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509B1 - Food waste handl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hand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509B1
KR100547509B1 KR1020030021804A KR20030021804A KR100547509B1 KR 100547509 B1 KR100547509 B1 KR 100547509B1 KR 1020030021804 A KR1020030021804 A KR 1020030021804A KR 20030021804 A KR20030021804 A KR 20030021804A KR 100547509 B1 KR100547509 B1 KR 10054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hamber
dehydration
grind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7743A (en
Inventor
이삼주
이용일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이삼주
이용일
이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주, 이용일, 이용태 filed Critical 이삼주
Priority to KR102003002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509B1/en
Publication of KR2004008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5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4Garbage gr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싱크대의 개수구와 연통되도록 상단이 개구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하측으로 나사상 연결부와 가이드 관이 결착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분쇄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통과시키는 걸름통이 내면에 설치되는 분쇄실과;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일단은 상기 걸름통에 인접하여 상기 분쇄실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탈수실의 중공된 상단을 덮는 상부 덮개 및 탈수망의 상단을 관통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는 교반봉이 내부에 부설되고, 상기 교반봉의 외측으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관통할 수 있는 탈수망이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 하단으로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탈수실과; 상기 분쇄실의 분쇄수단과 상기 탈수실의 교반봉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착설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탈수실의 하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let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en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ink opening of the sink, the inlet portion is screwed connection portion and the guide tube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A pulverizing chamber in which a pulverizing means for crush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lter bin for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cut by the crushing means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It includes a rotating mea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grinding chamber adjacent to the strainer and the other end is the upper cover and the transfer pip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net covering the hollow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A stirring rod for dewatering the transported food waste is placed inside, and a dehydration net that can penetrate the water removed from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stirring rod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water is discharged to one side lower end. A dehydration chamber having a discharge port discharged to the outside; A driving unit to which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grinding means of the grinding chamber and the stirring rod of the dehydration chamber is installed; Disclosed is a food waste processor including a drive unit and a base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기{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Food waste handler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투입부와 분쇄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grind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분쇄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grinding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 및 탈수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4 and 5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ipe and a dehydration chamb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의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transf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er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110 : 투입부100: food waste disposal unit 110: input unit

112 : 나사상 연결부 114 : 가이드 관112: threaded connection 114: guide tube

120 : 분쇄실 122 : 분쇄수단120: grinding chamber 122: grinding means

124 : 걸름통 130 : 이송관124: filter barrel 130: transfer pipe

132 : 제 1 이송관 134 : 제 2 이송관132: first transfer pipe 134: second transfer pipe

136 : 회전수단 140 : 탈수실136: rotation means 140: dehydration chamber

144 : 탈수망 148 : 교반봉144: dehydration net 148: stirring rod

150 : 구동부 152 : 모터150: driving unit 152: motor

160 : 베이스 164 : 벨트160: base 164: belt

162 : 방진 패드 170 : 배수부162: dustproof pad 170: drain

172 : 호스172: hose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하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processor that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at home and can be easily used.

가정에서 소비되고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즉시 처리하지 못할 경우 싱크대의 개수구 및 이와 연결되는 배수구를 막히게 하고,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구로 유입될 경우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종래 가정에서 소비되고 남은 음식물쓰레기는 싱크대의 배수 걸름통으로 걸러진 뒤, 쓰레기 봉지 등에 담아 매립하거나 소각하고 있는 실정이다.Food wastes left at home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and if they cannot be disposed of immediately, they block the drains and drains connected to the sinks, and cause water pollution when entering the drains through the drains. The food waste left after being consumed in a conventional home is filtered by a drain filter bin, and is disposed in a waste bag or incinerated.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는 수분함량이 높아 부피가 커서 처리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부패할 경우 악취와 함께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하여 환경오염의 주요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를 줄일 수 있도록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 분리수거를 하도록 하고 있지만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가 미진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대량으로 방출되고 있다.  However, food waste is difficult to handle due to its high volume of water, and in case of corruption, a large amount of leachate is generated along with odor. In order to reduce such food waste, households or restaurants are to be separated and collected, but food waste is not processed at home, resulting in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being discharged.

