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576B1 -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576B1
KR100550576B1 KR1020040064818A KR20040064818A KR100550576B1 KR 100550576 B1 KR100550576 B1 KR 100550576B1 KR 1020040064818 A KR1020040064818 A KR 1020040064818A KR 20040064818 A KR20040064818 A KR 20040064818A KR 100550576 B1 KR100550576 B1 KR 10055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outdoor
indoor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탁
최창민
최원재
임형수
황윤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576B1/ko
Priority to US11/040,134 priority patent/US7240503B2/en
Priority to EP05001453A priority patent/EP1628102A3/en
Priority to CNA2005100083452A priority patent/CN173746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6Rotary wheel combined with another type of cooling principle, e.g. compress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6Rotary wheel comprising a r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02A30/274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using waste energy, e.g. from internal combustio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난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가열하므로 실내 열교환기의 냉방 성능이 향상되고, 냉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제습재의 재생시키므로 실내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발전 공조 시스템, 엔진, 발전기,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실내 제습재, 실내 재생 히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실외 재습재, 실외 재생 히터

Description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Electric generation air condition system having dehumidif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1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1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2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2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3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3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4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4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5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5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6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6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7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7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8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8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엔진 4: 배기관
7,8,7′,8′: 냉각수 순환 유로 9,9′: 냉각수 순환 펌프
10,10′: 발전기 12: 냉각수 열교환기
20: 배기 가스 열교환기 30: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31,31′: 압축기 32,32′: 유로 절환 밸브
33,33′: 실내 열교환기 34,34′: 팽창기구
35,35′: 실외 열교환기 36,36′: 실내기
37,37′: 실내 송풍기 38,38′: 실외기
39,39′: 실외 송풍기 40,40′: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50: 실내 제습재 52,52′: 실내 제습기
53: 제습 공간부 54: 재생 공간부
58: 실내 재생 히터 60: 열 전달 수단
62,62′: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
64,64′: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 66: 열매체 순환 펌프
68: 조절 밸브 80: 실외 제습재
82,82′: 실외 제습기 90: 실외 재생 히터
100: 방열 열교환기 110: 제 2 열 전달 수단
112: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
114,114′: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
116: 열매체 순환 펌프 118: 조절 밸브
130: 급탕 열교환기 E: 배기가스
I : 실내 공기 O: 실외 공기
본 발명은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의 배기 가스 또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난방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실내 공기를 제습할 수 있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공조 시스템은 엔진에서 출력된 회전력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으로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멀티형 공기조화기나 대형 공기조화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발전 공조 시스템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으로 작동되는 공기조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발전 공조 시스템은 엔진에서 배기되는 배기 가스 또는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폐열이 재활용되지 못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의 배기 가스 또는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하여 실내 공기의 제습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하거나 냉매를 가열하는데 사용하여, 효율을 극대화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의 배기 가스 또는 냉각수의 폐열을 회수하여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하는 열원으로 사용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착상을 막고 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실내 공기를 제습하도록 설치된 실내 제습재와; 상기 실내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내 재생 히터와; 상기 압축기의 출구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로 공급하는 열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제습재와 실내 재생 히터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 2 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또는 실내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다른 하나의 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 또는 방열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급탕을 위한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 2 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또는 실내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다른 하나의 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 또는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제습재와 실내 재생 히터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와 실외 제습재와 실외 재생 히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 공조 시스템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 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열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 공조 시스템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급탕을 위한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열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제습재와 실외 재생 히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1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1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과; 상기 엔진(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와;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12)와; 상기 엔진(2)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상기 압축기(31)의 출구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와; 실내 공기(I)를 제습하도록 설치된 실내 제습재(50)와;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내 재생 히터(58)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하는 열 전달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엔진(2)은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된다.
상기 엔진(2)은 상기 연소실로 액화천연가스 또는 액화석유가스 등의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관(3)과, 상기 연소실에서 배기되는 배기 가스가 안내되는 배기관(4)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배기관(4)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 가스(E)를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30)로 안내하도록 상기 엔진(2)과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엔진(2)은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열을 전달한 후 다시 상기 엔진(2)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20)와 냉각수 순환 유로(7,8)로 연결된다.
상기 엔진(2)과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냉각수 순환 유로(7,8) 중 일측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 펌프(9)가 장착된다.
