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601B1 -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601B1
KR100556601B1 KR1020030088894A KR20030088894A KR100556601B1 KR 100556601 B1 KR100556601 B1 KR 100556601B1 KR 1020030088894 A KR1020030088894 A KR 1020030088894A KR 20030088894 A KR20030088894 A KR 20030088894A KR 100556601 B1 KR100556601 B1 KR 10055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erminal
service
traffic specification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855A (ko
Inventor
노경주
김윤주
전영애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6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랜 시스템의 기본 서비스 영역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특성에 따른 트래픽 명세(Traffic Specification)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트래픽 명세 엔터티와, 상기 트래픽 명세와 트래픽 구분 기준에 따르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셋업 또는 트래픽 해제 메시지에 따라 해당 단말의 트래픽 셋업정보를 관리하는 수락제어 관리기와, 상기 수락 제어 관리기의 트래픽 셋업정보에 따른 트래픽 명세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트래픽 명세 스케쥴러 및 상기 트래픽 명세 스케쥴러의 스케쥴링 정보와, 수락 제어 관리기의 트래픽 셋업 정보에 따라, 상기 기본 서비스 영역의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픽 명세 관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IEEE802.11e를 적용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HC와 단말기에서의 QoS 서비스를 요구하는 트래픽 구분에 대한 동일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하여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종단 단말간의 형평성 있는 QoS를 제공할 수 있다.
IEEE802.11e, HC, QoS, TS, QSTA

Description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or wireless LA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의 송수신전에 수행되는 설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서비스를 위한 HC의 TS 관리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서비스를 위한 HC의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C의 TS 서비스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종단 단말간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보장을 위한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802.11e에서 QSTA(QoS Station)가 매체에 접근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경쟁하는 경쟁기반의 동작 방식인 EDCA(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방식과 무선 랜의 HC(Hybrid Coordinator)가 QSTA의 매체 접근을 폴링(polling) 방식으로 제어하는 동작 방식인 HCCA(Hybrid Coordinated Channel Access) 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EDCA 방식을 적용하는 HC와 QSTA(110)의 트래픽은 우선순위에 따라 4개의 액세스 카테고리(Access Category; 이하 AC라 함)로 분류한다. 각 QSTA는 매체에 접근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경쟁하고, 각 QSTA의 각 AC도 독립적으로 경쟁한다.
또한, 상기 IEEE802.11e 폴링 기반의 HCCA 방식은 파라미터라이즈 QoS(Parameterized QoS)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HCCA는 트래픽의 QoS 특성을 TSPEC(Traffic Specification)으로 정의하고 TSPEC의 QoS 파라미터에서 정의하는 QoS 보장을 요구하는 트래픽의 집합인 TS(Tstream)을 서비스하기 위한 방식이다.
파라미터라이즈 QoS 서비스 방법은 트래픽의 QoS 특성을 트래픽 명세(Traffic Specification, 이하 TSPEC이라 함)로 정의한 후, 특정 트래픽을 송수신 하고자 할 때, 상기 송수신 하고자 하는 트래픽을 상기 정의된 TSPEC 중 하나의 TSPEC로 매핑하여 송수신 함으로써, 상기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매핑된 TSPEC에서 정의하는 QoS 특성이 만족되도록 트래픽을 서비스 하는 방법이다.
또한, 종래의 QoS 서비스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43497(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QoS가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해 QoS가 요구되는 서비스와 QoS가 요구되지 않는 서비스로 구분하여 차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의 방법은 전송링크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송링크의 상향을 고려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률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QoS 서비스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패킷 스케쥴링 방식에 대한 연구이고, IEEE802.11e를 적용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는 QSTA(QoS Station)가 특정 트래픽에 대한 QoS 서비스를 요구하고, 무선 랜의 HC(Hybrid Coordinator)가 수신한 QoS 서비스 요구에 대한 수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HC는 수락된 QoS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효율적으로 스케쥴링하여 서비스한다.
