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660B1 -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660B1
KR100546660B1 KR1020030052227A KR20030052227A KR100546660B1 KR 100546660 B1 KR100546660 B1 KR 100546660B1 KR 1020030052227 A KR1020030052227 A KR 1020030052227A KR 20030052227 A KR20030052227 A KR 20030052227A KR 100546660 B1 KR100546660 B1 KR 10054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icrowave oven
assembly
recessed groove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721A (ko
Inventor
최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660B1/ko
Priority to DE602004025351T priority patent/DE602004025351D1/de
Priority to CA2532977A priority patent/CA2532977C/en
Priority to AT04748460T priority patent/ATE456925T1/de
Priority to ES04748460T priority patent/ES2337690T3/es
Priority to EP04748460A priority patent/EP1649727B1/en
Priority to PCT/KR2004/001822 priority patent/WO2005009083A1/en
Priority to US10/895,976 priority patent/US7202455B2/en
Publication of KR2005001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1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the supports being rot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리실 내부의 트레이가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회전도 이루어지면서 조리물의 조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에는 수용부가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제1요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조리실의 장방향 측으로 직선 왕복하면서 이동되는 제1트레이; 상기 제1트레이의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되며, 저면에는 제2요입홈이 요입 형성된 제2트레이; 상기 수용부 내의 저면과 상기 제2트레이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트레이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수단; 상기 각 트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1트레이가 직선 왕복되도록 직선 왕복운동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제2트레이가 회전되도록 회전운동력을 제공하는 운동 변환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전자 레인지,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회전 지지수단

Description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moving assembly for tray in microwave oven}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전자 레인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트레이가 좌우로 직선 왕복 이동되는 형태의 전자 레인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 는 도 2의 구조에 따른 트레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를 이루는 회전 지지수단에 대한 다른 적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제1트레이 및 제2트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한 일예를 평면에서 본 동작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제1트레이 및 제2트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한 일예를 정면에서 본 동작도
도 8a 내지 도 8c 는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제1트레이 및 제2트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평면에서 본 동작도
도 9a 내지 도 9c 는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른 제1트레이 및 제2트레이의 동작 상태에 대한 다른 예를 정면에서 본 동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제1트레이 411. 수용부
411a. 안내 레일 412. 제1요입홈
420. 제2트레이 422. 제2요입홈
430. 구동모터 441. 축결합부
442. 연장부 443. 제1캠축
444. 제2캠축 610. 프레임
620. 지지롤러
본 발명은 전자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리실 내부의 트레이가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회전도 이루어지면서 조리물의 조리를 수행하도록 구성한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레인지(MWO : microwave oven)는 고주파(초당 약 2,450MHz)를 가열원으로하여 음식물의 분자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분자간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전자 레인지는 도시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외관을 이루 는 본체(10)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20) 그리고,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캐비티(20)의 내부 즉, 조리실의 내부에는 조리물이 얹혀지는 원판형의 턴테이블(2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조리시 상기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조리물의 각 부위에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원판형의 턴테이블(21)을 가지는 전자 레인지는 좌우 방향으로 긴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 혹은,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의 용기의 투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조리실의 전후 방향에 대한 폭이 좌루 방향에 대한 폭에 비해 좁기 때문에 조리물의 회전 혹은,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의 회전시 조리실 내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간섭을 받아 그 회전이 원활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와 같은 모델의 경우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대략 조리실의 중앙부위만이 조리 영역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많은 공간 손실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최근에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조리실의 좌우 방향으로 선형 이동되는 사각 트레이(22)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여기서, 상기 사각 트레이(22)를 선형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로는 구동모터(41)와, 운동 변환수단(42)과, 트레이 이동부(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41)는 캐비티(20)의 저부에 장착되고, 상기 운동 변환수단(42)은 축결합부(42a)와, 연장부(42b) 그리고, 캠축(42c)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축결합부(42a)는 상기 구동모터(41)에 축결합되고, 상기 연장부(42b)는 상기 축결합부(42a)로부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41a)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 측 방향을 향해 연장 현성되며, 상기 캠축(42c)은 상기 연장부(42b)의 끝단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1)의 축(41a) 중심과는 편심된 상태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사각 트레이(22)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캠축(42c)이 요입되는 요입홈(22a)이 상기 사각 트레이(22)의 단변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이동부(43)는 상기 캐비티(20) 내부의 저면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그 둘레를 따라 다수의 롤러(43a)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사각테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트레이 이동부(43)의 상면에는 상기 사각 트레이(22)가 얹혀지며, 상기 트레이 이동부(43)는 상기 사각 트레이(22)가 운동 변환수단(42)에 의해 좌우 직선 왕복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각 트레이(22)의 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조리를 위한 전원인가에 의해 구동모터(41)가 동작되면 캠축(42c)이 상기 구동모터(41)의 축(41a) 중심으로부터 임의 거리 즉, 연장부(42b)의 길이만큼 편심 회전된다.
