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7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72B1
KR100557172B1 KR1020050033782A KR20050033782A KR100557172B1 KR 100557172 B1 KR100557172 B1 KR 100557172B1 KR 1020050033782 A KR1020050033782 A KR 1020050033782A KR 20050033782 A KR20050033782 A KR 20050033782A KR 100557172 B1 KR100557172 B1 KR 100557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formation
rota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규
박용국
윤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72B1/ko
Priority to US11/132,968 priority patent/US84845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2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electrical or magnetic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부가 회전 감지부를 통해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체크한다. 그리고 표시부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 현재 체크된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UI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고, 이를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상기 UI 정보 로드 동작 과정에서, 만약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기 설정된 전용 UI 화면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전용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된 전용 UI 화면의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록 표시부가 회전되었다고 할지라도,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재구성되고 상기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 UI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User interface,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MOBILE TERMINAL}
도 1a는 표시부가 회전되지 않은 경우의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도,
도 1b는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의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도,
도 1c는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의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예시도,
도 1d는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의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 회전 상태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회전되지 않은 경우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UI의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UI의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회전되지 않은 경우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UI의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UI의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관련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게 됨에 따라,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정지화상 뿐 아니라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표시부의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 보다 더 긴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 반적으로 16:9 비율을 가지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화면의 축소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회전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a, 도 1b, 도 1c, 도 1d는 이러한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 중 도 1a는 표시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은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며, 도 1b는 표시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c는 표시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의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며 도 1d는 표시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VOD와 같은 영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넓은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더 넓은 화면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UI(User Interface :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향이 고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도 1a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 으로 위쪽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던 UI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표시부가 회전되었을 경우에도 UI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기존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UI 화면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러한 고정된 UI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향 때문에 VOD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표시부를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받을 영상 서비스를 선택하고, 영상 서비스의 제공이 시작된 후에 도 1b에서와 같이 표시부를 회전시켜야 했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불필요하게 여러번 표시부를 회전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물론 이러한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따라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c 및 도 1d는 UI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들이다. 여기서 상기 도 1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1c는 표시부가 회전되었을 경우에 이에 따라 비록 UI 화면이 회전되었으나, 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와 세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가 기 설정되어 있는 하나의 UI만을 사용했기 때문에, 가로 세로 비율이 맞지 않아 변경된 화면의 양쪽으로 검은 화면이 표시될 뿐만 아니라, 일부 영역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d 역시 비록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UI 역시 회전되었으나, 기 설정된 가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와 세로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의 비율이 서로 다른 점을 반영하지 못하여 도 1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변경된 비율만큼 UI 화면의 왜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UI 화면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표시부가 회전된 각각의 상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 각각에 대한 UI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UI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방법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체크하는 애플리케이션 체크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된 상태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정보들 중에서 선택하여 로드하는 UI 정보 선택 단계와, 상기 선택된 UI 정보에 따라 상기 UI를 구성하는 UI 구성 단계와, 상기 구성된 UI를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UI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회전 감지부를 통해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체크한다. 그리고 표시부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 현재 체크된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UI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상기 UI 정보 로드 동작 과정에서, 만약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기 설정된 전용 UI 화면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전용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로드된 전용 UI 화면의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록 표시부가 회전되었다고 할지라도,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재구성되고 상기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202), 키 입력부(203), 표시부(204), 베이스밴드 처리부(206), 코덱(CODEC: Coder-Decoder)(210), 회전 감지부(214)가 제 어부(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203)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204)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상기 회전 감지부(214)로부터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현재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인지, 그렇지 않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감지부(214)의 감지 결과 만약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현재 회전이 완료된 표시부(204)의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회전이 발생한 경우라는 것은, 표시부(204)가 도 1a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인 상태에서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또는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인 상태에서, 도 1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판단된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른 UI를 UI 설정 정보로부터 선택한다. 