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20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204B1
KR100553204B1 KR1020030061197A KR20030061197A KR100553204B1 KR 100553204 B1 KR100553204 B1 KR 100553204B1 KR 1020030061197 A KR1020030061197 A KR 1020030061197A KR 20030061197 A KR20030061197 A KR 20030061197A KR 100553204 B1 KR100553204 B1 KR 10055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chassis base
leaf sp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781A (ko
Inventor
방원규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2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칩 온 필름(COF)과 같은 연결 부재를 나사 조립하지 않고도 섀시 베이스 후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섀시 베이스 단부에 설치되고, 연결 부재 관통을 위한 관통구들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프레임으로 가압시켜 프레임에 밀착 고정시키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연결부재, 칩온필름, 칩온보드, 테이프캐리어패키지, 판스프링, 프레임, 섀시베이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FIXING STRUCTURE FOR CONNECTING MEMBER IN 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고정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연결 부재가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섀시 베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판 스프링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차단벽 주위의 프레임과 판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프레임의 단면을 기준으로 프레임과 판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결 부재 고정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칩 온 필름(COF)과 같은 연결 부재를 나사 조립하지 않고도 섀시 베이스 후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한다)과, PDP 후면을 고정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와, 섀시 베이스 후면에 탑재되는 다수의 구동회로 기판과, PDP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캐비넷과, 섀시 베이스 후방에 위치하며 PDP와 섀시 베이스를 감싸면서 프런트 캐비넷 및 섀시 베이스와 일체로 조립되는 백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회로 기판은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칩 온 보드(COB; chip on board)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PDP 내부에 마련된 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 부재는 그 일단이 PDP에 마련된 전극 패드부에 실장되고, 반대편 일단이 섀시 베이스 후면에 장착된 해당 구동회로 기판에 실장되는데, 섀시 베이스 후면에서 연결 부재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부재의 일부가 섀시 베이스 후면에 밀착 고정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중 섀시 베이스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연결 부재가 COF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섀시 베이스(1) 후면에는 섀시 베이스(1) 후방을 향해 돌출된 보스(3)가 형성되고, 보스(3)에 대응하는 COF(5) 상에 지지체(7)가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체(7)의 좌우 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보스(3)에 나사홀(7a)이 형성된다. 이로서 작업자가 나사(9)를 이용해 지지체(7)를 보스(3)에 체결함으로써 COF(5)를 섀시 베이스(1) 후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그런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통상 10개 이상의 COF(5)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COF 고정 방식으로는 COF(5) 수량에 맞추어 여러개의 나사(9)를 체결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전술한 COF 고정 방식에서는 나사(9)를 체결할 때 발생하는 이물질로 인해 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전극과 구동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섀시 베이스 후면에 나사 조립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과 구동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에 있어서,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섀시 베이스 단부에 설치되고, 연결 부재 관통을 위한 관통구들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프레임으로 가압시켜 프레임에 밀착 고정시키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섀시 베이스 후면에 대응하는 일단에 지지체를 고정하며, 지지체의 좌우 단부에 관통공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간 임의 간격을 두고 섀시 베이스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와, 한쌍의 고정부 사이에서 섀시 베이스 후면과 임의의 간격을 갖도록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양 측면에 연결 부재 관통을 위한 관통구와 관통구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벽을 구비하는 