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291B1 -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291B1
KR100547291B1 KR1020040004837A KR20040004837A KR100547291B1 KR 100547291 B1 KR100547291 B1 KR 100547291B1 KR 1020040004837 A KR1020040004837 A KR 1020040004837A KR 20040004837 A KR20040004837 A KR 20040004837A KR 100547291 B1 KR100547291 B1 KR 100547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assembly
unauthorized
conical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127A (ko
Inventor
임성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4000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2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내부로 침입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래치 조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관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며, 래치 조립체 내 회전축 삽입부로의 무단 해정 작업을 방해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원뿔형이나 다각뿔, 또는 'T'자 기둥형의 돌출된 부분을 갖는 보강판과, 돌출된 부분이 원뿔형이거나 다각뿔인 경우에는 그 안쪽에 2차적인 무단 해정 방지 장치로 회전 가능한 쇠구슬을 포함하며, 돌출된 부분이 'T'자형 기둥 형태인 경우에는 'T'자형 기둥 위에 씌워지는 회전 가능한 원뿔형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내부로 침입하려는 자가 디지털 도어락을 드릴을 이용하여 파손하려는 경우, 원뿔형으로 구성된 부재 및 회전하는 부재에 의해 두 단계에 걸쳐 무단 해정 방지가 이루어져,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성이 더욱 향상됨으로서 사용자가 외출 시에 더욱 안심할 수 있게 된다.
도어락, 무단 해정, 보강판, 원뿔형, 쇠구슬, 원뿔형 캡

Description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Assembly for Preventing Unauthorized Breakage of Doorlock}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
도 2는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치 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래치 조립체 102 : 데드 볼트
104 : 래치 볼트 110 : 외측 핸들
120 : 도어 130 : 외측 조작부
140 : 내측 조작부 150 : 내측 핸들
160 : 구동 모터 162 : 수평 베벨 기어
164 : 수직 베벨 기어 166 : 회전축
170 : 수동 레버 210 : 회전축 삽입부
220 : 회동체 230 : 구동 레버
240 : 해정 구동부 310 : 보강판
320 : 쇠구슬 330 : 쇠구슬 지지판
510 : 원뿔형 캡
본 발명은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외부로부터 실내로 침입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및 상점에서는 방범과 보안을 위하여 기계식 도어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범죄자들의 수법이 고도화되어 기계식 도어락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게 됨에 따라 편리성과 보안성이 뛰어난 디지털 도어락으로 교체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데드 볼트(Dead Bolt)(102)와 래치 볼트(Latch Bolt)(104)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100), 외측 핸들(110), 외측 조작부(130), 내측 조작부(140) 및 내측 핸들(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내부에는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 및 괘정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60)와 구동 모터(16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평 베벨 기어(162), 수직 베벨 기어(164) 및 회전축(166)이 포함되어 있다.
외부에서 도어(12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외측 조작부(130)에 키입력을 한다. 키입력은 숫자 키패드를 통한 비밀 번호 입력 방식과, 전자키를 통한 코드 입력 방식, 지문 입력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외측 조작부(130)를 통한 키입력이 정당하다고 판정되면, 외측 조작부(130)로부터 내측 조작부(140)의 내부에 구비된 회로 기판(미도시)으로 연결된 선을 통해 신호가 전송되고, 전송된 신호에 의해 회로 기판에서는 구동 모터(160)가 구동된다.
구동 모터(160)는 모터 축에 연결된 수평 베벨 기어(162)를 회전시키고, 수평 베벨 기어(162)와 맞물린 수직 베벨 기어(164)도 이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수직 베벨 기어(164)는 회전축(166)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직 베벨 기어(164)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66)도 같이 회전하고, 회전축(166)의 회전에 따라 래치 조립체(100)에서는 데드 볼트(102)를 해정시킨다. 그 후, 외측 핸들(110)이 회전되면, 래치 볼트(104)가 해정되어 도어(120)가 열리게 된다.
또한, 수직 베벨 기어(164)는 디지털 도어락의 수동 레버(170)와 연결되어 있다. 수동 레버(170)는 사용자가 내측 조작부(140)의 개폐 버튼(미도시)을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도어(120)를 개폐시키기 위한 레버로서, 내부의 건전지가 모두 소모되어 자동 개폐가 불가능한 경우나, 강제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도어(120)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버이다. 여기서 강제 잠금 기능이란, 전자키나 키입력에 의하여 전자적인 방식으로 도어(120)가 개폐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특정한 수동 조작을 가했을 경우에만 도어(120)가 열리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사용자가 수동 레버(170)를 회전시키면, 연결되어 있는 수직 베벨 기어(164)가 움직이게 되고, 수직 베벨 기어(164)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축(166)도 회전하게 되어 도어(120)가 개폐된다.
