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71B1 - Divisi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divid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 Google Patents

Divisi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divid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71B1
KR100557271B1 KR1019990015178A KR19990015178A KR100557271B1 KR 100557271 B1 KR100557271 B1 KR 100557271B1 KR 1019990015178 A KR1019990015178 A KR 1019990015178A KR 19990015178 A KR19990015178 A KR 19990015178A KR 100557271 B1 KR100557271 B1 KR 10055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hollow
copolyester
fib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83556A (en
Inventor
야마모또다미오
이나가끼겐지
마또바요시유끼
오꾸야도모히로
다시로미끼오
Original Assignee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8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synthetic origin
    • D06M14/1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synthetic origin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4/14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만족스러운 가공 특성, 예컨대, 카딩 특성을 가지며, 기계적 힘을 가함으로써 피브리드형의 가는 섬유로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각각 껍질부로 둘러싸인 중공부를 포함하며,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고, 여기에서, 껍질부는 테레프탈산 및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1 내지 6 몰% 를 포함하는 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되며; 중공 섬유는 (1) 0.56 내지 8.89 d 텍스의 굵기, (2) 중공비율 25/100 내지 85/100, (3) 20 내지 30 %의 결정화도 및 (4) 4.0 내지 8.7 ㎚ 의 (010) 평면 내 결정 크기를 가지며; 각 껍질부는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다수의 균열을 갖는다.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having satisfactory processing properties, such as carding properties, which can be separated into fibrid fine fibers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ach comprising a hollow enclosed by a shell,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Wherein the shell is made from a copolyester of an acid component comprising 1 to 6 mol% of terephthalic acid and a sulfonate group containing dicarboxylic acid and a diol component comprising ethylene glycol; The hollow fiber is (1) the thickness of 0.56 to 8.89 d tex, (2) the hollow ratio 25/100 to 85/100, (3) the crystallinity of 20 to 30% and (4) in the (010) plane of 4.0 to 8.7 nm Has a crystal size; Each shell has a number of cracks that intermittentl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Description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분리된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이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직물, 인조 가죽 및 부직포 {DIVISI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DIVID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separat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s comprising the same,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s

도 1 은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구현예 단면의 전자현미경 측도를 나타낸다.1 shows an electron microscope side view of a cross section of a 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구현예의 전자현미경 측도를 나타낸다.2 shows an electron microscope view of a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분리된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구현예의 전자현미경 측도를 나타낸다.3 shows an electron microscope view of an isolated copolyester fib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계적 힘을 중공 섬유에 가함으로써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그로부터 제조된 분리된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분리된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각각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직물, 인조 가죽 및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into fine copolyester fibers 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hollow fibers; Isolated copolyester fibers produced therefrom; And woven or knitted fabrics,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s, each comprising isolated copolyester fibers.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중공 섬유에 기계적 힘을 가함으로써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높은 단열 특성 및 우수한 촉감을 갖는 직물 또는 편직물,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인조 가죽 및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which can be separated into fine copolyester fibers 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hollow fibers; And isolated fine copolyester fibers made from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fine copolyester fibers, including woven or knitted fabrics with hig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good feel, fine copolyester fibers, and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s having a soft touch.

산업상 극세(極細) 섬유에 대한 강한 요구가 있었으며, 극세 섬유의 용도 및 제조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microfine fibers in the industry,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and manufacture microfine fibers.

예컨대, 직경이 작은 방사 홀을 갖는 방사기에 중합체를 용융-압출하고, 압출된 필라멘트상 중합체 용융 스트림을 고속으로 권취하여 비연신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비연신 필라멘트를 높은 연신 비율로 연신함으로써 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생성된 개별 섬유 굵기가 약 0.33 d 텍스 이상으로 제한되며, 따라서 0.33 d 텍스 미만의 굵기를 갖는 극세 섬유 제조가 기술적으로 어렵고, 그 자체의 제조가 가능할 경우라도, 극세 섬유의 생산성이 매우 낮으며, 그 제조 비용은 매우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microfibers may be melt-extruded into a spinning machine having a small diameter spinning hole, wound extruded filamentous polymer melt streams at high speed to produce unstretched filaments, and stretched unstretched filaments at high draw ratios. Methods of making are known. This method is limited to the resulting individual fiber thicknesses of about 0.33 d tex or more, thus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microfibers having a thickness of less than 0.33 d tex, and even if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m themselves, the productivity of microfibers is very high. It is low and its manufacturing cost is very high.

일본특허공고공보 제 42-19518 호에 공개된 방법에 따르면, 서로 불용성인 2 개 중합체의 혼합물을 방사하고, 용해시키고, 용매를 사용하여 생성된 혼합 중합체 섬유로부터 2 개 중합체 중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극세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서로 불용성인 2 개의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수득 단편이 그 사이의 계면에서 쉽게 분리되고, 따라서 수득 복합 섬유가 카딩기를 통과하기 어렵 고, 생성 섬유 굵기가 매우 가늘며, 생성 섬유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고, 지나치게 무작위적이라는 단점이 있으므로, 생성 섬유가 특정 목적에 사용될 수 없다.According to the method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2-19518, it is extremely fine by spinning, dissolving a mixture of two polymers that are insoluble in each other, and removing one of the two polymers from the resulting mixed polymer fiber using a solvent. Fibers can be produced. However, this method allows the obtained fragments formed from two insoluble polymers to be easily separated at the interface therebetween, so that the obtained composite fibers are difficult to pass through the carding machine, the resulting fiber thickness is very thin, and the length of the resulting fiber is The disadvantage of being too short and too random is that the resulting fibers cannot be used for a particular purpose.

또한, 일본특허공고공보 제 47-30,723 호 및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4-153,321 호는 서로 불용성인 2 개의 중합체가 해도 (islands-in-sea) 형태 또는 방사 형태 또는 교호 (alternate) 적층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합 섬유를 제조하고, 하나의 중합체를 복합 섬유로부터 용해-제거함으로써 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목적하는 굵기 및 섬유 길이를 갖는 극세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제조에 유용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2 개의 중합체 중 하나가 복합 섬유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중합체를 용해-제거하는 복잡한 절차로 인해 극세 섬유의 생산성이 낮고, 극세 섬유의 생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47-30,723 and 4-153,321 disclose that two polymers which are insoluble in each other are arranged in an islands-in-sea form or in a radial form or an alternating lamination form. A method for producing ultrafine fibers is disclosed by preparing a composite fiber and dissolving-removing one polymer from the composite fiber. This method is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ultrafine fibers or filaments having the desired thickness and fiber length. However,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ultrafine fibers is low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ultrafine fibers is high due to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dissolving and removing one of the two polymers from the composite fiber.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62-133,164 호는 2 이상의 중합체가 방사 형태 또는 교호 적층 형태로 배열된 복합 섬유를 형성하고, 2 개의 중합체 사이의 열 팽창 차이, 2 개의 중합체의 수축 차이를 이용하여 또는 복합 섬유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 복합 섬유를 분리함으로써 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복합 섬유의 분리 특성이 불충분하여 중합체가 다수 사용되어야 하고, 제조 장치가 복잡하여 극세 섬유의 생산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Furth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133,164 forms a composite fiber in which two or more polymers are arranged in a radial form or alternating lamination form, and utilizes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between two polymers, the shrinkage difference of two polymers, or It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ultrafine fibers by applying a mechanical force to the composite fibers to separate the composite fibers.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eparation properties of the composite fibers are insufficient, so that a large number of polymers are used, and the production apparatu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ultrafine fibers is low.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8-325,945 호 및 제 8-260,343 호는 특정 첨가제와 혼합된 중합체로부터 중공 섬유를 형성하고, 처리제, 예컨대 중공 섬유의 중량 감소를 위한 알칼리 처리제를 가하고, 이 처리제에 의해 중공 공간을 둘러싸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중합체 단편을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다수의 중합체 단편으로부터 중공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방사 노즐 고안의 제한이 있고, 중공 섬유의 분리 수 또는 분리된 섬유의 굵기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알칼리 처리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생성 분리 섬유의 용도에 제한이 있다.In additio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8-325,945 and 8-260,343 form hollow fibers from polymers mixed with specific additives, add a treating agent such as an alkali treating agent for weight reduction of the hollow fiber, and Disclosed are methods for producing ultrafine fibers by separating polymer segments which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surrounding hollow spaces. This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limiting the spinning nozzle design for forming hollow fibers from a plurality of polymer fragments, and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separated fibers or the thickness of the separated fiber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the resulting separation fibers because an alkali treatment agent is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의 복합 섬유 분리 방법 또는 통상의 단일 성분 중합체-제거 방법에 의한 극세 섬유의 공지된 제조 방법은, 각종 분야에 유용한 극세 섬유를 고효율로 만족스럽게 제조하지 못한다.As mentioned above, the known production method of the ultrafine fibers by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ber separation method or the conventional single component polymer-removal method does not satisfactorily produce the ultrafine fibers useful in various fields with high efficiency.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섬유 제품의 제조를 위한 카딩(carding) 공정에서 만족스러운 가공 특성을 갖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기계적 힘을 가함으로써 다수의 가는 섬유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상기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며, 높은 단열 특성 및 우수한 촉감을 갖는 직물 또는 편직물,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며,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인조 가죽, 및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종이상 시이트 재료 및 포장 재료에 유용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ble hollow fiber which has satisfactory processing properties, for example in carding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textile products, and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fibers 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Copolyester fibers,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made from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s contain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nd having hig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good hand feel, the separated fine fibers It is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copolyester fibers, comprising artificial leather having a soft touch, and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which is useful for paper sheet materials and packaging materials and has a soft touch.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 및 편직물, 인조 가죽 및 부직포에 의해 성취할 수 있다. This object can be achieved by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woven and knitted fabrics,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A)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부(中空部) 및 (B)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며, 중공부를 둘러싸고, 테레프탈산 및 하나 또는 복수형의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을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몰 양 기준으로 1 내지 6 몰% 의 양으로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껍질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1) 0.56 내지 8.89 d 텍스의 굵기, (2) 중공부의 총 단면적/개별 섬유의 총 단면적 비 25/100 내지 85/100, (3)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도 20 내지 30 % 및 (4) 코폴리에스테르의 (010) 평면 내 결정 크기 4.0 내지 8.7 ㎚ 을 가지며,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A)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in one or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and (B)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surrounding the hollow portion and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one or more of the sulfonate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s in an amount of 1 to 6 mol% based on the total molar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ethylene glycol It consists of a shell comprising a copolyester of the diol component comprising a, wherein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1) the thickness of 0.56 to 8.89 d tex, (2)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 ratio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dividual fibers of the hollow portion 25/100 to 85/100, (3) the degree of crystallinity of copolyester 20 to 30% and (4) the crystal size in the (010) plane of copolyester of 4.0 to 8.7 nm,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는 껍질부 임의의 위치에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다수의 균열을 갖고, 이에 의해,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할 때 다수의 가는 섬유로 분리될 수 있다.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has a large number of cracks intermittentl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at any position of the shell, whereby when applying a mechanical force to 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It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fibers.

