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834B1 -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834B1
KR100551834B1 KR1019980032332A KR19980032332A KR100551834B1 KR 100551834 B1 KR100551834 B1 KR 100551834B1 KR 1019980032332 A KR1019980032332 A KR 1019980032332A KR 19980032332 A KR19980032332 A KR 19980032332A KR 100551834 B1 KR100551834 B1 KR 10055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nodes
network management
links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463A (ko
Inventor
이계숙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83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87Network testing or monito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5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in networks
    • H04M3/2263Networ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349Network management; Expert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망관리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드와 노드 사이의 링크를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할 때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노드와 노드 사이의 복수개의 링크에 대한 링크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도시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망관리 시스템에서 두 개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구성할 경우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마다 개별적인 시리얼 번호를 선노드 번호와 후노드 번호로 결합한 링크번호에 더하여 부여하는 시리얼 링크번호 부여과정과, 상기 시리얼 링크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시리얼 링크번호 순서에 따라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를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도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본 발명은 망관리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드와 노드 사이의 링크를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할 때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노드와 노드 사이의 복수개의 링크에 대한 링크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에 도시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은 노드와 노드 사이에 하나의 링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노드간 링크를 하나로 구성했을 때의 문제점은 통화량이 많거나 데이터 송수신량이 많아지면 가용 채널이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위해서 교환기에서는 두 개의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연결하여 운용하였는데, 지금까지의 망관리 장비에서는 링크번호를 부여할 때 두 개 노드를 선노드와 후노드로 구분하여 상기 선노드 번호와 후노드 번호의 조합 형태로 링크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종래 선노드와 후노드로 구분하는 방법은 상기 망관리 장비가 연결된 노드가 선노드가 되고 선노드에 연결된 노드 즉, 망관리 장비가 연결된 노드에 연결되어서 상기 선노드를 통해서 망관리 장비의 관리를 받는 노드가 후노드가 된다. 또 같은 망관리 장비가 연결된 노드 사이에서는 망관리 장비가 연결된 노드의 교환기의 회선수나 관리영역의 범위에 따라서 프로그램 내에서 선노드와 후노드 번호를 결정해 주고 이에 따라 링크 번호를 선노드와 후노드의 결합형태로 부여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있어 선노드와 후노드의 결합형태로 링크 번호를 부여하게 되면 망관리 장비의 운용자는 두 개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연결하는 복합링크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일 예를 들어보면; 'A001'이라는 노드와 'B001'이라는 노드 사이에 링크를 추가하는 경우 종래에는 두 노드의 링크번호 결합형태인 'A001B001'이라는 8 바이트(BYTE) 형태의 링크번호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복수개의 링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모두 'A001B001'이라는 링크번호가 부여되어 복수개의 링크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링크를 관리함에 있어서 외부적으로는 동일한 링크이고 세부적으로는 구별할 수 있는 복합링크 관리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물리적으로 가능한 만큼 두 개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연결했을 때 망관리 장비에서도 두 개 노드간 복수개의 링크를 입력, 수정,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서도 두 개 노드간 복수개의 링크를 구별하여 도시 가능하도록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망관리 시스템에서 두 개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구성할 경우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마다 개별적인 시리얼 번호를 선노드 번호와 후노드 번호로 결합한 링크번호에 더하여 부여하는 시리얼 링크번호 부여과정과, 상기 시리얼 링크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시리얼 링크번호 순서에 따라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를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상의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도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망관리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과 같이 노드와 링크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하는 상황은 노드 N1과 노드 N2 사이에 링크 L1, L2 그리고 그 이상의 링크 Ln 개의 링크를 구성하였을 경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관리 장비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도 2의 망관리 장비(또는 통제기:NC)는 X.25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로서, 제어부 21은 상기 망관리 장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내부에 망관리 기능 수행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ROM)와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RAM)를 구비한다. X.25카드는 도시하지 않은 패킷통신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 21의 제어하에 상기 패킷통신기와 패킷 통신 기능을 인터페이스한다. 전원부 24는 망관리 장비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드디스크 25는 상기 제어부 21의 제어하에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하는 보조 메모리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 22는 운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키 명령을 상기 제어부 21로 출력한다. 모니터 27은 상기 제어부 21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표시한다. 프린터 26은 상기 제어부 21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프린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관리 장비의 내부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예시도로서, 도 3은 노드테이블의 일 예시도이고, 도 4는 링크테이블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로서, 두 개 노드간 복수개의 링크를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도시하여 링크를 구별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링크 번호 부여방법과 다른 하나는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복합링크를 도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 두 가지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링크 번호 부여방법을 보면;
종래 선노드 번호와 후노드 번호의 링크번호 결합방법에 사용되었던 8바이트(BYTE)의 링크번호 부여방법에 더하여 본 발명은 링크번호에 한 바이트를 추가해서 마지막 한 바이트에 복수링크에 대한 시리얼(SERIAL) 번호를 붙여주는 형식으로 링크번호를 부여한다. 이때 마지막 한 바이트에 덧붙여주는 상기 시리얼 번호는 0 ~ 9를 사용해도 좋지만 그렇게 하면 복수개의 링크가 10개로 한정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A ~ Z 까지의 알파벳 문자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복수개의 링크가 26개까지 가능하다. 이때 A를 최우선순서로 상기 Z를 최하위 우선순서로 하여 우선권을 상기 알파벳 문자에 배정한다.
