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253B1 -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253B1
KR100551253B1 KR1020040027219A KR20040027219A KR100551253B1 KR 100551253 B1 KR100551253 B1 KR 100551253B1 KR 1020040027219 A KR1020040027219 A KR 1020040027219A KR 20040027219 A KR20040027219 A KR 20040027219A KR 100551253 B1 KR100551253 B1 KR 10055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fer speaker
panel
hole
package tray
ply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01964A (en
Inventor
최철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253B1/en
Publication of KR2005010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9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2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퍼 스피커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 사이에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합판과 보강 패널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우퍼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패키지 트레이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착구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unting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block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woofer speaker to the package tray panel by inserting the plywood and reinforcement panel with excellent vibration damping ability between the woofer speaker and the package tray panel.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는, 자동차의 패키지 트레이 패널 상에 마련된 장착공에 우퍼 스피커를 삽입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는 박스형 단면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 패널이 상기 장착공과 관통공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도록 패키지 트레이 패널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강 패널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기 관통공과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내부공이 마련된 합판이 용접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합판의 내부공에는 우퍼 스피커가 삽입되고 이 우퍼 스피커의 바깥쪽 장착면이 지지구를 매개로 상기 용접볼트에 체결되어 장착된다.The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tructure for inserting the woofer speaker into the mounting hole provided on the package tray panel of the vehicle,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enter and the outer periphery A reinforcement panel having a box-shaped cross section protruded upwar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ackage tray panel so that the mount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are located on the concentric circle, and the inner side of the reinforcement panel is provided with an inner hol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ncentric circle. It is fixedly installed by the welding bolt, the woofer speak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plywood, and the outer mounting surface of the woofer speaker is fastened to the welding bolt through the support hole and mounted.

우퍼 스피커, 패키지 트레이 패널, 합판, 보강 패널Woofer speaker, package tray panel, plywood, reinforcement panel

Description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도1은 종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도2는 도1의 A-A 방향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direction A-A in FIG.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의 B-B 방향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B-B direction in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20: 패키지 트레이 패널 10a,20a: 장착공10,20: package tray panel 10a, 20a: mounting hole

20b: 박스형 단면 11,21: 리어 글래스 장착면20b: Box cross section 11,21: Rear glass mounting surface

12,22: 우퍼 스피커 13,23: 바깥쪽 장착면12,22: woofer speaker 13,23: outer mounting surface

14,24: 용접 볼트 15,25: 너트14,24: welding bolt 15,25: nut

16,26: 지지구 27: 합판16, 26: support 27: plywood

27a: 내부공 27b: 체결공27a: internal hole 27b: fastener

28: 보강 패널 28a: 관통공28: reinforcing panel 28a: through hole

28b: 박스형 단면28b: box-shaped cross sec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패키지 트레이 패널 상에 우퍼 스피커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트레이 패널과 우퍼 스피커 사이에 합판과 같이 자체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재료 및 박스형 단면을 가진 보강 패널을 고정 설치하여 진동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단면을 변형시켜 우퍼 스피커에 대한 지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우퍼 스피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n mounting a woofer speaker on a package tray panel of a vehicle, a material and a box type having excellent self-vibration damping capability such as plywood between the package tray panel and the woofer sp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structure of a woofer speaker that is fixed to install a reinforcement panel having a cross section to effectively reduce noise caused by vibration and to modify a cross section of the package tray panel to increase support rigidity for a woofer speaker.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 중에 따분함을 해소시켜 주기도 하고, 운전자의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등의 목적으로 오디오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차의 고급화 및 생활화 경향에 힘입어 갈수록 차내에 설치되는 오디오 장치의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audio devices for the purpose of relieving boredom while driving, and to stabilize the driver's mind. Recently, audio devices installed in cars are being increasingly installed due to the high-quality and the trend of living. Is being upgraded.