본 발명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기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 상기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된 것이다.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from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shell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본 발명의 직물 또는 편직물은,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직물 또는 편직물에 함유된 모든 섬유의 총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 의 양으로 포함한다.The woven or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preferably in an amount of 20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ll fibers contained in the woven or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인조 가죽은,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하는 기재 시트 및 이 기재 시트에 함침된 합성 수지를 포함한다.The artificial l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sheet contain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in an amount of preferably 20 to 100% by weight and a synthetic resin impregnated with the base sheet.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서로 섞어짜거나 (interlaced) 또는 결합제에 의해 서로 결합된 다수의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에 함유된 섬유 총 중량 기준으로 30 내지 100 중량% 의 양으로 포함한다.The nonwove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 plurality of fibers interlaced with or bonded to each other by a binder, wherein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preferably 30 to 10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bers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In amounts by weight.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A)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부 및 (B)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며, 중공부를 둘러싼 껍질부를 포함한다.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 one or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B) a hollow copolyester fiber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surrounding the hollow portion. It includes a shell.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는 테레프탈산 및 하나 또는 복수형의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을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몰 기준으로 1 내지 6 몰% 의 양으로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즉, 코폴리에스테르는 주요 반복 단위로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 및 1 종 이상의 에틸렌술폰산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위를 포함한다.The shell portion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erephthalic acid and one or more sulphonate group containing dicarboxylic acids in an amount of 1 to 6 mole percent, based on the total moles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 acid component and a copolyester of diols containing ethylene glycol. That is, the copolyester includes ethylene terephthalate units and at least one ethylene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 ester unit as main repeating units.

또한, 본 발명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1) 0.56 내지 8.89 d 텍스의 굵기, (2) 중공부의 총 단면적/개별 섬유의 총 단면적 비 25/100 내지 85/100, (3)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도 20 내지 30 % 및 (4) 코폴리에스테르의 (010) 평면 내 결정 크기 4.0 내지 8.7 ㎚ 을 갖는다.In addition,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1) the thickness of 0.56 to 8.89 d tex, (2)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portion /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the individual fibers 25/100 to 85/100, (3) copolyester Crystallinity of 20 to 30% and (4) copolyester crystal size in the (010) plane of 4.0 to 8.7 nm.

또한, 본 발명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는 실질적으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며, 껍질부에 임의적으로 위치한 다수의 균열을 가지며, 이에 의해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 다수의 가는 섬유로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termittently substa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and has a plurality of cracks arbitrarily located in the shell, whereby 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Mechanical forces can be applied to the part to separate it into a number of fine fibers.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나타낸 도 1 을 참고로 하면, 다수의 균열이 단면에서 발견된다. 균열은 껍질부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중공부의 내부 표면으로 침투한다.Referring to FIG. 1,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electron microscopy, a number of cracks are found in the cross section. The cracks penetrat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hel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전자현미경 측도를 나타낸 도 2 를 참고로 하면, 다수의 간헐적 균열 또는 슬릿(slits)이 중공 섬유의 껍질부에서 발견된다. 균열 또는 슬릿은 특정 길이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한다.Referring to FIG. 2, which shows an electron microscope measure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of intermittent cracks or slits are found in the shell of the hollow fiber. The crack or slit has a certain length and extends substa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기계적 힘, 예컨대 타격을 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다수의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분리된다.In the case of applying a mechanical force, such as a blow, 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copolyester fiber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as shown in FIG. 3.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기계적 힘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can be broken by mechanical forces.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껍질부의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외에 하나 또는 복수형의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1 내지 6 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몰% 를 함유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 내의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함량이 1 몰% 미만이면, 생성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껍질부가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균열 형성 면에서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가는 섬유, 특히 극세 섬유로 껍질부를 분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성분 내의 술포네이트기-함유 디카르복실산 함량이 6 몰% 초과이면,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를 위한 용융-방사(melt-spinning) 가공의 안정성이 매우 낮은 한편,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균열이 껍질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polyester fibers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sh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1 to 6 mol%, preferably 2 to 5, of one or plural sulfonate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s in addition to terephthalic acid. It contains mole%. If the sulfonate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 content 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less than 1 mol%,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 shell may be unsatisfactory in terms of crack formation intermittentl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have. Thus, it can be difficult to separate the shell into a large number of fine fibers, especially microfibers. In addition, if the sulfonate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 content 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more than 6 mol%, the stability of melt-spinning processing for the production of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is very low. On the other hand, crack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may be formed in the shell portion.

본 발명에 유용한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은 술포네이트기 함유 방향족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5-소듐 술포이소프탈산, 5-포타슘 술포이소프탈산, 5-리튬 술포이소프탈산, 4-소듐 술포이소프탈산, 4-소듐 술포-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산들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Sulfonate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sulfonate group-containing aromatic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preferably 5-sodium sulfoisophthalic acid, 5-potassium sulfoisophthalic acid, 5-lithium sulfide Poisophthalic acid, 4-sodium sulfoisophthalic acid, 4-sodium sulfo-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d ester forming derivatives of these acids can be selected. The sulfonate group-containing dicarboxylic aci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에 유용한 코폴리에스테르에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테레프탈산 및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 외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할 수 있으며, 디올 성분은 본 발명의 목적의 성취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에틸렌 글리콜 외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디올을 함유할 수 있다.In copolyester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may contain one or more additional dicarboxylic acids in addition to the terephthalic acid and sulfonate group containing dicarboxylic acids, the diol component being us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it may contain one or more additional diols in addition to ethylene glycol.

부가적인 디카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숙신산, 아디프산 및 세바스산; 및 옥시카르복실산, 예컨대 파라히드록시벤조산 및 4-(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으로부터 선택한다. 상기 부가적인 디카르복실 산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 dicarboxylic acids are preferably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isophthalic acid, diphenyldicarboxylic acid and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adipic acid and sebacic acid; And oxycarboxylic acids such as parahydroxybenzoic acid and 4- (β-hydroxyethoxy) benzoic acid. The additional dicarboxylic aci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부가적인 디올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올, 예컨대 1,3-프로판 디올, 1,6-헥산 디올 및 네오펜틸글리콜; 방향족 디올, 예컨대, 1,4-비스(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Additional diols are preferably aliphatic diols such as 1,3-propane diol, 1,6-hexane diol and neopentylglycol; Aromatic diols such as 1,4-bis (β-hydroxyethoxy) benzene; And polyalkylene glycol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상기 부가적인 디올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dditional dio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바람직하게는 부가적인 디카르복실산 및 부가적인 디올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몰 양 기준으로 총 10 몰% 이하의 양으로 사용한다.Preferably the additional dicarboxylic acid and additional diol are used in an amount of up to 10 mol%, based on the total molar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일반적으로,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중합화도가 커질수록, 폴리에스테르의 용융 방사 가공의 안정성은 낮아지며, 가는 섬유를 제조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중합화도가 낮을수록, 큰 중공 공간을 갖는 중공 섬유를 제조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유용한 코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35 ℃ 온도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 내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 (η) 0.35 내지 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 내지 0.55 를 갖는다.In general, with respect to the polyester resin for fibers, the greater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ester, the lower the stability of melt spinning processing of the polyester, and the more difficult it is to produce fine fibers. In addition, the lower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ester, the more difficult it is to produce hollow fibers with large hollow spaces. Thus, the copolyesters useful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ve an intrinsic viscosity (η) of 0.35 to 0.70, more preferably 0.40 to 0.55, measured in orthochlorophenol at a temperature of 35 ° C.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를 위한 코폴리에스테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와 함께 첨가된다.Copolyesters for the shell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tionally added with one or more additives.

