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00B1 -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 Google Patents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00B1
KR100557100B1 KR1019980059077A KR19980059077A KR100557100B1 KR 100557100 B1 KR100557100 B1 KR 100557100B1 KR 1019980059077 A KR1019980059077 A KR 1019980059077A KR 19980059077 A KR19980059077 A KR 19980059077A KR 100557100 B1 KR100557100 B1 KR 10055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command
input
featur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2795A (en
Inventor
이윤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00B1/en
Publication of KR2000004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08Message originat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essage centre, e.g. after detection of busy or absent state of a called par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0PC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음성을 편집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성 편집 장치는,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타로 변환하는 코덱(CODEC)과,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데이타중 음성 데이타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와, 압축 개시 명령의 입력으로부터 압축 종료 명령의 입력시까지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PCM데이타를 AD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PCM 변환부와,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음성 시작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 개시 명령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ADPCM 데이타로 압축된 데이타를 내부의 저장영역에 파일링하고, 상기 음성 종료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 종료 명령을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 데이타의 파일링을 종료하는 음성 편집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device for automatically editing a voice by extracting feature points of a voice signal reproduced from an audio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voice editing apparatus includes a codec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device into PCM data, and a starting point of voice data among data input by analyzing data output from the codec in response to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And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for detecting an end point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ignal, an ADPCM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PCM data output from the codec into ADPCM data from an input of a compression start command to an input of a compression end command, and outputting the ADPCM data;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compression start command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voice start point detection signal, and data compressed with the ADPCM data is filed in an internal storage area, and the compress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voice endpoint detection signal. Outputs the end command and terminates the filing of the voice data. And a voice editing control section.

Description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 및 방법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본 발명은 음성 우편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음성을 편집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editing apparatus used in a voice mai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diting a voice by extracting feature points of a vo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통상적으로, 음성 우편 시스템(voice mailing system)은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등과 같은 전화 교환 시스템에 연결되어 호출에 자동적으로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안내 음성(voice prompt)를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음성 우편 시스템에서 안내 음성을 송출하려면, 사람이 발음하는 음성을 편집하여 데이타 베이스(data base)로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Typically, a voice mailing system has a function of being connected to a telephone exchange system such as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automatically answering a call to send a preset voice prompt. In order to send a guide voice in such a voice mail system, a voice pronounced by a person must be edited and stored in a database.

안내음성을 편집하는 음성 편집 장치는 이 기술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오디오 장치(audio device; player)로부터 재생 출력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타를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데이타로 압축하고, 이를 ADPCM 데이타를 PCM 데이타로 재생하는 ADPCM 처리부와, 상기 ADPCM 처리부를 제어하고 ADPCM처리부로부터의 데이타를 편집하는 주제어부 및 편집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편집부는 프로그램에 의한 툴(tool)이다. Voice editing apparatus for editing the guided voice, as is well known in the art, compresses PCM (Pulse Code Modulation) data output from an audio device (player) into ADPCM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data. And an ADPCM processing unit for reproducing ADPCM data as PCM data, and a main control unit and an edi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ADPCM processing unit and editing data from the ADPCM processing unit. In this case, the editing unit is a tool by a program.

상기와 같은 음성 편집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편집 작업은 하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실행된다. Using the voice edi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editing operation is executed by the following procedure.