중앙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판 스프링은 중앙부가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의 윗면에 고정 돌기를 구비하는데, 고정 돌기를 포함한 중앙부의 초기 높이가 섀시 베이스 후면에 대한 프레임의 중앙 돌출부 높이보다 크게 이루어져 판 스프링이 프레임 내부에서 탄성 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판 스프링은 차단벽이 위치하는 프레임의 중앙 돌출부 내부에 조립되며, 연결 부재의 지지체가 관통구를 통해 프레임을 관통할 때에 판 스프링의 고정 돌기가 지지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끼워져 지지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연결 부재를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연결 부재가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섀시 베이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연결 부재(2)는 그 일단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4)(이하 'PDP'라 한다)에 마련된 전극 패드부(미도시)에 접속되고, 다른 일단이 섀시 베이스(6) 후면에 마련된 구동회로 기판(미도시)에 접속되도록 PDP(4)와 섀시 베이스(6)의 단부를 둘러싸며 위치한다. 연결 부재(2)로는 칩 온 필름(COF), 칩 온 보드(COB) 및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2)는 섀시 베이스(6) 후면에 대응하는 일단에 지지체(8)를 고정하는데, 지지체(8)는 섀시 베이스(6) 후방을 향하는 연결 부재(2)의 바깥면에 고정된다. 지지체(8)의 폭은 연결 부재(2)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며, 지지체(8)의 좌우 단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판 스프링(10)과의 결합을 위한 임의 직경의 관통공(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섀시 베이스(6) 후면에는 연결 부재(2) 고정을 위한 프레임(12)과 판 스프링(10)이 마련된다. 프레임(12)은 연결 부재(2)가 위치하는 섀시 베이스(6)의 단부에서 그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연결 부재(2) 개수에 대응하는 관통구(12a)를 마련하여 연결 부재(2)가 관통구(12a)를 통해 프레임(12)을 관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판 스프링(10)은 프레임(12) 내부에서 연결 부재(2)를 프레임(12)에 밀착시켜 연결 부재(2)를 프레임(1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프레임과 판 스프링의 확대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프레임과 판 스프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12)은 서로간 임의 간격을 두고 섀시 베이스(6)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14)와, 한쌍의 고정부(14) 사이에서 섀시 베이스(6) 후면과 임의의 간격을 갖도록 고정부(14)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16)로 이루어진다. 중앙 돌출부(16)의 양 측면에는 연결 부재(2) 관통을 위한 관통구(12a)가 마련되고, 각각의 관통구(12a) 사이에는 차단벽(18)이 마련되어 연결 부재(2)간 상호 위치 간섭을 방지한다.
그리고 판 스프링(10)은 중앙부(10a)가 양측 단부(10b)로부터 유선형으로 돌 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10a)의 윗면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고정 돌기(20)가 마련된다. 고정 돌기(20)를 포함한 중앙부(10a)의 초기 높이(h1)는 섀시 베이스(6) 후면에 대한 프레임(12)의 중앙 돌출부(16) 높이(h2)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져 판 스프링(10)이 프레임(12) 내부에 조립될 때에 중앙부(10a)가 눌리는 변형이 일어나도록 한다.
도 5는 차단벽 주위의 프레임과 판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6은 프레임의 단면을 기준으로 프레임과 판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연결 부재의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a)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벽(18)이 위치하는 프레임(12)의 중앙 돌출부(16) 내부에 판 스프링(10)을 조립하고, 프레임(12)의 고정부(14)를 섀시 베이스(6) 후면에 고정시킨다. 이 때, 판 스프링(10)은 고정 돌기(20)를 포함한 중앙부(10a)의 초기 높이가 프레임(12)의 중앙 돌출부(16) 높이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지므로, 프레임(12) 내부에서 중앙부(10a)가 눌리는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이로서 판 스프링(1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앙부(10a)의 고정 돌기(20)가 프레임(12)의 중앙 돌출부(16) 내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5(b)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의 지지체(8)가 프레임 관통구(12a)를 통해 프레임(12) 내부에 삽입되면, 지지체(8)의 두께만큼 판 스프링(10)의 중앙부(10a)가 눌리는 변형이 일어나면서 지지체(8)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도 5(c)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8)가 이동하여 지지체(8)에 마련된 관통공(8a)이 판 스프링(10)의 고정 돌기(20) 위치에 이르면, 판 스프링(10)의 고정 돌기(20)가 관통공(8a)에 끼워지면서 지지체(8) 이동을 멈추게 한다. 