따라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소비하고 버려지는 많은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많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Therefore, many food waste treatment devices have been proposed that can remove moisture from many food wastes consumed and discarded in homes or restaurants, and at the same time reduce odor.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10-358442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73554호에서는 감속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크류 콘베이어형의 이송수단을 통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건조시키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및 실용신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복잡한 구성의 스크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고가로 제조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히, 상기 실용신안의 경우는 스크류에 장착된 커터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전에 음식물쓰레기가 거름망을 통해 걸러지도록 되어 있어, 거름망보다 큰 음식물쓰레기는 처리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사전에 적절한 크기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358442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73554 describe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crushing and drying food waste through a screw conveyor type conveying means driven by the operation of a reduction motor. . However,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atent and utility model adopts a screw method of a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it is inevitably manufactured at a high pri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at hom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utility model, the food waste is filtered through the strainer before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cutter mounted on the screw.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cut.

따라서, 가정에서도 용이하게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효율성이 뛰어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요구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 demand for a food waste processor with high efficiency and easy handling and use at home has not been solv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분쇄 및 탈수장치를 통하여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generated in the kitchen through a crushing and dehydration device of a simple configuration to dramatically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It is to provide a food waste processor that can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v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 및 탈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야기되는 소음(騷音)등을 자체적으로 흡수함으로써, 그로 야기되는 시스템의 불안을 감소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processor that reduces the anxiety of the system caused by itself by absorbing the noise (으로 音) caused by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grinding and dehydration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제거된 뒤의 잔류 음식물쓰레기만을 손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processor configured to easily withdraw only the remaining food waste after the moisture of the ground food waste is remov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통하여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processor that is easy to install and use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구와 연통되도록 상단이 개구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하측으로 나사상 연결부와 가이드 관이 결착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분쇄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통과시키는 걸름통이 내면에 설치되는 분쇄실과;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일단은 상기 걸름통에 인접하여 상기 분쇄실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탈수실의 중공된 상단을 덮는 상부 덮개 및 탈수망의 상단을 관통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는 교반봉이 내부에 부설되고, 상기 교반봉의 외측으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관통할 수 있는 탈수망이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 하단으로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탈수실과; 상기 분쇄실의 분쇄수단과 상기 탈수실의 교반봉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착설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탈수실의 하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 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et opening is formed in the top opening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ink opening of the sink, and the screw thread connection portion and the guide tube is bound to the lower side of the inlet; A pulverizing chamber in which a pulverizing means for crush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lter bin for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cut by the crushing means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It includes a rotating mea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grinding chamber adjacent to the strainer and the other end is the upper cover and the transfer pip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net covering the hollow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A stirring rod for dewatering the transported food waste is placed inside, and a dehydration net that can penetrate the water removed from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stirring rod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water is discharged to one side lower end. A dehydration chamber having a discharge port discharged to the outside; A driving unit to which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grinding means of the grinding chamber and the stirring rod of the dehydration chamber is installed; It provides a food waste processor comprising a bas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e unit and the dehydration chamber.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 하단은 방진패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방진패드의 상단과 하단은 고무 패킹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모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관은 전체적으로 그 일측 상부에 개폐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탈수실로 이송되는 경우 유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ttom edge of the base is composed of a dustproof pad, the top and bottom of the dustproof pad is formed of a rubber packing, between which the nois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by inserting an elastic member that can absorb the vibration of the motor It is possible to reduce, and the transfer pip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on the upper side as a whole, it is preferable to block the supply of running water when food waste is transferred to the dehydration chamber.

또한, 상기 분쇄실의 내측 상단에 센서가 구비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탈수실의 일 내측으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grinding chamber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motor when food waste is put into,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to one of the dehydration chamber, the drying to dry the dehydrated food waste Means may further comprise.

한편, 상기 이송관의 회전수단은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부의 투입구와 가이드 관 사이에는 나사상 연결부가 개재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means of the transfer pipe may be composed of a bearing and the threaded connec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and the guide tube of the inlet.