이러한 고급화 추세의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주로 멀티 웨이 시스템의 채택이라고 할 수 있는 바, 음의 상태가 정위감과 파급감을 가지는 고품질의 소리를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얻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사람의 귀가 들을 수 있는 음의 주파수는 20 ~ 20,000Hz로 그 폭이 상당히 넓음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대역을 하나의 스피커 유니트로 재생할 수 있는 그런 스피커가 현재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적으로는 우퍼, 미드레인지, 트윈터 등 대역별 유니트를 조합해 광대역화를 꾀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2웨이, 3웨이 등 현재 스피커의 주를 이루는 멀티 웨이 시스템이다. The most prominent phenomenon of this high-end trend is mainly the adoption of multi-way systems, which are widely used to obtain high-quality sound in a wide frequency range, where sound state has a sense of stereotype and ripple effect. The frequency of the sound ranges from 20 to 20,000 Hz, which is quite wide, because there is no such speaker present that can reproduce all these bands in one speaker unit. Therefore, in practice, wideband units are being combined by combining units such as woofers, midranges, and twins, which are two-way and three-way multi-way systems.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엔진의 배기음과 메커니컬 노이즈, 주행 중에 타이 어와 각 가동부에서 발생하는 100Hz 이하 레벨의 노이즈 등이 저주파수 영역의 재생음을 매스킹함으로써 저역 부족의 빈약한 사운드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이러한 저역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저음의 악기음을 포함한 낮은 대역까지 재생할 수 있는 우퍼 스피커가 장착되며, 이에 의해 풍부한 저음에 받쳐진 두께와 정감이 있는 사운드가 제공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utomobiles, engine exhaust noise, mechanical noise, and noises of 100 Hz or less generated from tires and moving parts during driving are masked by low-frequency inferior sound by masking the reproduction sound in the low frequency reg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low end, a woofer speaker capable of reproducing low bands, including low-end musical instrument sounds, is provided, thereby providing a sound with a thickness and a feeling supported by rich bass.

도1 및 도2는 종래에 우퍼 스피커가 차체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우퍼 스피커는 보다 풍부한 저음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해 음의 전파각도 등을 고려하여 자동차 실내의 후방에 마련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10) 상에 장착된다. 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의 후단에 마련된 리어 글래스 장착면(11)에 리어 글래스가 장착되어 차실과 외부를 구획시켜주며, 수평으로 놓여진 패키지 트레이 패널(10)과 경사지게 장착된 리어 글래스(11) 사이에는 소정의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화장지나 장신구 등 필요한 물품을 놓을 수 있도록 해준다.1 and 2 show a structure in which a woofer speaker is conventionally mounted on a vehicle body. In order to provide a richer bass sound, the woofer speaker is mounted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terior in consideration of the propagation angle of the sound. The rear glass is mounted on the rear glass mounting surface 11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ackage tray panel 10 so as to partition the compartment and the exterior, and the horizontally placed package tray panel 10 and the rear glass 11 inclinedly mounted.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toiletries and jewelry so that necessary items can be placed thereon.

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의 소정 지점에 장착공(10a)이 마련되고, 이 장착공(12)에 우퍼 스피커(12)가 삽입되며 우퍼 스피커(12)의 바깥쪽 장착면(13)이 상기 장착공(10a)의 외주(外周)를 이루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10) 상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우퍼 스피커(12)의 바깥쪽 장착면(13)은 직접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에 포개어 질 수도 있으나 대개 중간에 지지구(16)가 삽입되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 상에 간접적으로 놓여진다. 상기 지지구(16)는 우퍼 스피커(12)의 바깥쪽 장착면(13)과의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후술할 용접볼트(14)에 의해 우퍼 스피커(12)가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해준 다. A mounting hole 10a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package tray panel 10, and the woofer speaker 1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 and the outer mounting surface 13 of the woofer speaker 12 is located above. It is put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which forms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hole 10a. The outer mounting surface 13 of the woofer speaker 12 may be directly superimposed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but is usually indirectly placed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with the support 16 inserted therebetween. . The support 16 extends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outer mounting surface 13 of the woofer speaker 12 so that the woofer speaker 12 is placed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by the welding bolt 14 to be described later. Allow it to be installed reliably.