첨가제는 기능 부여제, 예컨대 세균방지제, 친수성화제, 항진드기제 및 탈취제; 및 무기 입자, 예컨대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황산바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및 투르말린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최종 제품의 용도 목적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무기 입자가 사용되는 경우, 무기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입도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 이며,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에 1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된다.Additives include functionalizing agents such as antibacterial agents, hydrophilicizing agents, anti-mite agents and deodorants; And inorganic particles such as titanium dioxide, zinc oxide, barium sulfate, zirconium oxide, aluminum oxide,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and tourmaline. The additive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use of the end product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When inorganic particles are used,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1.0 µm or less in particle size, more preferably 0.1 to 0.7 µm, and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7, in the shell portion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by weight.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0.56 내지 8.89 d 텍스, 바람직하게는 1.11 내지 4.44 d 텍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1.67 내지 3.33 d 텍스의 개별 섬유 굵기를 갖는다. 개별 섬유 굵기가 0.56 d 텍스 미만이면,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만족할만한 용융 방사 가공 안정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없으며, 생성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불만족스러운 중공 비율 (총 중공부의 단면적/중공 섬유의 단면적 비율) 을 갖는다. 또한, 개별 섬유 굵기가 8.89 d 텍스 초과이면, 용융 방사 가공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생성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의 껍질부가 지나치게 굵어져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의 종축을 따라 균열이 껍질부에 만족스럽게 형성되지 않으며,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도, 만족스러운 가는 섬유로 분리되지 않는다.The separable hollow 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ndividual fiber thickness of 0.56 to 8.89 d text, preferably 1.11 to 4.44 d text, more preferably 1.67 to 3.33 d text. If the individual fiber thickness is less than 0.56 d tex,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cannot be produced with satisfactory melt spinning processing stability, and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s have an unsatisfactory hollow ratio (cross-sectional area / hollow fiber of the total hollow part). Of cross-sectional area). In addition, if the individual fiber thickness is more than 8.89 d tex, the melt spinning processing stability is excellent, while the shell portion of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is too thick, so that cracks are not satisfactori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And even if a mechanical force is applied to the shell, it does not separate into satisfactory fine fibers.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25/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100 내지 60/100 의 중공 비율 (중공부의 총 단면적/개별 중공 섬유의 총 단면적) 을 갖는다. 중공 비율이 25/100 미만이면, 수득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도 만족스럽게 가는 섬유로 분리될 수 없다. 그러나, 중공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생성되는 중공 섬유 껍질부의 굵기가 가늘고, 가공 처리 및 용융 방사 가공 동안에 쉽게 파괴되며, 불량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중공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5/100 이하이다.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hollow ratio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portion /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dividual hollow fibers) of 25/100 or more, preferably 40/100 to 60/100. If the hollow ratio is less than 25/100, even if a mechanical force is applied to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obtained, they cannot be separated into satisfactorily thin fibers. However, if the hollow ratio is too high, the thickness of the hollow fiber shell produced is thin, easily broken during processing and melt spinning processing, and exhibits poor mechanical properties. Usually, the hollow ratio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is preferably 85/100 or less.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각각에서, 바람직하게는 중공부의 단면이 중공 섬유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공심적(共心的)이도록 단일 중공부가 형성되며, 따라서 껍질부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굵기를 갖는다. 중공부의 단면이 중공 섬유의 단면과 편심적(偏心的)인 경우, 껍질부는 고르지 못하다. 편심도가 커질수록 껍질부 굵기의 균일도가 커진다. 따라서, 생성된 껍질부는 미세 섬유로 균일하게 분리되기 어렵고, 따라서, 생성된 분리된 가는 섬유는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 또는 인조 가죽용 기재 시트를 형성하기 어렵다.In each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hollow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portion is substantially concentric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fiber, so that the shell portion has a substantially uniform thickness. Have If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part is eccentric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fiber, the shell part is uneven. The greater the eccentricity, the greater the uniformity of the shell thickness. Thus, the resulting shells are difficult to uniformly separate into fine fibers, and thus the resulting separated fine fibers are difficult to form a base sheet for woven, knitted or nonwoven or artificial leather having a soft touch.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중공부를 둘러싸는 껍질부가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 의 평균 굵기를 갖는다. 5 ㎛ 의 평균 굵기를 갖는 껍질부가 가는 섬유로 만족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껍질부의 굵기가 지나치게 가늘면, 중공 섬유의 제조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중공 섬유는 그 가공 동안 쉽게 파괴되고/파괴되거나 불량한 내마모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surrounding the hollow portion preferably has an average thickness of 5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0 to 3.0 μm. The shell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5 μm can be satisfactorily separated into thin fibers.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shell is too thin, the production of hollow fibers may be difficult, and the hollow fibers may easily break during fracture and / or exhibit poor wear resistance.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광각 X-선 회절 포토그래피에 나타난 (010) 평면 회절 피이크 폭 값의 반으로부터 측정한 4.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7 ㎚ 의 코폴리에스테르 (010) 내 결정 크기 및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3 % 의 코폴리에스테르 결정화도를 갖는다. 코폴리에스테르가 20 % 이상의 결정화도 및 4.0 ㎚ 이상의 (010) 평면 내 결정 크기를 갖는 경우, 생성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만족스러운 분리 특성을 나타낸다. 결정화도가 20 % 미만이고/이거나 결정 크기가 4.0 ㎚ 미만인 경우, 생성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불만족스러운 분리 특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다수의 가는 섬유, 특히 극세 섬유로 분리되기 어렵다.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polyester (010) of at least 4.0 nm, preferably 5.0 to 8.7 nm, measured from half of the (010) planar diffraction peak width value shown in wide-angle X-ray diffraction photography. ) Crystallite size and copolyester crystallinity of at least 20%, preferably from 22 to 33%. If the copolyester has a crystallinity of at least 20% and a crystal size in the (010) plane of at least 4.0 nm,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s exhibit satisfactory separation properties. If the degree of crystallinity is less than 20% and / or the crystal size is less than 4.0 nm,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s exhibit unsatisfactory separation properties and are therefore difficult to separate into a large number of fine fibers, especially ultrafine fibers.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껍질부는 껍질 부분에 임의로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다수의 균열을 갖는다. 균열은 각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 방향으로 제한된 길이를 가지며, 껍질부를 통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침투할 수 있다. 균열은 슬릿 또는 길고 좁은 개구(開口) 형태일 수 있다. 균열은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할 때 껍질부가 쉽게 베어질 수 있는 잠재적인 균열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균열도 형성되지 않는 경우, 껍질부는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도 가는 섬유로 쉽게 분리될 수 없다.In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portion is optionally located in the shell portion and has a plurality of cracks that extend intermittent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The cracks have a limit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each hollow copolyester fiber and can penetrate completely or incompletely through the shell. The cracks may be in the form of slits or long narrow openings. Cracks may include potential cracks that can easily be cut when the mechanical force is applied to the shell. If no cracks are formed, the shell cannot be easily separated into fine fibers 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shell.

상기한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그 종축 방향으로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경우, 그 횡방향으로의 중공 섬유의 기계적 특성은 불량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힘을 중공 섬유의 껍질부에 가하는 경우, 주로 중공 섬유의 실질적으로 종축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균열을 따라, 중공 섬유의 90 내지 100% 가 각각 4 개 이상의 가는 섬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개의 가는 섬유로 분리된다.When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ollow fibe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poor. Thus, preferably, when mechanical force is applied to the shell of the hollow fiber, 90-100% of the hollow fiber is at least 4 fine fibers each, mainly along the intermittently elongated crack in the substantially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More preferably, it is separated into 5 to 20 fine fibers.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극세 섬유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힘을 가하기 전에, 장력 하에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열처리하는 경우, 중공 섬유의 분리 특성이 보강될 수 있다.Thus, ultrafine fibers can be made from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heat-remov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under tension before applying mechanical force, the separation properties of the hollow fibers can be reinforced.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중공 섬유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연속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staple) 섬유의 형태일 수 있다.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continuous filament or staple fibers, which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and purpose of the hollow fibers.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예컨대, 하기의 특정 용융 방사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specific melt spinning processing.

코폴리에스테르의 용융물은 중공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방사 홀을 갖는 중공 필라멘트 방사기에 압출되고, 150 내지 230 ℃,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10 ℃ 온도의 가열 기체가 방사기 0 내지 50 ㎜ 아래에 위치한 가열 구역 내에서 압출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용융 스트림을 향해 블로잉된다. 가열 기체의 블로잉각은 압출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용융 스트림의 횡단 경도에 대해 우측 방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30 내지 45 도의 각이다. 즉, 가열 기체의 블로잉은 상향인 반면, 압출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용융 스트림의 이동은 하향이다. 따라서, 가열 기체의 블로잉 및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용융 스트림의 횡단은 서로 역방향으로 수행된다.The melt of copolyester is extruded into a hollow filament spinner having a plurality of spinner holes for forming hollow filaments, and heated gas at a temperature of 150 to 230 ° C., preferably 180 to 210 ° C., located below 0 to 50 mm Blowed toward the extruded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melt stream in the heating zone. The blowing angle of the heating gas is an angle of 30 to 45 degrees downward from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hardness of the extruded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melt stream. That is, the blowing of the heating gas is upward while the movement of the extruded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melt stream is downward. Thus, blowing of the heating gas and traversing the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melt stream are carried ou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가열 기체의 블로잉 속도는 1.0 내지 5.0 m/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m/초이다.The blowing speed of the heating gas is 1.0 to 5.0 m / sec, preferably 2.0 to 3.0 m / sec.

가열 구역을 통과한 후,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용융 스트림은 가 열 구역 아래에 위치하며, 50 내지 150 ㎜ 의 길이를 갖는 완충(buffer) 구역을 통과한 다음, 완충 구역 아래에 위치하며, 100 내지 450 ㎜,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50 ㎜ 의 길이를 갖는 냉각 구역에서 냉각 및 고형화된다. 냉각 구역에서, 15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 온도의 냉각 공기는 0.2 내지 4.0 m/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m/초의 블로잉 속도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용융 스트림을 향해 블로잉된다. 냉각 공정이 상기한 조건 이외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경우, 생성된 중공 필라멘트는 특정 특성 면에서 불만족스러울 수 있다.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zone, the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melt stream is located below the heating zone, passes through a buffer zone having a length of 50 to 150 mm, and then below the buffer zone, 100 It is cooled and solidified in a cooling zone having a length of from to 450 mm, preferably from 150 to 350 mm. In the cooling zone, cooling air at a temperature of 15 to 35 ° C., preferably 20 to 25 ° C., is directed towards the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melt stream at a blowing rate of 0.2 to 4.0 m / sec, preferably 1.5 to 3.5 m / sec. Blows. If the cooling process is carried out under condi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the resulting hollow filaments may be unsatisfactory in terms of certain properties.

냉각-고형화된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500 내지 2000 m/분,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800 m/분의 권취(take-up) 속도로,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의 드래프트(draft) 하에 권취할 수 있다.The cooling-solidified copolyester filaments are at least 150, preferably 150 to 500, more preferably 200 at a take-up rate of 500 to 2000 m / min, preferably 1000 to 1800 m / min. Can be wound under a draft of from 400 to 400;

방사 드래프트가 150 미만이면, 용융 방사 가공 안정성이 불만족스럽고, 생성된 섬유의 미세 구조에서 코폴리에스테르 (010) 평면 내 결정 크기가 지나치게 작을 수 있다. 또한, 권취 속도가 2000 m/분보다 크면, (010) 평면 내 생성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의 미세 구조에서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 크기가 충분히 클 수 있는 한편, 25/100 이상의 중공비를 갖는 모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만족스러운 결정화도 및 결정 크기가 수득될 수 없다.If the spin draft is less than 150, melt spinning processing stability is unsatisfactory, and the crystal size in the copolyester (010) plane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resulting fiber may be too small. Also, if the winding speed is greater than 2000 m / min, the crystal size of the copolyester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hollow copolyester produced in the (010) plane can be sufficiently large, while all hollows having a hollow ratio of 25/100 or more Copolyester fibers and satisfactory crystallinity and crystal size cannot be obtained.

또한, 권취 속도가 500 m/분 미만이면, 생성된 중공 섬유가 불만족스러운 (010) 평면 내 결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용융 방사 드래프트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생성된 비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낮은 연신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용융-연신 드래프트는 바람직하게는 500 을 초과하지 않는다.In addition, if the winding speed is less than 500 m / min, the resulting hollow fibers may have unsatisfactory crystal size in the (010) plane. If the melt spinning draft is too high, the resulting un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s may exhibit low stretch. Thus, the melt-drawn draft preferably does not exceed 500.

생성된 비연신 중공 필라멘트는 생성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최종 용도에 따라 확립된 한도로 연신 및 임의로 열처리된다. 연신은, 예컨대 50 내지 70 ℃ 온도의 열수에서 2.0 내지 5.0 의 연신비로 수행된다. 어떠한 열처리도 가하지 않은 경우, 생성된 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높은 열 수축을 나타낸다. 가열 롤러 또는 가열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장력 하에 열처리를 가하는 경우, 생성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감소된 수축을 나타낸다. 또한, 열처리 공정에 필라멘트를 과잉 공급하면서, 비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가 연신 및 이어서, 열수에서 열처리되는 경우, 생성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자가 팽창 특성을 나타낸다. 연신 공정 동안, 중공 섬유의 상기 특정 미세 구조는 껍질부에, 임의로 위치하며, 껍질부 내에 형성될 중공 섬유의 실질적으로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다수의 균열의 원인이 된다.The resulting undrawn hollow filaments are drawn and optionally heat treated to the limit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end use of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s. The stretching is performed at a stretching ratio of 2.0 to 5.0, for example, in hot water at a temperature of 50 to 70 ° C. If no heat treatment is applied, the resulting 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bers exhibit high thermal shrinkage. When heat treatment is applied under tension using a heating roller or heating plate,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s exhibit reduced shrinkage. In addition, when the non-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s are stretched and subsequently heat treated in hot water while overfeeding the filaments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fibers exhibit self-expansion properties.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this particular microstructure of the hollow fiber is located randomly in the shell and causes a large number of cracks that intermittently extend along the substantially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to be formed in the shell.