특히, 상기 이송관의 타단 외주변과 상기 상부 덮개 사이로 실링 패드가 부착되어 상부 덮개와 이송관 말단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분쇄실 및 상기 탈수실 바닥의 상면은 각각 상기 배출구 및 배수구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a sealing pad may be attach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and the upper cov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cover and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It is characterized by inclined toward the drain.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는 싱크대의 저면으로 싱크대의 개수구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와 유수를 유입시키는 투입부(110)와,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는 분쇄실(120)과, 절단된 음식물쓰레기(120)를 유수와 함께 탈수실(140)로 이송시키는 이송관(130)과, 이송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실(140)과, 분쇄실(120)과 탈수실(14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50)와, 저면의 베이스(160)로 구성된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ood wast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proces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of the sink to the bottom of the sink inlet to introduce food waste and flowing water Part 110, the crushing chamber 120 for cutting the introduced food waste, the transfer pipe 130 for transferring the cut food waste 120 to the dehydration chamber 140 with running water, and the transported food waste It is composed of a dehydration chamber 140 for remov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iving unit 150 for driving the grinding chamber 120 and the dehydration chamber 140, and the base 160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투입부(110)는 상부에 싱크대의 개수구와 연통할 수 있는 투입구(111)를 설치하고 그 하단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와 유수(流水)를 분쇄실(120)로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 관(114)이 결합된다. 통상 상기 투입구(111)의 상부와 싱크대 개수구의 하부는 볼트-너트 결합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싱크대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가이드 관(114)사이에는 투입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외측면을 나사상으로 하여 개수구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 관(114)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관(114) 상단으로 나사상 연결부(112)를 구비하였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관(114)의 상단 외주연에는 나사상 연결부(112)의 하측 외주면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음식물쓰레기는 수도꼭지로부터 흐르는 유수와 함께 투입구(111)를 거쳐 가이드 관(114)을 통과하도록 하고, 투입부(11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중간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let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1 that communicates with the sink of the sink i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ipe so that the food waste and flow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lower end easily into the grinding chamber 120 114 is combined. Usu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11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sink can be coupled through a bolt-nut coupling method,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the sink can be different, the inlet 111 and the guide tube 114 Between the bottom of the water 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tube 114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so that the height of the input unit 110 can be adjusted therebetween.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readed connection 112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guide tube 114. In this case, a flange may be formed at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tube 114 to be easily coupled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eaded connection 112. At this stage, the food waste passes through the guide tube 114 through the inlet 111 with the flowing water from the tap, and the inlet 110 is wide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food waste is caught in the middle. It is desirable to avoid.

이와 같이, 투입부를 경유한 음식물쓰레기는 투입부 하단에 설치되는 분쇄실(120)에서 절절한 크기로 절단된다. 상기 분쇄실(120)의 내측 상단은 상기 투입부(110)와 연통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내측면 및 저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유수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단이 중공된 걸름통(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름통(124)의 내측에는 걸름통의 저면과 인접하여 걸름통(124)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분쇄수단(122)이 구비된다. In this way, the food waste via the feeder is cut into an appropriate size in the grinding chamber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eeder. The inner upper end of the pulverization chamber 1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nput unit 110 to accommodate food waste, and to pass the food waste and the flowing water cu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ner side and the bottom thereof. The top of the hollow sieve 124 is formed. 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strainer 124 is provided with a grinding means 122 for cutt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trainer 124 to a predetermined size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ainer.

도 2는 본 발명의 투입부(110)와 분쇄실(12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쇄실(120)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쇄수단(122)의 중앙은 걸름통(124)의 저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 1 연결축(154)을 통하여 후술하는 구동모터(15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5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투입부(110)를 경유하여 걸름통(124)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제 1 연결축(154)은 상기 분쇄수단(122)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미도시)을 관통한 뒤, 상기 연결홀의 상단에 형성 된 고정단(155)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분쇄수단(122)은 상기 제 1 연결축(154)을 중심으로 양 말단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하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분쇄수단(122)의 상단과 하단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절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분쇄수단(122)으로 상하양날 커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unit 110 and the grinding chamb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grinding chamb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enter of the grinding means 122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5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haft 154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124, the drive motor 150 By cutting the food waste received in the strainer 124 via the input unit 110 by the operation of) to an appropriate size. The first connection shaft 154 penetrates through a connec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rinding means 122, and is firmly coupled by a fixed end 155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hole. In particular, the grinding means 122 is bent up and down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shaft 154, so that the food waste from the top and bottom of the grinding means 122 can be cut It is preferable. To this end, the grinding means 122 may be provided with a vertical cutter.