여기서 UI 설정 정보라는 것은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와 상기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기설정된 UI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UI 설정 정보로부터 현재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UI가 결정되면, 결정된 UI에 따른 UI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02)로부터 로드하고,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그리고 재구성된 UI 화면을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재구성된 UI 화면을,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만약 상기 표시부(204)가 +90도 만큼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상기 재구성된 UI 화면을 이와는 반대 방향인 -90도 방향으로 회전시켜 UI 화면이 언제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끔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2)는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기 설정된 UI들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을 구비한다. 이하 이러한 영역을 UI 설정 정보 저장부(218)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2)는 상기 UI들 각각에 따라 상기 표시부(204)에 디스플레이될 UI 화면에 대한 정보, 즉, 화면의 가로 사이즈나 세로 사이즈, 또는 아이콘이나 그림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커서나 아이템의 종류, 또한 폰트의 크기나 종류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는 데, 이 영역을 이하 UI 정보 저장부(216)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감지부(214)는 표시부(204)의 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현재 표시부(204)의 상태가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인 상태인지, 아니면 도 1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인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 방향 상태라는 것은 표시부(204)가 회전하여 가로 방향, 즉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가 세로 방향, 즉 수직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경우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상태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 방향 상태라는 것은 표시부(204)가 회전하여 세로 방향, 즉 수직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가, 가로 방향, 즉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길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이하 이러한 상태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크된 표시부(204)의 현재 상태를 제어부(200)에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감지부(214)는, 홀 스위치(Hall Switch)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석과 자기장 감지부를 구비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통해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감지부(204)는 상기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일 때의 접점과 상기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일 때의 접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20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 (208)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06)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06)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06)는 제어부(200)와 RF부(208)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208)에 인가하며, RF부(208)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0)은 증폭부(212)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2)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2)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 회전 상태에 따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30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04)의 회전이 발생하였는지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이 발생하였다면 제어부(200)는 3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표시부(204)가 회전된 상태에 대해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04)가 현재 상기 도 1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상태 또는 상기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 상태 중 어느 하나로 회전된 상태임을 체크하면, 제어부(2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예를 들어보면, MP3 플레이어 또는 MPEG 플레이어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4단계에서 상기 현재 실행중이 애플리케이션을 체크하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2단계에서 체크된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와 상기 304단계에서 체크된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UI를, 상기 UI 설정 정보 저장부(218)에 저장된 UI 설정 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UI들 중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UI에 따른 UI 정보를 상기 UI 정보 저장부(216)로부터 로드한다. 이러한 상기 306단계에 대해서는 하기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6단계에서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UI는 단지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도 있으나,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기 설정된 전용 UI가 있을 경우 상기 회전 상태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 표 1은 UI 설정 정보 저장부(218)에 저장된 UI 설정 정보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UI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 전용 UI 유무 표시부 회전 상태 전용 UI ...
MP3 플레이어 yes 가로 방향 MP3_Type_A ...
세로 방향 MP3_Type_B ...
MPEG 플레이어 yes 가로 방향 MPEG_Type_A ...
세로 방향 MPEG-Type_A ...
... ... ... ... ...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애플리케이션 'MP3 플레이어'의 경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용 UI 화면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애플리케이션 'MP3 플레이어'의 경우 표시부의 회전 상태가 가로 방향일 때에는 전용 UI로서 'MP3_Type_A'가 설정되어 있으며, 표시부의 회전 상태가 세로 방향일 때에는 전용 UI로서 'MP3_Type_B'가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MP3 플레이어가 실행 중일 때에는 사용자가 표시부(204)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서로 다른 UI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UI 정보가 제어부(200)에 의해 로드된다. 그리고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이 재구성된다. 이러한 예를 하기 도 5a와 도 5b에서 보이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른 전용 UI를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구비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즉,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전용 UI를 가지지 않는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는 제어부(200)는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공통의 UI 정보를 이용하여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이러한 공통의 UI 정보의 경우 예를 들어 보면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가 가로 방향일 때 사용되는 가로 UI 정보와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가 세로 방향일 때 사용되는 세로 UI 정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가로 UI 정보와 세로 UI 정보의 차이는,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른 UI 화면의 가로 사이즈나 세로 사이즈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른 전용 UI를 갖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이 발생한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회전된 표시부(204)의 상태에 적절한 가로 화면 사이즈, 세로 화면 사이즈 등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게 된다. 그리고 로드된 정보를 통해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따라서 만약 상기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일 경우에 한 줄에 디스플레이되는 글자의 수가 8자 미만이었다면, 상기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경우,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가로 사이즈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8글자 이상의 글자들이 디스플레이 가능한 UI가 재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에 따라 공통된 UI 화면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에 따라 재구성된 UI 화면의 예를 하기 도 6a와 도 6b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308단계를 통해 UI 정보를 로드하여 UI 화면을 재구성한 제어부(2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재구성된 UI 화면을,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만약 상기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었다면, 제어부(200)는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재구성된 UI 화면을, 상기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가 회전되는 경우의 예를 들면 만약 상기 표시부(204)가 +90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UI 화면은 -90도로 회전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즉, 표시부(204)가 회전될 경우 상기 재구성된 UI 화면은 이러한 회전에 따른 영향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언제나 사용자에게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만약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었다면, 