현재 IEEE802.11e 무선 랜 규격은 HC와 QSTA사이나 QSTA 사이에 대한 단일 링크(One-Hop)에 대한 동작만을 정의하고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에서 QoS 서비스를 요구하는 트래픽이 멀티홉(Multi-Hop)을 거쳐 서비스되는 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동작 사항은 구현자의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은 IEEE802.11e를 적용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실제 종단 단말간의 형평성 있는 Qo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HC와 상기 QSTA에서의 QoS 서비스를 요구하는 트래픽 구분에 대한 동일한 기준을 제공하고, 상기 HC에서의 상기 수락된 QoS 서비스 요구에 대한 효율적인 스케쥴링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무선 랜 시스템의 종단 단말간의 형평성 있는 QoS 제공을 HC와 QSTA에서의 QoS 서비스를 요구하는 트래픽 구분에 대한 동일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는,
무선 랜 시스템의 단말 간의 서비스 품질 제공을 위한 패킷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기본 서비스 영역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특성에 따른 트래픽 명세(Traffic Specification)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트래픽 명세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트래픽 명세 엔터티; 상기 트래픽 명세와 트래픽 구분 기준에 따르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셋업 또는 트래픽 해제 메시지에 따라 해당 단말의 트래픽 셋업정보를 관리하는 수락제어 관리기; 상기 수락 제어 관리기의 트래픽 셋업정보에 따른 트래픽 명세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트래픽 명세 스케쥴러; 상기 트래픽 명세 스케쥴러의 스케쥴링 정보와, 수락 제어 관리기의 트래픽 셋업 정보에 따라, 상기 기본 서비스 영역의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픽 명세 관리기; 상기 트래픽 명세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되기 위한 트래픽을 임시 저장하는 트래픽 명세 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명세를 분석하여 트래픽 셋업 메시지 또는 상기 상위로 전송되는 트래픽인지를 판단하는 수신 트래픽 명세 분석기; 및 상기 수신 트래픽 명세 분석기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트래픽 명세 큐의 대기 중인 트래픽 프레임의 시퀀스 법칙을 적용하도록 하는 시퀀스 관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은,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따른 트래픽 명세(Traffic Specification) 및 트래픽 구분 기준을 제공하는 HC(Hybrid Coordinator)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단말 간의 서비스 품질 제공을 위한 패킷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HC가 자신이 속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기본 서비스 영역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특성에 따른 트래픽 명세 및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단말들로 설정된 트래픽 명세 및 트래픽 구분 기준을 공지하여 상기 각각의 단말이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HC가 상기 단말 간에 상기 트래픽 명세 및 트래픽 구분기준을 이용하여 협상된 트래픽 명세 서비스 셋업 요구 메시지를 각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트래픽 명세 서비스 셋업 요구 메시지에 공통된 서비스 명세에 따른 스케쥴링을 하는 단계; (c) 상기 HC가 상기 (b) 단계에서 스케쥴링한 스케줄에 따라 상기 단말 간에 트래픽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HC가 상기 (b) 단계에서 스케쥴링한 스케쥴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상위 프로토콜로부터의 트래픽 명세 서비스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단말(QoS Station; 이하 QSTA라 함)(111~113) 등에 무선 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EEE802.11e 규격을 적용한 무선 랜 시스템은, 다수의 HC(Hybrid Coordinator)(121, 122)를 포함하여, 각각의 HC(121, 122)는 기본 서비스 단위인 BSS(Basic Service Set)(131, 133)를 이룬다.
HC(121, 122)는 상기 QSTA(111~113)이 접속하여 무선 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AP(Access Point) 또는 기지국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무선 랜 시스템에서 폴링 기반의 HCCA 방식에서는 QSTA(111~113)는 HC(121, 122)에 특정 TS(Traffic Stream) 서비스를 요구하는 셋업 요구 메시지 (AddTS.request)를 전송한다. HC(121, 122)는 QSTA(111~113)로부터 수신한 특정 TS 서비스 셋업 요구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셋업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AddTS.response)를 상기 QSTA(111~113)로 전송한다.
만약, 상기 BSS(132)의 QSTA(112)가 HC(122)의 릴레이(relay) 기능을 이용하여 QSTA(113)로 특정 QoS 특성을 요구하는 TS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QSTA(112)과 QSTA(113)는 IEEE802.11e 규격에 따라 각각 HC(122)에 TS 셋업 요구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이때, 무선 랜 시스템의 종단 단말간의 QoS 보장을 위해서는 QSTA(112)와 QSTA(113)가 해당 트래픽에 동일한 TSPEC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즉, 상기한 도 1과 같이 IEEE802.11e 규격을 적용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HC(122)는 자신이 서비스하는 BSS(132)에 존재하는 QSTA(112)로부터 수락한 TS에 대해 서비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HC(122)는 QSTA(112)별로 수락한 TS를 관리하 여야 한다.
