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202B1 - 가스홀더 - Google Patents

가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202B1
KR100554202B1 KR20050042247A KR20050042247A KR100554202B1 KR 100554202 B1 KR100554202 B1 KR 100554202B1 KR 20050042247 A KR20050042247 A KR 20050042247A KR 20050042247 A KR20050042247 A KR 20050042247A KR 100554202 B1 KR100554202 B1 KR 10055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in body
gas holder
rubber uni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4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791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542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05004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스홀더는 하수처리장치의 소화조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설정된 소정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가 상기 본체로 유출입 이동하는 가스 이송관; 일단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 일측이 상기 가스 이송관에 밀착되는 러버유닛; 상기 러버유닛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의 유출입에 따른 압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 데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데크가 평행 상태로 승하강 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평행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러버유닛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측면에는 보강을 위한 덧댐용 러버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평행장치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승하강데크에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와이어에 교차로 권취되는 복수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스홀더에 따르면 건식타입으로 제작되어 이에 따른 중량이 감소되어 이에 따른 지반침해의 문제가 해소되며, 가스홀더 내부 장치의 부식이 방지되는 가스홀더를 얻는 효과가 있다.
가스홀더, 러버유닛

Description

가스홀더{Gas holder}
도 1은 종래 가스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가 설치된 하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에 구비된 평행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에 구비된 감쇄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에 구비된 러버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에 구비된 러버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본체 104.....가스이송관
106.....러버유닛 110.....승하강 데크
120.....평행장치 122.....고정와이어
124.....롤러 130.....감쇄부
136.....설치캡
본 발명은 가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식타입으로 가스를 저장할 수 있어 중량이 감소되고, 구성요소의 부식이 방지되는 가스홀더에 관한 것이다.
가스홀더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하수처리장치에서 하수를 처리할 경우 발생하는 가스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에 사용된 가스홀더는 주로 습식 형태이며, 이러한 습식형태의 가스홀더는 도 1과 같은 형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가스홀더는 가스관(2)이 연결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조(1)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내조(3)와, 중조(4) 및 외조(5)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되, 내조(3)와 중조(4)의 연결부 및 중조(4)와 외조(5)의 연결부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홈(6)이 형성되도록 하단부가 외측으로 상향절곡되어 있고, 그 수용홈(6)에 결합되는 상측에는 수용홈(6)에 삽입되어 가스홀더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도록 차단판(7)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물 저장조(1)의 양측에는 안내빔(8)이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내조(3)와 중조(4) 및 외조(5)에는 안내빔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내조(3)와 중조(4) 및 외조(5)를 지지하는 안내롤(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스관(2)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면, 외조(5)와 중조(4) 및 내조(3)는 순차적으로 상승되며, 외조(5)와 중조(4) 및 내조(3)의 연결부에 형성된 시일부의 수용홈(6)에는 물이 유입된 상태이고, 그 수용홈(6)에는 차단판(7)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홀더의 내부와 외부가 차단된 상태가 되어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식 가스홀더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가스에 의한 부식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홀더 내에 저장되고 있는 물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가스홀더가 설치된 지반이 침하되거나 균열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타입을 통한 방법으로 가스를 저장하여 전체 중량이 감소되는 가스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홀더는 하수처리장치의 소화조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설정된 소정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가 상기 본체로 유출입 이동하는 가스 이송관; 일단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 일측이 상기 가스 이송관에 밀착되는 러버실; 상기 러버유닛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의 유출입에 따른 압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 데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데크가 평행 상태로 승하강 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평행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러버유닛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양측면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가 위치하며, 중심에 부직포가 위치하여 결합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러버실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측면에는 보강을 위한 덧댐용 러버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평행장치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승하강데크에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와이어에 교차로 권취되는 복수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와이어의 일단에는 상기 승하강데크가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고정와이어에 발생하는 장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감쇄부는 상기 고정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외주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볼트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상기 아이볼트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이 실장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가스홀더에 따르면 건식타입으로 제작되어 이에 따른 중량이 감소되어 이에 따른 지반침해의 문제가 해소되는 가스홀더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식타입으로 제작함에 따라 가스홀더 내의 장치가 부식이 방지되는 가스홀더를 얻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수처리장에 하수가 유입되면 침전조, 폭기조 등을 단계적으로 거친 후 최종 정화되어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각각의 침전조(300) 및 폭기조에서는 슬러지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슬러지는 이들을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농축조(310)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소화조(200)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홀더(100)는 하수처리장치의 요소 중 하나로, 설치 단계로 볼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조(200)의 다음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홀더(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조(200)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본체(102), 본체(102)에 연결되며 설정된 소정 압력을 기준으로 가스가 본체로 유출입 이동하는 가스 이송관(104), 일단이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 일측이 가스 이송관(104)에 밀착되는 러버유닛(106), 러버유닛(106)의 타단에 설치되어 가스의 유출입에 따른 압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 데크(110), 본체(104)에 구비되어 승하강데크(110)가 평행 상태로 승하강 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평행장치(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이를 위한 도면으로는 도 4 내지 도 7을 사용한다.
