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901B1 -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901B1
KR100546901B1 KR1020030083557A KR20030083557A KR100546901B1 KR 100546901 B1 KR100546901 B1 KR 100546901B1 KR 1020030083557 A KR1020030083557 A KR 1020030083557A KR 20030083557 A KR20030083557 A KR 20030083557A KR 100546901 B1 KR100546901 B1 KR 10054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mbustion chamber
heat source
combustion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814A (ko
Inventor
장태훈
Original Assignee
장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훈 filed Critical 장태훈
Priority to KR102003008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9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3/00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 C10B53/07Destructive distill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olid raw materials or solid raw materials in special form of solid raw materials consisting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e.g. tyr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1/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 C10G51/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51/04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cracking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only thermal and catalytic cracking ste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버려지는 폐기물을 소각함과 아울러 소각열을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를 고온으로 열분해하여 가솔린, 디젤유 등을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속공정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는 소각로와, 소각로와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안내받아 고온의 열원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연소실을 갖는 연소부; 제 1 연소실과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고 외부에는 폐합성수지를 진공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 1 공급관이 배치되는 제 2 연소실과, 폐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제 2 연소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를 기화시켜 1차 정제유를 생산하는 제 1 분해실을 갖는 제 1 분해부; 제 2 연소실과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3 연소실과, 제 3 연소실의 열원을 안내 받는 제 1 열교환기와, 제 3 연소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온도조절하우징과, 1차 정제유가 안내됨과 아울러 제 3 연소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1차 정제유를 기화시켜 2차 정제유를 생산하는 제 2 분해실을 갖는 제 2 분해부; 및 제 1 열교환기와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2 열교환기와, 제 2 열교환기와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2 온도조절하우징과, 제 2 온도조절하우징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배치되어 경유 및 석유와 같은 잡유 또는 휘발유를 생산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정제실을 갖는 정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Clarifier using destruction by fire and cataly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분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연소실 및 제 1 분해실의 내부로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분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정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200 : 연소부 210 : 소각로 220 : 제 1 연소실 300 : 제 1 분해부
310 : 제 2 연소실 314 : 제 1 공급관
330 : 제 1 분해실 334a : 제 1 교반축
334b : 제 2 교반축 336 : 제 2 공급관
400 : 제 2 분해부 410 : 제 3 연소실
412 : 제 1 열교환기 430 : 재 2 분해실
500 : 정제부 510 : 제 2 열교환기
540a : 제 1 정제실 540b : 제 2 정제실
540c : 제 3 정제실
본 발명은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폐기물을 소각함과 아울러 소각열을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를 고온으로 열분해하여 가솔린, 디젤유 등을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속공정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과 가속화에 따라 합성수지로 제작된 물품들이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 제품들은 재활용도가 떨어지고 대부분 쓰레기로 폐기 처분되고 있으며 자연 상태로 부패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폐합성수지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처리 기술 중 폐합성수지를 열분해 또는 촉매공정으로 석유에너지 즉, 가솔린, 디젤유 등을 추출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 중 열분해 방법은 열을 얻기 위하여 또 다른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촉매공정을 이용한 방법은 촉매의 선택에 따른 생산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 니라 이러한 열분해 방법 및 촉매공정 방법은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 중 대기에 노출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려지는 폐기물을 소각함과 아울러 소각열을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를 고온으로 열분해하여 가솔린, 디젤유 등을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속공정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재생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와, 소각로와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안내받아 고온의 열원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연소실을 갖는 연소부;
제 1 연소실과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고 외부에는 폐합성수지를 진공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 1 공급관이 배치되는 제 2 연소실과, 폐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제 2 연소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를 기화시켜 1차 정제유를 생산하는 제 1 분해실을 갖는 제 1 분해부;
제 2 연소실과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3 연소실과, 제 3 연소실의 열원을 안내 받는 제 1 열교환기와, 제 3 연소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온도조절하우징과, 1차 정제유가 안내됨과 아울러 제 3 연소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1차 정제유를 기화시켜 2차 정제유를 생산하는 제 2 분해실을 갖는 제 2 분해부; 및
제 1 열교환기와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2 열교환기와, 제 2 열교환기와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2 온도조절하우징과, 제 2 온도조절하우징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배치되어 경유 및 석유와 같은 잡유 또는 휘발유를 생산하는 제 1 정제실, 제 2 정제실 및 제 3 정제실을 갖는 정제부로 이루어진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려지는 폐기물을 소각함과 아울러 소각열을 이용하여 폐합성수지를 고온으로 열분해하여 가솔린, 디젤유 등을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속공정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100)는 연소부(200), 제 1 분해부(300), 제 2 분해부(400) 및 정제부(500)를 구비한다.
