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622B1 -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622B1
KR100556622B1 KR1020040080895A KR20040080895A KR100556622B1 KR 100556622 B1 KR100556622 B1 KR 100556622B1 KR 1020040080895 A KR1020040080895 A KR 1020040080895A KR 20040080895 A KR20040080895 A KR 20040080895A KR 100556622 B1 KR100556622 B1 KR 10055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main body
line
installation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기
김영관
Original Assignee
(주)라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임텍 filed Critical (주)라임텍
Priority to KR102004008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01P5/184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the guides being strip lines or micro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Landscapes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높은 격리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균일한 성능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양쪽의 단변쪽 측면에는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설치되고 한쪽의 장변쪽 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플링포트와 격리포트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각 포트가 노출되는 깊이로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설치홈에 조립되고 상면에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직선형상의 주 선로와 주 선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플링포트와 격리포트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ㄷ"형상의 커플링선로가 형성되는 기판과, 기판 위에 설치되며 주 선로와 커플링선로의 전기적 절연을 행하도록 절연재로 형성되는 절연판과, 절연판의 위에 설치되고 본체의 설치홈에 삽입될 때에 소정의 탄성으로 본체의 설치홈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편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탄력지지판과, 설치홈을 덮도록 본체에 조립 고정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를 제공한다.
방향성 결합기, 커플러, 이동통신,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추출, 인쇄회로기판, 격리, 유전체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Directional Couple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체의 설치홈에 기판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 게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으로 주 선로(main line)와 커플링 선로(coupling line)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PC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높은 격리도(isolation)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균일한 성능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는 주로 어떤 RF신호가 흐르는 경로에서 실제 흐르는 신호의 특성을 알아야 할 때(신호의 흐름 자체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 신호의 특징이 그대로 필요할 때)에 사용하는 전자부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CDMA, 셀룰러폰, PCS, WLL, IMT-2000 등의 이동통신 분야에도 널리 사용된다. 이동통신 분야(특히 CDMA 시스템)의 경우에는 전력 조절이 매우 복잡하므로 주 신호의 특성 변화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주 신호에 최대한 근접한 신호를 추출하여야므로 방향성 결합기가 많이 사용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주 신호가 흐르는 주 선로(main line)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력(신호)을 추출하기 위한 커플링 선로(coupling line)를 배치하여 커플링 선로에 흐르는 전력(신호)를 분석하는 것에 의하여 주 선로로 흐르는 전력(신호)의 특성 및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부품이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는 2개의 선로가 근접하여 배치되고, 하나의 선로(주 선로) 양쪽 끝부분에는 입력포트(input port)와 출력포트(output port)가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선로(커플링 선로) 양쪽 끝부분에는 커플링포트(coupling port)와 격리포트(isolation port)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포트로 주 신호가 입력되어 거의 그대로 출력포트로 출력되도록 이루어지며, 커플링포트를 통하여 주 신호의 일부를 추출하고, 격리포트에는 선로의 임피던스에 맞추어 저항을 접지시켜 전달되는 누설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오지 않게 열로 소모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 이동통신용 방향성 결합기에 있어서, 30dB의 신호를 추출하며 격리도(isolation)를 60dB로 유지할 수 있는 방향성 결합기로는 봉형태가 유리하지만, 이는 대량생산시 제품마다 균일한 성능 품질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즉 봉형태의 경우 봉의 가공 정밀도나 재질의 균일도에 따라 미세한 성능 차이가 존재하며, 고주파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용에 있어서는 미세한 차이가 결과에 악영향을 크게 미칠 가능성이 높다.
