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426B1 - Light unit - Google Patents

Light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426B1
KR100558426B1 KR1020040049444A KR20040049444A KR100558426B1 KR 100558426 B1 KR100558426 B1 KR 100558426B1 KR 1020040049444 A KR1020040049444 A KR 1020040049444A KR 20040049444 A KR20040049444 A KR 20040049444A KR 100558426 B1 KR100558426 B1 KR 10055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unit
bulb
cover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07128A (en
Inventor
엔도다로
하타야마아츠시
모리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1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라이트 유닛의 유지보수성을 향상한다.Improve the maintainability of the light unit.

테일 라이트 유닛은, 테일 라이트 벌브(34)와, 리어 윙커 벌브와,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 벌브(36)와, 이들 벌브를 지지하는 베이스(40)와, 이들 벌브를 덮는 라이트 커버(80, 90)를 구비하고,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36)를 덮는 라이트 커버(90)의 후단부에는, 하측을 개구시킨 파지(把持)용 오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The tail light unit includes a tail light bulb 34, a rear winger bulb, a licensed light bulb bulb 36, a base 40 supporting these bulbs, and light covers 80 and 90 covering the bulbs. In the rear end of the light cover 90 provided with and covering the license light bulb 36, a recessed recess 93 for opening the lower side is formed.

Description

라이트 유닛{LIGHT UNIT}Light unit {LIGHT UNIT}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자동이륜차의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motorcycle provided with a 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자동이륜차의 배면도이다. 2 is a rear view of the motorcycle.

도 3은 상기 라이트 유닛의 정면도이다. 3 is a front view of the light unit.

도 4는 상기 라이트 유닛의 배면도이다.4 is a rear view of the light unit.

도 5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도 3의 B-B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3.

도 7은 도 3의 C-C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3.

도 8은 도 3의 D-D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3.

도 9는 도 3의 Z방향으로부터 본 베이스만의 측면도이다. FIG. 9 is a side view of the base only seen from the Z direction in FIG. 3. FIG.

도 10은 도 3의 Z방향으로부터 본 라이트 커버만의 측면도이다. 10 is a side view of only the light cover seen from the Z direction of FIG. 3.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라이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ght cover in another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8 : 브래킷(차체) 30 : 테일 라이트 유닛(라이트 유닛)28: bracket (body) 30: tail light unit (light unit)

34 테일 라이트 벌브(벌브) 35 : 리어 윙커 벌브(벌브) 34 Tail Light Bulb (Bulb) 35: Rear Winker Bulb (Bulb)

36 :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벌브) 40 : 베이스 36: license light bulb (bulb) 40: base

56 : 걸림 돌기(걸림부) 80, 90 : 라이트 커버56: locking projection (locking portion) 80, 90: light cover

93 : 파지용 오목부93: recess for holding

본 발명은, 자동이륜 등 차량용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unit for a vehicle such as a motorcycle.

자동이륜차 등의 차량에서는, 유지보수성의 향상 등을 위해, 다수의 라이트를 유닛화하여 라이트 유닛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In vehicles such as motorcycles, in order to improve the maintainability, a plurality of lights may be unitized to be a light unit.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테일 라이트와 라이센스 라이트를 구비한 테일 라이트 유닛을, 비스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차체에 장착하고 있다.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the tail light unit provided with the tail light and the license light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vis.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98027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2980279

그러나, 상기 종래의 라이트 유닛에서는, 비스 등의 체결수단을 빼냄으로써 테일 라이트 유닛을 차체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지만, 탈착 시에는 테일 라이트 유닛의 단부 외면 등을 잡는 등 하여 지지해야만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ight unit, the tail light unit can be detached from the vehicle body by removing the fastening means such as a vis, but when detaching, the tail light unit must be supported by hol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tail light unit or the like.

특히, 라이트 유닛을 차체측으로부터 빼내도록 하여 탈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라이트 유닛에 빼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필요가 있으나, 라이트 유닛이 파지하는 부위가 둥그스름하면, 미끄러져버려 힘을 전달하기 어려워, 라이트 유닛을 탈착하는 데 공정이 복잡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light unit is pulled out from the vehicle body side, it is necessary to apply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unit is pulled out. However, if the part held by the light unit is rounded, it slides and transmits the force. It is difficult, and the process is complicated to detach the light unit.