상기 발전기(10)는 교류 발전기와 직류 발전기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난방 운전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와 유로 절환 밸브(32)를 차례로 경유하여 압축기(31)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35)가 증발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33)가 응축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로 열을 방출한다.
반면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냉방 운전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31)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외 열교환기(35)와 팽창기구(34)와 실내 열교환기(33)와 유로 절환 밸브(32)를 차례로 경유하여 압축기(31)로 순환됨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35)가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 기 실내 열교환기(33)가 증발기로 작용하면서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는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실내기(36)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33)와 제습재(50)와 재생 히터(58)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로 실내 공기(I)를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37)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실외기(38)에 상기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실외 공기(O)를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39)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3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가열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33)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 사이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 사이의 냉매 배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내기(46)에는 상기 실내 제습재(50) 및 실내 재생 히터(58)를 포함하는 실내 제습기(52)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 제습기(52)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를 향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I)가 통과하는 제습 공간부(53)와,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재생시키기 위한 실외 공기(O)가 통과하는 재생 공간부(54)가 베리어(55)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실내 제습재(50)는 상기 베리어(55)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제습 공간부(53)에 위치되고 나머지가 재생 공간부(54)에 위치된다.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는 상기 재생 공간부(54)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 제습기(52)는 상기 실내 제습재(50)의 일부가 상기 제습 공간부(53)에서 실내 공기를 제습시킨 후 상기 재생 공간부(54)로 이동되어 상기 재생 히터(60)에 의해 습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5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 제습기(52)는 실외 공기(O)가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통과하도록 한 후 실외로 다시 배출되도록 실외 공기(O)를 송풍시키는 재생 송풍기(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 전달수단(6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어느 하나(20)만의 폐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 또는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둘 모두(12,20)의 폐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 또는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둘 모두(12,20)의 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 또는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 전달 수단(60)은 열매체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와; 열매체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실내 재생 히터(58)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 전달수단(60)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 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제 1 열매체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를 순환하고, 제 2 열매체가 상기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순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에서 바이패스되어, 열매체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순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에서 바이패스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 전달수단(60)은 열매체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 또는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순환하도록 상기 열매체를 펌핑시키는 열매체 순환 펌프(6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 전달수단(60)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 또는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개폐하는 조절밸브(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밸브(68)는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에서 바이패스되기 위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밀폐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 전달수단(60)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조절 밸브(68)가 상기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밀폐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를 개방하도록 상기 조절 밸브(68)를 난방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조절 밸브(68)가 상기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를 밀폐하도록 상기 조절 밸브(68)를 냉방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상기 엔진(2)과 발전기(1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33)와 실내 제습재(50)와 실내 재생 히터(58)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팽창기구(34)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와 실외 열교환기(35)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료관(3)을 통해 연료가 투입되고, 엔진(2)이 작동되면, 상기 엔진(2)의 출력축은 회전되고, 상기 발전기(10)는 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엔진(2)의 작동시 상기 냉각수 펌프(9)는 구동되고,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순환 유로(7)를 통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이동되고,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에 열을 빼앗긴 후, 상기 냉각수 순 환 유로(8)를 통해 상기 엔진(2)으로 순환된다.
그리고, 상기 엔진(2)의 작동시 상기 엔진(2)에서 배기된 배기 가스는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를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로 열을 빼앗긴 후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난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3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가 난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31)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변화시키고,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를 경유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로 이동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구(34)를 통과하면서 감압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상기 증발된 냉매는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를 경유하여 상기 압축기(31)로 순환되고, 이후, 상기와 같은 순환을 반복하면서 실내를 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절 밸브(68)가 난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를 의해 재차 가열되고, 상기 조절 밸브(68)에 의해 상 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로 안내되어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를 가열시킨 후,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순환되고, 상기와 같은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를 계속하여 가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열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로 이동되는 냉매를 가열하고, 가열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에 의해 가열되지 않았을 때보다 실내 온도를 더 높이게 된다.