제어부(200)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재구성된 UI 화면을 다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후, 가로 방향인 상태에서 다시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었다는 것은 상기 표시부(204)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온 경우에 해당되므로 제어부(200)는 상기 재구성된 UI를 다시 복원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돌아오는 경우에도 언제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 UI 화면이 제공된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체크된 표시부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UI 정보가 상기 UI 정보 저장부(216)로부터 로드되는 306단계를 자세하게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3의 302단계와 304단계를 거쳐 현재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체크되면, 제어부(200)는 4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체크된 표시부의 회전 상태가 가로 디스플레이 상태인지, 세로 디스플레이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 즉 가로 디스플레이 상태일 경우에는 4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전용으로 설정된 전용 UI가 있는지를 상기 UI 설정 정보 저장부(218)의 UI 설정 정보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가로 디스플레이 전용 UI가 있을 경우에는 4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로 디스플레이 전용 UI에 따른 UI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308단계로 진행하여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한편 상기 400단계에서 현재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 즉 세로 디스플레이 상태일 경우에는 4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전용으로 설정된 전용 UI가 있는지를 상기 UI 설정 정보 저장부(218)의 UI 설정 정보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세로 디스플레이 전용 UI가 있을 경우에는 4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세로 디스플레이 전용 UI에 따른 UI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308단계로 진행하여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402단계 또는 상기 406단계에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전용으로 설정된 전용 UI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제어부(20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표시부(204) 회전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UI 정보를 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4) 회전 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UI 정보라는 것은, 상기 전용 UI가 설정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상기 가로 UI 정보와 상기 세로 UI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406단계, 408단계 또는 410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UI 정보가 로드되면, 제어부(200)는 도 3의 3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a와 도 6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재구성된 UI 화면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우선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a와 도 5b는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용 UI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의 전용 UI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 중 도 5a는 상기 표 1의 UI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으로 회전된 때의 MP3 플레이어의 전용 UI인 'MP3_Type_B' UI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MP3_Type_B' UI에 대응되는 UI 정보에 따라 구성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b는 상기 표 1의 UI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때의 MP3 플레이어의 전용 UI인 'MP3_Type_A' UI가 선택되고, 이에 따라 상기 'MP3_Type_A' UI에 대응되는 UI 정보에 따라 구성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용 UI 화면을 가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재구성된 UI를, 상기 회전 상태에 따른 회전 방향에 보상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록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라도 상기 표시부(204)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UI를 제공한다.
또한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전용으로 사용하는 UI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표시부(204)의 회전 상태에 따라 재구성되어 디스플레이되는 UI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 중에서 도 6a는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b는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일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만약 상기 도 6a에서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204)를 회전시켜 도 6b와 같은 상태로 만든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전용 UI가 설정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의 UI 정보 중 가로 방향 상태로 회전된 경우의 가로 UI 정보를 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 UI 정보에는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 상태인 경우에 표시부(204)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세로 UI 정보에는 표시부(204)가 세로 방향 상태인 경우에 표시부(204)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에 대한 정보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6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04)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가로 방향의 UI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가 변경된 UI 화면이 재구성된다. 그리고 재구성된 UI 화면은 현재 회전된 표시부(204)의 회전 방향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표시부가 회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현재 표시부가 회전된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만 표시부의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의 다른 방향으로 표시부가 회전될 수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회전에 따라 최적화된 UI를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비록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UI를 변경하여 제공하는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UI, 즉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것일 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MP3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 중인 경우, 이러한 표시부의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UI에 의해 상기 MP3를 재생하는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용 UI 화면이 설정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UI 정보, 즉, 가로 UI 정보와 세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상기 애플리케이션들 모두가 각각의 경우에 해당되는 전용 UI 화면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용 UI에 따른 UI 정보에는 해당 전용 UI 화면에만 포함되는 전용 아이콘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회전 감지부를 통해 현재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체크한다. 그리고 표시부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었을 경우, 현재 체크된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UI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로드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고, 이를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상기 UI 정보 로드 동작 과정에서, 만약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기 설정된 전용 UI 화면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전용 UI 화면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고, 로드된 전용 UI 화면의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재구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비록 표시부가 회전되었다고 할지라도,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재구성되고 상기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가된 UI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22)

