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684B1 -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684B1
KR100243684B1 KR1019970069675A KR19970069675A KR100243684B1 KR 100243684 B1 KR100243684 B1 KR 100243684B1 KR 1019970069675 A KR1019970069675 A KR 1019970069675A KR 19970069675 A KR19970069675 A KR 19970069675A KR 100243684 B1 KR100243684 B1 KR 10024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essage
network
operator
network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543A (ko
Inventor
박애순
이경휴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6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e-messaging for transporting management information, e.g. email, instant messaging or ch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망 관리자가 동시에 다수의 망 관리 대행자를 비동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망 관리자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발신지가 망 관리 운용자 또는 망 관리 대행자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시지 발신지가 상기 망 관리 운용자일 경우 상기 망 관리자는 프로토콜 호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테이블에 저장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대행자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발신지가 상기 망 관리 대행자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 종류가 응답 메시지이면 프로토콜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고, 보고 메시지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신 관리망에 이용됨.

Description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본 발명은 통신 관리망(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의 망 관리자가 동시에 다수의 망 관리 대행자를 비동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송 트래픽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이종 통신망 구성요소들이 등장하고 고도화된 통신망 서비스에 대한 요구로 인하여 전송망의 구성이 더욱 복잡해지고, 망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서 다양한 요구 사항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망 관리 측면에서도 동일한 관리망내의 시스템의 종류 및 수가 증가하면서 망이 방대해지고 관리하여야 할 데이터가 급증하여 운용 관리 방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관리망내에 존재하는 모든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비동기적으로 운용 및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과 함께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은 망 관리자에서 동시에 관리하여야 하는 모든 망 관리 대행자에 대하여 비동기식으로 운용하는 과정에서 요구 명령과 응답에 대한 일치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종래에는 동일한 관리 명령이면 관리 명령의 종류와 관련시켜 해석하였고, 동일한 관리 명령이지만 동일한 관리 대행자가 아니면 관리 대행자의 주소를 참조하여 관리 명령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비동기적인 운용 방식을 수행하였지만 관리 명령의 수가 증가하거나 동일한 관리 명령을 동일한 망 관리 대행자로 연속해서 요구할 경우 일치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망 관리 대행자로 동일한 관리 명령을 연속적으로 요구하더라도 식별 및 분석을 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관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관리망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망 관리자 및 망 관리 대행자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01 : 망 관리자 102 : 전송 시스템
202 : 망 관리 대행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자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발신지가 망 관리 운용자 또는 망 관리 대행자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시지 발신지가 상기 망 관리 운용자일 경우 상기 망 관리자는 프로토콜 호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테이블에 저장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대행자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발신지가 상기 망 관리 대행자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 종류가 응답 메시지이면 프로토콜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고, 보고 메시지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관리망의 구성예시도로서, 관리망은 동기식 전송 시스템으로 구성된 망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관리망은 동일한 관리망내의 전송 시스템(102)들을 표준화된 관리 방식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 동기식 전송 시스템으로 구성된 망을 기본으로 한다.
망 관리자(101)의 관리 대상은 망 관리 대행자가 탑재되어 있는 전송 시스템까지이고, 이외에 망을 구성하는 (중계기 등) 요소들에 대하여는 기술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망 관리자(101)는 최대 8개의 관리망을 관리하여야 하고, 관리망은 링형과 선형이 있을 수 있고, 각 관리망에는 전송 시스템 1(102)부터 전송 시스템 8(102)로 표현된 망 관리 대행자가 최대 8개까지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망내의 관리 대행자에게 망 관리자는 관리 명령을 요구하고 상응하는 응답을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는 망 관리자 및 망 관리 대행자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로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적 운용 명령을 수행하는 망 관리자 관점의 논리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관리자(201)는 모든 관리 대행자(202)에게 요구하는 명령을 관리 대행자(202)별로 분리하여 일련 번호화하고, 망 관리자(201)내의 망 관리 프로토콜에서는 일련번호를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호출 번호(Invoke ID)와 일대일로 관련지어 관리한다.
