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752B1 - 발판재 - Google Patents

발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752B1
KR100548752B1 KR1019970015805A KR19970015805A KR100548752B1 KR 100548752 B1 KR100548752 B1 KR 100548752B1 KR 1019970015805 A KR1019970015805 A KR 1019970015805A KR 19970015805 A KR19970015805 A KR 19970015805A KR 100548752 B1 KR100548752 B1 KR 100548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scaffolding
vertical edge
slip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291A (ko
Inventor
에이지 스기오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7001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75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10Built-in gratings, e.g. foot-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4Rigid cleaning-gratings; Tread plates or scrapers for cleaning the soles of foot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발판재(1)는 발판재 본체(1a) 및 이것의 양단부에 고정된 가로 테두리 부재(4)로 이루어진다. 발판재 본체(1a)는 망상형 금속판(expanded metal)으로서, 그 양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면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세로 테두리부(2A)가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 세로 테두리부(2A)들 사이의 망상형 부분(3)의 폭방향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면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중간 테두리부(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저벽(24)에 미끄럼 방지 부재(26)가 장착되어 있고, 각 미끄럼 방지 부재(26)는, 상기 각 저벽(24) 하면의 길이 방향에 형성된 내부 확대홈(25)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삽입부(26a)와, 상부 삽입부(26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저벽(24)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된 하부 미끄럼 방지부(26b)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판재
본 발명은 발판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판재로, 예를 들면 망상(網狀)형 금속판의 양 가장자리에 단면이 사각형이며 금속 중공(中空)형 재료로 이루어진 세로 테두리 부재가 용접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진 발판재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망상형 금속판에 세로 테두리 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용접 작업이나 리벳 체결 작업은 번거롭고, 조립에 상당한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판재는, 망상형 금속판의 양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면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세로 테두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은 망상형 금속판과 세로 테두리 부재와의 용접, 리벳 체결 등의 접합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발판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발판재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사이의 망상형 부분의 폭방향 중간의 적어도 한 곳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면서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중간 테두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중간 테두리부가 형성됨으로써, 발판재의 강도가 증대되고, 따라서, 보다 폭이 넓은 발판재를 용이하게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판재는 바람직하게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저벽,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저벽에, 각각 미끄럼 방지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각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각 저벽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 확대홈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삽입부와, 상부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각 저벽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미끄럼 방지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미끄럼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사용시에, 미끄럼 방지 부재의 하부 미끄럼 방지부의 하면이, 발판재의 양단부가 놓여진 예를 들면 발판틀 부분등의 상면과 접함으로써, 발판재의 미끄러짐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발판재의 재료로는, 알루미늄(알루미늄 합금 포함) 압출 형재가 적합하며, 이 재료에 의해 경량의 튼튼한 발판재를 얻을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에 적합한 재료로, 고무, 합성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판재는, 망상형 부분의 강도를 높이고 나아가서는 발판재 전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의 발판재를 발판재 본체로 하여, 이 발판재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가로 테두리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은 이러한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발판재에 있어서, 각 가로 테두리 부재는 발판재 본체의 단부에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각 가로 테두리 부재가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단부내에 각각 압입 가능한 내측 돌출형의 압입부를 내측면에 가지고 있고, 이들 압입부가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단부내에 각각 압입됨으로써, 발판재 본체의 양단부에 가로 테두리 부재가 고정된다.
이러한 압입부를 갖는 가로 테두리 부재를 이용하면, 가로 테두리 부재를 용접등에 의해 발판재 본체의 단부에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립 작업을 보다 간단히 행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상기 가로 테두리 부재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주물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서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가로 테두리 부재의 각 압입부의 형상은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단부내로 압입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세로 테두리부내라든지 중간 테두리부내의 폭보다도 약간 큰 폭을 갖는 수평 판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입부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단부내로의 압입이 용이하도록, 평면에서 볼 때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가로 테두리 부재의 압입부는 적어도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단부내에 각각 1개씩 압입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충분하지만, 보다 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세로 테두리부나 중간 테두리부의 각 단부내에 각각 상하 한쌍이 압입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들 각 상하 한쌍의 압입부의 한 면을 세로 테두리부나 중간 테두리부의 단부의 상벽 하면 및 저벽 상면에 각각 접촉시키도록 하여, 가로 테두리 부재 및 발판재 본체 상호간의 상하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압입부가 상기한 바와 같은 수평 판형의 것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각 가로 테두리 부재의 내측면에, 발판재 본체의 망상형 부분의 단부를 사이에 끼워 붙이도록 상하 한쌍의 돌출벽이 설치되고, 양 돌출벽 및 이들 사이의 가로 테두리 부재 내측면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수평 홈에, 망상형 부분의 단부가 끼워 넣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발판재 본체 및 가로 테두리 부재 상호간의 상하의 어긋남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 발판재(1)는 발판재 본체(1a)와, 이것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 가로 테두리 부재(4)로 이루어진다.