음성 우편 장치에서 서비스할 안내 음성을 일반 오디오 장치를 이용하여 녹음한다. 그리고, 녹음된 음성 데이타를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하여 음성 편집 장치로 공급한다. 이때, 음성 편집 작업자는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되는 음성을 청취하면서 필요한 음성만을 선별하여 ADPCM 처리될 수 있도록 음성 편집 장치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음성 편집 장치는 음성 우편 장치에서 손쉽게 억세스하여 사용용할 수 있도록 편집된 안내 음성을 데이타 베이스화하여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The voice guidance service is recorded using a general audio device. Then, the recorded voice data is reproduced through the player and supplied to the voice editing apparatus. At this time, the voice editing operator controls the voice editing apparatus to select only the necessary voices and process the ADPCM while listening to the voice reproduced through the player. In this case, the voice editing apparatus stores the edited guide voice as a database and stores it in a memory area so that the voice mail apparatus can be easily accessed and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안내 음성 편집 방법은 오디오 장치에 녹음된 음성 데이타를 음성 편집 장치를 통하여 편집시 편집자(작업자)가 모든 녹음 내용을 청취하면서 필요한 음성을 선택하여 잘라내고, 잘라낸 음성을 음성 편집 장치를 통하여 최적화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voice edit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 editor (worker) selects and cuts a voice required while listening to all recording contents when editing voice data recorded on an audio device through a voice editing devi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optimizing the voice through a voice edit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특징점 추출부에 의해 안내 음성의 필요 부분을 자동적으로 추출하고 최적화하여 자동으로 안내 음성을 편집하여 데이타 베이스화하는 음성 편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edi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y automatically extracting and optimizing a necessary part of a guide voice by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and automatically editing the guide vo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타로 변환하는 코덱(CODEC)과,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데이타중 음성 데이타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와, 압축 개시 명령의 입력으로부터 압축 종료 명령의 입력시까지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PCM데이타를 AD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PCM 변환부와,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음성 시작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 개시 명령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ADPCM 데이타로 압축된 데이타를 내부의 저장영역에 파일링하고, 상기 음성 종료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 종료 명령을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 데이타의 파일링을 종료하는 음성 편집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dec (CODEC)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into PCM data, and the voice data of the data input by analyzing the data output from the codec in response to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unit for dete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the signal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ignal; an ADPCM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PCM data output from the codec into ADPCM data from an input of a compression start command to an input of a compression end command; And generate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and generate the compression start command in response to the voice start point detection signal, simultaneously file data compressed with the ADPCM data into an internal storage area, and respond to the voice endpoint detection signal. Filing of voice data while outputting the compression end comman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ound editing control unit for termin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2은 아나로그의 음성을 PCM데이타로 변환하거나 PCM 데이타를 아나로그 음성으로 변환하는 코덱(CODEC; Coder and Decoer)이다. 상기 코덱(12)의 출력단에는 입력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음성 데이타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개시점 및 종료점를 검출하는 음성 특징점 검출부(10) 및 PCM 데이타를 ADPCM 데이타로 압축하는 ADPCM변환부(16)가 접속된다.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부(10) 및 ADPCM 변환부(16)들 각각은 공통 메모리(26)(28)들을 통해 음성 편집 제어부(20)에 접속된다. 상기 음성 편집 제어부(20)는 초기에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부(10)와 상기 ADPCM 변환부(16)를 제어하여 편집된 음성데이타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공통 메모리(26, 28)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10), ADPCM 변환부(16) 및 음성 편집 제어부(20)들 상호간의 데이타를 버퍼링하는 역할을 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editing apparatus of a voice mai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coder (Coder and Decoer) for converting an analog voice to PCM data or a PCM data to analog voice. To the output of the codec 12, a voice feature point detector 10 for detecting input points and end points by analyzing input data, and an ADPCM converter 16 for compressing PCM data into ADPCM data are connected. do. Each of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and the ADPCM converter 16 is connected to the voice edit controller 20 through the common memories 26 and 28. The voice editing control unit 20 has a function of initially classifying and storing the edited voice data by controlling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and the ADPCM converter 16.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mmon memories 26 and 28 serve to buffer data between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the ADPCM converter 16, and the voice edit controller 2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음성 특징점 추출부(10), ADCPM 변환부(16) 및 음성 편집 제어부(20)내의 주제어부(22)와 음성 편집부(24)들 상호간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editing control flow of a voice mai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the ADCPM converter 16, and the voice edit control unit 20 shown in FIG. The control flow between the main control section 22 and the voice editing sections 24 in the diagram is show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실시예를 도 2의 플로우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 of FIG. 2.

지금, 도 1과 같이 구성된 자동 음성 편집 장치가 동작되면 코덱(12)는 오디오 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 음성 신호를 PCM 데이타로 변환하여 음성 특징점 추출부(10) 및 ADPCM 변환부(16)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성 편집 제어부(20)내의 주제어부(22)는 도 2와 같이 특징점 추출 시작 명령(30)를 음성 특징점 추출부(10)로 공급한다. Now, when the automatic speech editing apparatus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is operated, the codec 12 converts the analog speech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apparatus (not shown) into PCM data, thereby converting the speech feature point extractor 10 and ADPCM. It supplies to the part 16. In this state, the main controller 22 in the voice editing control unit 20 supplies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start command 30 to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unit 10 as shown in FIG. 2.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부(10)는 상기 특징점 추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코덱(12)을 통한 데이타를 감시하다가 음성 시작임을 감지하면, 도 2와 같이 음성 시작점 검출 신호(32)의 메세지를 공통 메모리(28)를 통해 음성 편집 제어부(20)내의 주제어부(22)로 전송한다. 이러한 음성 특징점 추출부(10)는 디지탈 시그날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한다. When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monitors data through the codec 12 in response to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and detects that the voice is started,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sends a message of the voice start point detection signal 32 to the common memory ( 28 to the main controller 22 in the voice editing control unit 20.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may be implemented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and may also be implemented by a program of software.

