장조건을 모사하여 방식제의 품질특성을 평가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통상 냉각수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화학적 반응이 수반되면서 전류흐름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 전류의 흐름을 간접적인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써 부식속도를 측정하고 있다. 따라서 방식제의 성능평가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간접적인 전기화학적 부식도측정 실험방법을 기반으로 현장조건을 모사실험하므로서 방식제의 특성을 비교분석, 평가하고 있다.
부식도를 측정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는 전위차계(Potentiostat)와 부식셀( Corrosion Cell)로 구성된 전기화학적 부식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전위구동 분극저항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Resistance)을 측정하는 방법과 분극곡선을 측정한 다음 태펠(Tafel) 외삽법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간접방법을 활용하여 부식도를 측정하는 경우 현장조건으로서 냉각수 배관의 유속조건을 모사하기 위해 열교환기 유속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회전장치(Rotator)를 사용하여 시편을 일정속도로 회전 시키면서 부식속도를 측정하여 평가하기도 한다.
우선 첫번째 분극저항의 측정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전기화학적 부식도측정장치를 사용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2는 전위차계, 3은 시험용액, 4는 표준전극, 5는 시편전극, 6은 보조전극, 7은 회전장치, 8은 접촉로드, 9는 가스퍼징관, 10은 표준브라운관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STM G59에 명기된 방법으로 전위차계(2 ; Potentiostat)를 사용하여 시험용액(3)에 표준전극(4), 카운트(counter)전극과 함께 삽입한 시편전극(5)의 전위를 부식전위 보다 -30mV 음극전위에서 +30mV 양극전위까지 일정속도(0.6V/hr)로 스캔(scan)하여 전위(E)-전류밀도(I) 곡선을 구한다. 이때 분극저항 Rp 는 E=Ecorr에서
Rp = (
Figure 111999016960866-pat00001
E /
Figure 111999016960866-pat00002
I )
로 정의되며, 부식전류 Icorr는 다음의 Stern-Geary Equation 에 의해
Icorr = baㆍbc / 2.303 Rp(ba + bc )
분극곡선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여기서, ba, bc 는 각각 양극과 음극 태펠(Tafel)상수이다.
둘째 분극곡선 측정방법은 ASTM G5에 명기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한 전위 차계(2 ; Potentiostat)를 사용하여 시험용액(3)에 표준전극(4), 카운트(counter)전극과 함께 삽입된 시편전극(5)의 전위를 부식전위(Ecorr)에서 일정속도(0.6V/hr)로 양극 또는 음극방향으로 스캔(Scan)하여 E(전위)-I(전류밀도) 곡선을 얻고, 부식전위에서 최소 50mV이상 벗어난 지점에서 직선의 태펠(Tafel) 영역이 생기는데 여기서의 접선과 부식전위의 교점이 부식전류 Icorr가 되며, 이러한 부식율 측정방법을 태펠(Tafel) 외삽법이라고 한다.
세번째 방법은 국부부식에 대한 민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방법으로 ASTM G61에 명기된 또다른 방법은 분극곡선 측정방법(ASTM G5)의 양극분극 시험방법과 같으나 양극 스캔(scan)시 일정한 전위 또는 전류에 도달하면 스캔(Scan)방향을 바꾸면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공식(Pitting)부식 경향을 측정하는 방안으로 제안되었다.