또 칩형태나 PCB(또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형태의 방향성 결합기의 경우에는 60dB이상의 높은 격리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주 선로와 커플링 선로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높은 격리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균일한 성능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양쪽의 단변쪽 측면에는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설치되고 한쪽의 장변쪽 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플링포트와 격리포트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각 포트가 노출되는 깊이로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홈에 조립되고 상면에는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직선형상의 주 선로와 상기 주 선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커플링포트와 격리포트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ㄷ"형상의 커플링선로가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되며 주 선로와 커플링선로의 전기적 절연을 행하도록 절연재로 형성되는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의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설치홈에 삽입될 때에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본체의 설치홈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편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탄력지지판과, 상기 설치홈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조립 고정되는 덮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는 상기 탄력지지판의 위에 설치되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형상유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는 상기 본체의 설치홈에는 주 선로 및 커플링선로의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복수의 조절나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절연판, 탄력지지판, 형상유지판에는 각각 상기 조절나사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형상유지판으로부터 탄력지지판, 절연판, 기판의 관통구멍을 차례로 삽입 관통하여 상기 조절나사홈에 조절부재를 체결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면 테두리에는 작은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체결 하여 상기 덮개판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조립홈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양쪽의 단변쪽 측면에는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입력포트(62)와 출력포트(64)가 설치되고 한쪽의 장변쪽 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플링포트(66)와 격리포트(68)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각 포트가 노출되는 깊이로 설치홈(12)이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설치홈(12)에 조립되고 상면에는 상기 입력포트(62)와 출력포트(64)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직선형상의 주 선로(22)와 상기 주 선로(2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커플링포트(66)와 격리포트(68)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ㄷ"형상의 커플링선로(24)가 형성되는 기판(20)과, 상기 기판(20) 위에 설치되며 주 선로(22)와 커플링선로(24)의 전기적 절연을 행하도록 절연재로 형성되는 절연판(30)과, 상기 절연판(30)의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설치홈(12)에 삽입될 때에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본체(10)의 설치홈(12)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편(42)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탄력지지판(40)과, 상기 설치홈(12)을 덮도록 상기 본체(10)에 조립 고정되는 덮개판(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 설치홈(12)의 네 꼭지점부분에는 상기 탄력지지판(40), 절연판(30), 기판(2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각각 공간부 (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상면 테두리에는 작은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59)를 체결하여 상기 덮개판(5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조립홈(14)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판(50)에는 상기 고정부재(59)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멍(54)이 상기 나사조립홈(1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에서 덮개판(5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54)은 상기 고정부재(59)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59)의 머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판(50)을 조립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9)는 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네 구석부(꼭지점)와 장변측 양쪽 모서리 중앙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조립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체결력을 고르게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포트(62), 출력포트(64), 커플링포트(66), 격리포트(68)는 작은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69)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원주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선(2), (4), 커플링선(6), 격리선(8) 등의 잭을 연결하기 위한 수나사(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포트(62), 출력포트(64), 커플링포트(66), 격리포트(68)는 상기 전송선(2), (4), 커플링선(6), 격리선(8) 등의 노출된 심선(3), (5), (7), (9)의 끝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기판(20)의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에 연결되도록 내부를 중공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심선(3), (5), (7), (9)이 삽입되도록 삽입구멍(18)이 대응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에서 삽입구멍(18)에는 상기 심선(3), (5), (7), (9)이 상기 본체(10)에 단락되지 않도록 절연하는 절연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삽입구멍(18)에 삽입되는 심선(3), (5), (7), (9)을 절연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송선(2), (4)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 신호 및 전력 등을 전송하는 선로로서 케이블이나 전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플링선(6)에는 추출(커플링)된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선(2), (4)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 및 전력의 특성을 확인하고 분석하기 위한 장비 등이 연결된다.
상기 격리선(8)에는 선로임피던스에 맞추어 저항(일반적으로 50Ω의 저항)이 접지되고, 잘못하여 전달되는 누설 신호(전력)가 반사되어 커플링포트(66)쪽으로 돌아오지 않게 열로 소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격리포트(68) 및 격리선(8)은 전체적인 신호(전력) 안정화를 위하여 사용하며, 실제 입출력용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기판(20) 및 절연판(30)은 가능하면 동일한 유전율을 갖도록 동일 재질로 형성하며, 합성수지나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20) 및 절연판(30)은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PCB)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20)의 위에 주 선로(22) 및 커 플링선로(24)를 인쇄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판(30)을 설치함에 따라 주 선로(22)와 커플링선로(24) 사이에는 유전체로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기판(20)에 형성되는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는 인쇄회로기판(PCB)에 회로 및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주 선로(22)는 상기 기판(20)의 대략 중앙부분에 장변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커플링선로(24)는 장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ㄷ"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는 상기 심선(3), (5), (7), (9)의 끝부분이 확실하게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폭(예를 들면 0.5∼3mm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력지지판(40)의 탄성편(4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42)은 소정의 탄력을 갖고 상기 본체(10) 설치홈(12)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하면서 굽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편(42)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면서 굽어지는 반원형상, 원호형상, ">"형상, 파형상 등으로 형성한다.