상기 분쇄수단(122)에 의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는 유수와 함께 상기 걸름통(124)을 관통하여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름통(124)의 측면에는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유수를 관통시킬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124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4a)은 적절한 크기의 음식물쓰레기만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직경 또는 면적을 가지며,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체로 하나의 열에 2 ~ 3개의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Food waste cut to the appropriate size by the crushing means 122 must penetrate through the strainer 124 with running water. For this purpose, the side of the strainer 124 passes through the cut food waste and the flowing water.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4a are formed. The through holes 124a may have a diameter or an area of an appropriate size so as to allow only food waste of an appropriate size to pass therethrough, and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generally have two to three through holes in one row.

특히, 상기 분쇄수단(122)에 의하여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의 일부는 상기 걸름통(124)의 관통공(124a)을 통과한 뒤에도 분쇄실(120)의 바닥면에 놓인 채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결국 분쇄효율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쇄실(120)의 후술하는 배출구(128)의 반대쪽 바닥의 상면으로 관통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구 쪽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분쇄실 바닥 상면(126)은 배출구(128)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서 분쇄실(120)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절단되는 과정에서도 유수를 흘려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유수가 특히 분쇄실(120) 하단에 구비 되는 구동부(150)내로 누수되어 구동모터(152)의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동부 상단(150a)은 상기 분쇄실 하단부와 긴밀하게 결합된다. In particular, a portion of the food waste cut by the grinding means 122 may not move while being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120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4a of the strainer 124. This, in turn, reduces the grinding efficiency and may cause a malfunction of the food waste processo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bottom 126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let 128 so that the food waste penetra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pposite the outlet 128 of the grinding chamber 120 to be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It was configured to los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flow the running water even in the process of cutting food waste in the grinding chamber 120.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unit 150a is tightly 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grinding chamber so that the flowing water leaks into the driving unit 15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rinding chamber 120 to cause a malfunction of the driving motor 152.

상기한 것과 같이,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음식물쓰레기는 유수와 함께 분쇄실(120)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배출구(128)를 통하여 이송관(130)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이송관(130)은 일단이 상기 분쇄실(120)의 배출구(128)와 연결되며, 타단은 탈수부(140)의 중공된 상단(140a) 및 탈수망(14의 상단 (143)를 관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관(130)은 상기 분쇄실(120)의 배출구(128)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결되는 제 1 이송관(132)과 상기 제 1 이송관(132)과 연결되어 탈수부(140)의 상단(140a)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1차례 이상 절곡되는 제 2 이송관(134)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 1 이송관(132)과 제 2 이송관(134) 사이에는 회전수단(136)이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이송관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후술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cut into an appropriate size is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pipe 1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8 provided at one lower end of the grinding chamber 120 with the flowing water. One end of the transfer pip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utlet 128 of the pulverization chamber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fer pipe 130 has a hollow upper end 140a of the dewatering unit 140 and an upper end of the dewatering net 14 ( In particular, the transfer pip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fer pipe 132 and the first transfer pipe (132) which are substantially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28 of the grinding chamber 120. 132 is divided into a second transfer pipe 134 bent one or more times so as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pper end 140a of the dewatering unit 140. The first transfer pipe 132 and the second transfer Rotating means 136 is provided between the pipes 134, and if necessary, the second transfer pipe can be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of FIG.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이송관(132)의 저면 역시 상기 분쇄실(120) 바닥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제 2 이송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절단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수와 함께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veying pipe 132 is also design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cond conveying pipe like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grinding chamber 120, so that the cut food waste is naturally moved together with the flowing wat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이송부(130)를 경유한 음식물쓰레기와 유수는 탈수실(140)의 상부 덮개(143)를 관통하여 개구된 상단(140a)을 경유하여 탈수실의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 탈수부(140) 내부로 수용된 음식물쓰레기는 구동모터(150)와 제 2 연결축(165b, 도 7 참조)으로 연결되는 교반봉(148)의 회전을 통하여 고속 교반됨으로써, 함유된 수분 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다량의 수분은 탈수실(14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배수관(174)을 통하여 배수되어,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Food waste and running water via the transfer unit 130 are received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via the upper end 140a opened through the upper cover 143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ehydration unit 140 is agitated at high spe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rod 148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65b (see FIG. 7), thereb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therein. do. In this way, a larg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174 installed outside the dehydration chamber 140,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food waste.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이송관(130)과 탈수실(14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우선,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이송관(132)과 제 2 이송관(134)의 말단(132a, 134a) 외주변에는 실링 패드(138, 142)가 개재된다. 특히, 제 2 이송관(134) 말단(134a)의 외주변에 형성된 실링 패드(142)의 외주변에는 상부 덮개(143)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 덮개(143)가 중공된 탈수부 상단(140a)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실링 패드(142)의 말단은 상기 제 2 이송관의 말단(134a)과 함께 상기 탈수부 상단(140a)의 중공된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한다.4 and 5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transfer pipe 130 and the dehydration chamb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rst, as shown, sealing pads 138 and 142 are inter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ends 132a and 134a of the first transfer pipe 132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134. In particular, the upper cover 143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aling pad 14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134a of the second transfer pipe 134, so that the upper cover 143 is hollow,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ng part 140a. It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d the end of the sealing pad 142 passes through the hollow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ng portion 140a together with the end 134a of the second transfer pipe.