간헐적인 균열은 중공 섬유의 외표면으로부터 껍질부를 통해 중공부의 내표면으로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침투할 수 있다.Intermittent cracks can penetrate completely or incomplete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iber through the shel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본 발명의 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중공 섬유의 껍질부에서 가시적으로 볼 수 없으며,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가 가는 섬유로 분리되도록 하는 잠재적인 균열을 갖는다.The 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visible in the shell of the hollow fibers, and have the potential cracks that cause 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to separate into thin fibers.

상기 용융 방사 방법은 단지 대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또다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melt spinning process is merely representative and does not limit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nother method.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기타 섬유, 예컨대 본 발명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외의 합성 중합체 섬유 및 천연 섬유 예컨대 면 섬유 및 모 섬유, 반합성 섬유, 예컨대 비스코스 (viscos) 레이온 섬유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함유되고, 가는 섬유로 분리되는 경우, 생성된 섬유 제품은 보강된 부드러운 촉감 및 벌크성(bulkiness)을 나타낸다.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other fibers, such as synthetic polymer fibers and natural fibers other than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cotton and wool fibers, semisynthetic fibers such as viscose rayon fibers. Used in combination with When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re contained and separated into fine fibers, the resulting fibrous product exhibits reinforced soft hand and bulkiness.

본 발명의 직물 또는 편직물은 본 발명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직물 또는 편직물에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직물 또는 편직물에 함유된 섬유 총 중량 기준으로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된다. 직물 또는 편직물이 20 중량% 이상의 양으로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사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직물 또는 편직물 내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직물 또는 편직물의 직가공 또는 편직가공 동안 가는 섬유로 분리된다.The woven or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ven or knitted fabric,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at least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at least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bers contained in the woven or knitted fabric. When the woven fabric or knitted fabric is formed from fibrous yarns containing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in an amount of at least 20% by weight,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in the woven fabric or knit fabric are made into fine fibers during the weaving or knitting of the woven fabric or knit fabric. Are separated.

생성 분리된 가는 섬유는 직물 또는 편직물의 단열 특성, 벌크성 및/또는 부드러운 촉감을 보강하는데에 기여한다.The resulting separated fine fibers contribute to reinforcing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bulkiness and / or soft hand of the woven or knitted fabric.

본 발명의 인조 가죽은 본 발명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는 기재 시트 및 기재 시트에 함침된 합성 수지를 포함한다. 기재 시트는 직물 또는 편직물 또는 부직포 형태이다.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기재 시트 내에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The artificial l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sheet contain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ynthetic resin impregnated with the base sheet. The base sheet is in the form of a woven or knitted or nonwoven fabric.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preferably present in the substrate sheet in an amount of at least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at least 30% by weight.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는 기재 시트가 인조 가죽 제조를 위한 가공 처리되는 경우,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인조 가죽 제조 공정 동안,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성된 인조 가죽은 보강된 부드러운 촉감, 경량성 및 유연성을 나타낸다.When the base sheet containing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cessed for artificial leather production,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are separated into fine copolyester fibers during the artificial leather production process. Thus, the resultant artificial l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reinforced soft touch, light weight and flexibility.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서로 섞어짠 또는 결합제를 통해 결합되며, 본 발명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다수의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에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다.The nonwove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 plurality of fibers interwoven with one another or bonded through a binder and compris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fine copolyester fibers separated from the nonwoven is preferably at least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at least 40%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50% by weight.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를 서로 섞어 짬으로써 부직포가 형성되는 경우, 섞어짜기 공정 동안,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분리된다. 생성된 부직포는 보강된 부드러운 촉감, 경량성 및 단열 특성을 나타낸다.When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by mixing fibers containing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with each other, during the mixing process,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re separated into fine copolyester fibers. The resulting nonwovens exhibit enhanced soft hand, light weight an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부직포가 초지기(抄紙機)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섬유 길이 3 내지 30 ㎜ 로 절단되고, 생성된 절단 중공 섬유는 타격기, 예컨대 원반 정제기를 사용하여 기계적 펄프 가공을 수행하여 가는 피브리드형 섬유로 분리된다. 중공 섬유를 위한 펄프 (타격) 가공은 타격기 종류에 따라 형성된 조건 하에서 수행한다.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수득한 생성된 분리된 피브리드형(fibrid-formed) 가는 섬유가 물에 현탁된다. 생성된 가는 섬유 슬러리에 시이트 형성 결합제를 첨가한 다음, 초지기, 예컨대 긴 와이어 초지기, 짧은 와이어 초지기 또는 실린더 초지기에 공급되고, 생성된 습식-퇴적 부직포는 양키(Yankee) 건조기를 사용하여 열풍건조된다. 상기 습식 방법 에 의해 제조한 습식-퇴적 부직포는 종래 부직포에 의해 수득되지 않았던 균일하며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낸다.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슬러리가 섬유의 불충분한 분산 또는 기포로 인해 불만족스러울 경우,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분산제 또는 증점제가 섬유 슬러리에 첨가될 수 있다.When the nonwoven fabric is produced by a paper machine,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re cut into fiber lengths of 3 to 30 mm, and the resulting cut hollow fibers are subjected to mechanical pulp processing using a blower such as a disc refiner. The fibrid fibers are separated into fine fibers. Pulp (hit) processing for hollow fibers is carried out under conditions 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blower. The resulting isolated fibrid-formed fine fibers obtained from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re suspended in water. The sheet forming binder is added to the resulting thin fiber slurry, and then fed to a paper machine such as a long wire paper machine, a short wire paper machine or a cylinder paper machine, and the resulting wet-deposited nonwoven fabric is hot air dried using a Yankee dryer. The wet-deposited nonwoven fabric produced by the wet method exhibits a uniform and soft hand that was not obtained by conventional nonwoven fabrics. If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 slurry is unsatisfactory due to insufficient dispersion or bubbles of the fibers,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dispersants or thickeners may be added to the fiber slurry.

본 발명의 습식-퇴적 부직포에 유용한 결합제는 통상의 종이 형성용 점착물질, 예컨대 천연 수용성 중합체, 예컨대 젤라틴 및 소듐 알지네이트; 반-합성 수용성 중합체, 에컨대 인산 개질 전분, 시아노에틸화 전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합성 수용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알콜, 폴리(소듐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기타 수용성 고분자 물질,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습식-퇴적 부직포용 결합제는 수용성 중합체, 예컨대 염화 비닐,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부타디엔 및 에틸렌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라텍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라텍스는 가소제 및/또는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Useful binders for the wet-deposited nonwov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nventional paper-forming adhesives such as natural water soluble polymers such as gelatin and sodium alginate; Semi-synthetic water soluble polymers such as phosphoric acid modified starch, cyanoethylated starch, carboxymethyl cellulose and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Synthetic water soluble polymers such as polyvinyl alcohol, poly (sodium acrylate) and polyacrylamide; And other water soluble high molecular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hosphate. The binder material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binder for the wet-deposited nonwoven can be selected from latexes of water soluble polymers such as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styrene, acrylonitrile acrylate esters, butadiene and ethylene homopolymers and copolymers. The latex may contain plasticizers and / or stabilizers.

습식-퇴적 부직포용 결합제는 섬유 형태일 수 있다. 결합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종이 형성 공정 후에, 습열 조건 하에서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폴리비닐 알콜 섬유 및 폴리에틸렌옥시드 섬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섬유는, 초지기에 의해 제조된 습식-퇴적 부직포가 건조되는 80 내지 170 ℃ 온도에서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 열 융해 점착 호모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열 용융 섬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섬유,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섬유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 이트 공중합체 섬유, 및 열 융해 점착 중합체 및 열 융해 점착 중합체보다 20 ℃ 높은 용융점을 갖는 기타 중합체를 포함하는 나란히 늘어선 형 (side-by side type) 및 외피로 중심이 보호된 형 (core-in-sheath type) 열 점착 복합 섬유로부터 선택된다.The binder for the wet-deposited nonwoven may be in the form of fibers. The binding fibers may preferably be selected from polyvinyl alcohol fibers and polyethylene oxide fibers exhibiting binding activity under moist heat conditions after the paper forming process. Alternatively, the bonding fibers may be heat-melt fibers of heat-melt adhesive homopolymers and copolymers, such as polypropylene fibers, chlorosulf, that exhibit adhesive properties at temperatures between 80 and 170 ° C. at which wet-deposited nonwovens made by paper machines are dried. Side-by side type and sheath centers, including fonned polyethylene fibers and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fibers and other polymers having a melting point of 20 ° C. higher than the heat-melting adhesive polymer and the heat-melting adhesive polymer It is selected from this core-in-sheath type heat-adhesive composite fiber.

습식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부직포에서, 본 발명의 분리된 피브리드형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습식-퇴적 부직포의 총 중량 기준으로 3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종이 형성 결합제가 바람직하게는 습식-퇴적 부직포 총 중량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된다. 결합제의 양이 5 중량% 미만이면, 생성된 습식-퇴적 부직포는 불만족스러운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고 취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결합제의 양이 30 중량% 초과이면, 개별 피브리드형 섬유는 섬유가 서로 지나치게 넓은 범위로 교차되는 비율로 서로 결합하며, 따라서 생성되 습식-퇴적 부직포가 피브리드형 섬유의 용도로부터 기대되는 보강된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낼 수 없다. 본 발명의 습식-퇴적 부직포는 분리된 피브리드형 코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결합제 외에, 임의로 부가적인 섬유, 예컨대 천연 펄프 섬유, 합성 펄프 섬유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함유한다. 부가 섬유는 특정 기능 또는 특성, 예컨대 높은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흡습성 또는 친수성을 부직포에 부여할 수 있다.In the nonwoven fabric of the invention produced by the wet process, the separated fibrid fine copolyester fibers of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at least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wet-deposited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paper-forming bind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wet-deposited nonwoven fabric. If the amount of bind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resulting wet-deposited nonwoven can exhibit unsatisfactory mechanical strength and can be difficult to handle. In addition, if the amount of binder is greater than 30% by weight, the individual fibrid fib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t a rate where the fibers cross each other in too wide a range, so that the resulting wet-deposited nonwoven fabric is expected from the use of fibrid fibers. It cannot exhibit a soft touch. The wet-deposited nonwovens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onally contain additional fibers, such as natural pulp fibers, synthetic pulp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in addition to the separated fibrid copolyester fibers and binders. Additional fibers can impart certain functions or properties such as high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hygroscopicity or hydrophilicity to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는, 상기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다른 섬유, 예컨대 비중공 또는 중공 합성 섬유 (예,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천연 섬유, 예컨대 면 또는 모 섬유와 조합하여 사용된 경우라 할지라도, 예컨대 중공 섬유보다 가는 다수의 섬유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생성된 섬유 제품은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인한 구체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shell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are combined with other fibers such as non-hole or hollow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fibers) or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or wool fibers. Even if used, it can be easily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bers, for example thinner than hollow fibers. Thus, the resulting fiber product may exhibit specific properties due to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예를 들면, 종래의 극세 섬유를 카딩기에 투입하는 경우, 섬유가 카딩기에 원할하게 통과되기가 어렵다.For example, when conventional microfine fibers are put into a carding machine, it is difficult for the fibers to pass smoothly to the carding machine.

