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918B1 -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918B1
KR100547918B1 KR1020030050483A KR20030050483A KR100547918B1 KR 100547918 B1 KR100547918 B1 KR 100547918B1 KR 1020030050483 A KR1020030050483 A KR 1020030050483A KR 20030050483 A KR20030050483 A KR 20030050483A KR 100547918 B1 KR100547918 B1 KR 10054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layer
hot melt
forming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392A (ko
Inventor
손형우
한정국
Original Assignee
손형우
한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형우, 한정국 filed Critical 손형우
Priority to KR102003005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9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3Adhesive
    • G09F2003/0232Resistance to hea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5Forms or constructions la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82Forms or constructions for textiles, e.g. clot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방식에 의해 피부착물에 결합할 수 있는 라벨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그 제조과정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되고 그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은, 섬유층과 이 섬유층에 핫멜트층이 적층 형성된 라벨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이루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라벨층의 저면에 열가소성 재질의 핫멜트결합층이 위치되고, 이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작은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가 뿌려져 피부착체에 부착되는 핫멜트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초음파융착장치의 금형부재와 혼의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절단 및 융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은,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뿌려서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에 공간부를 갖는 핫멜트층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의 저부에 핫멜트층을 포함하는 핫멜트결합층을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핫멜트층이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 구성된다.

Description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A LABEL AND THE LABEL MANUFACTURE METHOD}
도 1은 종래 라벨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라벨 제조을 위한 초음파융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302,402:라벨층, 104,304:핫멜트결합층,
106,306:핫멜트층, 308,408:이형지층,
404:접착보조층, 406:부착층,
210:매인몸체, 220:구동몸체,
230:초음파발생장치, 250:핫멜트냉각장치,
270:금형부재, 272:지지부재,
274:금형로울러, 276:로울러구동수단.
본 발명은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를 소재로 의류 등에 부착방식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라벨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그 제조과정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되고 그 품질이 향상되게 하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 등의 공산품에 상표나 장식을 위한 용도 또는 의류 등에 디자인이나 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다양한 라벨이 부착되는 바, 이와 같은 라벨은 섬유나 합성수지재 원단에 일정한 형상이나 형태를 갖는 문양, 도안, 문자 등을 작성한 상태에서 해당 형상이나 모양으로 오려내거나 절단하여 라벨층을 형성하고, 이 라벨층의 저면상에 의류나 가방 등에 부착되는 부직포를 박음질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라벨층의 저면에 접착기능을 갖는 접착층을 도포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종래의 라벨은 라벨층이 기계적인 절단작업에 의해 형성되므로 절단된 가장자리 부분이 쉽게 손상되는 바, 즉 라벨층이 섬유로 형성되는 경우 섬유사가 부풀어올라 풀어지게 되어 외관이 불량하거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심할 경우 의류의 세탁과정에서 이탈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라벨은 라벨층 및 부직포 등이 절단공정에 의해 형성되고 부직포를 부착하거나 박음질하여야 하고,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라벨을 의류나 가방에 부착할 경우 박음질에 의해 그 부착작업이 수행되므로 그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라벨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라벨층의 저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므로서 박음질에 의하지 아니하고 라벨을 의류나 가방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등록번호;20-282795)에 나타난 원단에 의해 형성되는 라벨이 고안되고 있으며, 또한 라벨층의 제작시에 가장자리 부분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초음파가공을 통해 특정 문양을 형성하는 동시에 부직포를 열접착하여 라벨을 제조하는 작업이 시도되고 있는 바, 즉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층(12)의 저면에 부 직포(14)를 부착시키고 이 부직포(14)의 저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포함된 시트 형태의 핫멜트층(16)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초음파장치를 통과시켜 라벨(10)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라벨(10)은 도 2에 간략하게 도시된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제작되는데, 이 초음파융착장치는 매인몸체(20)와 구동몸체(30)로 구성되고, 매인몸체는 개구부(22a)가 형성된 작업대(22)상에 그 내부에 설치된 초음파발생장치(24)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진동에너지로 변환되고 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22a)측에 위치된 혼(26,horn)이 초당 약 15,000회 이상 기계 진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매인몸체(20)의 작업대(22)의 상부에 구동몸체(30)가 설치되는 바 이 구동몸체(30)상에는 실린더(32)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는 금형부재(34)가 설치되는 바, 이 금형부재(34)는 저면상에 라벨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형성부가 형성된 