따라서, 본 발명의 탈수실의 상단 덮개(143)는 부착된 실링 패드(142)와 함께 제 2 이송관(134)의 회전에 의하여 탈수실 상단(140a)의 중앙부를 개폐할 수 있는 데, 이 과정은 도 6에 도시하였다.Therefore, the upper cover 143 of the dehydration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n and close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a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transfer pipe 134 with the sealing pad 142 attached thereto. The process is shown in FIG.

즉, 분쇄실(120)에서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음식물쓰레기와 유수를 탈수실로 유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2 이송관의 말단(134a)은 탈수실 상단(140a) 및 탈수망의 상단 중공부를 관통하여 탈수실(140) 내부로 연결된다. 그 후, 탈수망(144) 내부에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이송관(132)과 제 2 이송관(134)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수단(136)에 의하여 제 2 이송관(132) 및 그 외주변으로 각각 연결되는 실링 패드(142) 및 상부 덮개(143)는 상부로 회동되고, 탈수실(130)의 상단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탈수실(140) 내부에 설치된 탈 수망(144)을 탈수실(140)의 개방된 상단으로 들어올려 탈수망을 분리하는 조작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탈수실, 이송관 등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136)은 본 발명의 이송관(1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어링, 스냅링 또는 링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n the step of introducing the food waste and oil water cut to the appropriate size in the grinding chamber 120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the end 134a of the second transfer pipe passes through the dehydration chamber top 140a and the upper hollow of the dehydration net. It is connected to the dehydration chamber 140. Thereafter, when the food waste dehydrated in the dehydration net 144 is to be removed, the second transfer pipe is formed by the rotating means 136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ransfer pipe 132 and the second transfer pipe 134. 132 and the sealing pad 142 and the upper cover 143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are rotated to the top,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130 is in an open state. Therefore, by lifting the dewatering net 144 installed inside the dehydration chamber 140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dewatering chamber 140, not only the food waste can be processed by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dewatering net, but also the dehydration chamber and the transfer. The inside of a pipe etc. can be cleaned easily. The rotating means 136 is capable of rotating the transfer pip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referable to use a bearing, a snap ring or a ring.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탈수망의 상면으로 매입홈을 설치하고, 상기 매입홈으로는 손잡이가 힌지 등의 수단을 통하여 삽입되도록 하고, 수분이 제거되어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입홈에 삽입 고정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탈수망(144)을 탈수실(1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stall a groove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hydration net, the handl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hrough the means, such as a hinge, and if the moisture is removed to remove only the dehydrated food waste in the groove By holding the handle fixedly inserted, the dewatering net 144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ewatering chamber 140.