상기 탄성편(42)은 상기 탄력지지판(40)의 네 모서리에 각각 하나이상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변쪽에는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42)은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접하여 2개씩 쌍을 지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력지지판(40)에는 상기 입력포트(62), 출력포트(64), 커플링포트(66), 격리포트(68)가 위치하는 부분을 조립시에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의 절결부(4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결부(44)는 조립시의 자유로운 방향선택이 가능하도록 대칭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포트(66) 및 격리포트(68)가 위치하지 않는 장변쪽 부분에도 절결부(44)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상기 탄력지지판(40)은 탄성이 우수한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해당 위치에 각각 입력포트(62), 출력포트(64), 커플링포트(66), 격리포트(68)를 고정부재(69)를 이용하여 조립 설치한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설치홈(12)에 상기 기판(20)을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가 인쇄된 면이 위로 오도록 삽입하고, 상기 입력포트(26), 출력포트(64), 커플링포트(66), 격리포트(68)에 각각 전송선(2), (4), 커플링선(6), 격리선(8)을 심선(3), (5), (7), (9)의 끝부분이 설치홈(12)쪽으로 노출되어 상기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와 접하도록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심선(3), (5), (7), (9)의 끝부분을 상기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절연판(30)을 기판(20) 위쪽에 조립하고, 상기 탄력지지판(40)을 절연판(30) 위쪽에 조립한다. 이 때 상기 탄력지지판(40)의 탄성편(42)이 상기 본체(10) 설치홈(12)의 내측면에 소정의 탄성(탄력)으로 밀착되므로, 탄력지지판(40)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절연판(30) 및 기판(2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탄력지지판(40)에 의하여 기판(20) 및 절연판(30)의 유동이 억제됨에 따라 격리도가 크게 향상되며, 우수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50)을 고정부재(59)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에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홈(12)을 덮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판(40)의 위에 설치되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형상유지판(80)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본체(10)의 설치홈(12)에는 주 선로(22) 및 커플링선로(24)의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복수의 조절나사홈(16)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20), 절연판(30), 탄력지지판(40), 형상유지판(80)에는 각각 상기 조절나사홈(16)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26), (36), (46), (86)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관통구멍(26), (36), (46), (86)과 조절나사홈(16)을 형성하고, 상기 형상유지판(80)으로부터 탄력지지판(40), 절연판(30), 기판(20)의 관통구멍 (26), (36), (46), (86)을 차례로 삽입 관통하여 상기 조절나사홈(16)에 조절부재(89)를 체결한다.
상기 조절부재(89)는 작은나사나 볼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조절부재(89)를 체결하는 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절연판(30)과 기판(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고 유전율이 변화되며 커플링값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조절부재(89)의 체결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과정에서 균일한 커플링값을 갖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간단하게 항상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커플링값을 30dB 기준으로 ±0.3dB의 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탄력지지판(40) 탄성편(42)의 탄성(탄력)에 의한 지지에 더하여 조절부재(89)의 체결력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지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절연판(30)과 기판(20)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격리도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리도(isolation)를 60dB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형상유지판(80)은 조절부재(89)의 체결력을 균일하게 절연판(30) 및 기판(20)쪽에 전달하여야 하므로,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면 강판이나 스테인레스판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나사홈(16) 및 관통구멍(26), (36), (46), (86)은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하는 것이 조절부재(89)의 체결력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설치홈(12)의 장변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형성하고, 장변쪽의 길이에 따라 한쪽에 2∼5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조절부재(89)의 머리부가 덮개판(50)이 조립된 상태에서 덮개판(50)의 저면과 접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형상유지판(80)에 조절부재(89)의 머리부가 일부 또는 전부 매입되도록 관통구멍(8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에 의하면, 탄력지지판의 탄성편에 의하여 절연판 및 기판의 유동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므로, 봉형태의 방향성 결합기와 동일 또는 보다 우수한 격리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에 의하면, 조절부재의 체결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조립과정에서 커플링값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 하므로, 항상 균일한 품질의 커플링값을 갖는 제품을 용이하게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생산성이 향상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생산성이 나쁜 종래 봉형태의 방향성 결합기와 같이 우수한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PCB 형태(마이크로스트립 라인 형태)의 방향성 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커플링값 및 성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양쪽의 단변쪽 측면에는 서로 직선으로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설치되고 한쪽의 장변쪽 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커플링포트와 격리포트가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각 포트가 노출되는 깊이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면 테두리에는 고정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조립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설치홈에 조립되고 상면에는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직선형상의 주 선로와 상기 주 선로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커플링포트와 격리포트에 양쪽 끝부분이 연결되는 "ㄷ"형상의 커플링선로가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설치되며 주 선로와 커플링선로의 전기적 절연을 행하도록 절연재로 형성되는 절연판과,