금형판(34a)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혼(26)의 상면과 대향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음파융착장치를 이용하여 라벨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초음파발생장치에 의해 혼(26)이 진동되는 상태에서 이 혼(26)과 금형판(34a) 사이로 라벨층(12), 부직포(14) 및 핫멜트층(16)이 순서대로 적층된 원단을 위치시키고 금형판(34a)을 하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혼의 진동에 따른 금형판상에 형성된 문양형성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문양형성부와 동일한 형상의 문양이 융착되어 절단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혼(26)은 그 진동과정에서 고열이 발생되므로 원단의 핫멜트층(16)이 융해되어 혼 바닥면상에 융착되므로 라벨의 제조가 불가능했고 작업을 하 게 되더라도 라벨의 품질이 불량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특히 일회 작업 후에 혼에 부착된 핫멜트 접착제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단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연속작업이 불가하고 또한 원단이 이동되더라도 그 이동속도가 불균일하여 라벨이 겹쳐지게 융착되는 등 라벨의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착방식에 의해 피부착물에 결합할 수 있는 라벨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그 제조과정이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되고 그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은, 섬유층과 이 섬유층에 핫멜트층이 적층 형성된 라벨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이루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라벨층의 저면에 열가소성 재질의 핫멜트결합층이 위치되고, 이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작은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가 뿌려져 피부착체에 부착되는 핫멜트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초음파융착장치의 금형부재와 혼의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절단 및 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은,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뿌려서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에 공간부를 갖는 핫멜트층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의 저부에 핫멜트층을 포함하는 핫멜트결합층을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핫멜트층이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은,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위치되게 핫멜트 접착제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층의 저면상에 부착되게 시트 형태로 형성한 분리가능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이형지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 핫멜트결합층, 핫멜트층 및 이형지층의 순으로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이형지층이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가장자리부가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은,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접착보조층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보조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부착층의 저면상에 부착되고 시트 형태의 분리가능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이형지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보조층의 저면에 의류 등의 피부착체에 접착되는 접착제 또는 피부착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층을 형성하고, 이 부착층상에 이형성지를 부착시킨 다음 접착보조층의 상면상에 라벨층을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이형지층을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가장자리부가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층(102)과, 이 라벨층(102)의 저면에 형성되는 핫멜트결합층(104)과, 이 핫멜트결합층 (104)의 저면에 형성되는 핫멜트층(106)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층(102)은 의류나 가방 등의 피부착체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 는 라벨의 외피 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초음파 절단 및 융착이 가능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핫멜트결합층(104) 또한 초음파 절단 및 융착이 가능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저면에 상기 핫멜트층(106)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핫멜트층(106)은 본 라벨이 피부착체의 부착되도록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작은 알갱이 형태의 고형 핫멜트 접착제가 뿌려져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에 공기 유동공간이 확보되게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이 핫멜트층이 알갱이로 형성되면 후술되는 그 제조과정에서 혼 상면과 접촉면적이 감소되어 이에 따른 마찰저항의 감소되는 한편 알갱이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공간은 냉각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어 이 핫멜트층(106)이 초음파융착장치의 혼 면상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즉, 액상상태의 핫멜트는 가공면에 임의적으로 흡착되어 그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핫멜트층(106)을 알갱이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그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면서 접착면적이 감소되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과정을 첨부도면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은 라벨층 형성단계(110),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120), 핫멜트층 형성단계(140)와, 상기 단계(110,120)에 의해 형성된 라벨층(102), 핫멜트결합층(104) 및 핫멜트층(106)을 이용하여 라벨원단을 형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150)와, 상기 라벨원단을 초음파 가공하여 라벨을 제조하는 라벨 형성단계(160)로 구성된다.
먼저 라벨층 형성단계(110)는 의류나 가방 등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단계로서 재단되는 소재의 폭은 라벨 형성단계에서 통과되는 혼의 지름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는 연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길게 재단되는 것이며, 또한 라벨층(102)의 상면에는 홀로그램, 악세사리 등이 부착된다.