이와 같이 우퍼 스피커(12)가 장착공(10a)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바깥쪽 장착면(13) 상의 몇 군데(보통은 도1에 보는 바와 같이 4군데)에 용접볼트(14)가 끼워져 우퍼 스피커(12)를 패키지 트레이 패널(10) 상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용접볼트(14)는 우퍼 스피커(12)의 바깥쪽 장착면(13)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끼워져 상기 지지구(16)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을 차례로 관통한 후 너트(15)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우퍼 스피커(12)를 패키지 트레이 패널(10) 상에 단단히 고정시킨다.After the woofer speaker 1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0a 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bolt 14 is inserted into the woofer 14 on the outer mounting surface 13 (usually four places as shown in FIG. 1). The speaker 12 is fixed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That is, the welding bolt 14 is inserted downward from the outer mounting surface 13 of the woofer speaker 12 so as to pass through the support 16 and the package tray panel 10 in sequence, and then the nut 15. By fastening by the woofer speaker 12 is firmly fixed on the package tray panel 10.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에 의하면, 우퍼 스피커(12)에 발생하는 진동이 그대로 패키지 트레이 패널(10)로 전달되기 때문에 패널 자체에 공진음을 발생시켰을뿐만 아니라 차체에 장착된 여러 부품에도 래틀(Rattle) 소음을 발생시켰다. 이들 공진음 또는 래틀 소음은 우퍼 스피커의 저역 재생음을 매스킹하여 결국 사운드의 음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oofer speaker 12 is transmitted to the package tray panel 10 as it is, the panel itself not only generates a resonance sound, but also variou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Rattle noise was also generated in the parts. These resonant sounds or rattle noises masked the bass reproduction sound of the woofer speaker and eventually caused the sound quality to deteriorate.

또한, 우퍼 스피커(12)의 하중에 의해 이를 지탱하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이 상하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는 상기 패널의 공진음을 더욱 크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In addition, the load of the woofer speaker 12 causes the package tray panel 10 to support it to be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causes the resonance sound of the panel to be made large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우퍼 스피커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 사이에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합판과 보강 패널을 삽입시킴으로써 우퍼 스피커에 발생하는 진동이 패키지 트레이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단면을 변형시켜 그 지지 강성을 증대 시킴으로써 우퍼 스피커의 하중에 의해 패키지 트레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by inserting the plywood and the reinforcement panel having excellent vibration damping ability between the woofer speaker and the package tray panel effectively prevents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oofer speaker to be transmitted to the package tray pan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vehicle configured to prevent the package tray panel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of the woofer speaker by deforming the cross section of the package tray panel to increase its support rigid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는, 자동차의 패키지 트레이 패널 상에 마련된 장착공에 우퍼 스피커를 삽입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이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는 박스형 단면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 패널이 상기 장착공과 관통공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도록 패키지 트레이 패널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강 패널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기 관통공과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내부공이 마련된 합판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합판의 내부공에는 우퍼 스피커가 삽입되고 이 우퍼 스피커의 바깥쪽 장착면이 지지구를 매개로 상기 합판에 장착된다.The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tructure for inserting the woofer speaker into the mounting hole provided on the package tray panel of the vehicle,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enter and the outer periphery A reinforcement panel having a box-shaped cross section protruded upwar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ackage tray panel so that the mount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are located on the concentric circle, and the inner side of the reinforcement panel is provided with an inner hol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ncentric circle. It is fixedly installed, and a woofer speaker is inserted into an inner hole of the plywood, and an outer mounting surface of the woofer speaker is mounted to the plywood through a support hol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B-B 방향 단면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direction of FIG.

본 발명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상기 우퍼 스피커(2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패키지 트레이 패널(20)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우퍼 스피커(22)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20) 사이에 합판(27)과 보강 패널(28)을 설치하였다는 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우퍼 스피커(22)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이 직접 접촉되어 있었기에 우퍼 스피커(2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그대로 패키지 트레이 패널(20)로 전달되었다. 때로는 상기 우퍼 스피커(22)와 패키지 트레이 패널(20) 사이에 고무패드를 붙이기도 하였으나 이 고무패드는 패널과의 체결 시에 압착되어 그 단면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동 감쇠효과는 미미하였다.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inforce the plywood 27 and the plywood 27 between the woofer speaker 22 and the package tray panel 20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oofer speaker 22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ackage tray panel 20. The panel 28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oofer speaker 22 and the package tray panel 20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woofer speaker 22 is transferred to the package tray panel 20 as it is. At times, a rubber pad was attached between the woofer speaker 22 and the package tray panel 20, but the rubber pad was compressed when the panel was fastened with the panel and thus could not maintain its cross section.