반면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는 구동되며, 상기 조절 밸브(6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실내 제습기(52)는 구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가 냉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압축기(31)가 구동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변화시키고,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를 경유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이동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를 통과하면서 실외 공기로 열을 방출하여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구(34)를 통과하면서 감압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를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I)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상기 증발된 냉매는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를 경유하여 상기 압축기(31)로 순환되고, 이후, 상기와 같은 순환을 반복하면서 실내를 냉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절 밸브(68)가 냉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를 의해 재차 가열되고, 상기 조절 밸브(68)에 의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로 안내되어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를 가열시킨 후,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순환되고, 상기와 같은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를 계속하여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 제습기(52)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 등의 구동수단(56)은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회전시키고, 상기 재생 송풍기(57)는 구동된다.
상기 재생 송풍기(57)의 구동시 실외 공기(I)는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재생시키고, 실외로 토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2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2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과; 상기 엔진(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와;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12)와; 상기 엔진(2)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80)와;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90)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100)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9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 열교환기(100)로 공급하는 열 전달 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상기 엔진(2)과, 발전기(10)와, 냉각수 열교환기(12),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에 관한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상기 실내기(36)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33)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33)로 실내 공기(I)를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37)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상기 실외기(38)에 상기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실외 공기(O)를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39)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5)의 실외 공기 흡입측에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O)를 제 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35)에 서리가 착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실외 제습재(80) 및 실외 재생 히터(90)를 포함하는 실외 제습기(82)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 제습기(82)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O)가 통과하는 제습 공간부(83)와,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재생시키기 위한 실외 공기(O)가 통과하는 재생 공간부(84)가 베리어(85)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실외 제습재(80)는 상기 베리어(85)를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제습 공간부(53)에 위치되고 나머지가 재생 공간부(84)에 위치된다.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는 상기 재생 공간부(84)에 배치된다.
상기 실외 제습기(82)는 상기 실외 제습재(50)의 일부가 상기 제습 공간부(53)에서 실외 공기(O)를 제습시킨 후 상기 재생 공간부(54)로 이동되어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에 의해 습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 제습재(5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8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 제습기(82)는 실외 공기(O)가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통과하도록 한 후 실외로 다시 배출되도록 실외 공기(O)를 송풍시키는 재생 송풍기(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 전달수단(11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어느 하나(20)의 폐열만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 또는 방열 열교환기(11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모두(12,20)의 폐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 또는 방열 열교환기(11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둘 모두(12,20)의 열을 상기 실 외 재생 히터(90) 또는 방열 열교환기(110)로 공급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 전달 수단(110)은 열매체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방열 열교환기(40)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와; 열매체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실외 재생 히터(90)를 순환하도록 형성된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 전달수단(110)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와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제 1 열매체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를 순환하고, 제 2 열매체가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순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열매체가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순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에서 바이패스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 전달수단(110)은 열매체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 또는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순환하도록 상기 열매체를 펌핑시키는 열매체 순환 펌프(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 전달수단(110)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 또는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개폐하는 조절밸브(1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밸브(118)는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와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와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에서 바이패스되기 위해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와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와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밀폐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열 전달수단(110)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조절 밸브(68)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를 밀폐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개방하도록 상기 조절 밸브(118)를 난방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조절 밸브(118)가 상기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를 밀폐하도록 상기 조절 밸브(118)를 냉방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 공조 시스템은 상기 엔진(2)과 발전기(1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33)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와, 실외 제습기(82)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조 부호 102는 상기 방열 열교환기(110)로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방열 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난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실외 제습기(82)가 구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밸브(118)가 난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를 의해 재차 가열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에 의해 상기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로 안내되어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를 가열시키며,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순환되고, 상기와 같은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를 계속하여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제습기(82)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 등의 구동수단(86)은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회전시키고, 상기 재생 송풍기(87)는 구동된다.
상기 재생 송풍기(87)의 구동시 실외 공기(I)는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재생시키고, 실외로 토출된다.
즉, 상기 실외 제습기(82)는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을 열원으로 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O)를 제습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5)에는 서리가 착상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 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며, 상기 조절 밸브(11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방열 팬(102)은 구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밸브(118)가 냉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를 의해 재차 가열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에 의해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로 안내되며, 상기 방열 열교환기(100)를 통과하면서 상기 방열 열교환기(100)로 폐열을 전달한 후,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순환된다.