그래서, 본 발명은 라이트 커버에 파지용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 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n, this invention provides the light unit which improved the maintainability by forming the recessed part for holding in the light cov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발광체인 벌브(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테일 라이트 벌브(34), 리어 윙커 벌브(35),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36))와, 상기 벌브를 지지하는 베이스(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베이스(40))와, 상기 벌브를 덮는 라이트 커버(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라이트 커버(80, 90))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테일 라이트 유닛(30))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커버에는 파지용 오목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파지용 오목부(9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invention which concerns on Claim 1 is a bulb which is a light-emitting body (for example, tail light bulb 34, rear winger bulb 35, license light bulb 36 in embodiment mentioned later), and the said bulb A light unit (e.g., a light cover (e.g., light covers 80 and 90 in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covering the bulb and a base supporting the bulb (e.g., the base 40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tail light unit 30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the light cover is formed with a gripping recess (for example, a gripping recess 93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를 이용하여 라이트 유닛을 파지하여, 라이트 유닛에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 unit is gripped using the gripping recess, and a force can be applied to the light unit.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하측을 개구시켜 상기 라이트 커버(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라이트 커버(9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recess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light cover (for example, the light cover 90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by opening the lower side. It is don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라이트 유닛을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gripping recess can be made inconspicuous in appearance, and the light unit can be easily gripped.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커버에서의 적어도 상기 파지용 오목부의 주위는 짙은 색(濃色)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the periphery of the gripping recess in the light cover is dark.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가 들여다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can prevent that the recessed part for gripping looks in.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차체(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브래킷(28))에 대하여 삽탈함으로써 차체로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예컨대,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의 걸림 돌기(5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vehicle body is possible by inserting and detaching the vehicle body (for example, the bracket 28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base. A locking portion (e.g., locking projection 56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파지용 오목부를 이용하여 라이트 유닛을 파지하면서 라이트 유닛을 밀어넣거나 빼내어, 베이스의 걸림부를 차체에 대하여 삽탈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light unit can be pushed in or pulled out while the light unit is held using the gripping recess, and the locking portion of the base can be removed from the vehicle body.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라이트 유닛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1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light uni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of FIG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라이트 유닛으로서의 테일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스쿠터형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동 배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좌」「우」「상」「하」는,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1 is a side view of a scooter-type motorcycle including a tail light unit as a 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thereof.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before", "after", "left", "right", "up" and "down" shall follow the direction seen from the driver.

자동이륜차(1)의 앞바퀴(2)는 프런트 포크(3)의 하단부에 축지지되고, 프런트 포크(3)는 핸들 스템(4)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5)의 헤드 파이프(6)에 조타 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6)의 상단부에는 핸들(7)이 장착되어 있고, 핸들(7)의 주위는 양단의 그립(8, 8)을 제외하고 핸들 커버(9)로 덮혀져 있다. 핸들 커버(9)의 전부(前部)에는, 헤드라이트 및 좌우의 프런트 윙커(front winker)(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일체화된 헤드라이트 유닛(10)이 설치되어 있다. The front wheel 2 of the motorcycle 1 is axially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fork 3, and the front fork 3 is steerable to the head pipe 6 of the body frame 5 via the handle stem 4. Is pivoted. The handle 7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head pipe 6, and the periphery of the handle 7 is covered with the handle cover 9 except for the grips 8 and 8 at both ends. The headlight unit 10 in which the headlight and the front left and right front winkers (not shown) are integrated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handle cover 9.

차체 프레임(5)은 헤드 파이프(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파이프(11) 와, 다운 파이프(11)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스텝 플로어(12)와 함께 저바닥 플로어(13)를 형성하는 로어 파이프(lower pipe)(14)와, 로어 파이프(14)의 후단부로부터 기울어져 상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후부(後部) 파이프(1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파이프(6) 및 다운 파이프(11)는, 스텝 플로어(12)의 전단부로부터 솟아오르는 레그 실드(16)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덮이고, 또한 전방으로부터는 프론트 커버(17)에 의해 덮혀져 있다. 프론트 커버(17)의 하부는 앞바퀴(2)의 상방을 덮도록 연장되어, 프론트 커버(17)의 하부 및 레그 실드(leg shield)(16)의 하부에 의해서 프런트 펜더(18)가 형성되어 있다. The body frame 5 extends downward from the head pipe 6 downward and from the lower end of the down pipe 11 to form a bottom floor 13 together with the step floor 12. A lower pipe 14 and a rear pipe 15 which is formed by inclining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pipe 14. The head pipe 6 and the down pipe 11 are covered from the rear by the leg shield 16 ris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step floor 12 and from the front by the front cover 17. The lower part of the front cover 17 extend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ront wheel 2, and the front fender 18 is formed by the lower part of the front cover 17 and the lower part of the leg shield 16. FIG. .

후부 파이프(15)는, 로어 파이프(14)의 후단부로부터 기울어져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5a)와, 이 경사부(15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5b)를 구비하고 있고, 스텝 플로어(12)의 후단부로 이어지는 리어 커버(21)에 의해 덮여 있다. 리어 커버(21)의 상부에는 시트(22)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22)는 그 전단부가 리어 커버(21)에 피벗팅되어, 리어 커버(21) 내에 설치된 물품 수용실(도시하지 않음)의 상부 개구를 개폐한다. The rear pipe 15 is an inclined portion 15a that is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lower pipe 14 and a horizontal portion 15b that extends substantially horizontally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5a. ), And is covered by a rear cover 21 leading to the rear end of the step floor 12. The seat 22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rear cover 21. The front end of the seat 22 is pivoted to the rear cover 21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of an article storage chamber (not shown) provided in the rear cover 21.

