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354B1 -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354B1
KR100551354B1 KR1020030073745A KR20030073745A KR100551354B1 KR 100551354 B1 KR100551354 B1 KR 100551354B1 KR 1020030073745 A KR1020030073745 A KR 1020030073745A KR 20030073745 A KR20030073745 A KR 20030073745A KR 100551354 B1 KR100551354 B1 KR 10055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s
rice cooker
supply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409A (ko
Inventor
오상만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3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장착되는 취사용기(320)로 곡류가 공급되도록 곡류공급로(330)가 형성되는 전기 밥솥(300)에 곡류를 직접 공급하는 장치(200)로서, 본체(260)에 전기 밥솥(300)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선반(270)과, 본체(260)의 내측에 곡류가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곡류수납공간(210)과, 곡류수납공간(2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곡류수납공간(210)으로부터 곡류를 인출시키는 곡류인출수단(220)과,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를 전기 밥솥(300)의 곡류공급로(330)로 공급하는 곡류공급호스(240)를 포함하며, 내측에 저장된 곡류를 취사를 위해 전기 밥솥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APPARATUS FOR SUPPLING A ELECTRIC RICE COOKER WITH CERE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곡류인출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곡류인출수단으로 곡류를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공급경로전환수단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에 연결되는 전기 밥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곡류수납공간 211 : 인출구
220 : 곡류인출수단 221 : 탄성부재
222 : 차단플레이트 223 : 수직가이드홀
224 ; 인출바 224a : 노브
230 : 공급경로전환수단 231 : 제 1 공급경로
232 : 제 2 공급경로 233 : 전환플레이트
233a : 노브 234 : 수평가이드홀
240 : 곡류공급호스 250 : 곡류인출용기
260 : 본체 270 : 선반
본 발명은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저장된 곡류를 취사를 위해 전기 밥솥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는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밥솥 등과 같은 취사장치를 이용하여 밥을 취사하기 위해서는 쌀통 등으로부터 적당량의 곡류를 인출하여 전기 밥솥의 취사용기에 담는 과정과, 쌀통으로부터 인출된 곡류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물로 세정하는 과정과, 세정을 마친 곡류를 밥솥에 투입하여 가열에 의해 밥을 취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취사를 마친 밥솥으로 밥을 새로이 취사할 경우 밥솥을 설거지하는 과정을 더불어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전기 밥솥은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취사전의 과정들을 한가한 시간에 미리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시간에 맞추어 취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예약 취사 기능이 부여된 다양한 종류의 전기 밥솥 등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밥솥 등과 같은 취사장치는 여전히 사용자가 쌀통으로부터 적당량의 곡류를 인출하여 전기 밥솥 등의 취사용기로 공급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쌀통 등으로부터 곡류를 전기 밥솥으로 직접 공급토록 함으로써 곡류의 인출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서 취사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저장된 곡류를 취사를 위해 전기 밥솥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장착되는 취사용기로 곡류가 공급되도록 곡류공급로가 형성되는 전기밥솥에 곡류를 직접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체에 전기 밥솥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선반과, 본체의 내측에 곡류가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곡류수납공간과, 곡류수납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곡류수납공간으로부터 곡류를 인출시키는 곡류인출수단과,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를 전기 밥솥의 곡류공급로로 공급하는 곡류공급호스와,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가 곡류공급호스 또는 본체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곡류인출용기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곡류의 공급경로를 전환시키는 공급경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곡류인출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곡류인출수단으로 곡류를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공급전환수단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에 연결되는 전기 밥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200)는, 본체(260)에 전기 밥솥(30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선반(270)과, 본체(26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는 곡류수납공간(210)과, 곡류수납공간(2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곡류인출수단(220)과,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를 전기 밥솥(300)의 곡류공급로(330)로 공급하는 곡류공급호스(240)를 포함한다.
선반(270)은 본체(260)의 정면에 전기 밥솥(3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곡류수납공간(210)은 본체(260) 내측의 상부에 곡류가 수납되도록 형성되며, 하측에 곡류인출수단(220)이 설치된다.
곡류인출수단(220)은 곡류수납공간(210)으로부터 곡류를 인출시키는 것으로 서, 곡류수납공간(210)으로부터 곡류가 인출되는 인출구(211)상에 힌지결합되는 차단플레이트(222)가 탄성부재(221)의 탄성력에 의해 인출구(211)를 차단시키며, 본체(260)의 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홀(223)에 관통결합되는 노브(224a)가 일측에 형성되는 인출바(224)가 수직가이드홀(22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 인출바(224)의 타측이 차단플레이트(222)의 끝단을 가압하여 차단플레이트(222)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출구(211)로부터 곡류가 인출되도록 한다.
탄성부재(221)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인출바(224)를 관통하여 양단이 차단플레이트(222)의 끝단과 곡류수납공간(210)의 하측에 각각 연결되며, 인출바(224)의 상승과 함께 차단플레이트(222)를 회전시켜서 인출구(211)가 차단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곡류공급호스(240)는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를 전기 밥솥(300)의 커버(310)에 형성되어 개폐밸브(340)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플레이트(341)에 의해 개폐되는 곡류공급로(330)로 공급한다.