상기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120)는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상기 라벨층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재단 형성하게 되는 바, 이 핫멜트결합층(104)을 형성하는 소재는 초음파 가공이 가능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되는 한편 그 저면에 부착되는 핫멜트층(106)의 부착성이 증가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컨대 섬유사가 메시(mesh) 형상을 갖도록 직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멜트층 형성단계(140)는 핫멜트결합층(104)의 저면상에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뿌려서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핫멜트층(106)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 핫멜트층은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에 공기 유동공간이 확보되어 라벨 형성단계(160)에서 핫멜트층이 초음파융착장치의 혼의 면상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핫멜트층 형성단계(140)는 핫멜트결합층(104)에 뿌려진 핫멜트 알갱이들의 부착력이 증가되도록 핫멜트 알갱이들을 가열하는 핫멜트층 가열단계(170)가 추가되는 바, 이와 같은 가열단계(170)는 히터 또는 히팅롤러와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 수행하여 핫멜트 접착제 알갱이들을 핫멜트결합층에 융해 부착시킨 다음 일정시간 동안 경화시켜서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핫멜트층(106)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우레탄계의 고형 칩을 솔벤트(solvent) 등의 용제로 용해한 후 건조하여 용제를 휘발시켜 고형화한 것으로, 이와 같은 핫멜트 접착제를 작은 알갱이 형태로 형성하여 핫멜트결합층에 뿌려서 부착하게 된다.
상기 라벨원단 형성단계(150)는 상기 단계(110,120,140)들에 의해 형성된 라벨층(102)의 저면에 핫멜트 접착제가 뿌려진 핫멜트결합층(104)을 위치시켜 다음 단계인 라벨 형성단계(160)를 수행하는 초음파융착장치(도 5 참조)로 투입할 수 있는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라벨층(102)과 핫멜트결합층(104)의 사이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라벨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쿠션층(108)이 삽입될 수 있고, 이 쿠션층(108)은 스펀지나 솜 등과 같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재질를 이용하여 라벨층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패드형상으로 제작하는 쿠션층 형성단계(130)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라벨 형성단계(160)는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핫멜트층이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라벨 형성단계(160)는 라벨원단이 금형부재와 혼의 사이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핫멜트층(106)이 냉각되도록 혼의 저부로부터 상온 이하의 냉각공기가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벨 형성단계(160)가 수행되는 초음파융착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작업대(212)가 구성되는 매인몸체(210)와, 이 매인몸체(210) 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몸체(220)로 구성되고, 상기 매인몸체(210)의 내부에는 초음파발생장치(230)와, 이 초음파발생장치(23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240) 등이 구성되고 초음파발생장치(230)의 상부에는 작업대(212)상으로 상면이 노출되게 혼(232)이 설치된다
그리고 혼(232)의 저부에는 상술한 라벨 형성단계(160)에서 혼의 상면으로 통과되는 핫멜트층(106)을 냉각시키는 핫멜트층냉각장치(250)가 구성되는 바, 이와 같은 핫멜트층냉각장치(250)는 상온 이하의 냉각공기를 배출되는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로부터 연결된 덕트(252)가 매인본체(210) 내부로 인입되고 그 단부의 노즐부(254)가 혼의 상측으로 배치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몸체(220)는 대략 " ㄱ " 자 형상을 갖는 프레임의 단부에 금형부재(270)가 구성되는 바, 이 금형부재(270)는 실린더(28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지지부재(272)와, 이 지지부재(272)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형로울러(274)와, 이 금형로울러(274)를 회동시키는 로울러구동수단(276)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로울러구동수단(276)은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76a)와, 금형로울러(274)의 축상에 결합되는 전동기어(276b) 및 이 전동기어(276b)와 구동모터의 구동기어(276c)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76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음파융착장치의 혼(232)과 금형로울러(274) 사이로 라벨원단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금형로울러를 하방 이동시킨 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혼(232)의 초음파 진동에 따른 금형로울러(274)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문양형성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문양형성부에 형성된 문양과 동일한 형상의 문양이 융착되어 절단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문양형성부의 외주면상에는 입술, 나비 등의 각종 모양이나 문자 등이 그 외주면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바, 예컨대 문양형성부에 입술 모양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금형로울러의 회전에 