로어 파이프(14)의 후단부에는 파워 유닛(24)의 전부(前部)가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다. 파워 유닛(24)은 엔진 및 동력전달계를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 파워 유닛(24) 후부의 구동축에는 뒷바퀴(25)가 연결되어 있다. 파워 유닛(24)과 후부 파이프(15)의 수평부(15b)와의 사이에는 리어 쿠션(26)이 설치되어 있다.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pipe 14, the entire front of the power unit 24 is pivotably pivo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wer unit 24 is composed of an engine and a power transmission system integrally, and the rear wheel 25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t the rear of the power unit 24. A rear cushion 26 is provided between the power unit 24 and the horizontal portion 15b of the rear pipe 15.

리어 커버(21)의 후단부에는 테일 라이트 유닛(30)이 설치되어 있다. 테일 라이트 유닛(30)은, 후부 파이프(15)의 수평부(15b)의 후단부에 고정된 경사 앞 상방으로 연장되는 브래킷(2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브래킷(28)은 자동이륜차(1)의 차체의 일부를 이룬다. The tail light unit 30 is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rear cover 21. The tail light unit 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racket 28 extending upwardly incline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5b of the rear pipe 15. Here, the bracket 28 forms part of the vehicle body of the motorcycle 1.

테일 라이트 유닛(30)의 하방이면서 리어 커버(21)의 후부 하측에는 리어 펜더(27)가 설치되어 있고, 리어 펜더(27)에는 라이센스 플레이트(29)가 장착된다. The rear fender 27 is provided below the tail light unit 30 at the rear of the rear cover 21, and the license plate 29 is attached to the rear fender 27.

다음으로, 테일 라이트 유닛(30)에 관해서 상술한다. 도 3은 자동이륜차(1)의 후방측으로부터 본 테일 라이트 유닛(30)의 정면도, 도 4는 자동이륜차(1)의 전방측으로부터 본 동 배면도이다. Next, the tail light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3 is a front view of the tail light unit 30 seen from the rear side of the motorcycle 1, an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tail light unit 30 seen from the front side of the motorcycle 1.

테일 라이트 유닛(30)은, 테일 라이트(31)와, 좌우의 리어 윙커 라이트(32, 32)와, 라이센스 라이트(33)를 유닛화하여 일체로 한 것이며, 상부 중앙에 테일 라이트(31)가 배치되고, 테일 라이트(31)의 좌우 양측에 리어 윙커 라이트(32, 32)가 배치되고, 테일 라이트(31)의 하측에 라이센스 라이트(3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테일 라이트(31)는 스톱 라이트를 겸용하고 있어, 테일 라이트로서 점등시켰을 때의 휘도와 스톱 라이트로서 점등시켰을 때의 휘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양자를 식별시키고 있다. The tail light unit 30 unites the tail light 31, the left and right rear winger lights 32 and 32, and the license light 33 into one unit, and the tail light 31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The rear winger lights 32 and 32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il light 31, and the license light 33 is disposed below the tail light 31. In addition, the tail light 31 in this embodiment also uses the stop light, and discriminates both by changing the brightness | luminance at the time of lighting as a tail light, and the brightness | luminance at the time of lighting as a stop light.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일 라이트 유닛(30)의 정면에서 본 형상은, 테일 라이트(31)와 리어 윙커 라이트(32, 32)가 배치된 부분은, 중앙부에서 상하방향 폭이 가장 넓고, 좌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상하방향 폭이 좁아지는 대략 부채꼴을 이루며, 라이센스 라이트(33)가 배치된 부분은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라이센스 라이트(33)가 배치된 부분은, 테일 라이 트(31) 및 리어 윙커 라이트(32, 32)가 배치된 부분보다도, 좌우방향 폭이 작다. As shown in FIG. 3, in the shape seen from the front of the tail light unit 30, the part in which the tail light 31 and the rear winger lights 32 and 32 are arrange | positioned has the largest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part, As it progresses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width | variety becomes a substantially fan shape which becomes narrow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part in which the license light 33 is arrange | positioned forms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ich is thin and lo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portion where the license light 33 is disposed has a small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portion where the tail light 31 and the rear linker lights 32 and 32 are disposed.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일 라이트(31)와 리어 윙커 라이트(32, 32)가 배치된 부분은, 그 중앙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차량 앞 방향으로 돌아 들어가는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part in which the tail light 31 and the rear winger lights 32 and 32 are arrange | positioned moves back to the vehicle front direction as it progresses to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It is the same shape.