아래의 표 1은 일련 번호와 프로토콜 호출 번호와의 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 테이블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kpo00000
전송 시스템의 고유 주소는 4 바이트로 구성되며 첫번째 바이트는 전송 시스템의 형태(단국형, 중계기 등)를 나타내고, 두 번째 바이트는 관리망의 번호(1 ~ 8)을 나타내며, 세 번째 바이트는 예약된 바이트를 나타내고, 네 번째 바이트는 관리망내의 전송 시스템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이러한 의미로 부여된 전송 시스템의 주소가 각 전송 시스템마다 부여되면, 망 관리자는 이들 전송 시스템별로 운용 명령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용 명령에는 속성 조회, 속성 제어,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삭제, 행동 요구, 속성 조회 취소 등이 있다.
망 관리자는 모든 요구 명령을 전송 시스템별로 일련 번호를 부여하여 요구한다. 요구된 운용 명령은 전송 시스템 번호, 운용 명령 및 일련번호를 가지고 생성된 프로토콜 호출 번호와 일대일 대응으로 관계가 지어진다.
이때 망 관리자는 이들 요소들을 관리 테이블로 관리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때, 프로토콜 호출 번호로 다시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하는 전송 시스템과 운용 명령 일련 번호를 찾아 망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전송 시스템을 비동기적으로 운용 관리함이 가능하다.
또한, 망 관리자와 피관리자사이의 관리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다. 즉 두 객체(망 관리자와 피관리자)는 표준화된 망 관리용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표준화된 망 관리 프로토콜은 특정 데이터의 내용이나 파라미터를 삽입하기 어렵고, 표준화된 데이터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표준화된 방식을 사용하면서 운용자의 요구에 대한 흐름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요소로 축출하는 것이다. 즉, 비동기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기본 배경은 동일한 피관리자로 동일한 메시지를 여러번 전송하더라도 명령들이 모두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용자 정의 부분에서는 각 메시지마다 유일한 특정값을 부여하면 되지만 표준화된 프로토콜 데이터 형태에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 그러나 프로토콜 데이터에는 프로토콜을 호출할 때마다 일정하게 증가하면서 할당되는 프로토콜 호출 번호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사용자가 정의한 데이터의 유일한 값을 프로토콜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생성되는 프로토콜 호출 번호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부분을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일정 부분으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피관리자에 대하여 비동기식 운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망 관리자는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 발신지를 검색하고(301) 메시지 발신지 종류를 판단하여(302) 메시지 발신지가 망 관리 운용자이면 요구 메시지에 대한 프로토콜 호출 번호를 생성하며(303), 생성된 호출 번호를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시스템 주소, 운용 명령 및 일련 번호와 함께 관리 테이블에 저장한다(304). 이후에, 수신한 메시지를 해당 시스템의 관리 대행자에게 전송한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305).
한편, 메시지 발신지 종류를 판단하여(302) 메시지 발신지가 망 관리 대행자이면 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하여(306) 메시지가 요구 명령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이면, 프로토콜 호출 번호를 키로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전송 시스템 주소, 운용 명령, 일련 번호를 찾아서 망 관리 운용자에게로 전송하고(307), 이 메시지를 수신한 망 관리 운용자는 모든 관리망의 관리망내에서 고유한 일련 번호를 갖고 있으므로, 일련 번호를 참조하여 어떤 요구 명령에 대한 결과인지를 인식하여 이를 망 관리 및 유지 관리에 사용하게 된다. 즉, 동일한 요구 명령을 동일한 전송 시스템에 여러번 요구하여도 서로 다른 일련 번호를 갖고 있으므로, 비동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시지 종류를 판단하여(306) 수신한 메시지가 보고 메시지인 경우에는 관련 요구 명령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아 일련 번호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관리 테이블 검색이 필요없이 수신한 메시지를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한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308). 또한, 망 관리 운용자도 보고 메시지인 경우는 보고된 전송 시스템과 보고 내용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내용을 망 관리에 이용한다.