노드와 노드 사이에 링크를 추가하면 일단 두 노드간 링크 번호들을 검색하여 시리얼 번호의 처음부터 복합링크가 있는 지를 찾아서 처음으로 없는 번호를 새로운 복합링크 번호로 할당한다. 예를 들어, 'A001'노드와 'B001' 노드 사이에 'A001B001A', 'A001B001B', 'A001B001C'를 추가하고 다시 상기 'A001B001A'를 삭제한 후, 두 노드 사이에 새로이 링크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노드간 링크 번호들을 검색하여 시리얼 번호의 처음부터 복합링크가 있는 지를 찾아서 처음으로 없는 번호인 'A001B001A'의 링크번호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중복되지 않는 복합링크를 찾고자 할 때 종래의 복합링크 번호 부여방법은 항상 최대 복합링크 개수만큼 비교해야 하는데 반하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번호 부여방법은 최소한 한번의 비교로서 중복되지 않는 복합링크를 찾을 수 있고 최악의 경우에도 최대 복합링크 개수만큼 비교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리얼 번호가 추가된 복합링크의 링크번호를 "시리얼 링크번호"라 명명한다.
두 번째 복합링크 관리방법인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복합링크를 도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두 개 노드간 복수개의 링크를 상기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도시할 때도 두 개 노드를 위치에 따라 도시한 다음 두 개 노드 사이의 링크를 직선형태로 그리면 복합링크의 경우 중복되어 도시됨에 따라 복합링크의 구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4의 링크 테이블을 검색하여 현재의 통신망을 상기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도시할 경우 먼저 링크 테이블을 복합링크 시리얼 번호를 제외한 8바이트의 번호만으로 검색하는 루프를 돌게 되고 그 루프 안에서 선노드와 연결된 링크를 찾은 경우에 두 노드 사이의 복합링크를 시리얼 번호까지 포함한 링크 번호로 검색하는 루프를 다시 돌아서 그 루프에서 두 개 노드 사이의 복합링크를 도시하면 된다. 복합링크를 도시할 때도 복합링크의 개수에 따라서 몇 번째에 도시하는 복합링크인가에 따라 링크를 도시할 위치를 결정해 준다. 이때, 아이콘의 크기와 최대로 연결 가능한 복합링크의 개수에 따라서 링크 사이의 간격을 결정해 준다.
이를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망관리 장비의 제어부 21은 501단계에서 노드 번호로 링크 테이블을 검색한다. 이는 도 3과 같은 노드 테이블을 확인하여 해당 노드의 링크 테이블을 상기 도 4의 링크 테이블을 검색하므로써 수행된다. 이는 일단 망관리 장비와 연결된 노드 번호를 알아낸 다음 링크 테이블을 검색하여 이 노드와 연결된 링크들의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 21은 503단계에서 도시된 링크 판단을 위해 8 바이트로 링크번호를 비교한다. 이때는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지 않은 두 노드 번호의 결합형태의 링크 번호를 사용한다. 이는 반대편 노드의 정보로 검색할 때 동일한 링크에 대해 중복되어 도시될 수 있으므로 이미 도시한 링크들의 정보를 가지는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이미 도시한 링크인가를 판단하는데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이 505단계에서 확인되는데 이미 도시된 링크일 경우에는 다시 501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루틴처리를 재수행하고, 이미 도시된 링크가 아닐 경우에는 5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21은 8바이트의 링크번호로 도 4의 링크 테이블을 검색하여 복합링크인가를 검색한다. 이는 두 개 노드 사이에 복합링크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검사결과 두 노드 사이에 복합링크가 있음이 확인되면 511단계로 진행하고, 두 노드 사이에 복합링크가 있음이 확인되지 않으면 복합링크 검색을 재 수행하게 된다. 상기 5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511은 상기 도 4의 링크 테이블에서 두 노드 사이의 복합링크 번호를 9바이트의 시리얼 링크번호로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어부 21은 513단계에서 현재 검색한 링크가 이미 도시된 링크일 경우에는 다시 507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재수행하고, 현재 검색한 링크가 이미 도시된 링크가 아닐 경우에는 515단계에서 복합링크의 순서를 계산한다. 이것은 두 개 노드 사이의 모든 복합링크 정보를 검색하여 몇 번째 복합링크인가를 계산하여 이미 도시된 링크와 중복되지 않도록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예에서 든 것과 같이 우선순위 배정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복합링크의 순서를 계산하였으면 상기 제어부 21은 517단계에서 상기 515단계에서 계산한 복합링크 순서에 따라 이미 도시된 링크들과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해당 링크를 도시하게 된다.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도 1에서 노드 N1과 노드 N2 사이에 Ln 개의 복합링크가 구성되어 있을 경우 이를 모니터 상에 도시하기 위하여 모두 Ln 개의 링크가 각각 구별되게 도시되도록 L1, L2, …Ln의 링크를 각기 다른 위치에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연결하는 경우 망관리 장비에서의 링크 구별을 위해 먼저, 두 개의 노드 사이의 복수개의 링크마다 구별 가능한 시리얼 번호를 1바이트를 종전의 8바이트에 추가하여 관리하고, 이를 모니터 상에 도시할 때 두 노드 사이의 링크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도시하므로써 두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가 구성되더라도 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망의 교환기에서 두 개 노드 사이에 물리적으로 가능한 만큼 다수개의 링크를 연결하였을 때 망관리 장비에서 필요에 따라 이를 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고, 또한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 상에 두 개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구별하여 도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관리 시스템에서 노드와 링크의 형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망관리 장비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관리 장비의 내부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 예시도로서, 도 3은 노드테이블의 일 예시도이고, 도 4는 링크테이블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링크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흐름도