테일 라이트 유닛(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체로서의 테일 라이트 벌브(34), 리어 윙커 벌브(35, 35),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36)와, 이들 벌브(34~36)를 지지하는 베이스(40)와, 이들 벌브(34~36)를 덮는 2개의 라이트 커버(80, 90)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ail light unit 30 includes tail light bulbs 34, rear winker bulbs 35 and 35, licensed light bulbs 36, and these bulbs 34 to 36 as light emitters. ), And the two light covers 80 and 90 which cover these bulbs 34-36 are main structures.

베이스(40)는 수지성형품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부채꼴인 부분을 구성하는 상부 베이스(42)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부분을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43)와, 상부 베이스(42)와 하부 베이스(43)를 접속하는 연결벽부(41)를 구비하고 있다. The base 40 is integrally formed of a resin molded article, and includes an upper base 42 constituting a substantially fan-shaped portion from the front, a lower base 43 constitut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ortion from the front, and an upper base. The connection wall part 41 which connects the 42 and the lower base 43 is provided.

상부 베이스(42)는, 테일 라이트(31) 및 리어 윙커 라이트(32, 32)의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42)의 후단측은, 상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후방으로 밑으로부터 올라가게 경사져 있고, 그 외주부에는, 후방을 개구시킨 단면이 가로 U자 형상의 라이트 커버 장착용 오목홈(44a)을 구비하는 프레임부(44)가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base 42 constitutes the base portions of the tail lights 31 and the rear winger lights 32 and 32.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rear end side of the upper base 42 is inclined to rise from the bottom to the rear as it proceeds upward. The frame part 44 provided with the cover mounting recessed groove 44a is formed.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42)의 중앙에는, 후단측을 개구시킨 통 형상 벽부(45)가 설치되어 있고, 통 형상 벽부(45)의 개구측의 상부 및 하부는 프레임부(44)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다. 통 형상 벽부(45)의 전단에는 삽입통과구멍(46)을 가지는 앞벽(47)이 설치되어 있고, 이 삽입통과구멍(46)에 테일 라이트 벌브(34)를 유지하는 벌브 소켓(7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벽부(45)의 후단 개구측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49)에는, 통 형상 벽부(45)의 후단 개구를 막는 테일 라이트 렌즈(72)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테일 라이트 렌즈(72)는, 예컨대 적색으로 착색된 반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 소정의 렌즈 컷(lens cut)이 실시되어 있다. As shown to FIG. 4 and FIG. 5, the cylindrical wall part 45 which opened the rear end side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base 42, an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side of the cylindrical wall part 45 are I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44. A front wall 47 having an insertion through hole 46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rical wall portion 45, and a bulb socket 71 holding the tail light bulb 34 is attached to the insertion through hole 46. It is. Moreover, the tail light lens 72 which blocks the rear end opening of the cylindrical wall part 45 is fitted and fixed to the recessed part 49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pening side of the cylindrical wall part 45. The tail light lens 72 is formed of translucent resin colored in red, for example, and a predetermined lens cu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42)에서 통 형상 벽부(45)를 사이에 끼고 좌우 대칭인 위치에는, 후단측을 개구시킨 통 형상 벽부(51, 51)가 설치되어 있고, 각 통 형상 벽부(51)의 개구측의 상부 및 하부는 프레임부(44)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다. 각 통 형상 벽부(51)의 전단에는 삽입통과구멍(52)을 갖는 앞벽(5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삽입통과구멍(52)에 리어 윙커 벌브(35)를 유지하는 벌브 소켓(7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통 형상 벽부(51)의 앞벽(53)에 설치된 환 형상의 단차부(54)에는, 리어 윙커 벌브(35)를 덮는 돔 형상의 리어 윙커 라이트 렌즈(74)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리어 윙커 라이트 렌즈(74)는, 예컨대 주황색으로 착색된 반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 소정의 렌즈 컷이 실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and FIG. 6, the cylindrical wall parts 51 and 51 which opened the rear end side are provided in the symmetrical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wall part 45 in the upper base 42,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side of each cylindrical wall part 51 are connected inward of the frame part 44. The front wall 53 which has insertion hole 52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each cylindrical wall part 51, The bulb socket 73 which holds the rear winger bulb 35 in this insertion hole 52 is provided. It is installed. Moreover, the dome-shaped rear winker light lens 74 which covers the rear winker bulb 35 is fitted and fixed to the annular step part 54 provided in the front wall 53 of each cylindrical wall part 51. . The rear winker light lens 74 is formed of a translucent resin colored in orange, for example, and a predetermined lens cu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통 형상 벽부(51)의 앞벽(53)에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하방으로 굴곡하는 L자형의 브래킷(55)이 설치되어 있고, 브래킷(55)의 전단면에는, 버섯형을 이루는 걸림 돌기(56)가 그 축선을 기울여 아래 전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56)는, 전술한 차체의 일부를 이루는 브래킷(28)에 고정된 그로멧(grommet)(도시하지 않음)에 삽탈 가능하고, 걸림 돌기(56)를 그로멧에 삽입하여 거는 것에 의해,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브래킷(28)에 장착할 수 있고, 걸림 돌기(56)를 그로멧으로부터 빼냄으로써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브래킷(28)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4 and 6, the front wall 53 of each cylindrical wall portion 51 is provided with an L-shaped bracket 55 which protrudes forward and then curves downwar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55), the engaging projection 56 which forms a mushroom shape is provided inclined at the axis line,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below. This locking projection 56 can be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a grommet (not shown) fixed to the bracket 28 constitut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described above, and the locking projection 56 is inserted into the grommets and hung. The tail light unit 30 can be attached to the bracket 28, and the tail light unit 30 can be detached from the bracket 28 by removing the locking projection 56 from the grommets.