따라 입술 모양의 문양이 라벨원단에 반복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의 혼(232)의 진동과정에서 고열이 발생되더라도 하부 핫멜트층냉각장치(250)에 의한 냉각작용으로 핫멜트층의 융해가 저감되고 또한 핫멜트층이 알갱이 형태로 구성되어 그 알갱이 사이 사이로 냉각공기가 유동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므로 원단의 핫멜트층(106)이 융해되어 혼 바닥면상에 융착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라벨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금형로울러에 의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은 라벨층(302)과, 이 라벨층의 저면에 형성되는 핫멜트결합층(304)과, 이 핫멜트결합층(304)의 저면에 형성되는 핫멜트층(306)과, 이 핫멜트층의 저면에 결합되는 이형지층(308)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층(302)은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핫멜트결합층(304)은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로 형성되며, 핫멜트층(306)은 핫멜 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위치되게 핫멜트 접착제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층(308)은 핫멜트층의 저면상에 부착되게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이형지층은 후술되는 라벨의 제조과정에서 핫멜트층이 초음파융착장치의 혼의 면상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제조 완료된 라벨의 사용시에는 피부착체에 부착되는 핫멜트층(306)이 노출되도록 분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과정을 첨부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310)와, 상기 라벨층(302)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320)와, 상기 단계에 의해 형성된 핫멜트결합층(304)의 저면상에 위치되게 핫멜트 접착제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층 형성단계(330)와, 상기 단계에 의해 형성된 핫멜트층의 저면상에 부착되게 시트 형태로 형성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이형지 형성단계(340)와, 상기 단계들에 의해 형성된 라벨층(302), 핫멜트결합층(304), 핫멜트층(306) 및 이형지층(308)의 순으로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350)가 구성된다.
상기 라벨원단 형성단계(350)에서 라벨층과 핫멜트결합층의 사이에는 완성된 라벨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일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쿠션층 형성단계(370)에서 형성된 쿠션층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라벨원단 형성단계(350)에 의해 라벨원단이 구성되면 도 5에 도시된 초음파융착장치를 이용하여 라벨을 제조하는 라벨 형성단계(360)가 수행되는데, 라벨원단의 라벨층(302)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250)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이형지층(308)이 혼(232)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가장자리부가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라벨을 의류 등에 부착하고자 할 때는 먼저 이형지층를 제거하고 핫멜트층(306)을 피부착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게 되면 핫멜트층이 융해되어 접착 경화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은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라벨층(402)과, 상기 라벨층(402)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접착보조층(404)과, 상기 접착보조층(404)의 저면상에 의류 등의 피부착체에 접착되는 접착제 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로 구성된 부착층(406)과, 이 부착층(406)의 저면상에 부착되는 시트 형태의 이형지층(40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벨층(402)에는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홀로그램, 악세사리 등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라벨층(402)과 접착보조층(404) 사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라벨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한 쿠션층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층(406)이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로 도포되는 경우 이 점착제가 접촉되는 피부착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점착제를 선택하게 되는데, 예컨대 점착제와 접촉되는 피부착체가 인체의 피부일 경우에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제조된 점착제가 도포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라벨은 도 5에 도시된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제조하게 되는데, 먼저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410),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접착보조층 형성단계(420)와, 상기 접착보조층(404)의 저면에 도포되는 부착층의 저면상에 부착되도록 시트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이형지 형성단계(430)와, 상기 접착보조층(404)의 저면에 의류 등의 피부착체에 접착되는 접착제 또는 피부착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층을 형성하고(442), 이 부착층(406)상에 이형지층(408)을 부착시킨 다음(444), 접착보조층(408)의 상면상에 라벨층(446)을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440)가 구비된다.