이에 비해 상기 합판(27)은 재질 상 자체 진동 감쇠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압축 강도가 높아 패널과의 체결 시에도 현 단면을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우퍼 스피커(22)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준다. 한편, 상기 보강 패널(28)은 비록 패키지 트레이 패널(20)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합판과 같이 자체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것은 아니나 상기 우퍼 스피커(22)의 둘레에 상방으로 돌출된 박스형 단면(28b)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그 내부의 빈 공간으로 인해 우퍼 스피커(22)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준다. 이하에서 상기 합판(27)과 보강 패널(28)의 설치되는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lywood 27 not only has excellent vibration damping ability on its own material but also has a high compressive strength,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vibration of the woofer speaker 22 because the current cross section is maintained even when the panel is fastened with the panel. Meanwhile, although the reinforcement panel 28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package tray panel 20 and does not have excellent self-vibration damping capability as the plywood, the box-shaped cross section 28b protrudes upwardly around the woofer speaker 22. It is installed to be formed to effectively reduc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oofer speaker 22 due to the empty space therei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lywood 27 and the reinforcement panel 2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의 소정 위치에 상기 우퍼 스피커(22)가 삽입 설치될 장착공(20a)이 마련된다. 이 장착공(20a)의 외주(外周)를 이루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은 종래와 같이 단순히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된 박스형 단면(20b)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형 단면(20b)은 우퍼 스피커에 대한 지지 면적을 증가시켜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의 지지 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내부의 빈 공간으로 인해 우퍼 스피커(22)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킨다.First, a mounting hole 20a in which the woofer speaker 22 is inserte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ckage tray panel 20. The package tray panel 20 form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hole 20a may be simply horizontally formed as in the related art, but has a box-shaped cross section 20b protruding downward as shown in FIG. 4. It is desirable to be. The box-shaped cross section 20b increases the support area for the woofer speaker to increase the support rigidity of the package tray panel 20 as well as to reduc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oofer speaker 22 due to the empty space therein.

이와 같이 형성된 패키지 트레이 패널(20) 상에 상기 보강 패널(28)이 설치된다. 이 보강 패널(28)은 중앙에 관통공(28a)이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는 박스형 단면(28b)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판형을 이루며, 상기 관통공(28a)이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의 장착공(20a)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의 하방으로 돌출된 박스형 단면(20b)과 그 외측에 마련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상기 보강 패널(28)의 박스형 단면(28)에 의해 패키지 트레이 패널(20)과 보강 패널(28)은 단면에서 볼 때 그 일측이 모두 세 군데 용접 결합되고 이로 인해 마련되는 두 군데의 내부 빈 공간은 우퍼 스피커(22)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준다.The reinforcement panel 28 is installed on the package tray panel 2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panel 28 is formed in a disc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28a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box-shaped cross section 28b protrudes up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he through hole 28a is a package tray panel 20. It is installed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mounting hole (20a). Reinforcement with the package tray panel 20 by the box-shaped cross-section 20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ackage tray panel 20 and the box-shaped cross-section 28 of the reinforcement panel 28 provided outside and protruding upward. The panel 28 is welded to all three sides of the panel 28 in cross section, and the two internal void spaces provided thereby effectively reduce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woofer speaker 22.

이어서 상기 보강 패널(28)의 박스형 단면(28a) 안쪽에는 합판(27)이 설치되는데, 이 합판(27) 또한 중앙에 내부공(27a)이 마련된 원판형을 이루며 상기 내부공(28b)이 상기 보강 패널(28)의 관통공(28a)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합판(27)은 자체 진동 감쇠능이 우수하여 우퍼 스피커(22)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이 합판(27)은 그 둘레를 따라 체결공(27b)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27b)에는 용접볼트(24)가 상기 보강 패널(28)의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체결되어 합판(27)과 보강 패널(28)을 고정시킨다. Subsequently, a plywood 27 is installed inside the box-shaped cross section 28a of the reinforcement panel 28. The plywood 27 also forms a disc shape having an inner hole 27a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inner hole 28b is It is installed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through hole 28a of the reinforcement panel 28. As described above, the plywood 27 has excellent self-vibration damping ability to effectively reduc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woofer speaker 22. A fastening hole 27b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lywood 27, and a welding bolt 24 is fastened upwardly from below the reinforcing panel 28 to the fastening hole 27b to reinforce the plywood 27. The panel 28 is fixed.