발판재 본체(1a)는 길이 방향으로 긴 알루미늄 재료로 된 망상형 부분으로 만들어져 있고, 그 좌우(도면에서의 도면 부호를 기준) 양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면서 횡단면이 장방형인 중공형 세로 테두리부(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양측 세로 테두리부(2A)들 사이의 망상형 부분(3)의 폭방향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면서 횡단면이 장방형인 중공형 테두리부(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2개의 망상형 부분(3)은, 인접하는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대향 측벽(21)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세로 테두리부(2A)는, 이들 정상벽(22) 상면의 높이가 망상형 부분(3) 상면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이루어져 있다. 중간 테두리부(2B)는 그 정상벽(22) 상면의 높이가 망상형 부분(3) 상면의 높이와 거의 같게 이루어져 있는 동시에, 정상벽(22)의 좌우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면이 개방된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23)은 보행시 미끄럼 방지 기능을 한다.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하측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26)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저벽(24)의 폭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아래쪽이 개방된 내부 확대홈(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미끄럼 방지 부재(26)는 고무제로서, 내부 확대홈(25)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삽입부(26a) 및 이것과 일체로 형성된 하부 미끄럼 방지부(26b)를 구비하며 횡단면이 대략 T 자형이다. 각 미끄럼 방지 부재(26)의 길이는 발판재 본체(1a)의 전체 길이와 거의 같게 이루어져 있다. 단, 비교적 짧은 미끄럼 방지 부재(26)를 내부 확대홈(25)의 양단 부분에 각각 끼워 넣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각 미끄럼 방지 부재(26)의 상부 삽입부(26a)가 내부 확대홈(25)에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하부 미끄럼 방지부(26b)가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저벽(24)보다도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각 미끄럼 방지 부재(26)의 하부 미끄럼 방지부(26b)가 발판재(1)의 양단부가 놓여지는 금속제 발판틀 등의 상면과 접하며, 이에 따라 발판재(1)의 미끄러짐이 확실히 방지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좌우 2개의 망상형 부분(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배열된 복수의 굴곡 플랜지(31)와, 인접하는 굴곡 플랜지(31) 끼리를 연결하며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웨브(32)에 의해 구성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다이아몬드 형상의 다수의 개구(33)를 가지고 있고, 이들 개구(33)에 의해서, 발판재(1) 하측으로 빛이나, 빗물이 통과함에 따라 발판재(1)에 물이 괴이거나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망상형 부분(3)의 좌우 양 테두리에 위치하는 웨브(32)는 각각 세로 테두리부(2A) 또는 중간 테두리부(2B)의 측벽(22)의 상측 가장자리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가로 테두리 부재(4)는 횡단면이 장방형인 알루미늄 중공형 압출 형재로 이루어지고, 발판재 본체(1a)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용접되어 고정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발판재(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알루미늄 합금 압출 형재(10)를 발판재 본체(1a)의 소재로서 준비한다. 이 압출 형재(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좌우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횡단면이 장방형인 중공형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와, 인접하는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마주하는 측벽(22)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들 사이에 설치된 좌우 2개의 망상형 기초부(11)로 이루어지고, 각 망상형 기초부(11)는 좌우로 배열된 복수의 직선형 플랜지(12)와, 인접하는 직선형 플랜지(12) 끼리를 이들 길이의 중간부에서 연결하는 웨브(3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 웨브(32)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13)을 각 망상형 기초부(11) 전체의 평면에서 볼때 지그재그형 배치로 형성한다.
도 5에는, 폭방향으로 잡아당겨진 압출 형재(10)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직선형 플랜지(12)가 굴곡되어, 이들 굴곡 플랜지(31)와 웨브(32)에 의해서 구성된, 평면에서 볼때 대략 다이아몬드 형상의 다수의 개구(33)를 갖는 망상형 부분(3)이 형성된다(도 3 참조). 이렇게 해서, 발판재 본체(1a)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발판재 본체(1a)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가로 테두리 부재(4)를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또한,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내부 확대홈(25)에, 각각 미끄럼 방지 부재(26)의 상부 삽입부(26a)를 끼워 넣는다. 이렇게 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발판재(1)를 얻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재의 또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발판재(101)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발판재(1)와 동일하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발판재(101)에 있어서, 발판재 본체(101a)의 중간 테두리부(102B)는, 좌우 양측의 세로 테두리부(102A)와 같이, 그 정상벽(122) 상면의 높이가 망상형 부분(103) 상면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정상벽(122)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좌우 양측의 세로 테두리부(102A)의 저벽(124) 및 중간 테두리부(102B)의 저벽(124)에는 모두 미끄럼 방지 부재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평평하다.