상기 라벨원단 형성단계(440)에 의해 라벨원단이 구성되면 도 5에 도시된 초음파융착장치를 이용하여 라벨을 제조하는 라벨 형성단계(450)가 수행되는데, 상기 라벨층(402)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250)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이형지층(408)을 혼(232)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로울러(274)의 가압 및 회전동작에 의해 문양형성부에 형성된 문양으로 가장자리 부가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보조층(404)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도포가 용이하고 부착력이 강화되도록 메시(mesh) 구조의 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보조층(404)에 형성되는 부착층(406)의 소재로서 접착제 외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이유는 피부 등에 탈부착이 가능한 라벨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점착제는 피부에 자극이 적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라벨의 제조과정에서 핫멜트가 융해되어 초음파융착장치의 혼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섬유소재를 이용하여 부착방식에 의해 피부착물에 결합할 수 있는 라벨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라벨원단의 이동이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수행되어 고품질의 라벨이 얻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섬유층과 이 섬유층에 핫멜트층이 적층 형성된 라벨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이루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라벨층의 저면에 열가소성 재질의 핫멜트결합층이 위치되고, 이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작은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가 뿌려져 피부착체에 부착되는 핫멜트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초음파융착장치의 금형부재와 혼의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절단 및 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2.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알갱이 형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뿌려서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에 공간부를 갖는 핫멜트층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의 저부에 핫멜트층을 포함하는 핫멜트결합층을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핫멜트층이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층 형성단계는 핫멜트결합층에 뿌려진 핫멜트 알갱이들의 부착력이 증가되도록 핫멜트 알갱이들을 가열하는 핫멜트층 가열단계가 추가되고,
    상기 라벨 형성단계는 라벨원단이 초음파융착장치의 금형부재와 혼의 사이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핫멜트층이 냉각되도록 혼의 저부로부터 상온 이하의 냉각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
  4.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결합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결합층의 저면상에 위치되게 핫멜트 접착제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핫멜트층 형성단계와;
    상기 핫멜트층의 저면상에 부착되게 시트 형태로 형성한 분리가능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이형지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 핫멜트결합층, 핫멜트층 및 이형지층의 순으로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이형지층이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가장자리부가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
  5. 초음파융착장치에 의해 라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라벨의 외피 부분을 형성하도록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직물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라벨층 형성단계;
    상기 라벨층의 저면에 부착되게 열가소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패드 형태의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접착보조층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보조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부착층의 저면상에 부착되고 시트 형태의 분리가능한 소재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 형성하는 이형지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보조층의 저면에 의류 등의 피부착체에 접착되는 접착제 또는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층을 형성하고, 이 부착층상에 이형성지를 부착시킨 다음 접착보조층의 상면상에 라벨층을 위치시켜 라벨원단을 구성하는 라벨원단 형성단계와;
    상기 라벨층이 최상측에 위치되어 금형부재에 접하도록 위치되고 이형지층을 혼 상면상에 위치되게 통과시키면서 혼의 초음파 진동과 금형부재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금형부재에 형성된 문양으로 가장자리부가 초음파 절단되고 절단부와 접한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라벨이 형성되는 라벨 형성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30050483A 2003-07-23 2003-07-23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KR10054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483A KR100547918B1 (ko) 2003-07-23 2003-07-23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483A KR100547918B1 (ko) 2003-07-23 2003-07-23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92A KR20050011392A (ko) 2005-01-29
KR100547918B1 true KR100547918B1 (ko) 2006-01-31

Family

ID=3722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483A KR100547918B1 (ko) 2003-07-23 2003-07-23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56Y1 (ko) * 2018-02-12 2020-01-29 김영렬 로고 라벨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392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701A (en) Transferable flocked fiber design material
EP1351779B1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US20030186019A1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JPS5944240B2 (ja) 布状材料へ装飾物品を施す方法
AU2002249810A1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AU2001280711A1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flocked transfer
JP2013506057A (ja) 補足材料を織物に接合する方法
KR101432030B1 (ko) 부직포 물질상에 인디시아를 배치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물품
JPH11512129A (ja) 2枚の織布などを接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れにより得られた例えば衣服用の物品
JP3011944B2 (ja) 衣料品用の挿入体
KR100547918B1 (ko) 섬유소재를 이용한 라벨과 그 제조방법
JP6486689B2 (ja) ボタン穴形成装置
US5878681A (en) Embroiderer transfer
KR100419240B1 (ko) 액상(液狀)접착제를 이용한 원단 합포방법
KR200282795Y1 (ko) 열가공 및 열정착 라벨 원단구조
TWM565130U (zh) Pattern piece
CN109008093A (zh) 一种臂章及其加工工艺
US20230002966A1 (en) Stabilizer coating for machine embroidering
JP2956588B2 (ja) 刺繍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913519B1 (en) An embroiderer design transfer method
JP2002339212A (ja) 装飾布
JP2024035877A (ja) 曲面状の立体ワッペン
AU721191B1 (en) Embroiderer
CA1237969A (en) Handicraft bonding
JPH0241483A (ja) 表面を短繊維で覆ったセラミックス微粉末を混入した図柄状のシート層を所望の生地面に粘着する転写材並びにその転写材を以て表面を短繊維で覆ったセラミックス微粉末を混入した図柄状シート層を粘着した生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