먼저, 연소부(200)는 재생 불가능한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210)와, 소각로(210)의 상부에 연통가능하게 배치되면서 폐기물의 연소가스가 안내 받아 고온의 열원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연소실(220)을 구비한다. 이때, 제 1 연소실(220)의 일측에는 안내된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222)가 배치되고, 버너(222)의 외주에 는 외부 공기를 제 1 연소실(22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공기유입공(22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소부(200)에는 제 1 분해부(300)가 연결된다.
제 1 분해부(300)는 제 2 연소실(310)과, 원통형상을 가지며 제 2 연소실(310)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 1 분해실(330)을 구비한다. 제 2 연소실(310)은 제 1 연소실(220)과 연통하면서 제 1 연소실(220)의 열원을 안내 받는다. 이러한 제 2 연소실(310)이 외부에는 진공을 유지하면서 폐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급스크루(312)가 배치되는 제 1 공급관(314)이 배치된다. 이때, 제 1 공급관(314)에는 폐합성수지를 완전 용융되지 않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히팅코일(316) 및 수분제거기(318)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연소실(310)의 내측면은 내화벽돌(320)로 형성된다. 한편, 제 1 분해실(330)은 중앙부분 및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 다수의 제 1 교반날개(332a) 및 제 2 교반날개(332b)가 형성된 제 1 교반축(334a) 및 제 2 교반축(334b)이 장착되고, 제 1 분해실(330)의 일단에는 제 1 공급관(314)과 연결되는 제 2 공급관(336)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 2 연소실(310)의 열원으로 인하여 완전 연소된 폐합성수지의 재를 배출하는 제 1 재배출관(338)이 제 2 연소실(3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분해실(330)의 양측으로 노출된 제 2 연소실(3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용융된 폐합성수지의 기화가스가 배출되는 제 1 기화가스관(340)이 형성되고, 제 1 기화가스관(340)에는 제 1 기화가스관(340)을 따라서 안내된 기화가스를 1차 정제유로 변환시키는 제 1 응축기(342)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분해실(330)의 내부에는 용융되는 폐합성수지의 화학반응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마사토를 주 성분으로 한 다공체 형상을 가지는 제 1 촉매(344)가 내장된다. 또한 제 1 교반축(334a) 및 제 2 교반축(334b)은 제 2 연소실(3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 1 구동모터(346a) 및 제 2 구동모터(346b)에 의해서 회전되고, 제 1 구동모터(346a)와 제 1 교반축(334a) 및 제 2 구동모터(346b)와 제 2 교반축(334b)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분해부(300)에는 제 2 분해부(400)가 연결된다.