한편, 이송관(130)을 경유하여 탈수실(14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된 경우에는 분쇄실(120) 및 이송관(130)의 경우와 달리 물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관의 다른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관(130)의 상면 또는 측면 등에 개폐밸브(135)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즉,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이송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개폐밸브(135)를 개방된 상태로 두어 유수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이송관, 탈수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탈수실에서 음식물쓰레기의 교반이 시작되면 상기 개폐밸브(135)를 조작하여 유수가 탈수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140 via the transfer pipe 130, unlike the case of the grinding chamber 120 and the transfer pipe 130, water is interrupted and water contained in the food is blocked. Needs to be removed efficiently.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8,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135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transfer pipe 130. That is, in the step of crushing and transporting the food waste, the opening / closing valve 135 is left open to allow the flow of water to flow into the transfer pipe and the dehydrat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food waste, and when the food waste is stirred in the dehydration chamber.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on-off valve 135 so that the flowing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또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탈수실 내부로 유입된 유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과 함께 탈수망을 통하여 탈수실(14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구(145)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이 경우 탈수실 내부로 유입된 유수 및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이 탈수실(140)의 바닥에 고일 수 있는 바, 탈수실(140)의 바닥 상면(146)은 상기 분쇄실의 바닥 상면(126)과 유사하게 상기 배수구(145)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수분이 배수구(145)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low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together with the food waste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145 installed at one low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through the dehydration network together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In this case, the water removed from the flowing water and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may be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and the bottom upper surface 146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may have the bottom upper surface 126 of the grinding chamber. Similarly, it is preferable to incline downward toward the drain 145 so that water can flow toward the drain 145.

특히, 본 발명의 탈수실(140) 내면에는 교반봉(148)만이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는 단계만이 기술되었으나,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단시간에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탈수실(140)의 주변부에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건조수단으로 자외선램프 및 열풍수단을 채택할 수 있는 데, 열풍수단은 발열하는 열선과 발열된 열기가 탈수실 내부로 골고루 순화할 수 있도록 외부의 구동모터가 일체화된 송풍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열풍수단은 음식물찌꺼기에 직접적으로 열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교반봉과 인접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only the stirring rod 148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hydrate food waste. However, when it is necessary to dry the dehydrated food waste in a short time, the dehydration chamber 140 is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food waste may be further included drying means for drying. Ultraviolet lamps and hot air means may be adopted as the drying means, and the hot air means may be composed of a blower fan in which an external driving motor is integrated so that the heated heating wire and the heated heat can be evenly purified into the dehydration chamber. In particular, the hot air means is prefer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stirring rod so that hot air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food waste.

상기와 같이 탈수실(140)의 배수구(145)를 통하여 유출된 유수 및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배수구(145)와 연결되는 배수관(170)에 이하여 외부의 하수구 등으로 배출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170) 말단을 연결 나사(174)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 나사(174)의 나사골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말단 내주면에 형성된 호스(172)를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수관(170)의 말단 외주변을 나사상 형상으로 하고, 상기 나사상 형상과 대응되는 나사골이 말단 내주면에 형성된 호스를 연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contained in the flowing water and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145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sewer or the like following the drain pipe 170 connected to the drain 145.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end of the drain pipe 170 is connected with a connecting screw 174, and a screw bone corresponding to the screw bone of the connecting screw 174 is connected to the hose 17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Can be fixed. Alternatively,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drain pipe 170 may have a screw shape, and a hose having a screw bone corresponding to the screw shape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음식물쓰레기의 분쇄 및 탈수는 상기 분쇄수단(122) 및 교반봉(148)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50)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통상, 음식물쓰레기 등을 분쇄, 탈수시키는 경우에는 감속모터가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구동모터(152)가 감속모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피 또는 중량에 따라 상기 분쇄수단(122) 및 교반봉(148)의 구동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데, 이를 위해서는 구동모터(152)와 연결되는 외부 제어부(미도시)의 조작을 통하여 구동모터(152)의 속도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52)의 상단은 제 1 연결축(154, 도 2 참조)을 통하여 상기 분쇄실(120)의 분쇄수단(122)과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152)의 구동력이 전달된다는 점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Crushing and dehydration of the food waste as described above is mad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52 installed inside the driving unit 150 for rotating the grinding means 122 and the stirring rod 148. In general, in the case of crushing and dehydrating food waste and the like, a reduction motor is us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15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eduction motor.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riving of the grinding means 122 and the stirring rod 148 according to the volume or weight of the food waste to be input, for this purpose of the external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52 Through operation, the speed of the driving motor 152 can be adjusted to low speed or high speed.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motor 152 is connected to the grinding means 122 of the grinding chamber 120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haft 154 (see FIG. 2),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52 is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특히,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모터(152)를 구동시키는 것은 전력 소비면에서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연속적인 구동모터(152)의 작동으로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쇄실(120)의 상단 내측면에 센서(127)를 장착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120) 상단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경우에 구동모터(152)를 가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는 음식물쓰레기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설치가 용이한 광센서가 특히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driving the driving motor 152 in a state where food waste is not injected is not only inefficient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but may also cause a failure by continuousl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152.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27 is moun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120 to operate the driving motor 152 when the food waste flows through the upper grinding chamber 120. It is preferable. The sens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inflow of food waste, but an optical sensor that is easy to install is particularly preferab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52)의 작동으로 야기되는 진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모터(152)의 구동력을 상기 탈수실(140)의 교반봉(148)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150) 및 탈수실(140)의 저면으로 베이스(16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64) 저면 모서리에는 방진패드(16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52)의 작동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60)의 상단 중앙을 가로질러 벨트(164)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력을 상기 탈수실(140) 내부에 설치된 교반봉(148)에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vibration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52 and at the same time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152 to the stirring rod 148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the drive unit 150 And the base 16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ehydration chamber 140. By installing the anti-vibration pads 162 at the bottom edges of the base 164, vibrations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52 may be absorbed.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belt 164 across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160,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152 is transmitted to the stirring rod 148 installed in the dehydration chamber 140.

