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407B1 -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407B1
KR101333407B1 KR1020060118506A KR20060118506A KR101333407B1 KR 101333407 B1 KR101333407 B1 KR 101333407B1 KR 1020060118506 A KR1020060118506 A KR 1020060118506A KR 20060118506 A KR20060118506 A KR 20060118506A KR 101333407 B1 KR101333407 B1 KR 10133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window
window menu
user
menu item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295A (ko
Inventor
신근호
에드와르드 쿠르기
이준영
강성욱
권성
원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4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체크하여 표시부가 회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현재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메뉴 항목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어창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어창 메뉴를 현재 UI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창 메뉴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부가 회전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확장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들만이 포함된 커스터마이징 메뉴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창 메뉴, 커스터마이징 메뉴

Description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EDING CONTROL MENU IN LANDSCAPE VIEW TYPE MOBILE TERMINAL}
도 1은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UI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의 흐름을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 항목이 제어창 메뉴에 추가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 항목이 추가되는 과정 중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의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새로 추가된 제어창 메뉴 항목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관련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게 됨에 따라,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정지화상 뿐 아니라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표시부의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 보다 더 긴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6:9 비율을 가지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화면의 축소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에는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으로 회전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VOD와 같은 영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넓은 영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록 가로 방향으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할지라도, 그에 따른 UI(User Interface :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부가 회전되는 경우 UI 화면 역시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된다는 문제 점이 있다.
도 1은 이러한 경우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즉, 예를 들어 도 1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라면, 표시부가 회전되는 경우 도 1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UI 화면이 회전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맞게 변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등이 대두되었다.
도 1의 (c)와 도 1의 (d)는 이러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의 (c)는 표시부가 회전되어 가로보기 상태가 된 경우 늘어난 디스플레이 화면의 가로 길이에 따라 UI 화면을 가로로 확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d)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을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의 (c)와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UI를 변경하는 방법은, 단지 도 1의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그대로 노출시키거나, 이러한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추기 위해 이를 가로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옆으로 늘이는 것일 뿐이었다. 따라서 통상적인 가로보기 상태의 UI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영역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이에 따라 가로 길이가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UI 사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상적인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기 위한 UI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메뉴 항목들과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창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제어창 메뉴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가로보기 상태 또는 세로보기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UI 및 상기 제어창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에 따른 현재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UI를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UI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어창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 회전된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표시부가 현재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인지 세로보기 디스플레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표시부 체크 단계와, 상기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창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창 관련 정보 독출 단계와, 상기 제어창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창 메뉴를 생성하는 제어창 메뉴 생성 단계와, 기 저장된 UI(User Interface) 설정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UI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UI를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출력하는 UI 출력 단계와,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UI가 출력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어창 메뉴를 출력하는 제어창 메뉴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의 회전 상태를 체크하여 표시부가 회전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표시부가 현재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메뉴 항목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어창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제어창 메뉴를 현재 UI 화면과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창 메뉴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해당 메 뉴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부가 회전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확장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들만이 포함된 커스터마이징 메뉴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에 연결된 메모리부(202), 키 입력부(204), 표시부(206), 베이스밴드 처리부(208), 코덱(CODEC: Coder-Decoder)(212), 회전 감지부(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2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2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회전 감지부(216)로부터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현재 표시부(206)의 회전 상태를 확인하고, 현재 표시부(206)의 상태에 따라 통상적인 UI 화면을 생성하며, 표시부(206)가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현재 표시부(206)가 가로보기 상태가 아닌 경우, 즉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표시부(206)가 회전되지 않은 세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통상적인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현재 표시부(206)가 가로 상태에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줄어든 세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맞추어 상기 도 1의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UI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어창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메뉴 항목들이 포함된, 