제 2 분해부(400)는 제 3 연소실(410)과, 제 1 온도조절하우징(420) 및 제 1 온도조절하우징(420)에 내부에 배치되면서 제 3 연소실(410)의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 배치되는 제 2 분해실(430)을 구비한다. 제 3 연소실(410)은 제 2 연소실(310)과 연통하면서 제 2 연소실(310)의 열원을 안내 받는다. 이러한 제 3 연소실(410)의 일측에는 제 1 열교환기(412)가 배치된다. 제 1 온도조절하우징(420)은 제 3 연소실(4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온도조절하우징(420)의 일단 하부 및 타단 상부에는 제 3 연소실(4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조절관(422) 및 제 2 조절관(424)이 형성되고, 제 1 조절관(422)에는 외부공기가 강제로 유입시켜 제 3 연소실(4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 송풍기(426)가 장착된다. 한편, 제 2 분해실(430)은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제 1 분해실(330)에서 변환된 1차 정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 기화가스관(340)과 연통하는 제 2 기화가스관(432)이 형성되고, 제 2 분해실(430)의 상부에 인접한 내측에는 제 1 필터(434)가 내장된다. 이때, 제 2 분해실(430)의 상부에는 제 3 연소실(410)의 열원으로 인하여 기 화된 기화가스를 배출하는 제 3 기화가스관(436)이 형성되고, 제 3 기화가스관(436)에는 제 2 응축기(446)와 제 1 유수분리기(438) 및 제 1 유수분리기(438)와 연결된 제 1 여과필터(440)가 장착된다. 즉, 제 2 분해실(430)에서 기화된 1차 정제유의 기화가스는 제 3 기화가스관(436)과 제 1 유수분리기(438) 및 제 1 여과필터(440)를 통과하면서 2차 정제류가 생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분해실(430)의 내부에는 제 2 기화가스관(432)으로 유입된 1차 정제유의 화학반응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 1 촉매(344)와 동일한 제 2 촉매(442)가 내장되고, 제 2 분해실(430)의 하부에는 제 2 재배출관(444)이 형성된다.
한편, 정제부(500)는 제 2 열교환기(510), 제 2 열교환기(510)의 열을 안내 받는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 및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에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 배치되는 다수의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을 구비한다. 제 2 열교환기(510)는 제 1 열교환기(412)와 연결되는 제 1 챔버(512a)와 제 1 챔버(512a)의 일측에서 제 1 챔버(512a)와 연결됨과 아울러 공기정화시설(A)과 연결되는 제 2 챔퍼(512b)를 구비한다. 이때, 제 1 챔버(512a)의 내부에는 제 1 열교환기(412)의 열원을 안내 받는 다수의 제 1 히팅파이프(514a)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챔버(512b)의 내부에는 제 1 히팅파이프(514a)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히팅파이프(514b)가 배치된다. 이때, 제 1 챔버(512a) 및 제 2 챔버(512b)에는 제 1 챔버(512a) 및 제 2 챔버(512b)의 외부로 연장되면서 서로 연통하는 제 3 조절관(516) 및 제 4 조절관(518)이 형성되고, 제 3 조절관(516)에는 제 1 히팅파 이프(514a)에 의해서 가열된 제 1 챔버(512a) 및 제 2 히팅파이프(514b)에 의해서 가열된 제 2 챔버(512b) 내의 가열공기를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 측으로 송풍하는 제 2 송풍기(520)가 배치된다.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은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온도변화를 가질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은 제 4 조절관(518)과 연결된다. 이때, 제 4 조절관(518)과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의 일단 사이에는 제 4 조절관(518)에서 배출되는 가열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조절히터(534)가 장착된다. 한편,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은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의 일단측에서부터 타단 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은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제 2 분해실(430)에서 정제된 기름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 제 3 기화가스관(436)과 연통하는 제 4 기화가스관(542a, 542b, 542c)이 형성되고,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의 상부에 인접한 내측에는 각각 제 2 필터(544a, 544b, 544c)가 내장된다. 이때,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의 상부에는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의 내부로 전달된 가열공기로 인하여 기화된 기화가스를 배출하는 각각의 제 5 기화가스관(546a, 546b, 546c)이 형성되고, 제 5 기화가스관(546a, 546b, 546c)에는 각각 제 3 응축기(556a, 556b, 556c)와, 제 3 응축기(556a, 556b, 556c)와 연결된 각각 제 2 유수분리기(548a, 548b, 548c) 및 각각의 제 2 유수분리기(548a, 548b, 548c)와 연통된 제 2 여과필터(550a, 550b, 550c)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의 내부에는 제 2 촉매(442)와 동일한 제 3 촉매(552)가 내장되고,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의 하부에는 각각 제 3 재배출관(554a, 554b, 554c)이 형성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재생이 불가능한 폐기물과 폐합성수지를 분리한 상태 하에서 재생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소각로(210)에 투입하여 연소시킨다. 