발판재 본체(101a)의 좌우 각 망상형 부분(10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발판재의 망상형 부분(3)과 비교하여, 약 1개의 개구(33)만큼 폭이 넓어진 망상형 부분이다.
각 가로 테두리 부재(104)는 좌우로 연장하는 대략 수직 판형의 알루미늄 주물로 이루어진 일체 성형 제품이다. 가로 테두리 부재(104)의 내측면의 좌우 양단부 및 그 길이 중앙부의 중간 높이 위치에는 각각 내측을 향해 돌출하면서 양측 세로 테두리부(102A) 및 중간 테두리부(102B)의 단부내로 각각 압입 가능한 수평 판형의 압입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압입부(141)는, 평면에서 볼 때 선단으로 갈수록 약간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압입부(141)가 양측 세로 테두리부(102A) 및 중간 테두리부(102B)의 단부내에 각각 압입됨으로써, 발판재 본체(101a)의 양단부에 가로 테두리 부재(104)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발판재 본체(101a) 및 가로 테두리 부재(104)의 조립이 용이하며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제조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각 가로 테두리 부재(104)의 내측면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발판재 본체(101a)의 좌우 양측의 망상형 부분(103)의 단부를 각각 사이에 끼워 붙이도록 상하 한쌍의 돌출벽(142)이 좌우로 한 쌍씩 설치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상하 돌출벽(142) 및 이것들 사이의 가로 테두리 부재(104) 내측면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수평홈(143)에, 좌우 각측의 망상형 부분(103)의 단부가 각각 끼워 넣어지고 있다. 따라서, 발판재 본체(101a) 및 가로 테두리 부재(104)가 상호 어긋나지 않는다.
또, 상기의 각 발판재(1,101)는 통상, 건축현장에서의 발판재로서 사용되지만, 그 이외에도, 예를 들면 계단용 발판과, 작업대 발판재 등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판재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같은 망상형 금속판과 세로 테두리 부재와의 용접, 리벳 체결 등에 의한 접합 작업이 불필요하며, 제조가 용이해지고,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중간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발판재의 강도가 증대되고, 따라서, 보다 폭이 넓은 발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측 또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 및 중간 테두리부의 하측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면, 사용시에, 미끄럼 방지 부재의 하부 미끄럼 방지부가 발판재의 양단부가 놓여지는 예컨대 발판틀 부분 등의 상면과 접함으로써, 발판재의 미끄럼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발판재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가로 테두리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면, 망상형 부분의 강도, 나아가서는 발판재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가로 테두리 부재를, 이것에 형성한 압입부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등의 단부내로의 압입에 의해, 발판재 본체의 양단부에 고정하도록 하면, 조립 작업을 보다 간단히 행할 수 있어서, 제조 비용도 싸게 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의, 중간이 일부 생략된 발판재 전체의 사시도,
도 2는 발판재의 수직 횡단면도,
도 3은 발판재 일부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발판재의 제조 공정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발판재 본체의 소재가 되는 알루미늄 압출 형재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출 형재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발판재 주요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VII-VII을 따라 절단한 발판재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발판재의 가로 테두리 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판재
1a: 발판재 본체
2A: 세로 테두리부
2B: 중간 테두리부
3 : 망상형 부분
4 : 가로 테두리 부재
24 : 저벽
25 : 내부 확대홈
26 : 미끄럼 방지 부재
26a: 상부 삽입부
26b: 하부 미끄럼 방지부
101 : 발판재
101a: 발판재 본체
102A: 세로 테두리부
102B: 중간 테두리부
103 : 망상형 부분
104 : 가로 테두리 부재
141 : 압입부

Claims (8)

  1. 망상형 부분과, 이 망상형 부분의 좌우 양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세로 테두리부가 단일의 금속 압출 형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저벽에, 각각 미끄럼 방지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각 미끄럼 방지 부재는 상기 각 저벽의 하면에 길이 방향에 형성된 내부 확대홈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삽입부와, 이 상부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저벽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미끄럼 방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재를 발판재 본체로 하고, 이 발판재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가로 테두리 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4. 