이상에서 나타낸 실험실적 전기화학적 순간부식도 측정방법과 같은 원리하에서 현장조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순간부식도 측정방법으로는 미국 Rohrback Cosasco사 Corrator Probe가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주로 현장에 설치된 평균부식도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된 쿠폰시편의 대체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공장냉각수 배관내에 침적가능한 물질은 매우 다양하며, 부식에 의하여 계내에서 생성되거나 먼지나 수용성 가스등과 같은 불순물을 포함한 공기나 오일과 같은 공정의 오염 또는 원수중에 용해되어 있거나 부유상태의 무기물질들이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금속표면에 침전 고착되는 스케일과 미생물 점액에 의한 파울링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침적물들 즉, 칼슘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용존이온들은 온도, pH 등과 같은 수질조건에 따라 석출되어 배관표면에 난용성염을 형성하여 부착되면서 절연효과로 냉각효율을 떨어 뜨리거나 관로 축소에 따라 내부압력상승, 유량저하 등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 또는 파울링에 기인한 설비장애를 사전에 모니터링하여 대비하는 것은 냉각수 수질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침적물로 인한 설비장애의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로서 열교환기 시험배관을 대상으로 많은연구자들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들이 제안되어 왔으며, 도 2a에 표시된 Bridger Scientic사의 상용화 "Dats deposit monitoring 시스템"의 경우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25) 외부에다 히팅블록(23)을 설치하여 일정열량의 전기에너지로 가열하면서 입구블록(21)에 설치한 입구온도센서(22)로 측정한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25) 외벽 오염전후의 초기 냉각수온도와 일정면적의 배관면에 일정 열량의 에너지를 가하여 가열하면서 나타나는 배관내벽과 외벽사이의 온도차로부터 계산한 총괄 열전달계수(HTRtotal)값을 설계 열전달계수(Udesign)에 대한 효율로서 청결도( cleanliness)를 정의하여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HTRtotal = A(Tblock - Twater)Heat
여기서 HTRtotal = 총괄 열전달저항[Watt/m2 - ℃]-1
A = 배관 외표면적[m2]
Tblock = 히터블록온도[℃]
Twater = 냉각수 온도[℃]
Heat = 가열열량[Watts]
Fouled HTR (HTRfouled) = (1/Udesign) + DATSTMHTR
Ufouled = 1 / HTRfouled
% 청결도(Cleanliness) = Ufouled/Udesign ×100
그러나 도 2a에 도시한 Dats 침적도 모니터링 시스템(20)의 경우 시스템자체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순수하게 냉각수로 전달시키는 관점에서는 상당한 잇점을 갖고 있으나, 시험시편에 대한 침적과정의 육안관찰이 불가능하고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25) 또한 해체가 어려우며, 시험전후 시험시편의 상태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단점으로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또 다른 형태의 전기카트리지 히터형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ats 침적도 모니터링 시스템과는 달리 냉각수를 부식시편 배관(35)과 그 외부에 유리재질의 냉각수 순환관(40)을 설치한 2중관형으로 냉각수를 부식시편 배관(35) 외부로 흘려보내면서 부식시편 배관(35) 내부에서 카트리지 히터(31)를 이용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가열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부식시편 배관(35) 외표면상에 냉각수중 함유된 염화물의 석출, 침 적 또는 부식상태를 관찰하면서 일정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침적물(deposit)의 생성으로 인한 단열효과에 기인하여 나타나는 입출구 온도변화를 측정하여 Dats시스템과 같은 원리하에 침적물 생성전후의 총괄 열전달계수값을 구하여 그 비로서 청결도(Cleanliness)를 구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그러나 본 시스템의 경우 외열식 블록형을 채택 국부가열 방식을 채택한 Dat s 시스템과는 달리 부식시편 배관(35) 내부에 카트리지 히터(31)를 설치하여 부식시편 배관(35) 접촉 면적상의 냉각수를 간접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바, 카트리지 히터(3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부식시편 배관(35)에 일정한 발열량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입출구면에서 일정한 온도차를 갖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전기 카트리지 히터(31)와 부식시편 배관(35) 사이 간격의 발생은 이 틈새 및 접촉 플랜지(Flange)를 통한 열손실로 총괄 전열계산에 사용되는 전열량의 일부분이 냉각수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 또한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각수처리설비의 배관은 여러종류의 재질이 사용되지만 통상 저탄소강 강관(carbon steel ; C : 0.18% 이하, Si : 0.35% 이하, Mn : 0.3∼0.5%, P : 최대 0.035%, S: 최대 0.035%)재질이 많이 사용된다. 이들 냉각수 배관은 냉각수중 방식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부식속도는 50~150mmd(0.24~ 0.72mm/year)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그러나 방식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냉각수계에서 탄소강의 평균부식속도는 10mmd(0.048mm/year) 이하로 관리하는 것을 통상 목표로 하고 있다.
