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113B1 - 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113B1
KR100550113B1 KR1020040055547A KR20040055547A KR100550113B1 KR 100550113 B1 KR100550113 B1 KR 100550113B1 KR 1020040055547 A KR1020040055547 A KR 1020040055547A KR 20040055547 A KR20040055547 A KR 20040055547A KR 100550113 B1 KR100550113 B1 KR 10055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il
purified water
refrigerant
pur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486A (ko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04005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1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위생적인 정수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한 정수시스템은, 상수도(waterworks)와 직결되는 관로를 갖고 있으며, 이 관로에는 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중금속 등을 걸러내기 위한 복수개의 필터들이 제공되며, 필터링된 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콘덴서, 팽창밸브, 증발기로 폐쇄된 사이클을 이루며, 상기 증발기의 관로는 코일형상으로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필터링된 상수가 흐르는 관로는 냉매가 흐르는 관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2중관의 구조를 취하며, 이들 2중관은 원통형상을 이루는 상태로 감겨진다. 이러한 시스템은 수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수조에서 발생하는 세균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정수기, 필터, 냉각기, 증발기, 코일

Description

정수시스템{clean water system}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상수관로와 냉매관로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시스템의 일부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갖추지 않고 상수가 흐를 수 있는 관을 냉매가 흐르는 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2중관의 구조를 취하면서 이들 2중관이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이 저장되는 수조에서 번식하는 세균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정수시스템은, 상수관과 연결된 필터들과, 이 필터들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조와, 이 수조의 외주에 설치되는 열교환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수조에 항시 물이 담겨있는 상태이므로 수조의 외주에 감겨 있는 냉매코일과 열교환이 이루어져 정수된 물이 냉각되어 수조에 담겨 있다가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수시스템은 수조에 정수된 물이 담겨져 있게 되므로 수조내에서 세균 발생이 우려되며, 이와 같은 우려에 의하여 수조를 청소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상기 수조는 실질적으로 외부와 밀폐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균이 번식할 우려는 더욱 높다.
게다가 수조내에는 냉각된 물이 담겨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수를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상수가 수조내로 유입되는데 이?? 냉각된 물이 상수와 섞이면서 열평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수조내에 담겨진 물의 온도가 조금 상승하는 결과가 된다. 이것은 냉각효율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시스템은 다수개의 필터들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또 수조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케이스내에 셋팅되기 위해서는 필요이상으로 케이스의 공간 체적이 커지게 된다.
특히 수조내에 물이 담겨진 상태에서는 냉각수단의 코일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수조 내주면 측은 빨리 냉각이 이루어지지만 수조의 중앙부분에 담겨 있는 물은 빨리 냉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된 물을 즉시 냉각하여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수가 공급될때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공급된 정수된 물을 직선거리 내에서 표면적을 증대한 상태로 흐르게 하는 정수코일부;
상기 정수코일부를 흐르는 정수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각되도록 하는 냉매코일부;
상기 냉매코일부로 저압의 냉매가스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코일의 관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정수코일부의 관로가 삽입되어 이들 관로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지도록 한 정수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부로부터 정수코일부의 출구까지는 단일 관로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이들 구간은 폐쇄된 구성을 갖는다. 이것은 외부영향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의 번식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원수인 상수도와 연결되는 필터부(2)와, 이 필터부(2)로부터 정수된 물이 흐르는 정수코일부(4)와, 상기 정수코일부(4)로 흐르는 정수를 냉각하여 온도를 낮추는 냉매코일부(6)와, 이 냉매코일부(6)로 저압의 냉매가스를 공급하는 냉동기(8)를 포함 한다.
상기 정수코일부(4)와 냉매코일부(6)는, 정수가 흐르는 관로(5)가 냉매가 흐르는 관로(9)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들 코일부의 관로(5)와 관로(9)는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정수코일부(4)는 냉매코일부(6)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외측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정수코일부(4)가 삽입되는 냉매코일부(6)의 사입 시작부분과 정수코일부(4)가 관통하여 나오는 냉매코일부(6)의 끝부분은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로 만들어진다.
보다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가 흐르는 관로(5)가 냉매가 흐르는 관로(9)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코일부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히 상기 정수코일부(4)는 정하여진 직선거리 내에서 정수가 흐르는 관로의 표면적을 증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코일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냉동기(8)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10)와, 이 컴프레셔(10)와 연결되는 응축기(12)와, 이 응축기(12)와 연결되는 팽창밸브(14)와, 이 팽창밸브(14)와 연결되는 증발기로 구성된 냉동폐쇄 사이클이며, 여기서 증발기는 상기 냉매코일부(6)이다.
사기 필터부(2), 정수코일부(4), 냉매코일부(6) 및 냉동기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어셈블리 형태로 셋트화될 수 있다.
도2는 상기 정수코일부(4)와 냉매코일부(6)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면으로서, 냉매코일부(6)의 관로(9)는 코일형상으로 감기면서 충분한 직경을 갖고 원통형상의 공간을 만들고 있는데, 이 공간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를 상기 공간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냉매코일부(6)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각되므로 상기 필터부(2)를 통과하는 물은 실질적으로 예비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2)는 예를들면 세디먼트필터(16), 프리카본필터(18), 중공사막필터(20) 및 포스트카본필터(22)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위 세디먼트필터(16)는 원수와 최초로 접촉하여 대략 0.5미크론 이상의 찌꺼기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프리카본필터(18)는 고체형 카본필터로서 원수속에 용해되어 있는 유해화학 물질인 염소 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등을 흡착 및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카본필터(22)는 가스성분과 냄새성분을 제거하여 자연의 물맛을 살려내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필터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잘알려진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필터중에서 상기 정수코일부(4) 내측으로 위치하는 필터는 1개이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로(5)에는 또다른 관로(24)가 분지되어 정수된 상수가 흐르게 되는데 이 관로(24)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통상의 온수장치(26)가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8은 상기 관로(5)의 끝단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조의 콕이며, 부호 30은 관로(24)의 끝단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구조의 콕으로서 각각 냉수와 온수를 받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위 구조는 실질적으로 상수가 유입되는 필터부(2)의 관로로부터 상기 콕(28)에 이르는 관로가 단일 관로(5)로 이루어져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은 상수도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필터부(2)로 유입되면서 유해물질등이 걸러지고 관로(5)를 통하여 정수코일부(4)로 흐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냉동기(8)가 작동하게 되면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된 고압의 냉매는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냉매코일부(6)로 흐르면서 저압 냉매가스가 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게 된다.
이와 같이 냉매코일부(6)가 주위의 열을 빼앗아 가게 되는데, 이 냉매코일부(6)의 관로(9)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정수코일부(4)의 관로(5)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이들 코일부에서는 물이 흐르는 동안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상기 정수코일부(4)가 삽입된 냉매코일부(6)는 코일형상을 이루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표면적은 매우 넓다. 이것은 급속냉각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콕(28)을 통하여 냉수를 먹을 수 있는데, 냉수를 사용하게 되면 정수코일부(4)의 관로(5)에 있는 물이 줄어들면서 새로운 정수가 정수코일부로 다시 유 입된다. 이 과정에서 정수코일부(4)를 흐르는 물은 냉각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필터부(2)는 냉매코일부(6)에 의해 예비냉각이 가능하므로 정수코일부의 물은 더욱 빨리 냉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시스템은 상수도와 필터부 그리고 냉매코일부에 의해 냉각되는 정수코일부 및 냉수를 사용하기 위한 콕까지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외부 영향에 의한 세균번식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잘 알려진 정수기에 비하여 더욱 위생적으로 깨끗한 환경에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원수가 공급될때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유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공급된 정수된 물을 직선거리 내에서 표면적을 증대한 상태로 흐르게 하는 정수코일부;
    상기 정수코일부를 흐르는 정수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각되도록 하는 냉매코일부;
    상기 냉매코일부로 저압의 냉매가스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코일부의 관로가 상기 냉매코일부의 관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열교환이 행하여지도록 한 정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코일부의 내측 공간부에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는 정수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부와 정수코일부 사이에는 온수장치가 연결되는 정수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수가 유입되는 필터부로부터 열교환이 행하여져 정수를 냉각하는 코일부 및 냉수를 사용하기 위한 콕까지 단일 관로로 이루어지는 폐쇄 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수코일부의 관로는 냉매코일부의 관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정수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수코일부가 삽입되는 냉매코일부의 관로 시작부 및 정수코일부가 빠져 나오는 냉매코일부의 관로 종단부는 폐쇄되는 정수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부, 정수코일부, 냉매코일부는 케이스에 내장되는 정수시스템.
KR1020040055547A 2004-07-16 2004-07-16 정수시스템 KR10055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47A KR100550113B1 (ko) 2004-07-16 2004-07-16 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547A KR100550113B1 (ko) 2004-07-16 2004-07-16 정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86A KR20060006486A (ko) 2006-01-19
KR100550113B1 true KR100550113B1 (ko) 2006-02-08