상기 UI 화면과는 별도의 메뉴 화면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창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남은 영역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일반적인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크기가 세로 240 픽셀, 가로 320 픽셀이라고 가정할 때, 일반적으로 UI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세로 240 픽셀, 가로 320 픽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206)가 가로보기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가로 320 픽셀, 세로 240 픽셀로 변경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된다고 할지라도 UI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도 1의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로 길이 즉, 320 픽셀과 UI의 가로 길이 즉 240 픽셀의 차이, 즉 가로 80 픽셀, 세로 240 픽셀만큼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현재 표시부(206)가 가로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생성된 제어창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제어창안에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메뉴 항목들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을 삽입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메뉴 항목들이라는 것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메뉴들을 말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메뉴와 같은 경우, DMB 방송을 수신 및 이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메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메뉴 항목들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창에 포함되는 메뉴 항목들을 제어창 메뉴 항목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어창 메뉴 항목 및 상기 제어창의 크기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202)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부의 회전에 따라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발생하는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자의 커스터마이징 메뉴 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메모리부(202)에는 통상적인 UI를 생성하기 위한 UI 정보를 저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창의 크기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어창에 포함되도록 사용자가 설정한 메뉴 항목들 및 상기 메뉴 항목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어창 메뉴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하 상기 UI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02)의 저장 영역을 UI 정보 저장부(220)라고 칭하기로 하고, 상기 제어창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메모리부(202)의 저장 영역을 제어창 정보 저장부(218)라고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회전 감지부(216)는 상기 표시부(206)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현재 표시부(206)가 가로보기 상태인지, 세로보기 상태인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200)에 알린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상기 회전 감지부(216)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표 시부(206)의 현재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부(2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210)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08)는 제어부(200)와 RF부(2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210)에 인가하며, RF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2)은 증폭부(2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회전 감지부(216)의 감지 결과에 따라 표시부(206)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 30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206)가 현재 가로보기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표시부(206)가 가로보기 상태인 경우 3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202)의 제어창 정보 저장부(218)로부터 기 저장된 제어창의 크기 및 상기 제어창에 포함된 제어창 메뉴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독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독출한 정보들에 따라 제어창을 생성한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가 미리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설정한 메뉴 항목들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창은 제어창 메뉴 항목들이 비어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202)로부터 UI 정보를 로드하여 UI를 생성하고, 생성된 UI를 회전하여 디스플레이하여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UI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된 UI는 상기 도 1의 (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전환된 UI와 상기 제어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상기 308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된 UI와 제어창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된 UI(400)의 측면에 제어창 메뉴 항목들(404, 406, 408, 410)을 포함하는 제어창이 디스플레이된 예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 또는 기 설정된 포커 스 이동키를 이용한 입력을 통해 제어창(402)을 선택하고 제어창(402)에 포함된 제어창 메뉴 항목들(404, 406, 408, 410)중 어느 하나를 바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404)을 선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406)과 대응되는 DMB 메뉴로 진입하여 DMB 시청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408)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410)과 대응되는 카메라 메뉴로 진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부를 동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들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각 메뉴들의 단축 메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는 상기 제어창이 왼쪽 측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들어 보이고 있으나, 만약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전환된 UI가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창(402)은 상기 UI(40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어창(402)는 상기 UI(400)가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된 후에 발생하는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생성됨을 상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만약 표시부(206)가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 UI(400)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창(402)은 상기 UI(40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생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창(402)의 가로 길이는 현재 길이의 반 정도로 줄어들을 수 있으며, 제어창(402)의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이에 포함되는 제어창 메뉴 항목들(404, 406, 408, 410) 역시 그 개수가 변경되거나 그 크기가 감소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어창(402)의 위치 및 제어창 메뉴 항목들의 설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시부터 결정되거나, 아니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회전 감지부(216)의 감지 결과에 따라 표시부(206)의 회전이 감지된 경우에 300단계의 체크 결과 현재 표시부(206)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가로보기 상태가 아닌 경우, 즉 세로보기 상태인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현재 가로보기 상태에서 세로보기 상태로 표시부(206)가 회전되었음을 인지하고 3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어창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한다. 