  1.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표시부가 회전된 각각의 상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UI(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들 각각에 대한 UI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UI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UI 정보에 따라 UI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성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홀 스위치(Hall Switch)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중 어느 하나에 전자석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전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감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자기장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접촉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표시부의 접점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각각 기 설정된 UI 정보들을 포함하는 UI 설정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UI 정보들 중에서,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른 UI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회전된 각도만큼, 상기 구성된 UI를 상기 표시부가 회전된 방향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가 수직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긴 가로 방향 상태, 또는 수직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가 수평 방향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길이보다 더 긴 세로 방향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9. 회전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UI(User Interface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UI 정보 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현재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체크하는 애플리케이션 체크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된 상태와 상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 정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UI 정보 선택 단계와,
    상기 선택된 UI 정보에 따라 상기 UI를 구성하는 UI 구성 단계와,
    상기 구성된 UI를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UI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I 정보 선택 단계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와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설정된 특정 UI 정보인 전용 UI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하는 전용 UI 체크 단계와,
    상기 전용 UI 체크 결과, 상기 특정 UI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특정 UI 정보를 선택하는 전용 UI 선택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UI 체크 결과, 상기 전용 UI 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UI 정보인 공통 UI 정보를 선택하는 공통 UI 선택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UI 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UI 정보는,
    상기 공통 UI 정보에 포함된 정보 외에, 특정 아이콘 및 특정 배경 화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 단계는,
    상기 공통 UI 정보에 포함된 가로 사이즈 및 세로 사이즈 정보에 따라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I 구성 단계는,
    상기 전용 UI 정보에 포함된 특정 아이콘 및 특정 배경 화면에 정보에 따른 아이콘 및 특정 배경 화면이 포함된 UI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UI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표시부가 회전된 만큼, 상기 표시부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성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17.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부와,
    가로 UI를 구성하기 위한 가로 UI 정보와 세로 UI를 구성하기 위한 세로 UI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회전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로 UI 정보 혹은 세로 UI 정보를 이용하여 UI를 재구성하고 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18. 삭제
  19. 회전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가로 UI를 구성하기 위한 가로 UI 정보와 세로 UI를 구성하기 위한 세로 UI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가로 UI 정보 또는 세로 UI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UI를 구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UI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이 감지될 경우 다른 하나의 UI 정보를 이용하여 UI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UI 재구성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50033782A 2005-04-22 2005-04-2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55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782A KR100557172B1 (ko) 2005-04-22 2005-04-2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US11/132,968 US8484581B2 (en) 2005-04-22 2005-05-19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782A KR100557172B1 (ko) 2005-04-22 2005-04-2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172B1 true KR100557172B1 (ko) 2006-03-03

Family

ID=3717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782A KR100557172B1 (ko) 2005-04-22 2005-04-22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84581B2 (ko)
KR (1) KR1005571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24B1 (ko) 2006-12-29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플랫폼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랫폼 전환 방법
KR101414602B1 (ko) 2007-04-19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180123117A (ko) * 2016-03-24 2018-11-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촬상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1276B (en) * 2006-05-19 2009-06-21 Primax Electronics Ltd Computer peripheral
US20120182288A1 (en) * 2011-01-18 2012-07-1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esentation
JP2015216484A (ja) * 2014-05-09 2015-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9254715A (zh) * 2018-08-31 2019-01-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显示方向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0878A (ja) * 2003-02-07 2004-08-26 Nec Corp 携帯型電子機器、表示方向切り替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020325A1 (en) * 2003-07-24 2005-01-27 Motorola, Inc.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808477B2 (en) * 2005-01-04 2010-10-05 Microsoft Corporation Scroll disc input apparatu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24B1 (ko) 2006-12-29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플랫폼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의 플랫폼 전환 방법
KR101414602B1 (ko) 2007-04-19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180123117A (ko) * 2016-03-24 2018-11-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촬상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KR102157491B1 (ko) * 2016-03-24 2020-09-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처리장치, 촬상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US10924665B2 (en) 2016-03-24 2021-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a display image based on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84581B2 (en) 2013-07-09
US20060238496A1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1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US98183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interface of portable terminal
JP4583344B2 (ja) 携帯電話機
RU2596980C2 (ru) Способ операций над данными для терминала, включающего в себя блоки трехсекционного дисплея, и терминал,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способ
EP192629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of changing display screen using the same
KR100753397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 자동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16286B1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JP4780208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携帯情報端末の画像表示制御方法
KR1006176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KR100724956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US20100020043A1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cursor thereof
CN101997577A (zh) 用于自动执行协作功能的方法和使用其的设备
JP4404878B2 (ja) 携帯電話機
KR200701179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변경 장치 및 변경 방법
US201402591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pattern
US200602881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external memory
KR100703455B1 (ko) 키 입력부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들에 따른 화상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333407B1 (ko)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24860B1 (ko)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작 모드 전환 방법
US20110159896A1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e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20060294541A1 (en) Method of performing a call in a wireless terminal
JP2009063841A (ja) 情報処理装置
KR101467838B1 (ko)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KR102070079B1 (ko)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11067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