도 2는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래치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래치 조립체(100)는 도어(120) 내에 삽입되어 도어(120)를 해정 및 괘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데드 볼트(102)와 래치 볼트(10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래치 조립체(100) 내부에는 회전축 삽입부(210), 회동체(220), 구동 레버(230) 및 해정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회전축 삽입부(210)는 디지털 도어락의 회전축(166)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회동체(220)는 회전축 삽입부(210)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구동 모터(160)가 회전하고, 구동 모터(160)와 연결되어 있는 수평 베벨 기어(162), 수직 베벨 기어(164) 및 회전축(166)이 회전하면, 회전축(166)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부분이다.
구동 레버(230)는 회동체(220)와 연결되어 있어서, 회동체(220)의 회전에 따 라 좌우로 움직이는 부분이다.
해정 구동부(240)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홈을 통해 구동 레버(230)와 연결되어, 구동 레버(230)의 동작에 따라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해정 구동부(240)는 데드 볼트(102)와 연결되어 있어서, 해정 구동부(240)의 움직임에 따라 데드 볼트(102)는 좌우로 움직이면서 래치 조립체(10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래치 조립체(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사용자는 외출시 데드 볼트(102)를 돌출시켜 도어(120)를 잠그고, 전자키나 지문을 통한 입력 또는 숫자 키버튼을 이용한 비밀 번호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데드 볼트(102)의 돌출 상태가 해제되지 않으므로 디지털 도어락은 신뢰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범죄자들의 수법도 고도화됨에 따라, 도어(120)에 장착된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고, 래치 조립체(100)의 회동체(220)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도록 회동체(220)의 연장선상 방향에서 외측 조작부에 드릴로 구멍을 낸 뒤, 데드 볼트(102)와 직결된 회동체(220)를 강제로 돌려서 데드 볼트(102)를 해정시켜 도어(120)를 열고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회전축(166)을 형성하는 위치에 아연 다이캐스팅 외관 구조물만이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하는 작업을 하면, 천공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내부로 침입하기 위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락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로서, 정당한 해정을 위한 래치 조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관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며, 래치 조립체 내 회전축 삽입부로의 무단 해정 작업을 방해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돌출된 부분을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락으로서, 외부에서 도어를 열기 위한 키입력 버튼을 가지고 있는 외측 조작부; 내부에서 도어를 열고 잠그는 기능 및 설정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내측 조작부; 도어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 조작부 및 상기 내측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도어를 해정하거나 괘정하는 역할을 하는 래치 조립체; 및 외측 조작부의 안쪽에 설치되며, 침입을 위한 무단 해정시 도어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보강판(310)과 쇠구슬(320)로 이루어진다.
보강판(310)은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굴곡이 있는 평평한 면이되, 면의 중앙부가 원뿔 모양으로 솟아 있다. 스테인레스는 강도가 크며 부식이 되지 않는 합금으로 내식성, 내열성 및 전기와 자성을 완전히 차단하는 비자성이 뛰어나므로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보강판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이다. 보강판(310)은 드릴을 이용한 도어락의 파괴로부터 래치 조립체(1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아연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제작된 외관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며, 래치 조립체(100)의 크기만큼만 설치되는 것이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나 내측 전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강판(310)의 가운데 부분은 원뿔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른 형태의 다각뿔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쇠구슬(320)은 구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보강판(310)의 가운데에 돌출되어 있는 원뿔 안쪽에 위치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디지털 도어락의 외측 조작부(130)의 안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회전축(166)과 동일한 선상에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의 쇠구슬(320)이 위치한다.
불순한 목적을 가진 자가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고 도어(120)를 해정하여 실내로 침입하려 하는 경우, 가장 흔한 방법으로서 드릴을 이용하여 회동체(220)의 연장선상 방향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통하여 회동체(220)를 강제로 돌려서 도어(120)를 해정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드릴로 회전축(166) 부위를 천공하게 되면, 드릴은 내부에 설치된 보강판(310)의 원뿔형 부분에 부딪치게 된다. 보강판(310)의 원뿔형 부분에 부딪친 드릴은 원뿔형의 비스듬한 면으로 인하여 회전축(166)에 일치되지 못하고 옆으로 빗나가게 되므로 무단 해정이 일차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드릴 조작으로 인하여 회전축(166) 부분을 덮고 있는 원뿔형 부분이 뚫어지게 된다 하더라도, 드릴은 쇠구슬(320)에 부딪치게 된다. 드릴과 쇠구슬(320)이 부딪치면, 드릴의 회전에 따라 쇠구슬(320)도 같이 회전을 하게 되고, 쇠구슬(320)의 회전으로 인하여 드릴은 쇠구슬(320)을 관통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무단 해정에 대한 이차적인 방지가 이루어진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쇠구슬 지지판(330)을 포함하는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쇠구슬 지지판(330)의 바깥쪽에 보강판(310)이 위치하게 되고, 쇠구슬 지지판(330)에서 회전축(166)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보강판(310)의 원뿔형 부분이 위치한다. 그리고, 그 원뿔 안에 쇠구슬(320)이 위치하게 된다.