이렇게 재생이 불가능한 폐기물이 소각로(210)에서 연소되면 연소가스(건류가스)는 소각로(210)와 연결된 제 1 연소실(220) 측으로 안내되고, 안내된 연소가스(건류가스)는 공기유입공(224)에서 안내된 공기와 버너(222)에 의해서 1200~850℃의 온도로 완전 연소되고, 완전 연소된 열원은 제 2 연소실(310) 측으로 안내된다. 제 2 연소실(310) 측으로 안내된 열원은 500~700℃의 온도를 유지한다. 이렇게 제 2 연소실(310) 측으로 열원이 공급되면, 폐합성수지를 공급시킨다. 이때, 폐합성수지는 제 1 공급관(314)을 따라서 진공으로 공급되면서 히팅코일(316)에 의해서 표면이 서서히 용융되고, 수분제거기(318)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되면서 제 2 공급관(336)을 거쳐 제 1 분해실(330) 측으로 공급된다. 제 1 분해실(330) 측으로 공급된 폐합성수지는 제 1 교반축(334a) 및 제 2 교반축(334b)에 의해서 미리 내장된 제 1 촉매(344)와 혼합되면서 제 2 연소실(310)의 온도에 의해서 완전 용융되고, 용융된 기화가스는 제 1 기화가스관(340)을 따라서 배출된다. 이때 제 1 촉매(344)는 폐합성수지의 기화를 촉진시키면서 용융된 폐합성수지의 이물질 특히, 색소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제 1 기화가스관(340)을 따라서 안내되는 기화가스는 제 1 응축기(342)를 지나 냉각되어 제 2 분해부(400)로 안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응축기(342)를 지난 1차 정제유는 제 2 기화가스관(432)을 따라서 제 2 촉매(442)가 미리 내장되어 있는 제 1 분해실(430) 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제 1 분해실(430) 측으로 안내된 1차 정제유는 제 2 연소실(310)과 연결되어 열원을 공급받는 제 3 연소실(410)의 열원에 의해서 다시 기화되어 제 3 기화가스관(436)을 따라 배출됨과 아울러 제 2 응축기(446) 및 제 1 유수분리기(438), 제 1 여과필터(440)를 거쳐 2차 정제유가 생산된다. 이때, 제 3 연소실(410)은 300~400℃의 온도를 유지하게되며, 300~400℃ 이상의 온도가 공급되면 제 1 온도조절하우징(420)의 제 1 송풍기(426)는 작동하여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제 2 분해부(40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 2 분해부(400)에서 2차 정제유가 생산되면, 제 2 분해실(400)에서의 열원은 제 1 열교환기(412)를 거쳐 제 2 열교환기(510)로 안내되고, 2차 정제유는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 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제 2 열교환기(510)의 제 2 송풍기(520)는 제 2 열교환기(510) 내의 제 1 히팅파이프(514a) 및 제 2 히팅파이프(514b) 사이의 열원을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 측으로 안내하게된다. 이때, 제 1 정제실(540a)이 배치된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은 250℃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제 2 정제실(540b)이 배치된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은 220℃의 온도를 유지하며, 제 3 정제실(540c)이 배치된 제 2 온도조절하우징(530)은 120℃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 3 촉매(552a, 552b, 552c)가 미리 내장된 제 1 정제실(540a), 제 2 정제실(540b) 및 제 3 정제실(540c)에 공급된 2차 정제유는 제 2 열교환기(510)에서 안내된 열원에 의해서 기화되고, 각각의 기화가스는 각각 제 4 기화가스관(542a, 542b, 542c)을 따라 배출됨과 아울러 제 3 응축기(556a, 556b, 556c) 및 제 2 유수분리기(548a, 548b, 548c), 제 2 여과필터(550a, 550b, 550c)를 거쳐 정제된다. 이때, 제 1 정제실(540a) 및 제 2 정제실(540b)에는 디젤유 또는 석유와 같은 잡유가 정제되고, 제 3 정제실(540c)에는 가솔린이 정제되어 생산된다. 한편, 제 2 연교환기(510)의 일측에는 공기정화시설(A) 또는 난방시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100)는 재생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연소시켜 연소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소각함과 동시에 폐합성수지에서 다양한 원유를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원유를 추출하고 남은 열원을 이용하여 보일러와 같은 난방시설을 가동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연소부(200), 제 1 분해부(300), 제 2 분해부(300) 및 정제부(500)가 작업공정에 맞추어 서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재생이 불가능한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와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안내받아 고온의 열원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연소실을 갖는 연소부;