본 발명의 베이스(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터(152)의 저면과 상기 교반봉(148)의 저면에는 각각 제 2 연결축(165a, 165b)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연결축들은 베이스(160) 내부 상단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벨트(164)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벨트(164)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벨트이다. Referring to FIG. 7, which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second connection shafts 165a and 165b ar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driving motor 152 and the bottom of the stirring rod 148, respectively. The second connecting shafts may be connected by a belt 164 that crosses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ase 160. The belt 164 is preferably a rubber belt.

한편, 베이스(160) 저면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기 방진패드(16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과 하층을 각각 고무패킹(163a, 163c)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상층과 하층의 고무패킹 사이에 탄성부재(163b)를 삽입함으로서, 구동모터(152)의 작동으로 야기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최대한 흡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proof pad 162 installed at the bottom edge of the base 160 has a rubber packing 163a and 163c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7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bber packings. By inserting the elastic member 163b, it is more preferable to efficiently absorb the vibration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52 to the maximu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과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을 훼손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and the fact tha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come more apparent.

예컨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개수구, 수납공간 등이 구비된 통상의 주방 싱크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수단을 채택하여 그와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od wast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a conventional kitchen sink equipped with a water port, a storage space, etc., and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by adopting a separate means.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종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와 비교할 때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od waste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that is easy to operate and us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ood waste processor, while efficiently remov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generated in the kitche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Can be. Therefore, when the food waste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 home,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그 저면에 분쇄 및 탈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으로 야기될 수 있는 시스템의 불안을 감소시켰다. In addition, since the food waste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on its bottom which can absorb vibr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rinding and dehydrating itself, it reduces anxiety of the system which may be caused by vibration.

특히, 탈수실 상단과 연결되는 이송부를 상부로 회전시킨 뒤, 탈수실 내부에 설치된 탈수망만을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뒤의 잔류 음식물쓰레기는 손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fter rotating the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to the top, the residual food waste after the water is removed by a method of removing only the dehydration net installed in the dehydration chamber can be easily taken out.

Claims (10)