이 때, 요입홈(41a)으로부터 상기 캠축(42c)의 편심 회전력을 전달받는 사각 트레이(22)는 첨부된 도 3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도 3b 및 도 3c와 같이 캐비티(20) 내부의 장변측 방향(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가 조리실의 장방향 측으로 길게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용기 내의 조리물은 원활히 조리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좌우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조리가 수행되는 형태의 전자 레인지는 길이가 긴 조리물의 조리에 유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조리물의 조리에는 불리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사각 트레이(22)가 좌우로만 직선 왕복 이동을 행하기 때문에 조리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이 균일히 가열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조리실 내부의 트레이가 상기 조리실의 장방향 측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회전도 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의 균일한 가열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면에는 수용부가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제1요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조리실의 장방향 측으로 직선 왕복하면서 이동되는 제1트레이; 상기 제1트레이의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되며, 저면에는 제2요입홈이 요입 형성된 제2트레이; 상기 수용부 내의 저면과 상기 제2트레이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트레이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수단; 상기 각 트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1트레이가 직선 왕복 되도록 직선 왕복운동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제2트레이가 회전되도록 회전운동력을 제공하는 운동 변환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하, 도시한 도 4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는 크게 캐비티(200)가 형성하는 조리실 내부에 장착되는 제1트레이(410) 및 제2트레이(420)와, 상기 제2트레이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수단과,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430)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30)의 구동력으로 상기 제1트레이(410) 및 제2트레이(420)를 동작시키는 운동 변환수단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모터(4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트레이(410)가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직선 왕복운동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제2트레이(420)가 회전되도록 회전운동을 제공하며, 축결합부(441)와, 연장부(442)와, 2개의 캠축(443,4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결합부(441)는 상기 제1구동모터(431)에 축결합되고, 상기 연장부(442)는 상기 축결합부(441)의 상면으로부터 어느 한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캠축(443,444)은 상기 연장부(442)의 상면에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캠축(443,444)은 상기 제1트레이(410)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430)의 축(431) 중심으로부터 멀리 위치된 제1캠축(443)과, 상기 제2트레이(420)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캠축(443)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된 제2 캠축(444)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캠축(443,444)은 상기 연장부(442)와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410)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저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실의 장방향 측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트레이(410)는 대략 사각형 판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 부위는 상기 제2트레이(420)가 수용된 상태로 얹혀질 수 있도록 다단지게 형성된 수용부(411)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411)의 저면에는 제1요입홈(41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수용부(411)는 상기 제2트레이(420)의 상면이 상기 제1트레이(41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게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요입홈(412)은 상기 제1트레이(410)의 단변측 방향으로 갈수록 장변측 방향에 비해 멀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제1캠축(443)이 장착될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제1요입홈(412)은 상기 제1트레이(410)를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으로부터 상측 혹은, 하측까지의 거리가 우측 혹은, 좌측까지의 거리에 비해 긴 타원형을 이루는 레일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요입홈(412)은 상기 제1트레이(410)가 좌우로 정현파 스윙 운동을 하면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트레이(420)는 대략 원형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트레이(410)의 수용부(411)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그 저면에는 제2요 입홈(42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요입홈(422)은 상기 제2트레이(4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제2캠축(444)이 장착될 수 있도록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수단은 상기 수용부(411) 내의 저면과 상기 제2트레이(420)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트레이(42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 지지수단은 링 형상의 프레임(610)과, 상기 프레임(610)의 둘레를 따라 제2트레이(420)의 회전 방향으로 구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지지롤러(620)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610)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운동 변환수단을 이루는 축결합부(441)와, 연장부(442)가 회전될 때 상기 프레임(610)에 의해 그 회전을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 지지롤러(620)는 상기 프레임(610)의 둘레면에 각각 장착되며, 그 높이가 대략 상기 프레임(610)의 두께에 비해 높도록 형성된다.
물론, 첨부된 도 5와 같이 제1트레이(410)의 수용부(411) 내벽면에 제2트레이(4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지지롤러(453)를 다수 장착하고, 상기 수용부(411) 내의 상면에는 상기 제2트레이(420)의 회전방향을 따라 구르는 지지롤러(454)를 다수 장착하여 제2트레이(420)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의 형태는 많은 수의 지지롤러(453,454)를 각각 구비하여야 함에 따른 제조 비용의 상승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지고, 상기 수용부(411) 내의 상면에 다수의 지지롤러(454)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며, 상기 각 지지롤러(453,454)는 특정한 부위에 고정되어 있음을 고려한다면 제2트레이(420)의 회전시 마찰 저항이 커져 결국, 구동모터(430)의 토크가 높을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수용부(411) 내에 장착되거나 제2트레이(420)에 장착되는 형태가 아닌 상기 제2트레이(420) 및 상기 수용부(411)로부터 자유롭게 구를 수 있는 회전 지지수단을 적용함이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회전 지지수단이 상기 제2트레이(420) 및 상기 수용부(411)와는 별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지지수단이 회전될 경우 수용부(411) 내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쳐 그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부(411) 내의 저면에 상기 회전 지지수단을 이루는 각 지지롤러(62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 레일(411a)이 요입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에 대한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용기(510)에 요리물을 담은 상태로 그 조리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용기(510)를 상기 조리실 내부의 가로 방향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510)가 투입된 상태에서 조리를 위한 동작이 이루어진다 면 마그네트론(도시는 생략함)으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가 생성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로 방사됨과 더불어 구동모터(430)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이의 경우, 상기 구동모터(430)와 축결합된 축결합부(441)가 구동되면서 연장부(442)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연장부(442)의 끝단에 구비된 제1캠축(443) 및 제2캠축(444)은 상기 구동모터(430)의 축(431)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1캠축(443)은 제1트레이(410)의 제1요입홈(41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트레이(410)를 좌우 방향으로 반복 이동시키고, 상기 제2캠축(444)은 제2트레이(420)의 제2요입홈(42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트레이(420)를 회전시킨다.