상부 베이스(42)에는, 그 후 후단측 전체를 덮는, 테일 라이트(31) 및 리어 윙커 라이트(32)용의 라이트 커버(80)가 고정되어 있다. 라이트 커버(80)의 외주부(81)는 전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외주부(81)의 소정 영역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손톱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라이트 커버(80)는, 그 외주부(81)를 상부 베이스(42)에서의 프레임부(44)의 내벽 외측에 배치하고, 손톱부(82)를 프레임부(44)의 오목홈(44a)에 삽입하여, 손톱부(82)를 핫 멜트(57)에 의해 프레임부(44)에 접합함으로써, 상부 베이스(42)에 고정되어 있다. The light cover 80 for the tail light 31 and the rear winger light 32 which covers the whole rear end side after that is fixed to the upper base 42.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81 of the light cover 80 is bent forward, and a nail portion 82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81. The light cover 80 arrange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81 outside the inner wall of the frame portion 44 in the upper base 42 and the nail portion 82 in the concave groove 44a of the frame portion 44. By inserting and bonding the nail part 82 to the frame part 44 by the hot melt 57, it is being fixed to the upper base 42. FIG.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42)의 프레임부(44)와 연결벽부(41)와의 접속부에 삽입되는 손톱부(82)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출부(83)와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부(44)에 형성된 걸림구멍(48)에 걸림돌출부(83)가 삽입되고, 연결벽부(41)의 상부가 오목부(84)에 삽입됨으로써, 걸림돌출부(83)는 연결벽부(41)의 상부에 걸려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nail | claw part 82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frame part 44 and the connection wall part 41 of the upper base 42, the locking protrusion part 83 which protrudes below, and a recess The engaging portion 84 is formed, and the engaging protrusion 83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48 formed in the frame portion 4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wall 41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84, whereby the engaging protrusion is formed. 83 is hanging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wall part 41. As shown in FIG.

라이트 커버(80)는, 예컨대 무색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테일 라이트 벌브(34)의 축선 연장 상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에 동심원 형상의 모양(85)이 형성되고, 각 리어 윙커 벌브(35)의 축선 연장 상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영역에 동심원 형상의 모양(86)이 형성되어 있다. The light cover 80 is formed of, for example, a colorless transparent resin, a concentric shape 85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centered on the axial extension of the tail light bulb 34, and each rear winger bulb 35 is formed. The concentric circular shape 86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area | region centering on the axis line extension image of (circle).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벽부(41)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통부(58, 58)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각 통부(58)에는,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전술한 브래킷(28)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비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통과시키는 관통 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a pair of left and right cylinders 58 and 58 protruding forward are protruded to the connecting wall 41, and the tail light unit 30 is provided to each cylinder 58. The through hole 58a for inserting a fixing screw (not shown) for fixing the bracket 28 to the aforementioned bracket 28 is formed.

하부 베이스(43)는, 라이센스 라이트(33)의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벽부(4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벽부(61)와, 상벽부(61)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벽부(62)와, 상벽부(61)의 좌우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수직벽부(62)의 좌우 단부에 이어지는 측벽부(63)를 구비하고 있다. 상벽부(61)와 측벽부(63)의 전단부 및 수직벽부(62)의 하단부에는, 후방을 개구시킨 단면 가로 U자 형상의 라이트 커버 장착용 오목홈(64a)을 구비하는 프레임부(64)가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base 43 constitutes the base portion of the license light 33, and as shown in FIGS. 5, 7, and 8, the upper wall portion 61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wall portion 41. And a vertical wall portion 6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wall portion 61 and a side wall portion 6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wall portion 61 an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62. ). The frame part provided with the light cover mounting recessed groove 64a of the cross-sectional horizontal U shape which opened the back at the front end part of the upper wall part 61, the side wall part 63, and the lower end part of the vertical wall part 62 ( 64) is formed.