상기와 같은 열매체의 순환을 반복하면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은 상기 방열 열교환기(1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3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3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과; 상기 엔진(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와;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12)와; 상기 엔진(2)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 (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80)와;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90)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급탕 열교환기(130)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9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급탕 열교환기(130)로 공급하는 열 전달 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 및 열 전달 수단(110′)을 제외한 엔진(2)과, 발전기(10)와,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실외 제습재(80)와, 실외 재생 히터(90) 등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는 온수가 사용되는 온수 수요처(132)와 온수 유로(134)로 연결된다.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와 온수 수요처(132)와 온수 유로(134) 중 일측에는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상기 온수 수요처(132)로 순환 혹은 공급시키는 온수 펌프(136)가 장착된다.
상기 열 전달 수단(110′)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방열 열교환기 순환 유 로(112) 대신에 급탕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탕 열교환기 순환 유로(112′) 이외의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와, 열매체 순환 펌프와, 조절밸브(118)가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난방 운전되면,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같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실외 제습기(82)는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동 및 절환에 의한 냉매 및 열매체의 순환과, 그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35)의 서리 착상 방지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며, 상기 조절 밸브(11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된다.
상기 조절 밸브(118)가 냉방 모드로 절환됨과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가 구동되면,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는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에 의해 재차 가열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에 의해 급탕 순환 유로(112′)로 안내되며,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로 폐열을 전달한 후,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로 순환된다.
상기와 같은 열매체의 순환이 반복되면서, 상기 급탕 열교환기(60)는 계속하여 가열되고, 상기 온수 펌프(136)를 구동시키면, 상기 온수 수요처(132)에는 온수가 공급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4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4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과; 상기 엔진(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와;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12)와; 상기 엔진(2)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상기 압축기(31)의 출구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와; 실내 공기(I)를 제습하도록 설치된 실내 제습재(50)와;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내 재생 히터(58)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 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하는 열 전달수단(60)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80)와;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90)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100)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9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 열교환기(100)로 공급하는 제 2 열 전달 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엔진(2)과, 발전기(10)와,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와, 실내 제습재(50)와, 실내 재생 히터(58)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외 제습재(80)와, 실외 재생 히터(90)와, 방열 열교환기(100)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 전달 수단(6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어느 하나(20)의 열을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 또는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한다.
상기 열 전달 수단(60)은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열 전달 수단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11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다른 하나(12)의 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 또는 방열 열교환기(100)로 공급한다.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11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의 폐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열 전달 수단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난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3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된다.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실외 제습기(82)가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난방 절환 및 구동시,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은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를 가열하여,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더욱 더 고온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33)의 난방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의 폐열은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의 열원으로 이용되어 실외 열교환기(35)의 서리 착상을 막는다.
반면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3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된다.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된다.
상기와 같은 냉방 절환 및 구동시,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은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의 열원으로 이용되어, 실내의 쾌적성을 높이고,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의 폐열은 상기 방열 열교환기(1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5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5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과; 상기 엔진(2)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와; 상기 엔진(2)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12)와; 상기 엔진(2)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 (20)와;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31)와 유로 절환 밸브(32)와 실내 열교환기(33)와 팽창기구(34)와 실외 열교환기(35)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상기 압축기(31)의 출구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와; 실내 공기(I)를 제습하도록 설치된 실내 제습재(50)와; 상기 실내 제습재(5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내 재생 히터(58)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하는 열 전달수단(60)과; 상기 실외 열교환기(35)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80)와; 상기 실외 제습재(80)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90)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급탕 열교환기(130)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90)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급탕 열교환기(130)로 공급하는 제 2 열 전달 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엔진(2)과, 발전기(10)와,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와,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와, 실내 제습재(50)와, 실내 재생 히터(58)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 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외 제습재(80)와, 실외 재생 히터(90)와, 급탕 열교환기(130)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 전달 수단(6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어느 하나(20)의 열을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 또는 실내 재생 히터(58)로 공급한다.
상기 열 전달 수단(60)은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열 전달 수단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11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20) 중 다른 하나(12)의 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90) 또는 급탕 열교환기(130)로 공급한다.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110)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의 폐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열 전달 수단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난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3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된다.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는 난방 모드로 절환되며, 실외 제습기(82)가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난방 절환 및 구동에 의한 냉매 및 열매체의 순환과, 그에 따른 실내 열교환기(33)의 난방 성능 증대와, 실외 열교환기(35)의 서리 착상 방지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에,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냉방 운전되면, 상기 압축기(31)는 상기 발전기(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유로 절환 밸브(32)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6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3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된다.