그리고 312단계로 진행하여, 도 1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세로보기 상태에 따라 UI를 전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 메뉴들을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설정하여 이를 가로보기 상태인 경우에, 상기 특정 메뉴에 대한 단축 메뉴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로보기 상태에서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스스로가 커스터마이징한 단축 메뉴를 상기 비어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사용함으로써 여러 단계의 메뉴를 거칠 필요 없이 바로 원하는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제어창 메뉴 항목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제어창 메뉴 항목 그룹을 생성하 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제어창 메뉴 항목의 그룹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창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메뉴 항목이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제어창 메뉴에 추가 또는 변경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창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그룹에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창 메뉴 항목이 추가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창 메뉴 항목의 추가 또는 변경이 선택되는 경우, 50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설정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6의 (a)는 이러한 경우, 현재 설정된 제어창 메뉴 항목이 상기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때에, 표시부(206)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보인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제어창 그룹을 생성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새로운 제어창 그룹의 생성을 선택한 경우라면 52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새로운 제어창 그룹을 생성한다. 도 6의 (b) 및 (c)는 상기 502단계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그룹을 생성할 것을 선택한 경우, "헬쓰케어"라는 새로운 제어창 그룹을 생성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생성되어 있는 제어창 그룹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어느 하나의 제어창 그룹을 선택한다. 그리고 5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에 포함된 제어창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런데 만약 여기서 상기 516단계에서 새로 생성된 제어창 그룹이 선택된 경우라면 도 6의 (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창 메뉴 항목이 포함되지 않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508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에 제어창 메뉴 항목의 추가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의 추가를 선택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새로 추가할 메뉴들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1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창 메뉴 항목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생성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에 추가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514단계는 현재 생성된 제어창 메뉴 항목들의 개수를 체크하고, 체크된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제어창 메뉴 항목의 개수가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현재 생성된 제어창 메뉴 항목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이상이라는 것을 알리는 알림창등이 출력되도록 표시부(206)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의 (d) 및 도 6의 (e), (f)는 이처럼 사용자가 새로 제어창 메뉴 항목으 로 추가할 메뉴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들이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에 추가된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만약 도 6의 (c)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메뉴"를 선택하여, "헬쓰케어"와 같은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헬쓰케어"와 관련된 메뉴들이 도 6의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헬쓰케어"기능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지방, 맥박, 혈당 등 사용자의 건강에 관련된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6의 (d)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지방을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체지방 메뉴, 사용자의 맥박을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맥박 메뉴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헬쓰케어" 기능에 따른 메뉴들을 선택하고 이에 대한 추가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도 6의 (e) 및 (f)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를 "헬쓰케어"라는 제어창 그룹의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추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만약 사용자가 현재 새로 생성한 제어창 그룹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206)를 회전시키면, 즉 가로보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되도록 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0)는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 즉 헬쓰케어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그룹에 포함된 제어창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이처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 생성된 제어창 그룹에, 사용자가 새로 선택한 제어창 메뉴 항목들이 추가되어 디스플레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체지방(702)", "맥 박(704)", "만보기(706)", "혈당(708)"등의 제어창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한편, 만약 상기 508단계에서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의 제어창 메뉴 항목의 추가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0)는 51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선택된 그룹의 제어창 메뉴 항목들의 삭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창 메뉴 항목에 대한 삭제를 선택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51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삭제가 선택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삭제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206)를 가로보기 상태로 전환한다고 하여도 상기 삭제된 제어창 메뉴 항목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514단계에서 현재 생성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현재 선택된 그룹에 추가하거나, 상기 516단계에서 사용자가 삭제될 제어창 메뉴 항목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518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선택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51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다른 제어창 그룹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다른 제어창 그룹을 선택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다시 5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선택된 제어창 그룹에 포함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508단계에서 506단계에서 518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520단계에서 사용자가 다른 제어창 그룹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제어창 메뉴 항목을 추가 또는 변경하는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항목을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임의대로 사용자의 선택 에 따라 서로 다른 성격의 제어창 메뉴 항목들이 포함된 제어창 그룹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가로보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어창의 제어창 메뉴 항목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MB", "Camera", "체지방", "맥박", "만보기"등의 메뉴들을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의 예를 가정하여 설명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예로 든 기능들 외에 다른 기능들이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지 제어창 그룹의 생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특정 제어창 그룹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삭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이에 따라 가로 길이가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대로 자신이 원하는 항목들이 포함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메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 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기 위한 UI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메뉴 항목들과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창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제어창 메뉴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가로보기 상태 또는 세로보기 상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UI 및 상기 제어창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회전에 따른 현재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와,