싱크대의 개수구와 연통되도록 상단이 개구된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의 하측으로 나사상 연결부와 가이드 관이 결착되는 투입부와; An inlet having an upper end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a sink of the sink, and an inlet having a threaded connection portion and a guide tub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inlet;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분쇄수단에 의하여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통과시키는 걸름통이 내면에 설치되는 분쇄실과; A pulverizing chamber in which a pulverizing means for crush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lter bin for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cut by the crushing means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일단은 상기 걸름통에 인접하여 상기 분쇄실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연결되며 타단은 탈수실의 중공된 상단을 덮는 상부 덮개 및 탈수망의 상단을 관통하는 이송관과; It includes a rotating mean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grinding chamber adjacent to the strainer and the other end is the upper cover and the transfer pipe pass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net covering the hollow upper end of the dehydration chamber; 상기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시키는 교반봉이 내부에 부설되고, 상기 교반봉의 외측으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관통할 수 있는 탈수망이 내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 하단으로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탈수실과; A stirring rod for dewatering the transported food waste is placed inside, and a dehydration net that can penetrate the water removed from the food waste to the outside of the stirring rod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water is discharged to one side lower end. A dehydration chamber having a discharge port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분쇄실의 분쇄수단과 상기 탈수실의 교반봉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착설되는 구동부와; A driving unit to which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grinding means of the grinding chamber and the stirring rod of the dehydration chamber is installed; 상기 구동부와 상기 탈수실의 하단에 위치하는 베이스를 The bas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e unit and the dehydration chamber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processor contain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 하단에는 상기 모터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 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of the corner is composed of a dust-proof pad absorbing the vibration of the mo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관의 일측 상부에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i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쇄실의 내측 상단에 음식물 쓰레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food waste on the inner top of the grinding cha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탈수실의 일 내측으로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And a drying mean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one side of the dehydration chamber and configured to dry the dehydrated food was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관의 회전수단은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Rotating means of the feed pipe is a 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입부의 가이드 관 상측 외주면은 나사상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guide tube of the feeding portion is a 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관의 말단 외주변으로 실링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ad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transfer pi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분쇄실 및 상기 탈수실 바닥의 상면은 각각 상기 배출구 및 배수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Upper surfaces of the ground of the grinding chamber and the dehydration chamber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let and the drain, respectively.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방진패드의 상단과 하단은 고무 패킹이고, 그 사이에는 모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ustproof pad are rubber packings, and between them, an elastic member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 of a motor is inserted therein.
KR1020030021804A 2003-04-08 2003-04-08 Food waste handler KR1005475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804A KR100547509B1 (en) 2003-04-08 2003-04-08 Food waste hand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804A KR100547509B1 (en) 2003-04-08 2003-04-08 Food waste hand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43A KR20040087743A (en) 2004-10-15
KR100547509B1 true KR100547509B1 (en) 2006-01-31

Family

ID=3736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804A KR100547509B1 (en) 2003-04-08 2003-04-08 Food waste hand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50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52B1 (en) * 2004-10-28 2007-06-18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Cru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54B1 (en) * 2006-11-18 2008-04-14 주식회사 엠원테크 Device for treating food and drink
KR100926805B1 (en) * 2008-06-19 2009-11-12 경 택 김 Dewatering apparatus for food garbage
KR101470323B1 (en) * 2014-02-24 2014-12-12 주식회사 케이에스상사 Grinder for food waste
KR101663980B1 (en) * 2015-02-10 2016-10-24 주식회사 제이씨코퍼레이션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2661582B1 (en) * 2023-04-28 2024-04-26 전광석 articulating plumbing device for sink-mounted food waste dispo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52B1 (en) * 2004-10-28 2007-06-18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Cru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743A (en) 200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en)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JP2010195590A (en) Transfer unit having rotor, an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9262574A (en) Garbage treatment apparatus
KR100676729B1 (en) A device for recycling a waste
KR100547509B1 (en) Food waste handler
KR20110118315A (en)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KR101482763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KR101291524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with grinding and dewatering function
KR100716499B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200241647Y1 (en) Crushing and dehydration equipment of food garbage for sink
KR20110036206A (en) Sewage disposal device of food wastes
KR200245093Y1 (en) A Garbage disposer
KR101674623B1 (en) Waste-disposal unit installed at the drain of sink
KR20120059835A (en) Garbage dehydration apparatus for home use
KR200356431Y1 (en) Garbage disposer of sink
KR100378638B1 (en) Apparatus of separating food dregs for sink
KR200388684Y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100399421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disposal of food garbage
CN107417065B (en) Dirt separation and drying treatment system for intelligent environment-friendly toilet
KR100912379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KR20020070737A (en) Apparatus of Separating food dregs for sink
KR20040029353A (en) A smashing and compressive dehydrator of eating refuse
KR100752736B1 (en) Food garbage disposal equipment
KR20120032958A (en) Net changing type food waste treatment system
WO2015065042A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