아울러, 상기 열매체 순환 펌프(116)는 구동되고, 상기 조절 밸브(118)는 냉방 모드로 절환된다.
상기와 같은 냉방 절환 및 구동시, 상기 배기 가스 열교환기(20)의 폐열은 상기 실내 재생 히터(58)의 열원으로 이용되어, 실내의 쾌적성을 높이고,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12)의 폐열은 상기 급탕 열교환기(130)로 전달되어, 온수 수요처(132)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6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6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엔진(2,2′)이 구비되고, 각각의 엔진(2,2′)의 회전축에 발전기(10,10′)가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엔진(2,2′)은 냉방 부하 또는 난방 부하에 따라 하나만 작동되거나 두 개 이상이 작동된다.
상기 복수개의 엔진(2,2′)은 연료관(3,3′)과 배기관(4,4′)과 냉각수 순환 유로(7,8,7′,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배기관(4,4′)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냉각수 순환 유로(7,8,7′,8′)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냉각수 순환 유로(7,8,7′,8′)에는 냉각수 순환 펌프(9,9′)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엔진(2,2′) 및 발전기(10,10′)가 복수개 구비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7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7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실내 열교환기(33,33′)가 병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실내 열교환기(33,33′) 각각이 실내기(36,36′)의 각각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실내기(36,36′)가 하나의 실외기(38)에 연결되어, 멀티형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를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36,36′)의 각각에는 실내 열교환기(33,33′)와 실내 송풍기(37,37′)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36,36′)의 각각에는 실내 제습재(50)와 실내 재생 히터(58)를 포함하는 실내 제습기(52,5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내 제습기(52,52′)의 각각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실내 제습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실내 제습기(52,52′) 각각의 실내 재생 히터(58)로 열매체가 순환되는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64′)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실내기(36,36′) 및 실내 제습기(52,52′)와,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64′)가 복수개 구비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8 실시예의 난방 운전시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제 8 실시예의 냉방 운전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가 복수개의 실내기(36,36′)와 복수개 의 실외기(38,38′)로 이루어진다.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기(36,36′)의 냉매배관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외기(38,38′)의 냉매배관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하나의 실내기(36,36′)에 하나의 실외기(38,38′)가 연결되어 하나의 공기조화기 셋트를 구성하고, 각각의 공기조화기 셋트가 다른 공기조화기 셋트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내기(36,36′)의각각에는 실내 열교환기(33,33′)와 실내 송풍기(37,37′)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36,36′)의 각각에는 제습재(50)와 재생 히터(60)를 포함하는 실내 제습기(52,5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내 제습기(52,52′)의 각각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발전 공조 시스템의 제습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내 제습기(52,52′) 각각의 실내 재생 히터(60)로 열매체가 순환되는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64′)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실외기(38,38′)의 각각에는 압축기(31,31′)와 유로 절환 밸브(32,32′)와, 팽창기구(34,34′)와 실외 열교환기(35,35′)와, 실외 송풍기(39,39′)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31,31′) 각각의 출구부에는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30)의 난방 운전시 상기 압축기(31,31′)의 각각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33,33′)로 이동되기 전에 가열될 수 있도록 압축기 출구부 가열 기(40,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40′)의 각각으로 열매체가 순환되는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62′)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35,35′) 각각의 실외 공기 흡입측에는 실외 제습기(82,8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외 제습기(82,82′)의 각각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발전 공조 시스템의 제습기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외 제습기(82,82′) 각각의 실외 재생 히터(90)로 열매체가 순환되는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114′)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실내기(46,46′)와, 실내 제습기(52,52′)와, 실외기(48,48′) 및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40,40′)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순환 유로(62,62′), 실내 재생 히터 순환 유로(64,64′), 실외 재생 히터 순환 유로(114,114′)가 복수개 구비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난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가열하므로 실내 열교환기의 냉방 성능이 향상되고, 냉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제습재의 재생시키므로 실내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 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난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하므로,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 착상을 막을 수 있고, 냉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난방 성능 및 방열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난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이용하여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하므로, 실외 열교환기의 서리 착상을 막을 수 있고, 냉방시 냉각수 또는 배기 가스의 폐열을 급탕에 사용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상기 압축기의 출구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와; 실내 공기를 제습하도록 설치된 실내 제습재와; 상기 실내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내 재생 