Claims (3)

  1. 망관리 시스템에서 두 개 노드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를 구성할 경우의 복합링크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마다 개별적인 시리얼 번호를 선노드 번호와 후노드 번호로 결합한 링크번호에 더하여 부여하는 시리얼 링크번호 부여과정과,
    상기 시리얼 링크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시리얼 링크번호 순서에 따라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개의 링크를 망관리 장비의 모니터상의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도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노드 번호와 후노드 번호로 결합한 링크번호에 더하여 부여하는 개별적인 시리얼 번호는 1바이트의 순서 표현 문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에 링크를 추가하는 경우 상기 두 개 노드 사이의 시리얼 링크 번호들을 검색하여 시리얼 번호의 처음부터 복합링크가 있는가를 찾아서 처음으로 없는 번호를 새로운 시리얼 링크번호로 할당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KR1019980032332A 1998-08-08 1998-08-08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KR10055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332A KR100551834B1 (ko) 1998-08-08 1998-08-08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332A KR100551834B1 (ko) 1998-08-08 1998-08-08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463A KR20000013463A (ko) 2000-03-06
KR100551834B1 true KR100551834B1 (ko) 2006-05-17

Family

ID=1954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332A KR100551834B1 (ko) 1998-08-08 1998-08-08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8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649A (ko) * 1994-12-03 1996-07-22 손익수 디지틀 전용회선망 관리 시스템에서 가입자별 끝단(end-point) 정보 기록 유지방법
KR970002772A (ko) * 1995-06-20 1997-01-28 지엽류 감별 장치
KR0123070B1 (ko) * 1994-10-22 1997-11-24 조백제 체계적인 통신망코드 표준체계를 이용하여 통신시설 및 통신망을 전산관리하는 종합관리 시스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070B1 (ko) * 1994-10-22 1997-11-24 조백제 체계적인 통신망코드 표준체계를 이용하여 통신시설 및 통신망을 전산관리하는 종합관리 시스팀
KR960027649A (ko) * 1994-12-03 1996-07-22 손익수 디지틀 전용회선망 관리 시스템에서 가입자별 끝단(end-point) 정보 기록 유지방법
KR970002772A (ko) * 1995-06-20 1997-01-28 지엽류 감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463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1036B1 (en) Database backup method
CN103339887B (zh) 用于优化网络前缀列表搜索的方法
US62528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network configuration database
US5963546A (en) Method of searching for available path in mesh architecture
EP0809831B1 (en) A method for build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database
CA2275399A1 (en) Computer executable workflow control system
WO1991010191A1 (en) Object oriented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5764914A (en) Network system for connecting to a network node from terminal
EP0436932A2 (en) A loop data link system and a station number setting method
KR100551834B1 (ko) 망관리 시스템에서의 복합링크 관리방법
JP2002198989A (ja) 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中継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6822941B1 (en) Method and network element for relaying event messages
JPS63245039A (ja) ネツトワ−ク構成管理方式
JPH06348631A (ja) 情報ネットワークの管理方法
JP3025126B2 (ja) ネットワークの回線設定情報管理方式
JP2932105B2 (ja) 多階層複数制御装置統合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情報テーブル作成方法
JPH06169309A (ja) 多重化システムの回線設定情報確認方式
EP0425764A2 (en) Input data control system and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use therewith
AU689701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database
KR100243684B1 (ko)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10036488A (ko) 개인 정보 관리 방법
KR100543312B1 (ko) 전자 교환기의 대표번호 우선 순위 부여 방법
HUT58173A (en) Packet switch and quick packet switch to voice and data signals
KR100298590B1 (ko) 광 시스템의 장애 데이터 관리 방법
JP309598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のncデータ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