수직벽부(62)의 중앙에는 삽입통과구멍(6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통과구멍(65)에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36)를 유지하는 벌브 소켓(75)이 장착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벽부(62)에서 삽입통과구멍(65)을 사이에 끼워 좌우 대칭인 위치에는 비스 삽입통과구멍(66, 66)이 설치되어 있다. An insertion through hole 6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62, and a bulb socket 75 holding the licensed light bulb 36 is attached to the insertion through hole 65.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non-insertion through holes 66 and 66 are provided at positions vertically symmetrical with the insertion through holes 65 interposed between the vertical wall portions 62.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43)에는 그 후방측 전체를 덮는, 라이센스 라이트(33)용 라이트 커버(90)가 고정되어 있다. 라이트 커버(90)의 외벽부(9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본 형상이 후방으로 팽출(膨出)하는 대략 원호 형상을 이루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본 형상이 부리 형상을 이루고 있어, 외벽부(91)의 후단은, 테일 라이트(31) 및 리 어 윙커 라이트(32)용 라이트 커버(80)의 후단부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5, FIG. 7 and FIG. 8, the light cover 90 for the license light 33 which fixes the whole back side is fixed to the lower base 4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the outer wall part 91 of the light cover 90 forms the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which the shape seen in plane expands backward, and the shape seen from the side as shown in FIG. This beak shape is formed, and the rear end of the outer wall portion 91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tail light 31 and the light cover 80 for the rear winger light 32.

라이트 커버(90)의 내부 후방에는 칸막이벽부(92)가 설치되고, 외벽부(9l)와 칸막이벽부(92)와의 사이에 하측을 개구시킨 파지용 오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라이트 커버(90)의 내부이고 칸막이벽부(92)로부터 좌우 외측에는, 외벽부(91)의 후부 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스테이(94, 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94, 94)는, 하부 베이스(43)의 비스 삽입통과구멍(66, 66)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면이 하부 베이스(43)의 수직벽부(62)에 접촉되어 있다. 각 스테이(94)에는 그 선단면측에 라이트 커버 장착용 나사구멍(94a)이 형성되어 있다. A partition wall portion 92 is provided inside the light cover 90, and a recessed concave portion 93 is formed in which a lower side is opened between the outer wall portion 9l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92. Cylindrical stays 94 and 94 are provided inside the light cover 90 and protrude forward from the rear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portion 91 to the left and right outside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92. The stays 94 and 94 are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is insertion holes 66 and 66 of the lower base 43, and the front end face thereof is located on the vertical wall portion 62 of the lower base 43. In contact. Each stay 94 is provided with a light cover mounting screw hole 94a at the tip end side thereof.

라이트 커버(90)에서, 칸막이벽부(92)보다도 전방 측이고 양 스테이(94, 94)보다도 차폭 방향인 내측 부분은 하측을 개구시키고 있고(도 5 참조), 그 개구(95)보다도 좌우 양측은 저벽부(96)에 의해서 막혀 있다(도 7 참조). 외벽부(91)의 전단 및 저벽부(96)의 전단에는 손톱부(97)가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벽부(92)의 하단부 및 저벽부(96)의 프레임부에는 개구(95)에 면하여 렌즈장착홈(98)이 설치되어 있다. In the light cover 90, the inner portion that is front side than the partition wall portion 92 an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an the two stays 94 and 94 opens the lower side (see FIG. 5),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re larger than the opening 95. It is blocked by the bottom wall 96 (refer FIG. 7). A nail part 97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outer wall part 91 a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wall part 96. The lower end part of the partition wall part 92 and the frame part of the bottom wall part 96 face the opening 95. The lens mounting groove 98 is provided.

또, 라이트 커버(90)는, 예컨대 흑색과 같이 짙은 색으로 착색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The light cover 90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colored in a dark color such as black, for example.

이 라이트 커버(90)는, 그 손톱부(97)를 하부 베이스(43)에서의 프레임부(64)의 오목홈(64a)에 삽입시키고, 하부 베이스(43)의 전방 측으로부터 비스 삽입통과구멍(66, 66)에 삽입 통과된 비스(99, 99)를 스테이(94, 94)의 나사구 멍(94a, 94a)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하부 베이스(43)에 고정되어 있다. The light cover 90 inserts the nail portion 97 into the concave groove 64a of the frame portion 64 in the lower base 43, and passes through the vis insertion hole from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ase 43. The bis 99 and 99 inserted into the 66 and 66 are screwed to the threaded holes 94a and 94a of the stays 94 and 94, thereby being fixed to the lower base 43.

그리고, 라이트 커버(90)의 개구(95)는 라이센스 라이트 렌즈(76)에 의해서 막혀 있다. 라이센스 라이트 렌즈(76)는, 그 원주 테두리를 하부 베이스(43)에서의 수직벽부(62)의 하단부에 설치한 프레임부(64)의 오목홈(64a)과, 라이트 커버(90)에서의 칸막이벽부(92) 및 저벽부(96)에 형성한 렌즈장착홈(98)에 삽입하여, 장착되어 있다. The opening 95 of the light cover 90 is blocked by the licensed light lens 76. The licensed light lens 76 includes a concave groove 64a of the frame portion 64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portion 62 at the lower base 43 and a light cover 90 at the lower cover 43. It is inserted into the lens mounting groove 98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art 92 and the bottom wall part 96, and is attached.