그에 따라 냉각수계의 배관부식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방식제는 많은 종류등 이 상품화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품의 다양성은 수질조건에 따라 부식 및 파울링 억제효과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공장냉각수 부식억제를 위해 투입하는 방식제의 농도, 또는 방식제의 종류별로 부식도 및 스케일생성 거동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므로서 공장냉각수의 현장조건을 모사하여 방식제의 품질평가를 수행하는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장치는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에다 히터(HT)를 구비한 냉각수조(61)와 냉각수 순환펌프(60)를 통해 유량계(FM)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유량계(FM)에 pH 측정기(91)와 부식도 측정센서(100)를 통해 상기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를 연결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는 냉각수 순환관(40) 내에 부식시편 배관(35)을 삽입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부식시편 배관 (35) 내에 오일열매체 순환관(81)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오일열매체 순환관( 81)의 오일출구측에 오일 냉각기(84)를 통해 오일 저장조(85)를 연결하며, 상기 오일 저장조(85)에다 오일순환펌프(86)와 유량제어밸브(87) 및 오일유량계(88)를 차례로 거쳐 오일 중탕조(80)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오일중탕조(80)에 오일열매체 순환관(81)의 오일입구측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은 공장냉각수 방식제의 품질평가지수로서 온도 및 유량변화와 일정한 pH조건하의 수질환경조건을 측정하되, 방식제가 투입된 냉각수조(61)내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방식제의 온도를 구하고, 유량계(FM)로 유량변화, pH 측정기(91)로 pH를 측정하여 측정된 방식제의 온도, 유량변화, pH의 수질환경조건 하에서 부식도 및 청결도를 연속측정하여 시험함으로써 방식제의 방식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장냉각수 배관의 부식억제를 위해 투입하는 방식제의 품질평가를 위해 냉각수 수질조건하에서 방식제의 종류 및 농도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침적물 및 부식도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 4 에 나타낸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공장냉각수의 현장조건을 모사, 시험하므로서 방식제의 부식 및 파울링 억제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수질조건 및 방식제의 종류에 따른 침적물 및 부식도의 연속측정을 위한 장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냉각수계의 현장 공정조건으로서 유량 및 온도조건을 모사하기 위한 가열용 히터(HT)를 포함하고 있는 냉각수조(61)와 냉각수 순환펌프(60), 유량계(FM), 그리고 수질분석기기로서 pH 측정기(91) 부식도 및 침적물거동의 연속분석을 위한 장치로서 Corrator형 순간 부식도 측정센서(100)와 오일 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한 열교환기 모사 냉각수 침적도 모니터링장치의 구성
도로서, 도 2b에 나타낸 전기 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모니터링 시스템(30)에서 전기 카트리지 히터(31) 특성상 가지는 길이방향 발열량의 균일화와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35) 표면온도 측정상의 오차등을 해소하고자 전기 카트리지 히터(31) 대신에 오일 열매체 순환관(81)를 대체 설치함으로서 오일 열매체 순환관(81)으로 오일을 순환시켜 오일순환 특성에 따른 온도균일 특성에 따라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35) 표면의 길이방향 온도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수질특성으로서 부식시편 배관(35) 표면상에 고온석출물의 석출 및 부식시편 배관(35)의 표면상 육안관찰을 통해서도 어느정도 부식거동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식시편 배관(35)을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한 후 무게를 평량하게 되면, 측정기간동안의 평균부식도 및 침적율을 또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상 냉각수 수질모니터링 부식시편 배관(35)을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에 장착한 후 냉각수를 순환펌프(60)를 사용 순환시켜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상의 냉각수 순환관(40)으로 순환 공급함과 더불어 오일 또한 오일순환펌프(86)를 사용하여 오일저장조(85)로부터 오일중탕조( 80)로 수송 공급하면서 일정온도까지 급속 승온하여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35) 내부에 장착된 오일 열매체 순환관(81)에 일정한 온도조건으로 연속적으로 순환공급하게 된다. 