또한 HC(122)가 수락한 TS는 TS 설정을 요구한 QSTA(112)의 주소, 상기 TS의 방향(업링크, 다운링크, 양방향링크, 직통링크; uplink, downlink, bidirectional, direct), TS의 ID(TSID)에 따라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므로 HC(122)가 관리하는 하나의 TS는 3가지 정보의 조합인 QSTA주소, 방향, TSID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에서 HC(122)와 통신하는 종단 QSTA(112, 113) 간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의 송수신전에 수행되는 설정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HC(122)와 통신하는 QSTA(112)와 QSTA(113)간의 QoS 보장을 위해 패킷 송수신전에 설정되는 과정은, 먼저 HC(122)가 자신의 BSS(132)의 HCCA 동작에서 사용할 TSPEC와, 상기 TSPEC를 적용할 트래픽의 구분 기준(TSID)에 대한 정보를 설정한다(S201).
그리고, HC(122)가 설정하는 TSPEC와 트래픽 구분 기준정보는 상기 해당 BSS(132)의 QSTA(112)와 QSTA(113)에 공지하여(S202), 해당 TSPEC와 트래픽 구분 기준정보를 QSTA(112)와 QSTA(113)가 채택할 수 있도록 한다(S203, S204).
그리고 QSTA(112)아 QSTA(113)은 상호간에 협상 과정을 거치고(S205), 협상된 TSPEC을 정보를 포함하는 TS 서비스 셋업 요구 메시지를 각각 HC(122)에 전송하고(S206, S208), HC(122)로부터 해당 TS 서비스 셋업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207, S208).
HC(122)는 QSTA(112)와 QSTA(113)으로부터 수신한 TS 서비스 셋업 요구 메시지에 TSPEC 에 따라 스케쥴링을 수행하고, 정해진 스케쥴링에 따라 QSTA(112)와 QSTA(113)은 HC(122)로부터 T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동작을 거쳐, 동일한 BSS(131)에 속한 QSTA(112, 113)간의 TS 트래픽 송수신 과정에서 해당 TS에 대한 동일한 QoS 특성을 갖는 TSPEC을 사용함으로써 종단 단말간 QoS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HC(122)는 QSTA(112)와 QSTA(113)간에 수용 가능한 TSPEC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공통된 몇 개의 TSPEC를 사용함으로써 협상의 과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HC(122)와 연결되는 다수의 QSTA 중 임의의
Figure 112003046906619-pat00001
에 대한 TS 관리정보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서비스를 위한 HC의 TS 관리정보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C(122)는 각각의 QSTA(112) 별로 4가지의 TS 방향을 지원하고 각 TS 방향에 따라 4개의 TSID를 지원한 다고 할 때, HC(122)가 가지는 최대의 TS는
Figure 112003046906619-pat00002
개의 TS를 스케쥴링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HC(122)는 특정 QSTA로부터 수락한 동일한 TSID의 업링크 TS와 다운링크 TS가 동시에 존재할 경우, 두 방향의 TS를 동시에 고려하여 스케쥴링한다.
이는 두 방향을 동시에 고려하여 스케쥴링함으로써, QSTA는 HC로부터 폴링 받은 하나의 TXOP 동안 TSPEC를 사용하는 업링크 TS와 다운링크 TS를 동시에 송수 신 한다. 이러한 방식은 HC(122)와 QSTA(112)가 특정 TXOP 구간에 업링크 TS만 서비스하거나, 다운링크 TS만 서비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답과정과 프레임사이의 시간(Inter Frame Space; 이하 IFS라 함)을 방지하여 무선 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업링크 TS와 다운링크 TS를 동시에 고려하여 스케쥴링하면, HC(122)는 특정 QSTA로부터 수락한양방향 TS도 별도 TS로 고려하지 않고 업링크 TS와 다운링크 TS에 포함하여 스케쥴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HC(122)가 n 개의 QSTA에 대해, 각 TS에 대해 4가지의 방향(uplink, downlink, bidirectional, direct)을 지원하고, 각 방향에 따라 4개의 TSID를 지원한다고 할 때, HC(122)는
Figure 112006006200761-pat00003
개의 TS를 관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HC(122)의 TS 서비스를 위한 송수신장치의 자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S 서비스를 위한 HC의 송수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C(122)의 송수신 장치는 상위 프로토콜(401), HC TS 엔터니(402), 전송 TS 프레임 버퍼(403), TS 관리기(404), 수락 제어 관리기(405), TS 스케쥴러(406), TS 큐(407), HCCA(Hybrid Coordinated Channel Access) 시퀀스 관리기(408) 및 수신 TS 분석기(409)를 포함한다.
상위 프로토콜(401)은 HC(122)의 상위 프로토콜과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 며, HC TS 엔터티(402)는 BBS(131)에서 사용하는 TSPEC과 트래픽 구분 기준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를 QSTA(112, 113)에게 공지한다.