즉,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카딩 특성은 매우 낮다. 본 발명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써 카딩 과정을 수행할 때, 단지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중공-섬유의 껍질부에 간헐적인 균열이 형성될 뿐이고, 다음에 서로로부터 가는 섬유의 분리 없이, 중공 섬유가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의 다발로 전환된다. 즉,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다발로서 거동하며, 따라서 카딩기를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That is, the carding properties of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very low. When carrying out the carding process with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intermittent cracks are formed in the shell of the hollow-fiber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and then the hollow fiber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converted into a bundle of separated copolyesters. That is,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behave as bundles and thus can pass smoothly through carding machines.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은 단지 대표적인 것이고 어쨋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설명될 것이다.The invention is merely representative and will be further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in no way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에서, 하기 시험을 적용한다.In the examples, the following tests apply.

(1) 고유 점도(1) intrinsic viscosity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 점도를 35 ℃ 에서 용매로서 오르토클로로페놀을 이용하여 측정한다.The intrinsic viscosity of a polyester resin is measured using orthochlorophenol as a solvent at 35 degreeC.

(2) 섬유의 굵기(2) the thickness of the fiber

섬유의 굵기를 일본 공업 표준 (JIS) L 1015, 7-5-1A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The thickness of the fibers is measured according to Japanese Industrial Standard (JIS) L 1015, 7-5-1A method.

(3) 중공비(3) hollow ratio

이미지-분석 시스템 (상표명 : PIAS-2, PIAS K. K. 사 제조) 을 이용하여, 개별 중공 섬유의 단면 프로필을 500 배 확대하여 확대하며, 섬유의 단면적 및 섬유의 중공부의 단면적을 측정한다.Using an image-analysis system (trade name: PIAS-2, manufactured by PIAS K. K.), the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individual hollow fibers is enlarged by 500 time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b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part of the fiber are measured.

중공비는 중공부 및 섬유의 단면 면적비를 의미한다.Hollow ratio means the cross-sectional area ratio of a hollow part and a fiber.

(4) 간헐적 균열(4) intermittent crack

중공 섬유 측면의 확대된 현미경 사진을 찍고, 사진을 관찰하여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중공 섬유의 가장자리 면 상에 간헐적인 균열 또는 슬릿이 형성되는지를 조사한다.An enlarged micrograph of the hollow fiber side is taken and the photograph is examined to see if intermittent cracks or slits are formed on the edge face of the hollow fiber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5) 껍질부의 굵기(5) thickness of shell

500 배의 중공 섬유의 확대 단면 프로필에서, 중공 섬유의 총 단면적 및 중공부의 단면적을 측정하고, 껍질부의 굵기를 중공 섬유의 총 단면적 및 중공부의 단면적으로부터 계산한다. 시험을 20 개의 중공 섬유에 적용하여 껍질부의 굵기를 20 개의 시험 결과의 평균값으로 나타낸다.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hollow fiber 500 times,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fib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part are measured, and the thickness of the shell is calculated from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fib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part. The test is applied to 20 hollow fibers to indicate the thickness of the shell as the average value of the 20 test results.

(6) 각각 4 개 이상의 가는 섬유로 분리가능한 각 중공 섬유/모든 중공 섬유의 비율(6) the ratio of each hollow fiber / all hollow fibers separable into four or more fine fibers, respectively

중공 코폴리에스테르의 단면 프로필의 다수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제조한다. 사진에서 임의로 선택된 50 개의 단면 프로필과 관련하여, 균열을 따라 중공 섬유를 분리할 수 있는 4 이상의 균열을 갖는 단면 프로필의 수를 계산한다. 다음에 50 개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준으로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 를 계산한다.Multipl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hollow copolyester are prepared. Regarding the 50 cross-sectional profiles randomly selected from the photographs, the number of cross-sectional profiles with 4 or more cracks capable of separating hollow fibers along the cracks is calculated. The percent of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is then calculated based on the 50 hollow copolyester fibers.

(7)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분리된 가는 섬유의 평균치(7) Average value of fine fibers separated from hollow copolyester fibers

시험 (6) 에서 사용된 바와 동일한 사진상에, 개별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분리될 가는 섬유의 평균치를 사진상에 나타나는 것들로부터 선택된 10 개의 개별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분리될 가는 섬유의 총 수로부터 계산한다.On the same photograph as used in the test (6), the average of the fine fibers to be separated from the individual hollow copolyester fibers is calculated from the total number of fine fibers to be separated from the 10 individual hollow copolyester fibers selected from those shown in the photograph. do.

(8) 결정화도(8) crystallinity

중공 섬유에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화도를 섬유의 광각 X-선 회절상으로부터 측정한다.The crystallinity of the copolyester resin in the hollow fiber is measured from the wide angle X-ray diffraction image of the fiber.

(9) (010) 평면 내 결정 크기(010) (010) in-plane crystal size

(010) 평면 내 코폴리에스테르 결정의 결정 크기를 광각 X-선 회절상에서 (010) 평면 내 회절 피크의 밴드 폭의 절반으로부터 측정한다.The crystal size of the (010) in-plane copolyester crystal is measured from half the band width of the (010) in-plane diffraction peak on the wide-angle X-ray diffraction image.

(10) 용융-방사성 및 연신성(10) melt-radiative and extensible

(i) 코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공 섬유로의 방사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한다.(i) The spinning property of a copolyester resin to a hollow fiber is evaluated as follows.

등급Rating 방사 결과Radiation results

3 필라멘트의 파단수는 1 일당, 방사 오리피스당 0.1 미만 3 The number of breaks of the filament is less than 0.1 per spinning orifice per day

점착된 필라멘트 수는 1 일당, 방사 오리피스당 0.1 미만       The number of adhered filaments is less than 0.1 per spinning orifice per day

2 필라멘트의 파단수는 1 일당, 방사 오리피스당 0.1 내지 0.2 The number of breaks in 2 filaments per day is 0.1 to 0.2 per spinning orifice

점착된 필라멘트 수는 1 일당, 방사 오리피스당 0.1 내지 0.2       The number of adhered filaments is 0.1 to 0.2 per spinning orifice per day

1 필라멘트의 파단수는 1 일당, 방사 오리피스당 0.2 초과 The number of breaks in 1 filament per day exceeds 0.2 per spinning orifice

점착된 필라멘트 파단수는 1 일당 방사 오리피스당 0.2 초과       Sticked filament breakage is greater than 0.2 per spinning orifice per day

여기에 사용된 용어 "점착된 필라멘트" 는 단일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두개 이상의 융합-점착된 필라멘트를 말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tacked filament” refers to two or more fused-bonded filaments of each other to form a single filament.

(ii) 비연신된 중공 필라멘트의 연신성을 하기를 기준으로 평가한다.(ii) The elongation of the undrawn hollow filament i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등급Rating 방사 결과Radiation results

3 필라멘트 파단으로 인한 압연-권취수는 1 일당, 연신 롤러당 1 미만 3 Rolling-winding number due to filament breakage is less than 1 per draw roller

비연신 필라멘트의 수는 100,000 필라멘트당 5 미만      The number of unstretched filaments is less than 5 per 100,000 filaments

2 필라멘트 파단으로 인한 압연-권취수는 1 일당, 연신 롤러당 1 내지 3 2 Rolling-winding number due to filament fracture is 1 to 3 per drawing roller

비연신 필라멘트의 수는 100,000 필라멘트당 5 내지 10      The number of unstretched filaments ranges from 5 to 10 per 100,000 filaments

1 필라멘트 파단으로 인한 압연-권취수는 1 일당, 연신 롤러당 3 1 rolling-winding due to filament breakage is 3 per day, 3 per drawing roller

비연신 필라멘트의 수는 100,000 필라멘트당 10      The number of unstretched filaments is 10 per 100,000 filaments

(11) 단열 특성(11) insulation properties

견본을 JIS A 1412 에 따라 열 전도도를 측정하고 4 개의 등급으로 평가한다.The samples were measured for thermal conductivity in accordance with JIS A 1412 and evaluated in four grades.

등급Rating 열 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A 0.048 kcal/m·h·℃ 이하 A 0.048 kcal / m

B 0.048 kcal/m·h·℃ 초과, 0.055 kcal/m·h·℃ 이하 B 0.048 kcal / m · h · ° C or more, 0.055 kcal / m · h · ° C or less

C 0.055 kcal/m·h·℃ 초과, 0.060 kcal/m·h·℃ 이하 C 0.055 kcal / m · h · ° C or more, 0.060 kcal / m · h · ° C or less

D 0.060 kcal/m·h·℃ 초과 D 0.060 kcal / m

(12) 직물의 경량 특성12. Lightweight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

표준 견본을 1.67 d 텍스의 개개의 섬유 굵기 및 30 % 의 중공비를 갖는 중공 섬유로부터 제조된 직물의 5 조각 (면적 : 5 cm2) 으로부터 제조한다. 5 개의 직물 조각을 겹친다. 표준 직물의 각 조각 굵기를 측정하고 표준 견본의 부피 및 중량을 측정한다. 단위 부피당 표준 견본의 중량을 계산하였다.Standard specimens are made from 5 pieces (area: 5 cm 2 ) of fabric made from hollow fibers having an individual fiber thickness of 1.67 d tex and a hollow ratio of 30%. Overlap five pieces of fabric. The thickness of each piece of the standard fabric is measured and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standard specimen are measured. The weight of the standard specimen per unit volume was calculated.

견본을 표준 직물의 것과 동일한 중량을 갖는 직물로부터 제조하고 단위 부피당 견본의 중량을 계산한다.Swatches are made from fabrics having the same weight as that of standard fabrics and the weight of the samples per unit volume is calculated.

시험 결과로부터, 직물의 경량 특성을 하기 4 개의 등급에서 측정한다.From the test results, the lightweight properties of the fabric are measured in the following four grades.

등급Rating 단위 부피당 중량Weight per unit volume

A 표준보다 현저히 미만 Significantly less than the A standard

B 표준보다 미만 Less than B standard

C 실질적으로 표준과 동일 C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andard

D 표준보다 큼 Greater than D standard

(13)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의 촉감 (부드러움, 상쾌함, 드레이프 특성, 쿠션 특성 및 내압축성)(13) Feel of fabric, knitted fabric or nonwoven fabric (softness, freshness, drape properties, cushioning properties and compression resistance)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의 촉감을 관능검사에 의해 평가하고 하기와 같이 A 내지 D 로 분류한다.The feel of the woven, knitted or nonwoven fabric was evaluated by sensory evaluation and classified as A to D as follows.