제3항에 있어서, 각 가로 테두리 부재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에 각각 압입 가능한 내측 돌출형의 압입부를 내측면에 가지고 있고, 이들 압입부가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단부내에 각각 압입됨으로써, 발판재 본체의 양단부에 가로 테두리 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5. 망상형 부분(3, 103)과, 이 망상형 부분(3, 103)의 좌우 양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세로 테두리부(2A, 102A)와, 망상형 부분(3, 103)의 폭방향 중간의 적어도 한곳에 배치되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중간 테두리부(2B, 102B)가, 단일의 금속 압출 형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6. 제5항에 있어서, 양측 세로 테두리부(2A) 및 중간 테두리부(2B)의 저벽(24)에, 각각 미끄럼 방지 부재(26)가 장착되어 있고, 각 미끄럼 방지 부재(26)는 상기 각 저벽(24)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내부 확대홈(25)에 끼워 넣어지는 상부 삽입부(26a)와, 상부 삽입부(26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저벽(24)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미끄럼 방지부(2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재를 발판재 본체(1a, 101a)로 하고, 이 발판재 본체(1a, 101a)의 양단부에 각각 가로 테두리 부재(4, 104)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8. 제7항에 있어서, 각 가로 테두리 부재(104)는, 양측 세로 테두리부(102A) 및 중간 테두리부(102B)의 단부내에 각각 압입 가능한 내측 돌출형의 압입부(141)를 내측면에 가지고 있고, 이들 압입부(141)가 양측 세로 테두리부(102A) 및 중간 테두리 부재(104)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재.
KR1019970015805A 1997-04-28 1997-04-28 발판재 KR10054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05A KR100548752B1 (ko) 1997-04-28 1997-04-28 발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05A KR100548752B1 (ko) 1997-04-28 1997-04-28 발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91A KR19980078291A (ko) 1998-11-16
KR100548752B1 true KR100548752B1 (ko) 2006-04-07

Family

ID=4174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805A KR100548752B1 (ko) 1997-04-28 1997-04-28 발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7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849U (ko) * 1973-09-13 1975-05-20
JPS52136421U (ko) * 1976-04-13 1977-10-17
JPS5637963U (ko) * 1979-09-03 1981-04-10
JPS5662765U (ko) * 1979-10-19 1981-05-27
EP0067024A1 (en) * 1981-06-09 1982-12-15 Norton Engineering Alloys Company Limited Floor coverings
JPS6167665U (ko) * 1984-10-05 1986-05-09
JPH0222766U (ko) * 1988-07-29 1990-02-15
JPH04103860U (ja) * 1991-01-19 1992-09-08 カネソウ株式会社 玄関マツトの区画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1849U (ko) * 1973-09-13 1975-05-20
JPS52136421U (ko) * 1976-04-13 1977-10-17
JPS5637963U (ko) * 1979-09-03 1981-04-10
JPS5662765U (ko) * 1979-10-19 1981-05-27
EP0067024A1 (en) * 1981-06-09 1982-12-15 Norton Engineering Alloys Company Limited Floor coverings
JPS6167665U (ko) * 1984-10-05 1986-05-09
JPH0222766U (ko) * 1988-07-29 1990-02-15
JPH04103860U (ja) * 1991-01-19 1992-09-08 カネソウ株式会社 玄関マツトの区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91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6852A (en) Gratings
US6505444B1 (en) Free standing modular floor mat system
EP0507415B1 (en) Mat
US4833839A (en) Panel assembly
JPS6217559Y2 (ko)
JPS63148559U (ko)
KR100548752B1 (ko) 발판재
US2006929A (en) Grating and grating bar and method of fabricating gratings
JP3727404B2 (ja) 巻取形グレーチング
JP2008144553A (ja) 床構造体、及びこれに用いる床板固定金具
JPH09125689A (ja) 足場材
JP2514108B2 (ja) 折版屋根の接続構造
JP2885392B2 (ja) 縦材と横材の掛着装置
JPH0522582Y2 (ko)
JPH0233947Y2 (ko)
JP3260128B2 (ja) グレーチング
JPH0230110Y2 (ko)
JPH10331321A (ja) 面状格子
JPH0140595Y2 (ko)
JPH0523670Y2 (ko)
JPH0350214Y2 (ko)
JPH0128202Y2 (ko)
JP3068739B2 (ja) 床 材
JPH0140597Y2 (ko)
JPH0643310Y2 (ja) 床 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