또한, HC TS 엔터티(402)는 상위 프로토콜(401)로부터 전송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패킷이 QoS 서비스가 요구되는 경우, 공지 받은 트래픽 구분 기준에 근거하여 상기 트래픽에 적용할 TSPEC을 선택하고 트래픽 구분 기준을 부여한다.
TS 관리기(404)는 HC TS 엔터티(401)가 부여한 TSPEC와 트래픽 구분 기준에 따른 TS 트래픽을 구성하고, 전송 TS 프레임 버퍼(403)는 TS 관리기(404)가 구성한 전송할 TS 트래픽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수락 제어 관리기(405)는 각각의 QSTA(112)의 TS 셋업정보를 관리하며, HC(122)가 QSTA(112)로부터 TS 셋업 요구 메시지나 TS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해당 QSTA(112)에 대한 TS 셋업정보를 갱신한다.
TS 스케쥴러(406)는 수락 제어 관리기(405)의 TS 셋업 정보를 기반하여 수락한 TS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갱신하고, TS 큐(407)는 실제 전송되기 위한 TS 프레임이 임시 저장되는 곳이다.
즉, TS 스케쥴러(406)가 갱신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TS 관리기(404)가 TS 프레임 버퍼(403)에 임시 저장된 TS 프레임을 TS 큐(407)로 이동시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신 TS 분석기(409)는 QSTA(112)로부터 수신되는 TS를 분석하며, HCCA 시퀀스 관리기(408)는 특정 QSTA(112)에 대한 TS 서비스를 위한 전송명령이 시작된 경우, 수신 TS 분석기(409)와 연계하여 HCCA 프레임 시퀀스 법칙을 준수하 면서 TS 큐(407)의 TS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여 T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C(122)의 송수신 장치를 적용한 TS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C의 TS 서비스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TS 서비스를 위해서는 우선 HC TS 엔터티(402)가 초기화를 한 후(S501), HC(122)가 속한 BSS(132)에서 적용하는 TSPEC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S502), 설정된 TSPEC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T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QSTA(112, 113)로 공지한다(S503).
그리고, 상위 프로토콜(401)로부터 QSTA(112, 113)로 전송할 패킷이 도착되면(S504), HC TS 엔터티(402)는 전송 패킷의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S505), 해당 트래픽은 TS 관리기(404)에 의해 전송 TS 프레임 버퍼(403)에 저장된다 (S506).
상위 프로토콜(401)로부터 전송 패킷이 도착되지 않는 경우, TS 관리기(404)는 TS 스케쥴러(406)에 정보에 따라 전송 TS 프레임 버퍼(403)의 트래픽을 TS 큐(407)로 이동하여 저장한다(S510).
이때, TS 스케쥴러(406)는 QSTA(112, 113)로부터의 TS 셋업 요구 메시지 또는 TS 해제 요구 메시지에 따라 스케쥴링 정보를 가지고 있게 되는데, 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TS 셋업 요구 메시지나 TS 해제 요구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S507), TS 셋업 요구 메시지 또는 TS 해제 요구 메시지가 수신된 경 우, 수락 제어 관리기(405)가 TS 셋업 정보를 업데이트하여(S508), TS 스케쥴러(406)가 TS 스케쥴링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TS 스케쥴러(406)의 스케쥴링 정보에 의해 QSTA(112, 113)에 특정 TXOP가 시작되면(S511), HCCA 시퀀스 관리기(408)가 HCCA 시퀀스 규칙에 따라 TS 큐(407)의 트래픽을 해당 QSTA(112, 113)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S512).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은 IEEE802.11e를 적용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HC와 단말기에서의 QoS 서비스를 요구하는 트래픽 구분에 대한 동일한 기준을 제공하도록 하여 무선 랜 시스템에서의 종단 단말간의 형평성 있는 QoS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무선 랜 시스템의 단말 간의 서비스 품질 제공을 위한 패킷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기본 서비스 영역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특성에 따른 트래픽 명세(Traffic Specification)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트래픽 명세와 트래픽 구분 기준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트래픽 명세 엔터티;
    상기 트래픽 명세 엔터티가 전송하는 상기 트래픽 명세와 트래픽 구분 기준에 따르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셋업 또는 트래픽 해제 메시지에 따라 해당 단말의 트래픽 셋업정보를 관리하는 수락제어 관리기;
    상기 수락 제어 관리기의 트래픽 셋업정보에 따른 트래픽 명세 스케쥴링을 수행하는 트래픽 명세 스케쥴러;
    상기 트래픽 명세 스케쥴러의 스케쥴링 정보와, 수락 제어 관리기의 트래픽 셋업 정보에 따라, 상기 기본 서비스 영역의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상기 상위 프로토콜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트래픽 명세 관리기;
    상기 트래픽 명세 관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되기 위한 트래픽을 임시 저장하는 트래픽 명세 큐;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명세를 분석하여 트래픽 셋업 메시지 또는 상기 상위로 전송되는 트래픽인지를 판단하는 수신 트래픽 명세 분석기; 및
    상기 수신 트래픽 명세 분석기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트래픽 명세 큐의 대기 중인 트래픽 프레임의 시퀀스 법칙을 적용하도록 하는 시퀀스 관리기