    상기 회전 감지부의 감지 결과, 상기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UI를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UI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어창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들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메뉴 항목들과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제어창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를 통한 키 입력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들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들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선택한 제어창 메뉴의 그룹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메뉴의 그룹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 또는 삭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창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가 회전된 경우, 회전된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표시부가 현재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인지 세로보기 디스플레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표시부 체크 단계와,
    상기 표시부가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창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독출하는 제어창 관련 정보 독출 단계와,
    상기 제어창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창 메뉴를 생성하는 제어창 메뉴 생성 단계와,
    기 저장된 UI(User Interface) 설정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UI 설정 정보 에 따라 생성된 UI를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라 회전하여 출력하는 UI 출력 단계와,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UI가 출력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어창 메뉴를 출력하는 제어창 메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체크 단계는,
    상기 표시부가 세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창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는 제어창 디스플레이 중지 단계와,
    상기 독출된 UI 설정 정보에 따라 생성된 UI를 상기 세로보기 상태에 따라 출력하는 세로보기 UI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메뉴 생성 단계는,
    상기 가로보기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생성된 UI가 출력되지 않은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어창 메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창 메뉴 항목을 포함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설정된 제어창 그룹의 각 제어창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창 메뉴 항목 디스플레이 단계와,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을 추가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추가 여부 체크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을 추가한 경우,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추가될 메뉴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였는지 체크하는 메뉴 항목 체크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제어창 메뉴 항목을 생성하는 제어창 메뉴 항목 생성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현재 설정된 제어창 그룹의 제어창 메뉴 항목으로 추가하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새로운 제어창 그룹의 생성을 선택하였는지를 체크하는 생성 여부 체크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새로운 제어창 그룹의 생성을 선택한 경우, 새로운 제어창 그룹을 생성하는 제어창 그룹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삭제
  13. 제11항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창 메뉴 항목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다수의 제어창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는지 체크하는 제어창 그룹 선택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제어창 그룹으로 현재 설정된 제어창 그룹을 변경하는 제어창 그룹 변경 단계와,
    현재 설정된 제어창 그룹의 각 제어창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창 메뉴 항목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여부 체크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제어창 메뉴 항목의 추가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특정 제어창 메뉴 항목의 삭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삭제 여부 체크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삭제를 선택한 제어창 메뉴 항목이 있는 경우, 현재 설정된 제어창 그룹에서 상기 삭제가 선택된 제어창 메뉴 항목을 삭제하는 삭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060118506A 2006-11-28 2006-11-28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3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06A KR101333407B1 (ko) 2006-11-28 2006-11-28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506A KR101333407B1 (ko) 2006-11-28 2006-11-28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95A KR20080048295A (ko) 2008-06-02
KR101333407B1 true KR101333407B1 (ko) 2013-11-28

Family

ID=3980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506A KR101333407B1 (ko) 2006-11-28 2006-11-28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95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61A (ko) * 2003-05-07 2004-11-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메뉴 구성 방법
KR20060001448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161A (ko) * 2003-05-07 2004-11-16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메뉴 구성 방법
KR20060001448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595A1 (ko) * 2022-02-08 2023-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295A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176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US8761691B2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70101296A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s in a portable terminal
US2007007596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according to movement of mobile terminal
US20070094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d displaying wait screen image in portable terminal
KR20070111592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US20060248154A1 (en) Method of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display data
KR20110012309A (ko) 전자기기에서 볼륨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741357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070162878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KR1005571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3131219A (ja) 携帯端末機の画面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
CN103780964A (zh) 广播接收装置及控制方法、用户终端设备及屏幕提供方法
KR101333407B1 (ko) 가로보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어창 메뉴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700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using mouse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0724860B1 (ko)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작 모드 전환 방법
KR100703455B1 (ko) 키 입력부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들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들에 따른 화상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54845B1 (ko) 회전식 전자앨범 장치
KR1007033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790070B1 (ko)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89526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KR1007626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미디어데이터 생성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145274B1 (ko) 듀얼 엘시디 제어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대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