등급Rating 촉감touch

A 우수 A excellent

B 양호 B good

C 만족스러움 C Satisfaction

D 불량 D bad

(14) 부직포 직물의 초기 벌크성(14) Initial Bulk Properties of Nonwoven Fabrics

부직포 직물의 초기 벌크성을 JIS L 1097 에 따라 특정 부피의 관점에서 측정한다.Initial bulk properties of nonwoven fabrics are measured in terms of specific volumes in accordance with JIS L 1097.

20 cm × 20 cm 의 치수 및 40 g 의 중량 (W) 을 갖는 편물을 카딩기를 이용하여 섬유 뭉치로부터 제조한다. 편물을 1 시간 이상 동안 주위 환경에 방치하고, 다음에 20 cm × 20 cm 의 치수 및 0.5 g/cm2 의 중량을 갖는 두꺼운 판을 편물상에 겹치게 하고, 2 kg 의 중량을 갖는 소구(bullet) (A) 를 30 초간 두꺼운 판위에 두고, 소구 (A) 를 두꺼운 판으로부터 제거하고, 잔류하는 편물 및 두꺼운 판을 30 초간 둔다.Knits having dimensions of 20 cm × 20 cm and weights of 40 g (W) are made from a bundle of fibers using a carding machine. The knit is left in the environment for at least 1 hour, then a thick plate having a dimension of 20 cm × 20 cm and a weight of 0.5 g / cm 2 is superimposed on the knit, and a bullet having a weight of 2 kg (A) is placed on a thick plate for 30 seconds, the globule (A) is removed from the thick plate, and the remaining knitted fabric and the thick plate are placed for 30 seconds.

소구를 두고 제거하는 과정을 3 회 반복한다. 소구가 제거된 편물 및 두꺼운 판을 30 초간 둔 후, 두꺼운 판의 4 개의 구석 바닥 (mm) 을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 (mm) 중 평균 높이 (h0) 를 계산한다. 편물의 특정 부피 (초기 벌크성) 를 하기식에 따라 계산한다:Repeat this process three times. After leaving the knit and thick plate removed for 30 seconds, the four corner bottoms (mm) of the thick plate are measured, and the average height (h 0 ) of the measured heights (mm) is calculated. The specific volume (initial bulkiness) of the knit fabric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초기 벌크성 (㎤/g) = (20 × 20 × h0/10)/WInitial Bulk Properties (cm 3 / g) = (20 × 20 × h 0/10 ) / W

(15) 부직포의 초기 압축 벌크성(15) Initial Compression Bulk Properties of Nonwovens

부직포의 초기 압축 벌크성을 JIS L 1097 에 따라 특정 부피의 관점에서 측 정한다.Initial compressive bulk properties of nonwovens are measured in terms of specific volumes in accordance with JIS L 1097.

시험 (14) 에서 언급된 바와 동일한 편물을 20 cm × 20 cm 의 치수 및 0.5 g/㎠ 의 중량을 갖는 두꺼운 판에 겹치게 하고, 4 kg 의 중량을 갖는 소구 (B) 로 30 초간 누른다. 다음에 두꺼운 판의 4 개의 구석 바닥 (mm) 을 측정하고, 측정된 높이 (mm) 중 평균 높이 (h1) 를 계산한다.The same knitted fabric as mentioned in the test (14) is overlaid on a thick plate having dimensions of 20 cm × 20 cm and a weight of 0.5 g / cm 2 and pressed for 30 seconds with a globule (B) having a weight of 4 kg. Next, the four corner bottoms (mm) of the thick plates are measured, and the average height h 1 of the measured heights mm is calculated.

편물의 특정 부피 (초기 압축 벌크성) 를 하기식에 따라 계산한다 :The specific volume of the knitted fabric (initial compressive bulkiness)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초기 압축 벌크성 (㎤/g) = (20 × 20 × h1/10)/WThe initial compressed bulkiness (㎤ / g) = (20 × 20 × h 1/10) / W

(16) 내굽힘성(16) bending resistance

2.5 cm 폭 및 9 cm 길이를 갖는 견본을 사용한다. 견본의 낮은 끝 부분을 2 cm 의 길이로 고정시키고, 굽힘력을 견본의 다른쪽 끝으로부터 2 cm 의 공간이 있는 견본부에 가한다. 견본을 90 도의 각으로 구부렸을 때, 견본에 생긴 탄성력을 응력 측정기 (디지탈 력 (force) 게이지) 로써 측정한다. 견본의 내굽힘성을 견본 폭의 cm 당 탄성력으로 나타낸다.Use a specimen 2.5 cm wide and 9 cm long. The lower end of the specimen is fixed to a length of 2 cm and a b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specimen with a space of 2 cm from the other end of the specimen. When the specimen i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the elastic force produced on the specimen is measured with a stress gauge (digital force gauge).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specimen is expressed as the elastic force per cm of the specimen width.

(17) 카딩-통과 특성(17) carding-pass characteristics

2 kg 양의 섬유 뭉치를 50 m/분의 카딩 속도로 플랫 카딩기에 통과시킨다. 섬유 뭉치의 카딩 특성을 하기 4 개의 등급으로 평가한다.A bundle of 2 kg of fibers is passed through a flat carding machine at a carding speed of 50 m / min. The carding properties of the fiber bundles a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four grades.

등급Rating 카딩 특성Carding characteristics

4 카딩-통과 특성이 우수, 카딩기의 막힘 및 편물의 파단이 발생하지 4 Good carding-passing property, no blockage of carding machine

않고, 넵(nep)이 형성되지 않는다.      And no nep is formed.

3 카딩 막힘 및 편물의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소량의 넵이 형성된다. 3 Carding blockages and knitted breaks do not occur, and a small amount of nep is formed.

2 카딩 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소수의 편물 파단 및 넵 형성이 발생한다. Two carding blockages do not occur, and a few knit breaks and nep formation occur.

1 카딩 막힘, 편물 파단 및 넵 형성이 발생하는 것이 발견된다. It is found that carding blockages, knit breaks and nep formation occur.

(18) 방사성(18) radioactive

카딩, 결합, 조방사(roving) 및 미세 방사 공정 중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가공성을 하기 4 개의 등급으로 평가한다.The workability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during carding, bonding, roving and fine spinning processes is evaluated in four grades below.

등급Rating 방사성Radioactive

4 모든 카딩, 결합 및 조방사 및 미세 방사 공정 중 어려움 없음. 4 No difficulty during all carding, bonding and spinning and microspinning processes.

3 카딩, 결합 및 조방사 공정 중 어려움 없음. 3 No difficulty during carding, bonding and spinning processes.

2 카딩 및 결합 공정에서만 어려움 없음. 2 No difficulty only in carding and bonding process.

1 카딩 공정만 어려움 없음. Only carding process is not difficult.

(19) 굽힘 강도 (kg/㎠) (19) bending strength (kg / ㎠)

견본의 굽힘 강도를 하기식에 따라 계산한다.The bending strength of the sampl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굽힘 강도 (kg/㎠) = (60 × 내굽힘성 (g/cm))/[굵기 (mm)]3 Bending Strength (kg / ㎠) = (60 × Bending Resistance (g / cm)) / [Dimensions (mm)] 3

(20) 내좌굴성(20) buckling resistance

20 cm × 20 cm 의 치수를 갖는 견본을 약 5 mm 의 곡률 반경에서 만곡시키고, 견본의 곡선 조건을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견본의 만곡부를 손가락으로 고정시키고 고정 손가락을 곡선부의 위치로 이동한다. 곡선부를 둥근 형태로 유지시킬 때, 견본의 내좌굴성은 우수하게 평가되고, 곡선부를 모나게 접었을 때, 견본 의 내좌굴성은 불량하게 평가된다.The specimen having a dimension of 20 cm × 20 cm is bent at a radius of curvature of about 5 mm, while visually observing the curve conditions of the specimen, the curved portion of the specimen is held with a finger and the fixed finger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curved portion. When the curved portion is kept in a round shape, the buckling resistance of the specimen is excellently evaluated, and when the curved portion is folded angularly, the buckling resistance of the specimen is poorly evaluated.

내좌굴성을 4 개의 등급으로 평가한다.The buckling resistance is evaluated by four grades.

등급Rating 내좌굴성Buckling resistance

4 우수 4 Excellent

3 양호 3 good

2 불량 2 bad

1 매우 불량 1 very bad

(21) 굽힘 탄성21 bending elasticity

2.5 cm 폭 및 9 cm 길이를 갖는 견본을 굽혀진 견본의 두께가 견본 두께의 3 배가 될 정도로 그의 횡단 중심선 주위를 굽히고, 굽혀진 견본에서 발생한 반발력을 응력 측정기로써 측정한다. 견본의 굽힘 탄성을 견본 폭의 cm 당 반발력으로 나타낸다.A specimen having a 2.5 cm width and a 9 cm length is bent around its transverse centerlin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bent specimen is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specimen,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in the bent specimen is measured with a stress meter. The bending elasticity of the specimen is expressed in repulsive force per cm of specimen width.

굽힘 탄성이 클수록, 인조 가죽에 대한 견본의 응용성도 크다.The greater the flexural elasticity, the greater the applicability of the specimen to artificial leather.

(22) 굴곡 내구성(22) bend durability

견본의 굴곡 내구성을 JIS K 6505,525 에 따라 측정한다.Flexural durability of the specimen i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6505,525.

(23) 파단 길이(23) breaking length

견본의 파단 길이를 JIS P 8113 에 따라 종이 및 판지의 신장 강도용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The breaking length of the sampl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for elongation strength of paper and cardboard according to JIS P 8113.

(24) 인열 강도24. tear strength

견본의 인열 강도를 JIS L 1096 에 따라 측정한다.The tear strength of the sample is measured according to JIS L 1096.

실시예 1Example 1

4.5 몰% 의 공중합된 5-소듐 술포이소프탈산 성분 (SIP) 을 함유하고, 0.45 의 고유 점도를 가지며, 0.07 중량% 의 이산화티탄과 혼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를 1600 g/분의 압출 속도로 268 ℃ 의 중합 온도에서 2000 중공 필라멘트-형성 노즐을 갖는 용융 방사기(spinneret)에 용융-압출하고, 압출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 스트림을 냉각-고형화시키고 1800 m/초의 권취 속도로 권취하였다. 수득된 비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는 4.44 d 텍스의 개별 필라멘트 굵기 및 50/100 의 중공비를 가졌다.1600 g / min extrus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resin containing 4.5 mol% of copolymerized 5-sodium sulfoisophthalic acid component (SIP), having an inherent viscosity of 0.45 and mixed with 0.07 wt% titanium dioxide Melt-extruded into a melt spinneret with 2000 hollow filament-forming nozzles at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268 ° C. and cooled-solidified the extruded hollow filament-like copolyester resin melt stream and at a winding rate of 1800 m / sec. Wound up. The un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s obtained had individual filament thicknesses of 4.44 d tex and hollow ratios of 50/100.