상기 합판(27)의 내부공(27a)에는 우퍼 스피커(22)가 삽입되고 이 우퍼 스피커(22)의 둘레에 형성된 바깥쪽 장착면(23)은 상기 합판(27) 상에 놓여진다. 이 바깥쪽 장착면(23)은 합판(27)에 직접 접촉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26)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놓여진다. 이 바깥쪽 장착면(23)은 상기 용접볼트(24)에 의해 체결되어 결국 우퍼 스피커(22)가 상기 합판(27) 및 보강 패널(28)에 일체로 장착된다. A woofer speaker 22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27a of the plywood 27, and an outer mounting surface 23 formed around the woofer speaker 22 is placed on the plywood 27. This outer mounting surface 2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lywood 27 but is usually placed indirectly via the support 26 as shown in FIG. The outer mounting surface 23 is fastened by the welding bolt 24 so that the woofer speaker 22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plywood 27 and the reinforcement panel 28.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22)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1차적으로는 자체 진동 감쇠능이 우수한 합판(27)에 의해 감소되고, 2차적으로는 우퍼 스피커(22)의 둘레에 상방으로 돌출된 박스형 단면(28b)이 형성되어 내부 빈 공간을 제공하는 보강 패널(28)에 의해서도 감소되며, 3차적으로는 합판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박스형 단면(20b)이 형성되어 내부 빈 공간을 제공하는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에 의해서도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적인 진동 감소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vibration generated in the woofer speaker 22 is primarily reduced by the plywood 27 having excellent self-vibration damping ability, and secondly, upwardly around the woofer speaker 22. A protruding box-shaped cross section 28b is also formed and reduced by the reinforcement panel 28, which provides an internal void space. Thirdly, a box-shaped cross-section 20b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lywood to form an internal void space. It is also reduced by the package tray panel 20 provided.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lex vibration reduction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용접볼트(24)의 체결 구조 변경에 따른 작업성 향상이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용접볼트(24)가 보강 패널(28)의 아래에서 상방으로 체결되는데, 이는 도2에 도시된 종래와는 정반대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방으로 끼워진 용접볼트(24)에 합판(27), 지지구(26), 바깥쪽 장착면(23)을 차례로 끼워 넣은 후에 너트(25)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이는 도2에서 패키지 트레이 패널(10), 지지구(16) 및 바깥쪽 장착면(13)을 포개어 놓고 그 볼트 구멍을 일일이 맞춘 후에 용접볼트(24)를 끼워야 하는 종래 방식보다 훨씬 간편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Another technical f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welding bolt 24. As shown in FIG. 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bolt 24 is fastened upwardly under the reinforcing panel 28, which is the opposite of the conventional art shown in FIG.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ywood 27, the support 26, and the outer mounting surface 23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welding bolt 24 fitted upwards, and then tightened and fixed with the nut 25. This is much easi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package tray panel 10, the support 16, and the outer mounting surface 13 are stacked in FIG. 2 and the welding holes 24 are fitted after the bolt holes are aligned one by one. This is shorte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에 의하면, 합판과 보강 패널을 추가로 설치하여 우퍼 스피커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저소음 발생을 줄여 보다 양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According to the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urther installing a plywood and a reinforcement panel to effectively block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of the woofer speaker to the vehicle body to reduce the occurrence of low noise to provide a higher quality sound To help.