쇠구슬(320)의 일부는 쇠구슬 지지판(330)의 안쪽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 는 외부에서 침입을 목적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무단 해정 작업을 하는 경우에 쇠구슬(320)이 밀리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보강판(310)과 원뿔형 캡(510)으로 이루어진다. 보강판(31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굴곡이 있는 판의 형태를 가지며, 가운데에 'T'자 모형의 기둥이 솟아 있다.
원뿔형 캡(510)은 보강판의 'T'자형 기둥 위에 씌워진다. 원뿔형 캡(510)은 'T'자형 기둥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끝 부분에 안쪽으로 돌기가 솟아 있으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T'자형 기둥과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고 있다. 원뿔형 캡(510)은 단단한 강도를 지니도록 스테인레스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b는 도 5a의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도 5a의 발명에 따른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디지털 도어락의 외측 조작부(130)의 안쪽에 설치되며, 디지털 도어락의 회전축(166)의 위치에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의 원뿔형 캡(510)이 위치한다.
도 5b의 디지털 도어락도, 외부에서 침입을 목적으로 드릴을 이용하여 회전축(166) 부위에 구멍을 뚫으려 하는 경우, 원뿔형 캡(510)의 원뿔 부분에 의해서 드릴과 회전축(166)이 맞춰지지 못하고 옆으로 빗나가게 된다.
또한, 원뿔의 첨두부를 완만하게 만들어서 드릴과 회전축(166)을 맞춘다고 하여도, 원뿔형 캡(510)이 드릴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관통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계속 회전하게 되어 무단 해정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내부로 침입하려는 자가 드릴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을 파손하려는 경우, 원뿔형으로 구성된 부재 및 회전하는 부재를 이용하여 두 단계에 걸쳐 무단 해정을 방지하게 되어, 디지털 도어락의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서 사용자들은 외출 시에 더욱 안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락을 파손하여 강제 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로서,
    정당한 해정을 위한 래치 조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락의 외각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래치 조립체 내 회전축 삽입부로의 무단 해정 작업을 방해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돌출되되 원뿔이나 다각뿔의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2차적인 무단 해정 방지 장치로서, 상기 원뿔형이나 다각뿔의 안쪽에 회전 가능한 쇠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쇠구슬은,
    드릴 등을 이용한 상기 무단 해정 작업시, 상기 드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원뿔형이나 다각뿔의 내부에 유동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6.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락을 파손하여 강제 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로서,
    정당한 해정을 위한 래치 조립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락의 외각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래치 조립체 내 회전축 삽입부로의 무단 해정 작업을 방해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동일 선상에 돌출되되 'T'자형 기둥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갖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는,
    상기 'T'자형 기둥 위에 회전 가능한 원뿔형 캡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40004837A 2004-01-26 2004-01-26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KR100547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37A KR100547291B1 (ko) 2004-01-26 2004-01-26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37A KR100547291B1 (ko) 2004-01-26 2004-01-26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27A KR20050077127A (ko) 2005-08-01
KR100547291B1 true KR100547291B1 (ko) 2006-01-26

Family

ID=3726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837A KR100547291B1 (ko) 2004-01-26 2004-01-26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3159B (zh) * 2018-07-27 2020-03-24 徐昌虎 一种门板门锁冲孔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27A (ko)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832A (ko) 출입문용 보안 장치
US8555793B2 (en) Active hardplate
KR100547291B1 (ko) 무단 해정 방지 조립체
EP1340868A2 (de) Türschlossüberwachungseinheit
CN201024766Y (zh) 手机接收报警锁
US20050210934A1 (en) Keyless latch for an anti-burglalry window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KR100387951B1 (ko)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KR101449437B1 (ko) 추가 내부 잠금장치를 갖는 디지털 도어록
JP3099000U (ja) 電子錠
CN201351397Y (zh) 插芯锁开闭锁定装置
US20240068271A1 (en) Deadbolt
CN206397271U (zh) 一种安全锁壳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0418212B1 (ko)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KR100544798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200398176Y1 (ko) 불법 해체방지기능을 갖는 출입문용 문틀 차단구조
CN107130843A (zh) 一种智能防盗锁体的离合装置
CN215056226U (zh) 一种智能门锁
CN206888701U (zh) 一种智能防盗锁体的离合装置
CN206110904U (zh) 受保护的杆锁组件
CN211115271U (zh) 防止敲开的电子锁
CN215803895U (zh) 一种装甲车门锁机构
KR101018454B1 (ko) 안티패닉 회동방지 조립체
KR100574687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키뭉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