주제어부(22)는 상기 음성 시작점 검출 신호(32)의 입력에 응답하여 도 2와 같이 ADPCM변환부(16)로 ADPCM Rx 변환 시작 명령(ADPCM 압축 명령)(34)를 공급함과 동시에 음성 편집부(24)로 음성 데이타 파일링 시작 명령(36)을 전송하여 이후에 제공되는 ADPCM Rx데이타를 저장장치에 파일링 하도록 한다. The main controller 22 supplies the ADPCM Rx conversion start command (ADPCM compression command) 34 to the ADPCM conversion unit 16 as shown in FIG. 2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voice start point detection signal 32, and at the same time, the voice editing unit ( 24, the voice data filing start command 36 is transmitted so that the ADPCM Rx data provided later is filed in the storage device.

ADPCM 변환부(16)는 상기 ADPCM Rx 변환 시작 명령(34)의 입력에 응답하여 코덱(12)으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타를 ADPCM 변환하여 음성 RX 데이타(38)를 공통 메모리(26)를 통하여 주제어부(2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22)는 도 2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 RX 데이타(40)를 음성 편집부(24)로 전송하여 저장장치에 파일링하도록 한다. The ADPCM converter 16 ADPCM-converts the PCM data output from the codec 12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ADPCM Rx conversion start command 34 to convert the voice RX data 38 through the common memory 26 to the main controller. Transfer to 22.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 unit 22 transmits the voice RX data 40 input as shown in FIG. 2 to the voice editing unit 24 to be filed in the storage device.

한편, 전술한 음성 특징점 추출부(10)는 계속해서 코덱(12)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타를 감시하다가 음성의 종료점을 검출하게되면, 도 2와 같이 음성 종료점 검출 신호(42)를 주제어부(2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제어부(22)는 상기 음성 종료점 검출 신호(42)의 입력에 응답하여 특징점 추출 종료 명령(44)을 음성 특징점 추출부(10)로 공급한 후, ADPCM 변환부(16)에 ADPCM Rx변환 종료 명령(46)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부(22)는 최종적으로 음성 편집부(24)로 음성 데이타 파일링 종료 명령(48)를 공급하여 하나의 음편 편집 작업을 완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continuously monitors the voice data output from the codec 12 and detects an end point of the voice, the main controller 22 transmits the voice end point detection signal 42 as shown in FIG. To send).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22 supplies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end command 44 to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voice endpoint detection signal 42, and then supplies the ADPCM to the ADPCM converter 16. The Rx conversion end command 46 is transmitted. Then, the main controller 22 finally supplies the voice data filing end command 48 to the voice editing unit 24 to complete one piece editing operation.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하나의 음편 편집을 완료한 주제어부(22)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10)에 특징점 추출 시작 명령(30)을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하여 상기 절차를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안내 음성 편집 동작은 오디오 입력장치에 녹음된 모든 음편에 대한 편집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되며, 자동 편집된 각각의 음편은 저장장치에 디스크리트(discrete)한 파일명으로 저장된다. The main controller 22, which has completed editing of one piece of music by the above operation, supplies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unit 10 with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start command 30 as described above and repeats the above procedure. The guide voice editing operation is repeated until the editing operation for all the music pieces recorded in the audio input device is completed, and each of the automatically edited music pieces is stored as a file name discrete in the storage device.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10)가 코덱(12)으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타중 음성 데이타의 시작 및 종료점을 검출하므로써 초기 입력되는 잡음 및 음편과 음편 사이의 불필요 데이타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게된다.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or 10 automatically deletes the initial input noise and unnecessary data between the sound and sound pieces by detecting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ound data among the PCM data output from the codec 12. Will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아나로그의 음성신호중 유효하게 이용될 안내 음성의 영역만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폅집하므로써 음성 우편 장치의 안내문 편집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에러에 의한 데이타의 불안전성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a lot of time required for editing the guide letter of the voice mail device by automatically extracting and collecting only the area of the guide voice to be effectively used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analog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device. This will minimize the instability of the data due to error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1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editing apparatus of a voice mai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2 is a flowchart of a voice editing control of the voice mai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에 있어서, In a voice editing apparatus of a voice mail system,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데이타중 음성 데이타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와,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a data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ng command and dete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the voice data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ignal; 압축 개시 명령의 입력으로부터 압축 종료 명령의 입력시까지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부와, A data converter which compresses and outputs the data output from the codec from the input of the compression start command to the input of the compression end command;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음성 시작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 개시 명령을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된 데이타를 내부의 저장영역에 파일링하고, 상기 음성 종료점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 종료 명령을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 데이타의 파일링을 종료하는 음성 편집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compression start command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voice start point detection signal, the compressed data is filed in an internal storage area, and the compression end command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voice endpoint detection signal. And a voice edit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ending filing of voice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는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아나로그의 음성을 PCM 데이타로 변환하는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 2. The voice edi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is output from a codec for converting the voice of the analog reproduced from the audio device into the PCM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변환부는 상기 PCM데이타를 ADPCM 데이타로 변환하는 ADPCM 변환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 The voice editing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data conversion unit is an ADPCM converter that converts the PCM data into ADPCM data.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편집 제어부는, 음성 파일링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ADPCM 수신 데이타를 데이타 베이스화하고 음성 파일링 종료 명령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타 베이스화된 저장 데이타 파일에 파일명을 부여하는 음성 편집부와, 초기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부에 특징점 추출 시작 명령을 공급하며 그로부터 음성 개시점 검출신호가 입력시에 상기 데이타 변환부에 압축 명령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파일링 시작 명령을 발생하는 주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editing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atabase ADPCM received data input in response to a voice filing start command and to output a file name to the database-stored stored data file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voice filing end command. Supplying a feature point extraction start command to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and supplying a compression command to the data converting unit at the time of input of the voice starting point detection signal therefrom and generating the voice filing start command. A voice editing apparatus of a voice mail system, comprising: a main control unit.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에 응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분석하여 입력되는 데이타중 음성 데이타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검출하여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 특징점 추출부와, 압축 개시 명령의 입력으로부터 압축 종료 명령의 입력시까지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압축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변환부를 구비한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voic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which analyzes data input from the outside in response to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and detects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the voice data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signal; A voice editing method of a voice mail system having a data converter which compresses and outputs data output from the codec until 음성 특징정 추출 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음성 특징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되는 데이타를 ADPCM 변환하여 음성 데이타를 파일링하는 과정과, Generating a voice feature extraction command and filing voice data by ADPCM converting the input data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voice feature point detection signal; 상기 음성 종료점 검출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 특징점 추출 명령의 출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ADPCM 변환을 중지하며, 음성 데이타의 파일링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우편 시스템의 음성 편집 장치. Stopping the output of the voice feature point extraction comman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voice endpoint detection signal, stopping the ADPCM conversion, and ending filing of voice data. Voice editing device.
KR1019980059077A 1998-12-26 1998-12-26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KR100557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77A KR100557100B1 (en) 1998-12-26 1998-12-26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077A KR100557100B1 (en) 1998-12-26 1998-12-26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795A KR20000042795A (en) 2000-07-15
KR100557100B1 true KR100557100B1 (en) 2006-05-17