    상기 절연판의 위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설치홈에 삽입될 때에 소정의 탄성으로 상기 본체의 설치홈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편이 모서리를 따라 소정의 패턴으로 세워져 형성되는 탄력지지판과,
    상기 설치홈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조립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상기 본체의 나사조립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덮개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판의 탄성편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소정의 탄력을 갖고 상기 본체 설치홈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하면서 굽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판에는 상기 입력포트, 출력포트, 커플링포트, 격리포트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판의 위에 설치되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형상유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설치홈에는 주 선로 및 커플링선로의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 복수의 조절나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절연판, 탄력지지판, 형상유지판에는 각각 상기 조절나사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형상유지판으로부터 탄력지지판, 절연판, 기판의 관통구멍을 차례로 삽입 관통하여 상기 조절나사홈에 조절부재를 체결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홈 및 관통구멍은 대칭되는 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머리부가 덮개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덮개판의 저면과 접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KR1020040080895A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KR10055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895A KR100556622B1 (ko)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895A KR100556622B1 (ko)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622B1 true KR100556622B1 (ko) 2006-03-06

Family

ID=3717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895A KR100556622B1 (ko)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62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21B1 (ko) * 2008-10-09 2010-09-0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다층 방향성 결합기
KR101294875B1 (ko) 2011-08-26 2013-08-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커플링 조절이 가능한 방향성 결합기
KR101326965B1 (ko) * 2013-05-30 2013-11-13 (주)더원아이앤씨 이동통신용 커플러
CN105552505A (zh) * 2015-08-18 2016-05-04 湛江市华思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焊点全频段耦合器
CN108134174A (zh) * 2017-11-17 2018-06-08 江苏亚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宽频电桥优化系统
CN108288745A (zh) * 2017-05-25 2018-07-17 东莞质研工业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设有第二槽口的同频合路器
WO2023101446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아모텍 커플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221B1 (ko) * 2008-10-09 2010-09-0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다층 방향성 결합기
KR101294875B1 (ko) 2011-08-26 2013-08-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커플링 조절이 가능한 방향성 결합기
KR101326965B1 (ko) * 2013-05-30 2013-11-13 (주)더원아이앤씨 이동통신용 커플러
CN105552505A (zh) * 2015-08-18 2016-05-04 湛江市华思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焊点全频段耦合器
CN108288745A (zh) * 2017-05-25 2018-07-17 东莞质研工业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设有第二槽口的同频合路器
CN108288745B (zh) * 2017-05-25 2019-08-23 林驰杰 一种设有第二槽口的同频合路器
CN108134174A (zh) * 2017-11-17 2018-06-08 江苏亚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宽频电桥优化系统
WO2023101446A1 (ko) * 2021-11-30 2023-06-08 주식회사 아모텍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1262B (zh) 射频连接装置
JP4133747B2 (ja) 誘電体導波管の入出力結合構造
US8368482B2 (en) Dielectric waveguide-microstrip transition including a cavity coupling structure
US6294965B1 (en) Stripline balun
KR101158559B1 (ko) 도파로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사이의 무접점 전이 요소
CN107438919B (zh) 天线阵列组件、其构造方法及无线电终端
CN109716581B (zh) 射频连接装置
JP7262574B2 (ja) 非接触式マイクロストリップ-導波路変換器
CN109755696B (zh) 一种宽带腔体移相器
KR100897864B1 (ko) 커플링을 이용한 전력 분배기
KR10055662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용 방향성 결합기
US5864264A (en) Dielectric filter
US20200176933A1 (en) High frequency connector
TWI682603B (zh) 射頻傳輸設置及在射頻傳輸設置中將一第一傳輸線連接至一第二傳輸線之方法
US7170366B2 (en) Waveguide to microstrip transition with a 90° bend probe for use in a circularly polarized feed
JP2004518143A (ja) レーダビームを送信および/または受信するための装置
EA038606B1 (ru) Возбуждение полосковой антенны
JP4018802B2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線路用コネクタ装置
US663618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tenna
JP2003178827A (ja) 高速通信装置用マルチコネクタ及びこの高速通信装置用マルチコネクタとプリント基板との実装方法
CN111725597B (zh) 介质传输线耦合器、介质传输线耦合组件及网络设备
US8882539B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0314925Y1 (ko) 대칭형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한 결합기
JP4103466B2 (ja) 高周波コネクタの表面実装方法及び高周波コネクタ実装プリント基板並びにプリント基板
JP2007295361A (ja) デュプレク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