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544B1 -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544B1
KR100554544B1 KR1020040034693A KR20040034693A KR100554544B1 KR 100554544 B1 KR100554544 B1 KR 100554544B1 KR 1020040034693 A KR1020040034693 A KR 1020040034693A KR 20040034693 A KR20040034693 A KR 20040034693A KR 100554544 B1 KR100554544 B1 KR 10055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gear
sun gear
housing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709A (ko
Inventor
전재한
김수병
조수부
임경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54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3Diaphragms comprising ceramic-like materials, e.g. pure ceramic, glass, boride, nitride, carbide, mica and carbon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성기어구조를 적용하여 감속비를 크게하고 감속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한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transmission system for brake}
도 1은 종래의 전기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모터 104 : 모터축
110 : 제1선기어 115 : 제1유성기어
120 : 제1링기어 200 : 제1캐리어
202 : 제2캐리어축 300 : 제2선기어
315 : 제2유성기어 320 : 제2링기어
400 : 제2캐리어 402 : 제2캐리어축
410 : 플랜지 415 : 제2캐리어바디
450 : 구동부 500 : 피스톤
600 : 하우징
본 발명은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성 기어구조를 적용하여 감속비를 크게하고 감속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한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설치되는 전기 브레이크로서 유성기어구조를 채택한 전기 브레이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14476에 의해 공지된 기술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전기 브레이크 장치는, 폐달 변위 측정부와, 휠 브레이크부 및 중앙 처리부를 구비한다. 중앙 처리부는, 페달 변위 측정부로부터 전달된 페달 정보 및 각종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제동 정보에 따라 휠브레이크부에 실행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전기 브레이크 장치에서 휠브레이크부는, 모터(11)와, 이 모터(1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유성기어군(12)과, 브레이크 디스크(21)를 가압하는 브레이크 패드(20)가 일측에 설치된 패드 서포트(18)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성기어군(12)은 하나의 선기어(13)와, 이 선기어(13)와 외접하는 복수개(3개)의 유성기어(14)와, 이 복수개의 유성기어(14)가 내접하는 하나의 링기어(15)와, 복수개의 유성기어(14)를 연결하는 유성 캐리어(16)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성기어(12)군 중의 선기어(13)는 모터(11)의 로터 축에 고정설치되어 로터(11a)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유성 캐리어(16)의 중심부에는 스크류기어(17)가 고정설치되어 유성 캐리어(16)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패드 서포트(18)의 타측에는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9)가 형성되고,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19)의 중앙부에는 스크류기어(17)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9a)가 형성되며, 패드 서포트(18)의 사각단면 형상의 결합부(19) 각각의 면에는 복수의 롤러 베어링(22)이 개재된다.
따라서 스크류기어(17)의 회전에 따라 패드 서포트(18)가 회전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 원할하게 이동되면서 패드 서포트(18)의 일측에 설치된 브레이크 패드(20)가 브레이크 디스크(21)를 가압하여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전기 브레이크 장치는, 감속비가 적기 때문에 큰 용량의 모터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성기어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전기 브레이크 이외의 주차 브레이크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차 브레이크의 케이블이 늘어나 주차성능이 일정하게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큰 감속비로 전달하고, 유성기어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감속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보조전동부에 의해 주차브레이크에 필요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 치는, 하우징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1링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2링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에 일체로 형성되어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상기 제1캐리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보조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제2캐리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는, 상기 제2선기어에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캐리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는 레이디얼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토크를 큰 감속비로 전달할 수 있고, 유성기어장치를 구성하는 개개의 구성부품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보조전동부에 의해 주차브레이크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는, 모터축(106)이 형성되며, 하우징(600)에 설치되는 모터(10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축(106)의 단부에는, 모터축(106)에 의해 구동되는 제1선기어(110) 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600)의 내면에는 제1링기어(120) 및 제2링기어(3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링기어(120)와 제1선기어(110) 사이에는, 제1링기어(120)와 제1선기어(110)에 맞물리는 제1유성기어(115)가 배치된다. 제1유성기어(115)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유성기어(115)는, 제1캐리어(200)에 고정된 제1캐리어축(202)에 대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된다.
제1캐리어(200)가 안정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캐리어(200)와 하우징(600) 사이에는 베어링(38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캐리어(200)의 전방(모터 반대편)에는 제2선기어(3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선기어(300)의 전방에는 돌출부(3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50)는 후술하는 제2캐리어(400)의 삽입부(360)에 설치된 베어링(37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하우징(600) 내면에 형성된 제2링기어(320)와 제2선기어(300) 사이에는, 제2링기어(320)와 제2선기어(300)에 맞물리는 제2유성기어(315)가 배치된다. 제2유성기어(315)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성기어(315)는, 제2캐리어(400)에 고정된 제2캐리어축(402)에 대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된다.
제2캐리어(400)는, 홈 형태의 삽입부(360)가 형성된 제2캐리어바디(415)와 상기 제2캐리어바디(415)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4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410)와 하우징(600) 사이에는 스러스트베어링(49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캐리어바디(415)와 하우징(600) 사이에는 레이디얼베어링(480)이 설치된다. 상기 삽입부(360)에도 레이디얼베어링(370)이 설치되어, 상기 제2선기어(300)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350)를 지지한다.
상기 제2캐리어(400)의 제2캐리어바디(415)에는, 제2캐리어바디(415)의 회전운동을 피스톤(5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동부(4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캐리어(400)의 회전운동을 피스톤(5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전동수단으로서 나선결합을 구동부(450)로 채택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50)와 피스톤(500)을 나선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450)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450)의 회전운동에 의해 피스톤(500)이 헛돌지 않도록 가이드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피스톤(500)을 안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위하여 제1캐리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보조전동부를 채택하고 있다. 위 보조전동부는, 보조모터(270)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600)에 설치된 보조베벨기어(260)와 위 보조베벨기어(260)에 맞물리도록 제1캐리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베벨기어(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전동부는, 보조모터(270)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1캐리어(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102)의 회전에 의해 제1선기어(110)가 회전하면, 하우징(600)에 고정된 제1링기어(120)와 제1선기어(110) 사이에 설치된 제1유성기어(115)가 회전하게 된다.
제1링기어(120)가 하우징(60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유성기어(115)가 회전하면 제1캐리어(200) 및 제2선기어(300)가 회전하게 된다.
제2선기어(320)가 회전하면, 하우징(600)에 고정된 제2링기어(320)와 제2선기어(300) 사이에 설치된 제2유성기어(31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캐리어(400)도 회전하게 되고, 제2캐리어바디(415)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부(450)에 의해 피스톤(500)이 직선운동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구동시킨다.
제2캐리어(400)의 플랜지(410)와 하우징(600) 사이에 설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490)은, 제동과정에서 피스톤(500)을 가압시키는 제2캐리어(400)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제1캐리어(200)와 하우징(600)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380) 및 돌출부(350)와 삽입부(360)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370)에 의해, 제1캐리어(200) 및 제2선기어(30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50)가 삽입부(360)에 삽입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주차신호검출센서에 의해 주차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미도시)는 보조모터(27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보조베벨기어(260) 및 제1캐리어(200)가 회전하게 되고, 제2유성기어(315) 및 제2캐리어(400)가 회전하여 피스톤(500)을 전진시켜서, 주차시 필요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모터(102)가 고장났을 경우, 보조모터(270) 및 보조베벨기어(260) 등의 보조전동부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조전동부는 페일세이프 기능을 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로서 유성기어열을 채택하고 보조전동부를 채택한 구성에 의해, 모터의 토크를 큰 감속비로 전달할 수 있어서, 낮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원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보조전동부에 의해 주차기능을 달성할 수 있어서, 기계적인 주차브레이크 장치를 생략할 수 있고 제동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주된 모터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보조전동부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동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제2캐리어를 스러스트베어링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제동시 제2캐리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선기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2캐리어에 삽입부를 형성하여 돌출부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감속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제1캐리어 및 제2선기어가 안정하게 지지되어 진동발생을 저감하게 되었다.