본체(260)의 하측에 별도의 곡류인출용기(25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가 곡류공급호스(240) 또는 곡류인출용기(25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곡류의 공급경로를 전환시키는 공급경로전환수단(2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공급경로전환수단(230)은 곡류수납공간(210)으로부터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곡류가 인출되는 인출구(211) 하단에 분기되어 곡류가 곡류공급호스(240) 또는 곡류인출용기(250)로 각각 공급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공급경로(231,232)와, 제 1 및 제 2 공급경로(231,232)가 분기되는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공급경로(231,232)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킴과 아울러 일측에 노브(233a)가 결합되는 전환플레이트(233)와, 전환플레이트(233)의 노브(233a)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하여 결합됨과 아울러 전환플레이트(233)의 노브(233a)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본체(260)의 정면에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가이드홀(234)로 구성된다.
전환플레이트(233)는 인출구(211)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1a)에 설치되어 가이드홈(211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쌀, 보리, 현미 등의 곡류를 곡류수납공간(210) 저장한 후 전기 밥솥(300)의 취사용기(320)로 곡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환플레이트(233)의 노브(233a)를 수평가이드홀(234)을 따라 수평이동시켜서 전환플레이트(233)로 제 1 공급경로(231)를 개방시킨다.
제 1 공급경로(231)를 개방시킨 다음 인출바(224)의 노브(224a)를 수직가이드홀(223)을 따라 하강시키면 인출바(224)의 끝단이 차단플레이트(222)의 끝단을 가압하여 차단플레이트(222)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출구(211)를 통해 인출되는 곡류는 제 1 공급경로(231), 곡류공급호스(240) 및 곡류공급로(330)를 따라 전기 밥솥(300)의 취사용기(320)로 공급된다.
인출바(224)의 노브(224a)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21)의 탄성력 에 의해 인출바(224)는 상승함과 아울러 차단플레이트(222)는 회전하여 인출구(211)를 차단시킨다.
곡류인출용기(250)로 곡류를 인출하기 위하여 전환플레이트(233)의 노브(233a)를 수평가이드홀(234)을 따라 이동시켜서 전환플레이트(233)가 제 1 공급경로(231)를 차단시킴과 아울러 제 2 공급경로(232)를 개방시키게 하여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인출된 곡류가 제 2 공급경로(232)를 따라 곡류인출용기(250)로 채워지도록 한다.
곡류인출용기(250)에 곡류가 채워지면 곡류인출용기(250)를 본체(260)로부터 분리시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곡류인출수단(220)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의 양은 인출바(224)의 하강횟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측에 저장된 곡류를 취사를 위해 전기 밥솥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는 내측에 저장된 곡류를 취사를 위해 전기 밥솥으로 직접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용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내측에 장착되는 취사용기로 곡류가 공급되도록 곡류공급로가 형성되는 전기밥솥에 곡류를 직접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체에 상기 전기 밥솥이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선반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곡류가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곡류수납공간과,
    상기 곡류수납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곡류수납공간으로부터 곡류를 인출시키는 곡류인출수단과,
    상기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를 상기 전기 밥솥의 곡류공급로로 공급하는 곡류공급호스
    상기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곡류가 상기 곡류공급호스 또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곡류인출용기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곡류의 공급경로를 전환시키는 공급경로전환수단
    을 포함하는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인출수단은,
    상기 곡류수납공간으로부터 곡류가 인출되는 인출구상에 힌지결합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출구를 차단시키는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본체의 정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가이드홀에 관통결합되는 노브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홀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 타측이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끝단을 가압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인출구로 부터 곡류가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경로전환수단은,
    상기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상기 곡류수납공간으로부터 곡류가 인출되는 인출구 하단에 분기되어 상기 곡류공급호스 및 상기 곡류인출용기로 곡류가 각각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및 제 2 공급경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경로가 분기되는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며, 일측에 노브가 결합되는 전환플레이트와,
    상기 전환플레이트의 노브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관통하여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전환플레이트의 노브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본체의 정면에 수평되게 형성되는 수평가이드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KR1020030073745A 2003-10-22 2003-10-22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KR10055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45A KR100551354B1 (ko) 2003-10-22 2003-10-22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45A KR100551354B1 (ko) 2003-10-22 2003-10-22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09A KR20050038409A (ko) 2005-04-27
KR100551354B1 true KR100551354B1 (ko) 2006-02-09

Family

ID=3724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745A KR100551354B1 (ko) 2003-10-22 2003-10-22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3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09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462B1 (ko) 스팀 오븐
EP2557982B1 (en) Dishwasher
US4426920A (en) Coffee and tea making or brewing apparatus
US20020112611A1 (en) Cooking machine
KR101152273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MX2007004668A (es) Sistema de enjuague de distribuidor para un lavavajillas de tipo gaveta.
KR100551354B1 (ko) 전기 밥솥으로 곡류를 공급하는 장치
JP2017089100A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KR101002461B1 (ko)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
US2630813A (en) Spray manifold for washing machines
CN111035157A (zh) 一种智能橱柜
CN208658748U (zh) 抽屉式烹饪器具
KR200278016Y1 (ko) 튀김 조리장치
CN211862593U (zh) 智能烹饪设备
CN211933722U (zh) 蒸烤箱、多功能模块器具及集成灶
CN105089112B (zh) 一种集成净水机的家用水槽
CN211862247U (zh) 一种智能橱柜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CN111012221A (zh) 智能烹饪设备
CN113243771A (zh) 蒸烤箱、蒸烤箱使用方法、多功能模块器具及集成灶
US8607691B2 (en) Coffee machine comprising a drawer for supplying coffee pads
CN217547764U (zh) 具有收纳功能的咖啡机
CN111012218A (zh) 智能烹饪设备
JPS58105724A (ja) 全自動炊飯器
CN111012225A (zh) 横移进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