이때 오일의 온도는 특정 열량을 갖도록 오일중탕조(80)에서 사전에 설정한 수치까지 승온하게 되고, 부식시편 배관(35) 순환과정에서의 온도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오일유량계(88) 및 유량제어밸브(87)를 연동시켜 결정한 유속으로 오일을 순환시키므로서 냉각수 부식시편 배관(35) 내 오일열매체 순환관(81) 내에서 의 온도편차를 최소화 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침적도(deposit ratio)를 시험을 통해 연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실시 예
상기한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 냉각수 침적도 시험장치(Bench Scale 수질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제철소 A공장 냉각수처리설비의 부식도를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에 나타낸 냉각수처리설비의 부식도 조사결과는 유속 약 1.5m/sec, 24hr측정시 부식도에 대한 4회 측정결과를 평균한 데이타로서 현장조업결과와 비슷한 부식도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pH값이 4이하인 산성영역의 수질은 통상 부식성향을 나타내며, 부식형태 또한 균일부식 거동을 나타내지만 pH값이 5이상 영역의 경우 침적(deposit) 성향으로 이행되게 되며 부식성향 또한 균일부식이 아닌 국부부식(localized corrosion)형태를 나타내어 핏팅부식등의 부식 성향이 관찰된다.
현재 실험실적 수질분석시스템의 경우 침적도에 대한 청결도 및 국부부식에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반면 본 발명의 장치를 활용하는 경우 수질관리기준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침적도 및 Corrator Probe를 이용한 핏팅성향도를 측정가능한 바 국부부식 또한 온라인(On-Line)으로 측정,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수질조건에 따라 방식제의 방식특성 또한 파악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분석항목 a공장 현장 분석자료 Lab Test Bench Test 비고
PH 6.5 좌동 좌동
전기전도도 (㎲/㎝) 1330
M-알카리도 CaCO3 ppm 34
염소이온, ppm as Cl 101
Ca-경도 CaCO3 ppm 114
Fe(Total) 3.04
약품농도 30ppm
부식도, mdd 75.6 68 76
청결도, % 8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식제의 종류 및 농도별 방식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전위차계를 사용한 1차 실험후 현장적용에 앞서 현장 조업조건을 모사 실험하므로서 성능 부적합의 사용위험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짧은 시간동안에 현장조업상의 여러 수질조건에 대한 조업시험을 수행함으로서 적정 조업조건을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식제의 개발 또는 적용등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에다 히터(HT)를 구비한 냉각수조( 61)와 냉각수 순환펌프(60)를 통해 유량계(FM)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유량계(FM)에 pH 측정기(91)와 부식도 측정센서(100)를 통해 상기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를 연결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카트리지 히터형 침적도 측정장치(70)가 냉각수 순환관(40) 내에 부식시편 배관(35)을 삽입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부식시편 배관 (35) 내에 오일열매체 순환관(81)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오일열매체 순환관(81)의 오일출구측에 오일 냉각기(84)를 통해 오일 저장조(85)를 연결하며, 상기 오일 저장조(85)에다 오일순환펌프(86)와 유량제어밸브(87) 및 오일유량계(88)를 차례로 거쳐 오일 중탕조(80)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오일중탕조(80)에 오일열매체 순환관(81)의 오일입구측을 연결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장치.