이 때, 지지체(8)의 관통공(8a)에 끼워진 판 스프링(1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프레임(12)의 중앙 돌출부(16) 내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판 스프링(10)에 의해 연결 부재(2)의 지지체(8)가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섀시 베이스(6) 후면에 공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를 이용해 연결 부재를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시키는 대신, 전술한 프레임(12)과 판 스프링(10)의 결합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연결 부재(2)의 지지체(8)를 프레임(12) 내부에 끼우는 동작 만으로 연결 부재(2)를 섀시 베이스(6)에 용이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를 이용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조립 공정수가 줄어 조립 공정이 단순해지며, 나사 체결에 의한 이물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프레임과 판 스프링의 결합 구조에 의해 연결 부재의 지지체를 프레임 내부에 끼우는 동작 만으로 연결 부재를 섀시 베 이스 후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 부재를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조립 공정수를 줄여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나사 체결에 의한 이물질 발생을 미연에 차단하여 이물질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과 구동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섀시 베이스 후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위치하는 섀시 베이스 단부에 설치되고, 연결 부재 관통을 위한 관통구들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연결 부재를 프레임으로 가압시켜 프레임에 밀착 고정시키는 판 스프링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섀시 베이스 후면에 대응하는 일단에 지지체를 고정하며, 지지체의 좌우 단부에 관통공이 마련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서로간 임의 간격을 두고 상기 섀시 베이스 후면에 밀착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부; 및
    상기 한쌍의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섀시 베이스 후면과 임의의 간격을 갖도 록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양 측면에 연결 부재 관통을 위한 관통구와, 관통구 사이에 차단벽을 구비하는 중앙 돌출부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중앙부가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의 윗면에 고정 돌기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부에 한쌍의 고정 돌기가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를 포함한 중앙부의 초기 높이가 상기 섀시 베이스 후면에 대한 프레임의 중앙 돌출부 높이보다 크게 이루어져 판 스프링이 프레임 내부에서 탄성 변형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차단벽이 위치하는 프레임의 중앙 돌출부 내부에 조 립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지지체가 상기 관통구를 통해 프레임을 관통할 때에 상기 판 스프링의 고정 돌기가 지지체에 마련된 관통공에 끼워져 지지체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KR1020030061197A 2003-09-02 2003-09-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KR10055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97A KR100553204B1 (ko) 2003-09-02 2003-09-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97A KR100553204B1 (ko) 2003-09-02 2003-09-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781A KR20050023781A (ko) 2005-03-10
KR100553204B1 true KR100553204B1 (ko) 2006-02-22

Family

ID=3723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197A KR100553204B1 (ko) 2003-09-02 2003-09-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627B1 (ko) * 2005-04-21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781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39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circuit board to chassis and forming solid ground connection using a single screw
KR100633608B1 (ko) 액정표시장치
EP161017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08915U (ja) 液晶テレビジョン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48188B2 (ja) 液晶パネル導電接続構造
KR1005532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재 고정 구조
JP2000330481A (ja) 表示装置
KR100319202B1 (ko) 액정표시장치
JPH05136578A (ja) フレームグランド強化装置
JP2000227604A (ja) 液晶表示装置
JP3075926B2 (ja) 端子取付装置
JP2003098510A (ja) 液晶表示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2734439B2 (ja) プリント基板のシールド構造
KR1006694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3567212B2 (ja) 液晶表示器の取付構造
KR100278615B1 (ko) 액정표시장치
JPS5927105Y2 (ja) プリント基板取付装置
KR100273963B1 (ko) 인쇄회로기판의스톱퍼
JP4546229B2 (ja) 筐体フレームに対する回路基板の接地導体パターンの接続構造
JP2512947Y2 (ja) 電子機器のシヤ−シ取付装置
JP2001077576A (ja) 電子機器のシールド構造
KR200239036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마이크장착장치
JPH0719196Y2 (ja) 電子機器ハウジングの着脱式電磁シールド構造
JP4643174B2 (ja) 表示装置
JPH08330027A (ja) 貫通コンデンサ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