Claims (3)

  1. 삭제
  2. 하우징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1링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2링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에 일체로 형성되어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캐리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보조전동부;
    상기 하우징과 제2캐리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3. 하우징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1링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1유성기어와, 상기 제1유성기어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 및 하우징에 형성된 제2링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제2유성기어와, 상기 제2유성기어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에 일체로 형성되어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캐리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보조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선기어에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캐리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부에 설치된 레이디얼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KR1020040034693A 2004-05-17 2004-05-17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KR10055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693A KR100554544B1 (ko) 2004-05-17 2004-05-17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693A KR100554544B1 (ko) 2004-05-17 2004-05-17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09A KR20050109709A (ko) 2005-11-22
KR100554544B1 true KR100554544B1 (ko) 2006-03-03

Family

ID=3728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693A KR100554544B1 (ko) 2004-05-17 2004-05-17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13B1 (ko) 2007-12-12 2014-06-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성기어 타입 전동 브레이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455B1 (ko) * 2015-09-22 2023-09-2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35156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13B1 (ko) 2007-12-12 2014-06-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성기어 타입 전동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09A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339B2 (en) Caliper attaching type electrical parking brake in vehicle
US10274033B2 (en) Electronic disc brake
US9285001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EP2345830B1 (en) Electric linear actuator and electric brake device
US4593780A (en) Power assist steering gear assembly
EP1837555A1 (en) Electric direct-acting actuator and electric brake device
JP5487902B2 (ja) 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CN108458004B (zh) 电子盘式制动器
KR20020073502A (ko) 액츄에이터 및 브레이크 캘리퍼
JP2009127737A (ja)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4263711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ブレーキ装置
JPH11513471A (ja) 車の電気作動ディスクブレーキ組立体の改良
KR101399792B1 (ko) 유성 기어 장치
KR100554544B1 (ko)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KR100554542B1 (ko)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JP4861262B2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該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ブレーキ装置
KR100554543B1 (ko) 전자제어 캘리퍼 브레이크용 전동장치
JP2007127205A (ja)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JP2009041581A (ja)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KR2015007258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동력전달장치
KR20080008702A (ko) 전동식 제동장치
KR102401770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JP2006162020A (ja) 電動式直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式ブレーキ装置
KR101323159B1 (ko) 구동 디바이스
KR102401768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