  3. 공장냉각수 방식제의 품질평가지수로서 온도 및 유량변화와 일정한 pH조건하의 수질환경조건을 측정하되, 방식제가 투입된 냉각수조(61)내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방식제의 온도를 구하고, 유량계(FM)로 유량변화, pH 측정기(91)로 pH를 측 정하여 측정된 방식제의 온도, 유량변화, pH의 수질환경조건 하에서 부식도 및 청결도를 연속측정하여 시험함으로써 방식제의 방식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KR1019990057127A 1999-12-13 1999-12-13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KR10055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27A KR100559443B1 (ko) 1999-12-13 1999-12-13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27A KR100559443B1 (ko) 1999-12-13 1999-12-13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817A KR20010055817A (ko) 2001-07-04
KR100559443B1 true KR100559443B1 (ko) 2006-03-10

Family

ID=1962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127A KR100559443B1 (ko) 1999-12-13 1999-12-13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4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5649A (ja) * 1986-09-19 1988-04-06 Kurita Water Ind Ltd 水系での防食剤の濃度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H02290987A (ja) * 1989-04-28 1990-11-30 Kurita Water Ind Ltd 水系の金属の腐食予知方法
JPH0428888A (ja) * 1990-05-23 1992-01-31 Kurita Water Ind Ltd 防食剤添加装置
KR970070992A (ko) * 1996-04-18 1997-11-07 윤문수 부식감지장치 및 그 분석제어 프로그램
KR19990015927A (ko) * 1997-08-12 1999-03-05 이구택 고로 냉각설비의 냉각수 누수 검지장치 및 방법
KR20010055815A (ko) * 1999-12-13 2001-07-04 이구택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5649A (ja) * 1986-09-19 1988-04-06 Kurita Water Ind Ltd 水系での防食剤の濃度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H02290987A (ja) * 1989-04-28 1990-11-30 Kurita Water Ind Ltd 水系の金属の腐食予知方法
JPH0428888A (ja) * 1990-05-23 1992-01-31 Kurita Water Ind Ltd 防食剤添加装置
KR970070992A (ko) * 1996-04-18 1997-11-07 윤문수 부식감지장치 및 그 분석제어 프로그램
KR19990015927A (ko) * 1997-08-12 1999-03-05 이구택 고로 냉각설비의 냉각수 누수 검지장치 및 방법
KR20010055815A (ko) * 1999-12-13 2001-07-04 이구택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817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xter et al. Use and limitations of electrochemical techniques for investigating microbiological corrosion
KR960016714B1 (ko) 수질관리법과 이것에 사용되는 도전율측정방법 및 그 장치
US6419817B1 (en) Dynamic optimization of chemical additives in a water treatment system
CN1590981B (zh) 热交换器管腐蚀监测传感器的制造方法
Hilbert Monitoring corrosion rates and localised corrosion in low conductivity water
US3951161A (en) Method of detecting the onset of formation of adherent precipitates on surfaces immersed in liquids, and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such precipitates
KR100559443B1 (ko) 냉각수 방식제의 침적도 시험방법 및 그 장치
US200300851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microbiologically induced corrosion
Panossian et al. Effect of alternating current by high power lines voltage and electric transmission systems in pipelines corrosion
KR100582168B1 (ko) 냉각수 침적도 측정장치
De Bruyn Current corrosion monitoring trends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skari Development of a novel setup for in-situ electrochemical assessment of top of the line corrosion (TLC) and its smart inhibition under simulated conditions
Yang et al. Evaluation of Corrosion Inhibitors in Cooling Water Systems Using a Coupled Multi-Electrode Array Sensor
Yang Method for on-line determination of underdeposit corrosion rates in cooling water systems
Young | Water Handling Systems
Choudhury et al. Corrosion monitoring in desalination plants
CN219265385U (zh) 一种在线化学仪表测量影响因素试验装置
BR112018067411A2 (pt) método de controle do grau de corrosão do equipamento do circuito de processamento de usinas nucleares
US11674885B2 (en) Apparatus and methods to detect and assess microorganism influenced corrosion and pitting corrosion
US1136001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acterizing fluid composition and process optimization in industrial water operations using MEMS technology
Ki et al. Development of Pitting Corrosion Monitoring Probe for Oil and Gas Internal Pipelines
JP2824804B2 (ja) 金属管の耐食性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Yang Real-time localized corrosion monitoring in industrial cooling water systems
Jimura et al. Growth model and on-line measurement of pitting corrosion on carbon steel
Rothwell Corrosion monitoring: some techniques an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