용융-방사 공정동안, 방사기 아래 0 내지 50 mm 에 위치한 가열 구역에서, 중공 필라멘트 스트림의 횡단 경로에 대해 우측 각 방향으로부터 35 도 상승각에서, 압출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 스트림을 향해, 200 ℃ 온도에서 3.5 m/초의 속도로 열풍을 블로잉하였다.During the melt-spinning process, in the heating zone located 0 to 50 mm below the spinner, towards the extruded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resin melt stream, at a 35 degree elevation angle from the right angle to the transverse path of the hollow filament stream, Hot air was blown at a rate of 3.5 m / sec at 200 ° C.

이어서, 가열 구역을 통과한 중공 필라멘트상 스트림을 가열 구역 아래에 위치하고 100 mm 의 길이를 갖는 완충구역에 통과시키고, 이후에, 완충 구역 아래에 위치하고 250 mm 의 길이를 갖는 냉각 구역에서, 25 ℃ 온도에서 3.5 m/초의 속도로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 스트림을 향해 냉풍을 블로잉하여, 중공 필라멘트상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융 스트림을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로 고형화시켰다.Subsequently, the hollow filamentous stream passing through the heating zone is passed under a heating zone and passed through a buffer zone having a length of 100 mm, and then in a cooling zone located under the buffer zone and having a length of 250 mm, a 25 ° C. temperature Cold air was blown toward the hollow filamentary copolyester resin melt stream at a rate of 3.5 m / sec at to solidify the hollow filamentous copolyester resin melt stream into hollow copolyester filaments.

생성된 비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온도 65℃ 에서 연신비 2.80 으로 고온수중 단일 단계로 연신; 가열롤러를 사용하여 온도 140℃에서 장력하에 열처리; 12 크림프/25 mm 의 크림프수로 기계적 크림프장치를 사용하여 크림프; 온도 120℃로 열풍하에 열고정; 및 51 mm 길이로 절단하였다.Drawing the resulting un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 in a single step in hot water at a draw ratio of 2.80 at a temperature of 65 ° C .; Heat treatment under tension at a temperature of 140 ° C. using a heating roller; Crimp using a mechanical crimp device with a crimp number of 12 crimps / 25 mm; Heat setting under hot air at a temperature of 120 ° C .; And 51 mm long.

생성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는 1.67 d 텍스의 개별섬유 굵기 및 50/100 의 중공비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 신장되는 여러 균열을 갖고 있었다.The resulting hollow copolyester staple fibers had an individual fiber thickness of 1.67 d tex and a hollow ratio of 50/100, with several cracks extending intermittent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iber.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2 와 3 및 비교예 1 내지 5Examples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s 1-5

각 실시예 2 와 3 및 비교예 1 내지 5 에서, 열풍의 송풍절차 및 냉각 절차를 표 1 에 나타난 조건하에 실시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같은 절차로 비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In each of Examples 2 and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n un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blowing procedure and cooling procedure for hot air were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

비연신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표 1 에 나타난 조건하에 연신 및 열처리한 후, 연신 및 열처리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표 1 에 나타난 방식으로 크림프 및 절단하였다.After the unstretch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s were drawn and heat treat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the stretched and heat treated hollow copolyester filaments were crimped and cut in the manner shown in Table 1.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111999004007630-pat00001
Figure 111999004007630-pat00001

실시예 4 내지 7 및 비교예 6 내지 7Examples 4-7 and Comparative Examples 6-7

각 실시예 4 내지 7 및 비교예 6 내지 7 에서, 표 2 에 나타난 특성을 갖는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 (섬유 길이: 38 내지 100 mm)를 링방사법으로 방사하여 꼬임수(twist number) 17.1 턴/25 mm 및 영국면방사수(British cotton yarn count) 30 의 스펀 얀을 제조하였다.In each of Examples 4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7, hollow copolyester staple fibers (fiber length: 38 to 100 mm) having the properties shown in Table 2 were spun by ring spinning to give a twist number of 17.1 turns. Spun yarn of / 25 mm and British cotton yarn count 30 was prepared.

스펀 얀을 제직하여 경사(經絲) 밀도 87 얀/25 mm, 위사(緯絲) 밀도 68 얀/25 mm, 및 폭 127 mm 의 평직 천을 제조하였다. 천을 정련한 후, 분산 염료로 염색하였다.Spun yarn was woven to produce plain weave fabrics of 87 yarn / 25 mm in warp density, 68 yarn / 25 mm in weft density, and 127 mm in width. The fabric was refined and then dyed with disperse dyes.

실시예 7 에서, 평직 천은 중량비 50:50 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 및 면 섬유로부터 제조되었다.In Example 7, plain weave fabrics were made from hollow copolyester staple fibers and cotton fibers in a weight ratio of 50:50.

천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내었다.The properties of the cloth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04005882764-pat00008
Figure 112004005882764-pat00008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8 및 9Examples 8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8 and 9

각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8 및 9 에서, 표 3 에 나타난 특성을 갖는 고수축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 (섬유 길이: 38 내지 64 mm) 및 자기확장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 (섬유 길이: 38 내지 64 mm) 을 표 3 에 나타난 혼합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중공 스테이플 섬유 혼합물을 카딩하여 혼합 중공 섬유 편물(web)을 형성하였다. 편물을 각각 하나 씩의 제 40 호 정규 바브(regular barb)를 갖는 펀칭 니들을 갖춘 니들 룸(loom) (섬유 로커 룸)을 사용하여, 800 펀치/cm2 의 펀칭 밀도로 니들-펀칭 절차를 행하여 기본중량 157 g/m2 의 부직포를 제조하였다.In each of Examples 8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8 and 9, a high shrinkage hollow copolyester staple fiber (fiber length: 38 to 64 mm) and a self-expansion hollow copolyester staple fiber (fiber length) having the properties shown in Table 3 : 38 to 64 mm) was mixed at the mixing weight ratio shown in Table 3. The hollow staple fiber mixture was carded to form a mixed hollow fiber web. Using a needle loom (fiber rocker room) with punching needles, each one having a 40th regular barb, the needle-punching procedure was carried out at a punching density of 800 punch / cm 2 .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157 g / m 2 was prepared.

부직포를 68℃의 고온수에 2 분간 침지하여 부직포를 면적수축률 35% 로 수축시켰다. 수축된 천은 진공 탈수하고 온도 50℃에서 5 분간 건조하였다. 기본중량 242 g/m2 의 건조된 부직포가 얻어졌다. 부직포를 온도 180℃에서 60 메쉬 스테인레스강 그물벨트 및 가열 금속드럼 사이에 60 초간 삽입하여 굵기 1.2 mm 및 벌크밀도 0.202 g/cm3 의 부직포를 얻었다.The nonwoven fabric was immersed in hot water at 68 ° C. for 2 minutes to shrink the nonwoven fabric at an area shrinkage of 35%. The shrunken fabric was vacuum dewatered and dried at a temperature of 50 ° C. for 5 minutes. A dried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242 g / m 2 was obtained. A nonwoven fabric was inserted between a 60 mesh stainless steel mesh belt and a heated metal drum at a temperature of 180 ° C. for 60 seconds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a thickness of 1.2 mm and a bulk density of 0.202 g / cm 3 .

카본블랙 5 중량부와 혼합된, 디메틸포름아미드중 폴리우레탄 수지 12 중량부 용액을 100 중량부 함유하는 함침액 (상표: CRYSBON MP-185, DAINIPPON INKIKAGAKUKOGYO K.K. 제)을 부직포에 균일하게 함침하였다. 이어, 함침된 부직포를 한 쌍의 압착롤로 압착한 후, 온도 40℃의 고온수에 침지하여 부직포에 함유된 함침액을 응고시키고,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에 실질적으로 용매가 잔류하지 않는 정도까지 물로 세척하며, 최종적으로 건조시켰다. 인조가죽을 얻었다.An impregnation liquid (trade name: CRYSBON MP-185, manufactured by DAINIPPON INKIKAGAKUKOG.K. K.), containing 100 parts by weight of a 12 parts by weight solution of the polyurethane resin in dimethylformamide, mixed with 5 parts by weight of carbon black was uniformly impregnated with the nonwoven fabric. Subsequently, the impregnated nonwoven fabric is pressed with a pair of pressing rolls, and then immersed in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of 40 ° C. to coagulate the impregnation solution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with water to the extent that substantially no solvent remains in the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the resin. Washed and finally dried. I got an artificial leather.

시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igure 111999004007630-pat00003
Figure 111999004007630-pat00003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10 및 11Examples 11-15 and Comparative Examples 10 and 11

각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10 및 11 에서, 표 4 에 나타난 특성을 갖는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섬유 (섬유 길이: 51 mm)를 카딩을 수행하여 편물을 형성하였다. 편물로부터, 기본중량 60 g/m2 의 부직포를 얻었다.In each of Examples 11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0 and 11, hollow copolyester staple fibers (fiber length: 51 mm) having the properties shown in Table 4 were subjected to carding to form a knitted fabric. From the knitted fabric, the nonwoven fabric of the basis weight 60g / m <2> was obtained.

부직포의 시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내었다.Table 4 shows the test results of the nonwoven fabric.

Figure 111999004007630-pat00004
Figure 111999004007630-pat00004

실시예 16 내지 19 및 비교예 12 및 13Examples 16-19 and Comparative Examples 12 and 13

굵기 1.67 d 텍스, 길이 5 ㎜, 중공비율 50 %, 결정화도 30 %, 결정 크기 8.5 ㎚, 및 간헐적인 균열 다수를 갖는 동일한 크림프되지않은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실시예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반 정제기를 사용하여, 1/100 액체비율 (섬유/물 중량 비율) 인 물 중에서 섬유 분리 가공을 수행하여 분리된 피브리드형 섬유의 수성 슬러리를 수득하였다.The same non-crimped 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having a thickness of 1.67 d tex, 5 mm in length, 50% in hollow ratio, 30% in crystallinity, 8.5 nm in crystal size, and intermittent cracking, as described in Example 1 Using a disc refiner, fiber separation was performed in water having a 1/100 liquid ratio (fiber / water weight ratio) to obtain an aqueous slurry of separated fibrid fibers.

수성 분리된 피브리드형 섬유 슬러리에 (1) 약 120 ℃ 의 열점착 온도를 가지며,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 코폴리에스테르 부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분을하는 나란히 늘어선 형태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며, 굵기 1.67 d 텍스, 섬유 길이 5 ㎜ 및 크림프수 0 인 결합 섬유; 및 (2) 굵기 0.56 d 텍스, 섬유 길이 5 ㎜ 및 크림프수 0 인 비중공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 부가 섬유를 첨가하였다.(1) Aqueous separated fibrid fiber slurry (1) has a heat adhesion temperature of about 120 ° C., and is in a side-by-side form of terephthalic acid / isophthalic acid / ethylene glycol / diethylene glycol copolyester portion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rtion A conjugate fiber composed of a composite fiber, having a thickness of 1.67 d tex, a fiber length of 5 mm, and a crimp number of 0; And (2) an additional fiber consisting of non-porous polyester fiber having a thickness of 0.56 d tex, a fiber length of 5 mm and a crimp number of zero.