Claims (3)

자동차의 패키지 트레이 패널(20) 상에 마련된 장착공(20a)에 우퍼 스피커(22)를 삽입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28a)이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는 박스형 단면(28b)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 패널(28)이 상기 장착공(20a)과 관통공(28a)이 동심원 상에 위치하도록 패키지 트레이 패널(20)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강 패널(28)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기 관통공(28a)과 동심원 상에 위치하는 내부공(27a)이 마련된 합판(27)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합판(27)의 내부공(27a)에는 우퍼 스피커(22)가 삽입되고 이 우퍼 스피커(22)의 바깥쪽 장착면(23)이 지지구(26)를 매개로 상기 합판(27)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woofer speaker 2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0a provided on the package tray panel 20 of the vehicle, a through hole 28a is provided in the center and a box-shaped cross section 28b is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 reinforcement panel 28 formed to protrude upwar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package tray panel 20 so that the mounting hole 20a and the through hole 28a are located in concentric circles. A plywood 27 having a through hole 28a and an inner hole 27a positioned in a concentric circle is fixedly installed at a center thereof, and a woofer speaker 22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27a of the plywood 27. The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mounting surface (23) of the woofer speaker (22) is mounted to the plywood (27) via a support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트레이 패널(20)은 상기 합판(27)이 위치하는 보강 패널(28) 하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박스형 단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The woofer of claim 1, wherein the package tray panel 20 has a box-shaped cross section protruding downwar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below the reinforcement panel 28 where the plywood 27 is located. Speaker mounting struct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28), 합판(27) 및 우퍼 스피커(22)는 용접볼트(24)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데, 이 용접볼트(24)는 상기 보강 패널(28)의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되고, 그 위에 상기 합판(27), 지지구(26) 및 우퍼 스피커의 바깥쪽 장착면(23)이 차례로 삽입 장착된 후 너트(25)로 체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우퍼 스피커 장착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inforcement panel 28, plywood 27 and the woofer speaker 22 is fixed by the welding bolt 24, the welding bolt 24 is the reinforcement panel ( 28 is inserted upward from below, and the plywood 27, the support 26 and the outer mounting surface 23 of the woofer speaker are sequentially inserted and then fastened with nuts 25. Car woofer speaker mounting structure.
KR1020040027219A 2004-04-20 2004-04-20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KR100551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219A KR100551253B1 (en) 2004-04-20 2004-04-20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219A KR100551253B1 (en) 2004-04-20 2004-04-20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964A KR20050101964A (en) 2005-10-25
KR100551253B1 true KR100551253B1 (en) 2006-02-10

Family

ID=3728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219A KR100551253B1 (en) 2004-04-20 2004-04-20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2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403B1 (en) * 2008-11-25 2014-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prevention apparatus vibration for rear package tray for vehicle
KR101306961B1 (en) 2011-12-22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Mounting structure of woof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964A (en)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714B1 (en) Structure of wheel house in vehicles
US7410208B2 (en) Package tray of vehicles and reinforcing structure thereof
US20070145228A1 (en) Bracket fixing structure
JP2002211447A (en) Mid g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sports utility truck
KR100551253B1 (en) Structure of mounting woofer speaker in automobile
US20090262972A1 (en) Speaker and device using this speaker
KR100568710B1 (en) Structure of center-support-bracket
KR101306961B1 (en) Mounting structure of woofer for vehicle
JP3789851B2 (en) Speaker box structure for vehicle doors
JP2007137393A (en) Vehicle wh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2087179A (en) Interior trim for car
CN220662639U (en) Vehicle body structure, noise reduction support and vehicle capable of reducing road noise
CN117440296A (en) Automobile loudspeaker structure, hatchback tail door and automobile
US20230332661A1 (en) Powertrain mount with integrated tuned mass damper
JP2007306414A (en) Loading structure of on-vehicle speaker
JP4380213B2 (en) Resin floor panel structure
KR20040016256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vibration of package tray center panel
KR20070025654A (en) Engine mount structure for automobile
JP3235787B2 (en) Speaker mounting bracket
JPH0216917Y2 (en)
JP2023127607A (en) Understructure of vehicle
KR100445874B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spare tire well panel for automobile
JPH09175440A (en) Rear floor structure for vehicle
JPH0644681U (en) Car interior noise reduction device
KR100513870B1 (en) Transmission fixing device of engine roon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