Family

ID=3711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547A KR100550113B1 (ko) 2004-07-16 2004-07-16 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766B1 (ko) 2005-12-30 2006-12-14 주식회사 위닉스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83B1 (ko) * 2006-07-14 2008-02-20 주식회사 위닉스 무균 정수시스템
KR200460090Y1 (ko) * 2006-12-08 2012-05-02 김대운 냉이온정수기용 냉각조
KR20130143421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위닉스 음료수 냉각장치
KR101969380B1 (ko) * 2017-06-22 2019-04-18 (주)유앤아이 직수형 정수기의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를 갖는 듀얼 이중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766B1 (ko) 2005-12-30 2006-12-14 주식회사 위닉스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486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5589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JP2008086989A (ja) 水供給装置
KR20050031163A (ko) 식수 제조장치
WO20081087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mospheric water generation over extended range of ambient temperatures
KR100550113B1 (ko) 정수시스템
KR100594694B1 (ko) 정수시스템
KR100852399B1 (ko) 승화정제장치용 콜드트랩
KR100487816B1 (ko) 물 공급기
KR200359693Y1 (ko) 냉온정수기
KR20020021228A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KR20190065033A (ko) 분리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0986823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100805083B1 (ko) 무균 정수시스템
KR20110139591A (ko) 냉온정수기
KR200213800Y1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KR102526088B1 (ko) 정수기용 소형 이중관
KR100993892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KR100488811B1 (ko) 역삼투압 정수기의 냉각시스템
CN101357788A (zh) 水净化装置
JP3059543B2 (ja) 冷却機能付浄水器
KR20080100518A (ko) 고농도 산소가 용존된 냉각수 정수기
KR200345241Y1 (ko) 냉매 재활용 구조를 가진 냉수통 냉각장치
KR102670628B1 (ko) 냉수기
KR200298029Y1 (ko) 냉온정수기의 정수시스템
KR20090123534A (ko) 급속냉각장치 및 그를 가지는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