    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트래픽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전송 트래픽 명세 버퍼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3. 단말로부터의 서비스 품질 요구에 따른 트래픽 명세(Traffic Specification) 및 트래픽 구분 기준을 제공하는 HC(Hybrid Coordinator)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단말 간에 서비스 품질 제공을 위한 패킷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HC가 자신이 속한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기본 서비스 영역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 특성에 따른 트래픽 명세 및 트래픽 구분 기준을 설정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상기 단말들로 설정된 트래픽 명세 및 트래픽 구분 기준을 공지하여 각각의 단말이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HC가 상기 단말 간에 상기 트래픽 명세 및 트래픽 구분기준을 이용하여 협상된 트래픽 명세 서비스 셋업 요구 메시지를 각각의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트래픽 명세 서비스 셋업 요구 메시지에 공통된 서비스 명세에 따른 스케쥴링을 하는 단계;
    (c) 상기 HC가 상기 (b) 단계에서 스케쥴링한 스케줄에 따라 단말 간에 트래픽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HC가 상기 (b) 단계에서 스케쥴링한 스케쥴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상기 무선 랜 시스템의 상위 프로토콜로부터의 트래픽 명세 서비스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4. 삭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HC가 스케쥴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명세 셋업 메시지에서 동일한 트래픽 구분 기준을 갖는 업링크 트래픽 명세와 다운링크 트래픽 명세가 존재할 경우 두 방향의 트래픽 명세를 동시에 고려하여 스케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HC가 스케쥴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 명세 셋업 메시지에 양방향을 갖는 트래픽 명세가 존재할 경우, 업링크와 다운링크 트래픽 명세를 동시에 고려하여 스케쥴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KR1020030088894A 2003-12-09 2003-12-09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5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94A KR100556601B1 (ko) 2003-12-09 2003-12-09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94A KR100556601B1 (ko) 2003-12-09 2003-12-09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55A KR20050055855A (ko) 2005-06-14
KR100556601B1 true KR100556601B1 (ko) 2006-03-06

Family

ID=3725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894A KR100556601B1 (ko) 2003-12-09 2003-12-09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034B1 (ko) * 2005-03-30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QoS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740576B1 (ko) * 2005-12-08 2007-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 환경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의 집합 전송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55A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68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400858B (zh) 辅助信道上的基本带宽设备
US8259632B2 (en) Peer power save mode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wireless network
KR101021081B1 (ko) QoS 서비스 스케줄 제공 방법, 무선 네트워크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4734335B2 (ja) ネットワークアレイ、転送装置及び転送装置の動作方法
JP4733052B2 (ja) リアルタイム通信のための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省電力送出方法
JP4401352B2 (ja) スケジューラ・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8279757B2 (en) Power management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CN106717050A (zh) 无线网络媒体访问控制参数的动态调整
RU2007114888A (ru) Планирование с учетом качества обслуживания (qos) для передач в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по выделенным каналам
KR100872415B1 (ko) 중계기를 사용하는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전송장치 및 방법
RU2008101651A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ланировании
Memon et al. A survey on 802.11 MAC industrial standards, architecture, security & supporting emergency traffic: Future directions
EP1601144B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WO2009086664A1 (zh) 用于资源分配请求和分配的方法与装置
JP2022527921A (ja) 通信方法および装置
Iera et al. Improving QoS and throughput in single-and multihop WLANs through dynamic traffic prioritization
US9083432B2 (en) Relay method, and relay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56601B1 (ko) 무선 랜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90034527A (ko) 피드백 메시지 기반의 상향 트래픽 전송 스케줄링 방법 및장치
KR20130095529A (ko) 경쟁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형평성을 고려한 서비스품질 보장방법 및 그 단말
WO2023168638A1 (zh) 无线通信的方法及设备
KR101345135B1 (ko) IEEE 802.11e HCCA 프로토콜의 스케줄링방법 및 시스템
WO2024067467A1 (zh) 通信方法及装置
US20230389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urgency ind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