히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내 재생 히터로 공급하는 열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제습재와 실내 재생 히터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 2 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또는 실내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다른 하나의 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 또는 방열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향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제습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급탕을 위한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제 2 열 전달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열을 상기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 또는 실내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제 2 열 전달 수단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다른 하나의 열을 상기 실외 재생 히터 또는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7.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 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내 제습재와 실내 재생 히터와 압축기 출구부 가열기와 실외 제습재와 실외 재생 히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8.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방열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방열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열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9. 엔진과;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상기 엔진을 냉각시킨 냉각수의 열을 빼앗는 냉각수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의 열을 빼앗는 배기 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이 이용되고,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예열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제습재와; 상기 실외 제습재를 재생시키도록 설치된 실외 재생 히터와;
    급탕을 위한 급탕 열교환기와;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실외 재생 히터로 공급하고, 상기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냉각수 열교환기와 배기 가스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열을 급탕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열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발전기와 압축기와 유로 절환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기구와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제습재와 실외 재생 히터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KR1020040064818A 2004-08-17 2004-08-17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KR100550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18A KR100550576B1 (ko) 2004-08-17 2004-08-17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US11/040,134 US7240503B2 (en) 2004-08-17 2005-01-24 Electricity gener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dehumidifier
EP05001453A EP1628102A3 (en) 2004-08-17 2005-01-25 Electricity gener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dehumidifier
CNA2005100083452A CN1737469A (zh) 2004-08-17 2005-02-17 具有除湿器的发电及空调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18A KR100550576B1 (ko) 2004-08-17 2004-08-17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576B1 true KR100550576B1 (ko) 2006-02-10

Family

ID=3608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18A KR100550576B1 (ko) 2004-08-17 2004-08-17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40503B2 (ko)
EP (1) EP1628102A3 (ko)
KR (1) KR100550576B1 (ko)
CN (1) CN1737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7160A (zh) * 2016-07-27 2016-12-28 江苏大学 一种基于固体吸附技术的无霜空气源热泵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223B1 (ko) * 2005-06-16 200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병합 발전 시스템
US20080296906A1 (en) * 2006-06-12 2008-12-04 Daw Shien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wind turbines
US20090249779A1 (en) * 2006-06-12 2009-10-08 Daw Shien Scientific Research & Development, Inc. Efficient vapor (steam) engine/pump in a closed system used at low temperatures as a better stirling heat engine/refrigerator
US20090044535A1 (en) * 2006-06-12 2009-02-19 Daw Shien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Efficient vapor (steam) engine/pump in a closed system used at low temperatures as a better stirling heat engine/refrigerator
US20090211223A1 (en) * 2008-02-22 2009-08-27 James Shihfu Shiao High efficient heat engine process using either water or liquefied gases for its working fluid at lower temperatures
US7503184B2 (en) * 2006-08-11 2009-03-17 Southwest Gas Corporation Gas engine driven heat pump system with integrated heat recovery and energy saving subsystems
KR100780068B1 (ko) * 2007-02-01 2007-11-30 한국지역난방공사 제습 냉방기를 이용한 제습냉방 시스템
US20100045037A1 (en) * 2008-08-21 2010-02-25 Daw Shien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wind turbines
US8869549B2 (en) * 2009-10-19 201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medium relay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DE112012004082T5 (de) * 2011-09-30 2014-10-02 Sanden Corporation Rankine-Zyklus
US10036347B1 (en) * 2013-07-19 2018-07-31 Raymond C. Sherry Standby energy generating system
US9103320B1 (en) 2013-08-15 2015-08-11 Ryan Potts Energy recovery cooling unit
US9795919B2 (en) * 2014-03-21 2017-10-24 2525 Group, Inc. Recycling of waste heat by dehumidifier appliance: apparatus and method