라이센스 라이트 렌즈(76)는 무색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센스 라이트 벌브(36)의 벌브광은 라이센스 라이트 렌즈(76)를 투과하여 라이센스 플레이트(29)를 조명한다. The licensed light lens 76 is formed of a colorless transparent resin, and as shown in FIG. 5, bulb light of the licensed light bulb 36 passes through the licensed light lens 76 to illuminate the license plate 29. .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일 라이트 유닛(30)에서는,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차체로부터 탈착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우선 베이스(40)의 관통구멍(58a)에 장착된 상기 고정용 비스를 탈착하고, 라이트 커버(90)의 파지용 오목부(93)로부터 한 쪽 손을 넣어 라이트 커버(90)의 외벽부(91)를 잡고,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베이스(40)의 걸림 돌기(56)를 차체 측의 브래킷(28)의 그로멧으로부터 간단히 뽑아낼 수 있다. 따라서, 한쪽 손으로 간단히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차체로부터 탈착할 수 있어, 탈착한 후에도 그대로 외벽부(91)를 잡고 운반하는 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In the tail light unit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detach the tail light unit 30 from the vehicle body, first, the fixing screw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58a of the base 40 is detached, and the light is removed. By holding one hand from the holding recess 93 of the cover 90 and holding the outer wall 91 of the light cover 90 and pulling it backward, the locking projection 56 of the base 40 is pulled out. It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grommets of the bracket 28 on the side. Therefore, the tail light unit 3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vehicle body with one hand, and even after detaching, the tail light unit 30 can be handled by holding the outer wall 91 as it is.

또한,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차체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외벽부(91)를 잡고 장착 조작을 할 수 있어, 걸림 돌기(56)를 브래킷(28)의 그로멧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착할 수 있고, 그 후 상기 고정용 비스를 관통구멍(58a)에 삽입하여 브래킷(28)의 나사구멍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테일 라이트 유닛(30)을 차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일 라이트 유닛(30)의 유지보수성이 매우 향상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tail light unit 3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mounting operation can be similarly carried out by holding the outer wall portion 91, and the attachment is simply performed by pushing the locking projection 56 into the grommets of the bracket 28. After that, the tail light unit 30 can be reliably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inserting the fixing screw into the through hole 58a and screwing it into the screw hole of the bracket 28. Thus, the maintainability of the tail light unit 30 is greatly improv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용 오목부(93)가 하측을 개구시키고 있으므로 외관으로부터는 파지용 오목부(93)가 보이지 않고, 더구나 라이트 커버(90)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파지용 오목부(93)가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용 오목부(93)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어, 의장성이 향상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olding recess 93 opens the lower side, the holding recess 93 is not seen from the outside, and the light cover 90 is colored black, so that the holding recess 93 is colored. The part 93 can be prevented from looking in. Therefore, the gripping recess 93 can be made inconspicuous in appearance, and the designability is improved.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용 오목부(93)를 하측으로 개구하도록 설치하였으나,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트 커버(90)의 외벽부(91)의 상측으로 개구하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파지용 오목부의 설치 위치는 라이트 커버(90)의 좌우 단부이더라도 무방하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recessed part 93 for holding | gripping was provided so that it may open downward, you may provide so that it may open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wall part 91 of the light cover 9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ripping recess may b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ight cover 90.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라이트 유닛을 차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를 수부재(걸림 돌기(56))로 구성하였으나, 라이트 유닛의 걸림부를 암부재로 하고, 이 암부재에 차체 측의 수부재를 삽탈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locking part which makes the light unit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was comprised by the male member (locking projection 56), the locking member of the light unit is made into the female member, and this female member is a male member on the vehicle body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insert and remov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테일 라이트 유닛에 적용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 유닛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동이륜차에 한정하지 않고, 삼륜이나 사륜 등의 차량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monstrated the example applied to the tail light unit, this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headlight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torcycles but also to vehicles such as three wheels and four wheel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파지용 오목부를 이용하여 라이트 유닛을 파지하고,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라이트 유닛을 취급하기 쉬워져, 라이트 유닛의 장착, 탈착이 용이해져, 유지보수성이 향상한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unit can be gripped using a holding recess and a force can be applied, so that the light unit can be easily handled, and the light un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 effect of improving maintainability is exhibited.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파지용 오목부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라이트 유닛을 파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the gripping recess can be made inconspicuous in appearance, and the light unit can be easily gripped.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파지용 오목부가 들여다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지용 오목부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the gripping recess can be prevented from seeing in, so that the gripping recess can be made inconspicuous in appearance.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파지용 오목부를 이용하여 라이트 유닛을 파지하면서 라이트 유닛을 밀어 넣거나 빼내어, 베이스의 걸림부를 차체에 대하여 삽탈할 수 있으므로, 차체에 대한 라이트 유닛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the light unit can be pushed in or pulled out while the light unit is gripped using the gripping recess, and the locking portion of the base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vehicle body, thereby making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light unit to and from the vehicle body.