    상기 제 1 연소실과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고 외부에는 폐합성수지를 진공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 1 공급관이 배치되는 제 2 연소실과, 상기 폐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연소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폐합성수지를 기화시켜 1차 정제유를 생산하는 제 1 분해실을 갖는 제 1 분해부;
    상기 제 2 연소실과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3 연소실과, 상기 제 3 연소실의 열원을 안내 받는 제 1 열교환기와, 상기 제 3 연소실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온도조절하우징과, 상기 1차 정제유가 안내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연소실의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1차 정제유를 기화시켜 2차 정제유를 생산하는 제 2 분해실을 갖는 제 2 분해부;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와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2 열교환기와, 상기 제 2 열교환기와 연통하면서 열원을 안내 받는 제 2 온도조절하우징과, 상기 제 2 온도조절하우징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배치되어 경유 및 석유와 같은 잡유 또는 휘발유를 생산하는 제 1 정제실, 제 2 정제실 및 제 3 정제실을 갖는 정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소실은 상기 소각로에서 안내된 연소가스를 고온의 열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일측에 연소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가 배치되고, 상기 버너의 외주에는 외부 공기를 상기 제 1 연소실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공기유입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소실의 내측면은 내화벽돌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급관에는 진공을 유지하면서 폐합성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급스크루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공급관에는 히팅코일과 수분제거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해실은 중앙부분 및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교반날개 및 제 2 교반날개가 형성된 제 1 교반축 및 제 2 교반축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분해실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공급관과 연결되어 폐합성수지를 안내 받는 제 2 공급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 2 연소실의 열원으로 인하여 완전 연소된 폐합성수지의 재를 배출하는 제 1 재배출관이 상기 제 2 연소실의 외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분해실의 양측으로 노출된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용융된 폐합성수지의 기화가스가 배출되는 제 1 기화가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화가스관에는 상기 제 1 기화가스관을 따라서 안내된 기화가스를 상기 1차 정제유로 변환시키는 제 1 응축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해실은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 상기 제 1 분해실에서 생산된 1차 정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기화가스관과 연통하는 제 2 기화가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해실의 상부에 인접한 내측에는 제 1 필터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상기 제 3 연소실의 열원으로 기화된 상기 1차 정제유의 기화가스를 배출하는 제 3 기화가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기화가스관에는 제 2 응축기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응축기에는 제 1 유수분리기 및 제 1 여과필터가 장착되어 상기 제 2 정제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소실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온도조절하우징은 일단 하부 및 타단 상부에 상기 제 3 연소실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1 조절관 및 제 2 조절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절관에는 외부공기를 강제로 유입할 수 있도록 제 1 송풍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제 1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의 일측에서 연결됨과 아울러 공기정화시설과 연결되는 제 2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열원을 안내 받는 다수의 제 1 히팅파이프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마찬 가지로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히팅파이프와 연결되는 다수의 제 2 히팅파이프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에는 서로 연동하면서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3 조절관 및 제 4 조절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조절관에는 상기 제 1 히팅파이프에 의해서 