Family

ID=1956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077A KR100557100B1 (en) 1998-12-26 1998-12-26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10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5360A (en) * 1981-10-29 1983-05-07 Nec Corp Sound storing and reproducing system
KR890003194A (en) * 1987-07-29 1989-04-13 강진구 Efficiently Implementing Voice Information of Complex Postal Device
JPH01185599A (en) * 1988-01-18 1989-07-25 Toshiba Corp Speech recognizing circuit
KR890011307A (en) * 1987-12-30 1989-08-14 강진구 Method for compressing and playing silent sections of voice mail device
KR930024394A (en) * 1992-05-27 1993-12-22 정용문 Voice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5360A (en) * 1981-10-29 1983-05-07 Nec Corp Sound storing and reproducing system
KR890003194A (en) * 1987-07-29 1989-04-13 강진구 Efficiently Implementing Voice Information of Complex Postal Device
KR890011307A (en) * 1987-12-30 1989-08-14 강진구 Method for compressing and playing silent sections of voice mail device
JPH01185599A (en) * 1988-01-18 1989-07-25 Toshiba Corp Speech recognizing circuit
KR930024394A (en) * 1992-05-27 1993-12-22 정용문 Voice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795A (en)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7788B1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for converting voice data present on a recording medium into text data
US20050222843A1 (en) System for permanent alignment of text utterances to their associated audio utterances
EP1299996B1 (en) Speech quality estimation for off-line speech recognition
WO2000070618A1 (en) Recording method having temporary buffering
JP38964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digital signal in a storage element
JPH10210154A (en) Method for improving articulation of voice message
KR100557100B1 (en) Voice editing system and method for voice mail system
KR100195435B1 (en) Telephone waiting music selecting method and thereof
KR100358417B1 (en) Voice memo device
KR100251003B1 (en) Automatic collection device of speech data
KR1002177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recognition threshold level for voice actuated telephone
JPS6029800A (en) Voice analysis system
EP0676868B1 (en) Audio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JPH1152995A (en) Voice reproducing device
JP2661512B2 (en) Conference call device
KR100194659B1 (en) Voice recording method of digital recorder
KR0136340B1 (en) Voice signal data compress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fatus
JPH03110600A (en) Semiconductor memory sound recording an reproducing device
JPH0519734B2 (en)
JPH02244952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JPH06244922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JPH10149362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H06259100A (en) Voice synthesizer
JPS63260345A (en) Automatic voice recorder
JPH05176060A (en) Voice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