본체(102)는 내후성, 내풍성, 내진성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하는데, 내부에는 가연성의 가스를 저장하기 때문에 용접부, seal 등에서의 가스 누설이 없도록 완전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102)에는 Breather Valve, 불꽃방지장치 및 Frame Arrester, 피뢰장치, 초과압력 조절장치, 각종 계기(온도, 압력) 등의 안전설비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02)에는 저장된 가스의 용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볼륨인디케이터(Volume indicator)와 레벨 인디케이터(Level indicator, 166)가 설치된다.
본체(102)의 저면의 중앙은 바닥의 다른 곳보다 조금 높게 하여 응축수와 가스침전물이 본체(102)의 바깥으로 모이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체(102)로 가스가 이동하는 가스이송관(104)에는 감압밸브(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2)의 내부에는 가스의 유출입에 따라 승하강 하는 승하강 데크(1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승하강 데크(110)는 본체(102)에 구비된 평행장치(120)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 하게 된다.
평행장치(120)의 구성을 보면, 일단이 본체(102)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102)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122), 승하강데크(110)에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고정와이어(122)에 교차로 권취되는 복수개의 롤러(124)로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평행장치(120)는 4개소가 설치되어, 승하강 데크(110)가 평행상태로 승하강 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러버유닛(106)은 일단이 본체(102)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 일측이 가스이송관(104)에 밀착된다.
이러한 러버유닛(106)은 폴리이소부타이렌(Polyisobutylene), 부틸러버(Butyl rubber), 스타이렌부타디엔고무(SBR, Styrene Butadiene Rubbe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클로로핀 또는 네오프렌 고무(CR, Chloroprene or Neoprene Rubber)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를 사용하는 것인데, 그 이유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내유성(耐油性), 내마모성 및 내열노화성이 뛰어나며, 인장강도와 탄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러버유닛(106)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단인 구성으로 하여 하나의 단위유닛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러버유닛(10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를 단위유닛으로 사용하는 방법이외에 이들 복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중심에 부직포(106b)를 위치시키고, 부직포(106b)의 양측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106a)(106c)를 위치시켜 접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부직포(106b)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106a)(106c)를 복합하여 사용할 경우 러버유닛(106)의 강도는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부직포(106b)는 폴리아미드 부직포(나일론-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폴리아미드 부직포(나일론-6, 106b)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106a)(106c)를 복합한 러버유닛(106)을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인장강도 N/㎝ 742 KS K 0520 : 2001
신도 % 27 KS K 0520 : 2001
그리고 러버유닛(106)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측면에는 보강을 위한 덧댐용 러버유닛(106′)이 구비된다.
덧댐용 러버유닛(106′)을 구비하는 것은, 가스의 유출입에 따라 승하강 데크(110)가 반복적으로 승하강 할 경우 꺽임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러버유닛(106)의 파손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덧댐용 러버유닛(10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측면에 덧대거나 양측면에 덧대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2)에는 고정와이어(122)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부(130)가 구비된다.
감쇄부(130)는 고정와이어(122)의 일단이 연결되는 아이볼트(132), 아이볼트(132)의 외주에 위치하여 아이볼트(132)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134) 및 아이볼트(132)와 코일 스프링(134)이 실장되도록 본체(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캡(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감쇄부(130)의 기능은 고정와이어(122)에 매달린 상태로 승하강 하는 승하강 데크(110)의 승하강에 따라 발생하는 장력, 다시 말해 하강할 경우 고정와이어(122)의 일단이 당겨지는 힘 및 승하강 데크(110)가 상승할 경우 고정와이어(122)의 타단이 당겨지는 힘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홀더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2)에 연결된 가스 이송관(104)을 통해 가스가 유입되면,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 데크(110)는 점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가스가 유입되면 가스의 양은 용량 또는 레벨 인디케이터(166)에 표시되고 이를 외부에서 확인하여 저장된 가스의 저장 상태 및 저장양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레벨 인디케이터(166)에는 센서(168)가 구비되는데, 이렇게 센서(168)가 구비될 경우 승하강 데크(110)의 승하강에 따른 가스의 저장양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줌으로써 중앙의 컨트롤러(미도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센서(168)에 의한 저장값을 실시간으로 데이터화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저장된 상태의 가스를 소화조(200)로 유출하여 다시 소화시키거나 별도의 보일러(190)으로 공급하여 소각할 경우 이송관(104)에 연결된 분기관(105)을 통해 공급하게 되는데, 분기관(105)에는 가스 송풍기(170)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홀더는 건식타입으로 가스를 저장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구성된 형태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러버실의 형상이나, 평행장치의 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변형된 실시예가 건식상태로 가스의 저장이 가능하고, 이를 위한 러버실 및 평행장치가 구비된 구성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가스홀더에 따르면 건식타입으로 제작되어 이에 따른 중량이 감소되어 이에 따른 지반침해의 문제가 해소되는 가스홀더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식타입으로 제작함에 따라 가스홀더 내부 장치의 부식이 방지되는 가스홀더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수처리장치의 소화조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설정된 소정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가 상기 본체로 유출입 이동하는 가스 이송관;
    일단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 일측이 상기 가스 이송관에 밀착되는 러버유닛;
    상기 러버실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의 유출입에 따른 압력으로 승하강하는 승하강 데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데크가 평행 상태로 승하강 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평행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유닛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유닛은 양측면에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가 위치하며, 중심에 부직포가 위치하여 결합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유닛의 일단 또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측면에는 보강을 위한 덧댐용 러버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장치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의 하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승하강데크에 다른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와이어에 교차로 권취되는 복수개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와이어의 일단에는 상기 승하강데크가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고정와이어에 발생하는 장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고정와이어의 일단이 연결되는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외주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볼트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 상기 아이볼트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이 실장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홀더.
KR20050042247A 2005-05-20 2005-05-20 가스홀더 KR10055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2247A KR100554202B1 (ko) 2005-05-20 2005-05-20 가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2247A KR100554202B1 (ko) 2005-05-20 2005-05-20 가스홀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237U Division KR200392959Y1 (ko) 2005-05-20 2005-05-20 가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202B1 true KR100554202B1 (ko) 2006-03-03