Claims (4)

발광체인 벌브와, 상기 벌브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벌브를 덮는 라이트 커버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A light unit comprising a bulb that is a light emitting body, a base that supports the bulb, and a light cover that covers the bulb, 상기 라이트 커버에는 파지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유닛. The ligh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ortion for holding the light cover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지용 오목부는, 하측을 개구(開口)시켜 상기 라이트 커버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유닛. The gripping recess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light cover by opening the lower side thereof.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라이트 커버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파지용 오목부의 주위는 짙은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유닛. The light unit at least around the said recessed part in the said light cover is dense index.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베이스에는, 차체에 대하여 삽탈함으로써 차체로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유닛. The base uni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that allows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vehicle body by inserting and detaching the vehicle body.
KR1020040049444A 2003-07-09 2004-06-29 Light unit KR1005584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4276 2003-07-09
JP2003194276A JP4417044B2 (en) 2003-07-09 2003-07-09 Light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28A KR20050007128A (en) 2005-01-17
KR100558426B1 true KR100558426B1 (en) 2006-03-07

Family

ID=3420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444A KR100558426B1 (en) 2003-07-09 2004-06-29 Light unit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417044B2 (en)
KR (1) KR100558426B1 (en)
CN (1) CN1331704C (en)
BR (1) BRPI0402459B1 (en)
MX (1) MXPA04006405A (en)
TW (1) TWI24769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0116C (en) * 2007-04-12 2009-03-18 重庆宗申技术开发研究有限公司 Taillight matching device
CN101520152B (en) * 2008-02-29 2011-03-16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Tail lamp structure of automatic bicycle
JP5091731B2 (en) * 2008-03-14 2012-1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rear side cover support structure
JP5020178B2 (en) * 2008-07-17 2012-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Light fixture structure for saddle-ride type vehicles
JP5538787B2 (en) * 2009-09-15 2014-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Tail lamp unit
CN102310900A (en) * 2010-06-30 2012-01-11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Structure of rear lamp of motorcycle
CN102935819B (en) * 2011-08-15 2016-02-0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 tail gate handle mounting structure, a kind of handle device for vehicular end door and a kind of outer plate of vehicular tail gate
JP5875435B2 (en) * 2012-03-28 2016-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taillight device
JP5952144B2 (en) * 2012-09-18 2016-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Light fixture structure
JP2015227099A (en) * 2014-05-30 2015-12-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Saddle riding type vehicle
JP6462193B2 (en) * 2015-09-30 2019-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Rear combination light structure for motorcycles
JP6381081B2 (en) * 2016-09-30 2018-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light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039B2 (en) * 1996-07-26 2001-05-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Lighting for motorcycles
JP3745842B2 (en) * 1996-09-30 2006-02-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Scooter type motorcycle
JP3877824B2 (en) * 1997-02-13 2007-02-0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Scooter type motorcycle
JP2002337775A (en) * 2001-05-15 2002-11-27 Yamaha Motor Co Ltd Taillight fit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7696B (en) 2006-01-21
KR20050007128A (en) 2005-01-17
JP4417044B2 (en) 2010-02-17
JP2005028933A (en) 2005-02-03
BRPI0402459B1 (en) 2014-10-29
MXPA04006405A (en) 2005-01-17
CN1576146A (en) 2005-02-09
BRPI0402459A (en) 2005-03-22
TW200505711A (en) 2005-02-16
CN1331704C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426B1 (en) Light unit
CN102310899B (en) Vehicle lamp arrangement
US10392067B2 (en) Lighting device structure including auxiliary illumination
US20160318568A1 (en) Blinker device
TWI710485B (en) Usb terminal unit arrangement structure of saddle-ride type vehicle
TWI253999B (en) Combination lamp
EP3067235A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4420836B2 (en) Vehicle tail lamp
CN104554557B (en) Straddle type vehicle
JP4994059B2 (en) Vehicle lighting
BR102012001251B1 (en) HEADLIGHT
CN109305261A (en) Riding vehicle
CN102362117A (en) Lighting device and two-wheeled motor vehicle
JP7050900B2 (en) USB terminal unit structure for saddle-riding vehicles
JP5952144B2 (en) Light fixture structure
TWI827070B (en) Headlamp unit and leaning vehicle
JP2007125903A (en) Vehicle lamp mounting structure
TWI583585B (en) Vehicle rear light combination unit, and with its straddle type vehicle
CN109973915A (en) The headlight of cradle type ride-on vehicle
JP7290688B2 (en) Headlight units and leaning vehicles
JP7042331B2 (en) USB terminal unit layout structure for saddle-riding vehicles
JPH0243676B2 (en)
TWI643782B (en) Straddle type vehicle
JPH0449769Y2 (en)
JP2005071723A (en) Lamp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