가열된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히팅파이프에 의해서 가열된 상기 제 2 챔버 내의 가열공기를 상기 제 2 온도조절하우징 측으로 송풍하는 제 2 송풍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온도조절하우징은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온도변화를 가질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일단은 상기 제 4 저절관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 4 조절관과 상기 제 2 온도조절하우징 사이에는 가열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조절히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제실, 상기 제 2 정제실 및 상기 제 3 정제실은 하부에 인접한 원주면 상에는 상기 제 2 분해실에서 2차 정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제 3 기화가스관과 연통하는 제 4 기화가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정제실, 상기 제 2 정제실 및 상기 제 3 정제실의 상부에 인접한 내측에는 각각 제 2 필터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정제실, 상기 제 2 정제실 및 상기 제 3 정제실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온도조절하우징의 내부로 전달된 가열공기로 인하 여 기화된 2차 정제유의 기화가스를 배출하는 각각의 제 5 기화가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 5 기화가스관에는 각각 제 3 응축기와, 상기 제 3 응축기와 연결된 제 2 유수분리기 및 각각의 상기 제 2 유수분리기와 연통된 제 2 여과필터가 장착되어 휘발유 또는 잡유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해실, 상기 제 2 분해실 및 상기 제 1 정제실, 제 2 정제실, 제 3 정제실에는 용융되는 폐합성수지 또는 1차 정제유 또는 2차 정제유의 화학반응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마사토를 주 성분으로 한 다공체 형상의 촉매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KR1020030083557A 2003-11-24 2003-11-24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KR10054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57A KR100546901B1 (ko) 2003-11-24 2003-11-24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57A KR100546901B1 (ko) 2003-11-24 2003-11-24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814A KR20050049814A (ko) 2005-05-27
KR100546901B1 true KR100546901B1 (ko) 2006-01-25

Family

ID=3866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57A KR100546901B1 (ko) 2003-11-24 2003-11-24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85B1 (ko) * 2008-06-23 2010-09-15 추용식 폐합성수지 연료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814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21308A (zh) 一种VOCs工业废气处理系统
JP2005180880A (ja) 廃棄物の熱分解処理装置および熱分解処理制御システム
EP2675755B1 (en) Ammonia stripper
KR100546901B1 (ko) 소각열분해 및 촉매를 이용한 유화 정화장치
FI68311B (fi) Foerbraenningsugn foer foerbraenning av fast och flytande avfall
KR100504390B1 (ko) 저열량 가스의 선회 연소장치
KR19990028458A (ko) 연료 가스 생성 방법 및 장치
CN1258056C (zh) 一种热解气化湍流喷射燃烧装置
JPH11159718A (ja) 燃焼装置および燃焼方法
EP4279458A1 (en) Ammonia stripper apparatus
KR100777616B1 (ko) 고탄소성 산업폐기물의 저온 열분해장치
JP3321669B2 (ja) 炭化装置
RU2282788C1 (ru) Установка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и уничтожения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WO20142030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solid waste
TWI504844B (zh) 一種揮發性有機化學廢氣處理並回收能源的方法及使用該方法的蓄熱再生氧化型廢熱回收鍋爐
KR101594726B1 (ko) 폐기물 처리용 친환경 건류장치
JPH0712321A (ja) 焼却排ガス有害物質熱分解炉
SU1513315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езвреживани сточной воды
CA1045465A (en) Energy generation from the controlled, essentially pollution free burning of organic waste products in a multi-chambered burner
SU16384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жигани недробленного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CN206361695U (zh) 综合治理VOCs废气的热能设备
KR940002987B1 (ko) 폐기물 처리 플랜트
CN206361694U (zh) VOCs废气综合治理系统
JP2004162971A (ja) リサイクル炉及びその燃焼方法
SU1245798A1 (ru) Топка дл сжигани твердых и жидких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