결합제 섬유 (1) 및 부가 섬유 (2) 를 각각 표 5 에 나타낸 양으로 사용하였다.Binder fiber (1) and addition fiber (2) were used in the amounts shown in Table 5, respectively.

생성된 수성 혼합된 섬유 슬러리를 종이 형성 절차를 수행하며; 생성된 습식-퇴적 부직포 시이트를 양키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고; 건조된 시이트를 120 ℃ 온도에서 열점착 공정을 수행하였다. 약 50 g/㎡ 의 기초중량을 갖는 습식-퇴적 부직포를 수득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5 에 나타내었다.The resulting aqueous mixed fiber slurry is subjected to a paper forming procedure; The resulting wet-deposited nonwoven sheet is dried by a Yankee dryer; The dried sheet was subjected to a heat tacking process at 120 ° C. Wet-deposited nonwovens having a basis weight of about 50 g / m 2 were obtained. 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실시예번호Example Number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616 1717 1818 1919 1212 1313 성분 섬유Ingredient fiber 분리된 피브리드형 섬유Separated fibrid fibers 8080 5050 3030 9595 2020 부가적 폴리에스테르섬유Additional Polyester Fibers -- 3030 5050 8080 6060 결합제 복합섬유Binder Composite Fiber 2020 2020 2020 55 2020 2020 부직포 특성Nonwovens Properties 파단 길이 (㎞)Break length (km) 0.120.12 0.140.14 0.160.16 0.050.05 0.200.20 0.280.28 최종 신장(%)Final elongation (%) 4.14.1 5.55.5 6.86.8 10.710.7 6.16.1 7.87.8 인열 강도 (g)Tear strength (g) 3434 3636 4242 1313 5252 4545 부드러운 촉감Soft touch 33 33 33 44 1One 22

본 발명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껍질부는 실질적으로 중공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균열을 가지며, 이 균열을 따라 다수의 가는 섬유, 특히 극세 섬유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가는 섬유가 직물 또는 편직물에 사용되는 경우, 생성된 직물은 높은 단열 특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분리된 가는 섬유가 인조 가죽의 기재시트에 사용되는 경우, 생성된 인조 가죽은 매우 부드러운 촉감 및 보강된 경량 특성을 나타내어 유리하다.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부직포에 사용된 경우, 생성된 부직포는 보강된 경량 특성, 단열 특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낸다. 특히, 종이 형성 가공이 상기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적용되는 경우, 생성된 습식-퇴적 부직포는, 부직포가 비교적 낮은 기본 중량을 갖는 경우라도 우수한 표면 특성을 갖는다.In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has a crack extending intermittently substa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fiber,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fine fibers, in particular ultrafine fibers along the crack. When the separated fine fibers are used in a woven or knitted fabric, the resulting fabric exhibits hig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a soft hand, and when the separated fine fibers are used in the base sheet of artificial leather, the resulting artificial leather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exhibits a very soft touch and reinforced lightweight properties. When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used in nonwovens, the resulting nonwovens exhibit reinforced lightweight properties,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and a soft hand. In particular, when paper forming processing is applied to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the resulting wet-deposited nonwoven has good surface properties even when the nonwoven has a relatively low basis weight.

Claims (12)

(A)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부 및 (B)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신장하며, 중공부를 둘러싸고, 테레프탈산 및 하나 또는 복수형의 술포네이트기 함유 디카르복실산을 디카르복실산 성분의 총 몰 양 기준으로 1 내지 6 몰% 의 양으로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껍질부를 포함한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A) one or more hollow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B)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surrounding the hollow portions,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nd one or more sulfonate groups A shell comprising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mprising dicarboxylic acid in an amount of 1 to 6 mol% based on the total molar amount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copolyester of a diol component comprising ethylene glycol. 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는 (1) 0.56 내지 8.89 d 텍스의 굵기, (2) 중공부의 총 단면적/개별 섬유의 총 단면적 비 25/100 내지 85/100, (3)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도 20 내지 30 % 및 (4) 코폴리에스테르의 (010) 평면 내 결정 크기 4.0 내지 8.7 ㎚ 을 가지며,Hollow copolyester fibers have (1) a thickness of 0.56 to 8.89 d tex, (2) a total cross sectional area ratio of the hollow portion to the total cross sectional area of the individual fibers 25/100 to 85/100, and (3) a degree of crystallinity of the copolyester 20 to 30 % And (4) a crystal size in the (010) plane of the copolyester of 4.0 to 8.7 nm,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는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종축을 따라 간헐적으로 신장하는, 껍질부에 무작위적으로 위치한 다수의 균열을 갖고, 이에 의해,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할 때 다수의 가는 섬유로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has a large number of randomly located cracks in the shell that extend intermittently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there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shell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 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that can separate into a plurality of fine fibers when applied. 제 1 항에 있어서, 90 내지 100 % 의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 각각에 기계적 힘을 가할 때, 각 껍질부가 4 내지 20 개의 가는 섬유로 분리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from 90 to 100%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when applying a mechanical force to each of the shells of the hollow copolyester fibers, each shell portion is separable, which can be separated into 4 to 20 fine fibers Hollow copolyester 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껍질부의 평균 굵기가 1 내지 5 ㎛ 인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The detach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of claim 1, wherein the shell has an average thickness of 1 to 5 μm. 제 1 항 기재의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껍질부에 기계적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분리가능한 중공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제조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A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 made from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by applying mechanical force to the shell of the separable hollow copolyester fiber of claim 1. 제 4 항 기재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A fabric compris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claim 4. 제 5 항에 있어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직물 내에 함유된 모든 섬유의 총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된 직물.6. The fabric of claim 5 wherein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100 percent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ll fibers contained in the fabric. 제 4 항 기재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는 기재시트 (substrate sheet)및 이 기재시트 내에 함침된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가죽.A synthetic leather comprising a substrate sheet contain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claim 4 and a synthetic resin impregnated in the substrate sheet. 제 7 항에 있어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기재시트 내에 20 내지 100 중량% 존재하는 인조 가죽.8. The artificial leath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present in the substrate sheet in an amount of 20 to 100% by weight. 제 4 항 기재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며, 서로 섞어짠 (interlaced) 다수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A nonwoven compris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claim 4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laced fibers. 제 9 항에 있어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부직포에 함유된 섬유의 총 중량 기준으로 30 내지 100 중량% 존재하는 부직포.10. The nonwoven fabric of claim 9, wherein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present from 30 to 100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fibers contained in the nonwoven fabric. 제 4 항 기재의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A knitted fabric comprising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of claim 4. 제 11 항에 있어서, 분리된 가는 코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편직물 내에 함유된 모든 섬유의 총 중량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된 편직물.The knitted fabric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eparated fine copolyester fiber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all fibers contained in the knitted fabric.
KR1019990015178A 1998-04-30 1999-04-28 Divisi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divid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KR1005572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20520 1998-04-30
JP12052098 1998-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56A KR19990083556A (en) 1999-11-25
KR100557271B1 true KR100557271B1 (en) 2006-03-07

Family

ID=1478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178A KR100557271B1 (en) 1998-04-30 1999-04-28 Divisi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divid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53660B1 (en)
KR (1) KR100557271B1 (en)
DE (1) DE69908856T2 (en)
HK (1) HK1023153A1 (en)
ID (1) ID27466A (en)
TW (1) TW55409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8112B4 (en) * 2002-12-11 2007-03-22 Carl Freudenberg Kg Process for producing a sheet from at least partially split yarns, fibers or fila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7292A2 (en) * 1982-02-19 1983-08-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littable hollow polyester filament
KR920004622A (en) * 1990-08-20 1992-03-27 리챠드 지. 워터맨 Improved batting insulation with fire resistance
JPH08260343A (en) * 1995-03-28 1996-10-08 Mitsubishi Rayon Co Ltd Hollow polyester fiber and its pro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9270D1 (en) * 1979-06-11 1984-10-31 Teijin Ltd Synthetic polyester pulp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5604012A (en) * 1994-01-13 1997-02-18 Teijin Limited Hollow fiber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87292A2 (en) * 1982-02-19 1983-08-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littable hollow polyester filament
KR920004622A (en) * 1990-08-20 1992-03-27 리챠드 지. 워터맨 Improved batting insulation with fire resistance
JPH08260343A (en) * 1995-03-28 1996-10-08 Mitsubishi Rayon Co Ltd Hollow polyester fiber and i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7466A (en) 2001-04-12
DE69908856T2 (en) 2004-05-06
EP0953660B1 (en) 2003-06-18
KR19990083556A (en) 1999-11-25
TW554097B (en) 2003-09-21
DE69908856D1 (en) 2003-07-24
HK1023153A1 (en) 2000-09-01
EP0953660A1 (en)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4383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staple fiber, and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staple fiber, yarn and fabric
KR100313730B1 (en) Hollow polyester fibers and textile article comprising same
EP1516079B1 (en) Polyester staple fib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EP1636405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hollow composite staple fib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4960908B2 (en) Polyethylene naphthalate fiber and short fiber nonwoven fabric comprising the same
JP4130035B2 (en) Multi-divided hollow polyester fiber and woven /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using the fiber
KR100557271B1 (en) Divisible hollow copolyester fibers, and divided copolyester fibers, woven or knitted fabric, artificial leather and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me
JP4211125B2 (en) High water absorption, quick drying polyester X-type cross-section fiber
JP3966988B2 (en) High-hollow polyester fiber excellent in durability and fiber product using the same
JP2004036035A (en) Conjugate fiber and textile structure
WO2001038619A1 (en) Sliver comprising extra fine fibers
JPH10280262A (en)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JPH06341018A (en) Conjugate fiber and nonwoven fabric made thereof
JP4026279B2 (en) Split type composite fiber and fiber molded body using the same
JP2512579B2 (en) Bulk paper manufacturing method
JPH02216295A (en) Production of highly strong polyester fiber paper
JP2002088580A (en) Dividable fiber and fabric using the same
JPH08109567A (en) Laminated nonwoven structure and its production
JP2019081978A (en) Wet-laid nonwoven fabric
JPH0782646A (en) Nonwoven fabric composed of combined filament
JPH0913254A (en) Flame retardant composite fabric and its production
JP2022154117A (en) Fine-denier polyester staple fiber
JP2005002522A (en) Multi-island conjugate fiber and spinneret for producing the same
JPH0711554A (en) Combined filament staple fiber nonwoven fabric
JPH0913256A (en) Biodegradable staple fiber nonwoven fabric and its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