한편, 동일한 망 또는 이종망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피관리자들을 동시에 비동기적으로 운용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망 관리자는 망의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구성한 망 구조로는 8×8개의 피관리자 중계기에 독립적인 피관리자를 위치시킬 경우 최대 8×3×8개가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망 관리자가 관리망내의 다수의 망 관리 대행자들에 대한 관리 명령들을 일정한 양식의 데이터 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관리함으로써 망 관리자가 동시에 다수의 망 관리 대행자를 비동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모든 전송 시스템들을 통합 관리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망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망 관리자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발신지가 망 관리 운용자 또는 망 관리 대행자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메시지 발신지가 상기 망 관리 운용자일 경우 상기 망 관리자는 프로토콜 호출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테이블에 저장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대행자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발신지가 상기 망 관리 대행자일 경우 수신된 메시지 종류가 응답 메시지이면 프로토콜 호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고, 보고 메시지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망 관리자가 메시지에 대한 프로토콜 호출 번호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망 관리자가 생성된 프로토콜 호출 번호를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송 시스템 주소, 운용 명령 및 일련 번호와 함께 관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망 관리자가 수신한 메시지를 해당 전송 시스템의 상기 망 관리 대행자에게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시지 관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메시지 종류가 응답 메시지일 경우 상기 망 관리자는 프로토콜 호출 번호를 키(key)로 관리 테이블을 검색하여 전송 시스템 주소, 운용 명령 및 일련 번호를 찾아서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종류가 보고 메시지일 경우 상기 망 관리자는 관리 테이블을 검색할 필요없이 수신한 메시지를 상기 망 관리 운용자에게 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시지 관리 방법.
KR1019970069675A 1997-12-17 1997-12-17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24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75A KR100243684B1 (ko) 1997-12-17 1997-12-17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675A KR100243684B1 (ko) 1997-12-17 1997-12-17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43A KR19990050543A (ko) 1999-07-05
KR100243684B1 true KR100243684B1 (ko) 2000-02-01

Family

ID=1952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675A KR100243684B1 (ko) 1997-12-17 1997-12-17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6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43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845A (en) Network management relay mechanism
WO2019233061A1 (zh) 一种三层交换机的路由资源控制方法及系统
CN100384146C (zh) 管理分布式网络设备的方法
KR100243684B1 (ko) 통신 관리망에서 망 관리자의 비동기식 운용 관리를 위한 메시지 관리 방법
CA2251491C (en) Intelligent network capable of executing a plurality of service control request messages in a single service control point
US9100267B2 (en) Network management method, a system and a device
US20020083161A1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a network management method
US6622146B1 (en) System man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a load applied to a common processing unit
US5361388A (en) Message relaying system for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H0421147A (ja)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KR0169037B1 (ko) 전기 통신 관리망의 에이전트에서의 메시지 제어 방법
KR10041896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의 총괄명 번역 장치 및방법
KR100438898B1 (ko) 에스엔엠피 망 관리 에이전트 기능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이를 위한 메시지 구조
KR20000039704A (ko) 비동기전송모드에서 통신 관리망 에이전트와 공통 객체 요구 중계 구조 관리부간의 통지 변환 방법
KR100846562B1 (ko) 코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망관리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해석 방법
KR100338624B1 (ko) 망관리 시스템에서 알람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306741B1 (ko) 전기 통신 관리 망에서 망 관리자를 위한 복수 관리 기능 및 복수 에이젼트의 운용 관리방법
KR100640329B1 (ko) 관리대상 시스템과의 의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티-엠-엔에이젼트 설계 장치
KR20030055697A (ko) 기업공중사설망에 대한 통합망 서비스 관리시스템의관리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그처리방법
KR0179511B1 (ko) 광대역 회선 분배 시스템의 종속 망 관리에서 전송 장치별 엠.아이.티 정보 관리의 최적화 방법
KR20030058025A (ko) 에이티엠 망에서 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75847A (ko) 망 관리 시스템에서의 관리객체 인스턴스를 통한 정보수집및 타이머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10276197A (ja) 交換機の保守運用システム
JPH11259394A (ja)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30024379A (ko) 신호점 분할에 의한 대용량 교환기 중계호 분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