CN104815632B (zh) * 2015-04-03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用干燥装置的干燥剂恢复方法
CN105805869B (zh) * 2016-03-28 2018-08-17 上海交通大学 太阳能驱动的回热式固体干燥除湿空调系统及运行方法
KR102583383B1 (ko) * 2017-06-27 2023-10-05 아이엠비와이 에너지, 인크. 가열 처리 및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 및 방법
CN108444074B (zh) * 2018-03-05 2021-02-12 重庆美的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中热回收器的加热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1059614A (zh) * 2019-12-16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再生除湿空调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656A (ja) * 1992-09-08 1994-03-29 Nippondenso Co Ltd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2002310452A (ja) * 2001-04-06 2002-10-23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原動機発電装置とデシカント空調機とを備える熱電併給システム
KR20040061773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효성 냉/난방 및 발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트리 제너레이션에너지 시스템
KR100457719B1 (ko) * 2000-09-04 2004-11-18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부 기켄 열병합발전시스템 및 제습공조장치
KR20050102532A (ko) * 2004-04-22 200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전시스템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에어콘의 냉매 예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2013A (en) * 1933-12-01 1938-06-28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4222244A (en) * 1978-11-07 1980-09-16 Gershon Meckler Associates, P.C. Air conditioning apparatus utilizing solar energy and method
US4635446A (en) * 1981-05-15 1987-01-13 Camp Dresser & Mckee Dehumidification apparatus
NL8105368A (nl) 1981-11-27 1983-06-16 Schulte & Lestraden Bv Systeem voor het opwekken en gebruiken van energie.
US4723417A (en) * 1985-08-05 1988-02-09 Camp Dresser And Mckee Inc. Dehumidification apparatus
US4697434A (en) * 1985-10-17 1987-10-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ime mover driven air-conditioning and hot-water supplying system
WO1987005683A1 (en) 1986-03-19 1987-09-24 Purdue, John, C.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4987748A (en) * 1986-03-19 1991-01-29 Camp Dresser & Mcke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4819444A (en) * 1986-07-08 1989-04-11 Manville Sales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EP0305416B1 (de) * 1987-02-19 1992-01-02 Pär DALIN Vorrichtung zur wärmegewinnung unter verwendung einer wärmepumpenanlage
US4930322A (en) * 1989-09-11 1990-06-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dvanced heat pump
DE29915459U1 (de) 1999-09-03 2000-05-04 Tuhh Tech Gmbh Vorrichtung zur Klimatisierung von Raumluft
JP4285010B2 (ja) 2003-01-24 2009-06-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NL1025293C1 (nl) 2004-01-21 2005-03-07 Trs Transportkoeling B V Koelsysteem voor het koelen van een koelruimte in een voertui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656A (ja) * 1992-09-08 1994-03-29 Nippondenso Co Ltd エンジン駆動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KR100457719B1 (ko) * 2000-09-04 2004-11-18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부 기켄 열병합발전시스템 및 제습공조장치
JP2002310452A (ja) * 2001-04-06 2002-10-23 Ntt Power & Building Facilities Inc 原動機発電装置とデシカント空調機とを備える熱電併給システム
KR20040061773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효성 냉/난방 및 발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트리 제너레이션에너지 시스템
KR20050102532A (ko) * 2004-04-22 200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전시스템의 배기가스를 이용한 에어콘의 냉매 예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7160A (zh) * 2016-07-27 2016-12-28 江苏大学 一种基于固体吸附技术的无霜空气源热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37343A1 (en) 2006-02-23
EP1628102A3 (en) 2006-11-08
US7240503B2 (en) 2007-07-10
CN1737469A (zh) 2006-02-22
EP1628102A2 (en)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576B1 (ko)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KR100638223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550575B1 (ko) 제습기를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KR100579577B1 (ko) 급탕 기능을 갖는 발전 공조 시스템
KR100487381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064482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57957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579575B1 (ko) 발전 공조 시스템
KR100624816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2004085096A (ja) ハイブリッド型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WO2005057087A1 (ja) 空調システム
KR100644830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2006307857A (ja) 熱電併給システム
KR100644829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600752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EP3136022B1 (en) Hybrid heat pump apparatus
JP4255056B2 (ja) 複合熱源システムと空調システムの連系システム
KR100644832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JP4262901B2 (ja) 冷凍装置
KR100755323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20220082629A (ko) 공기 조화기
KR200257384Y1 (ko) 급기장치를 가진 ghp 실외기
KR101381374B1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20090076087A (ko) 열병합 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