Family

ID=3717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2247A KR100554202B1 (ko) 2005-05-20 2005-05-20 가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2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45B1 (ko) * 2013-07-12 2014-03-12 주식회사 서정개발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가스 홀더
CN107366822A (zh) * 2017-09-15 2017-11-21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正多边形稀油密封气柜改建的两段式橡胶膜密封气柜
KR102231700B1 (ko) 2020-10-28 2021-03-25 주식회사 서정개발 가스팩에 의한 가스 차단 방식의 가스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45B1 (ko) * 2013-07-12 2014-03-12 주식회사 서정개발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가스 홀더
CN107366822A (zh) * 2017-09-15 2017-11-21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正多边形稀油密封气柜改建的两段式橡胶膜密封气柜
KR102231700B1 (ko) 2020-10-28 2021-03-25 주식회사 서정개발 가스팩에 의한 가스 차단 방식의 가스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974B2 (en) Floating roof support legs with vapor seals
KR100554202B1 (ko) 가스홀더
EP1338843A2 (en) A membrane gas accumulator
JP2006295017A (ja) コンサベータ
US4064911A (en) Hydraulic fluid reservoir for a closed hydraulic system
US10675561B2 (en) Sulfur seal device
CA2650296A1 (en) Storage tank with self-draining full-contact floating roof
KR200392959Y1 (ko) 가스홀더
ZA200602533B (en) Fire-retarding device on storage tanks
KR100312559B1 (ko) 자동차용롤오버밸브
US20120012192A1 (en) Vent Line Protection Device for Gas Regulator
KR101183169B1 (ko) 가스파이프라인의 씰 포트
RU2490744C2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из атмосферы в расширительную емкоcть наполненных изоляционной жидкостью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установ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148244B1 (ko) 지역 난방 시스템 축열조의 투웨이 밸브
KR200465376Y1 (ko)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KR102100039B1 (ko) 코크스 오븐용 가스 배출장치
CN211944631U (zh) 一种浮顶密封系统超压保护装置
KR100518684B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CN110410659B (zh) 一种防冻的膜密封煤气柜
KR101373545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가스 홀더
JP3641059B2 (ja) ガス消火室用床排水トラップ及びガス消火室
CN207880457U (zh) 一种弹簧活塞板式防煤气泄漏排水器
KR100832437B1 (ko) 부력작용이 용이한 플로우트와 유체 압력제어가 용이한챔버장치를 가진 축압식 어큐뮬레이터 레벨 인디케이터
KR100980418B1 (ko) 수문 권양기용 파손 방지장치
CN219828551U (zh) 一种防泄漏的储气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315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202

Effective date: 201406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