즉, 첨부된 도 6a 및 도 7a와 같은 최초 상태에서 상기 제1캠축(443) 및 제2캠축(444)의 편심 회전에 의해 첨부된 도 6b 및 도 6c 그리고, 도 7b 및 도 7c와 같이 제1트레이(410)는 조리실 내의 좌우로 반복 이동되고, 제2트레이(420)는 회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과정에서 제2트레이(420)는 정속에 가까운 원운동을 수행하지만 상기 제1트레이(410)는 좌우로 정현파 스윙 운동을 하면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2트레이(420)는 상기 제1트레이(410)의 수용부(411) 내부를 따라 회전되는 과정에서 그 저부에 구비된 회전 지지수단의 지지를 받으면서 회전된다.
하지만, 상기 조리실 내부에 투입된 용기(510)는 가로 방향측으로 길고, 제2 트레이(420)는 제1트레이(410)에 비해 낮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510)는 상기 제2트레이(420)의 회전 운동에는 간섭을 받지 않고, 조리실 내부의 좌우로만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그 내부에 담긴 요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기(510) 내의 좌측 및 우측편에 위치된 요리물에도 마이크로웨이브의 균일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원활한 조리가 가능하다.
한편, 조리실 내부의 공간상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조리실의 내벽면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용기(혹은, 음식물)(520)에 요리물을 담은 상태로 그 조리를 수행하고자 한다면 상기 용기(520)를 상기 조리실 내부의 제2트레이(420) 상면에 얹고,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이 때, 상기 용기(520)는 상기 제1트레이(410)에는 얹혀지지 않고 제2트레이(420)에만 얹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9a 내지 도 9c와 같이 상기 용기는 상기 제2트레이(420)와 함께 회전되면서 요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2트레이(420)는 상기 제1트레이(410)에 얹혀진 상태로 조리실 내에서 좌우 반복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용기(520) 역시 상기 조리실 내에서 좌우 반복 이동되면서 요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트레이(4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트레이(420)는 그 저부에 구비된 회전 지지수단의 지지를 받아 어느 한 측으로의 기울어짐이 없이 원활히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2트레이(420)와 접촉되는 각 지지롤러(620)는 제1트레이(410) 의 수용부(411)에 형성된 안내 레일(411a)을 따라 구르기 때문에 상기 제2트레이(420)와 상기 각 지지롤러(620)간의 회전 마찰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롤러(620)가 제2트레이(4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르기 때문에 상기 각 지지롤러(620)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제2트레이(420)는 상기 각 지지롤러(620)가 고정된 상태일 때에 비해 접촉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520) 내의 조리물은 회전됨과 동시에 좌우 이동되기 때문에 단순히 회전되면서 조리되거나 혹은, 단순히 좌우 반복 이동되면서 조리될 때에 비해 보다 원활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에 따른 구조에 의해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좌우 이동 가능한 제1트레이 및 회전 가능한 제2트레이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은 좌우 이동 가능한 제1트레이 및 회전 가능한 제2트레이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조리실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은 제2트레이의 회전시 회전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제2트레이가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은 상기 회전 지지수단이 수용부 내에서 자유롭게 구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트레이가 그 회전에 따른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 어 상기 제2트레이를 회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모터의 출력은 마찰 저항의 감소로 인해 보다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상면에는 수용부가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제1요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조리실의 장방향 측으로 직선 왕복하면서 이동되는 제1트레이;
    상기 제1트레이의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부 내에서 회전되며, 저면에는 제2요입홈이 요입 형성된 제2트레이;
    상기 수용부 내의 저면과 상기 제2트레이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제2트레이와는 별개로 구성되면서 상기 제2트레이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면서 구르는 회전 지지수단;
    상기 각 트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상기 제1트레이가 직선 왕복되도록 직선 왕복운동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제2트레이가 회전되도록 회전운동력을 제공하는 운동 변환수단: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축결합되는 축결합부와,
    상기 축결합부로부터 어느 한 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트레이의 제1요입홈에 요입되는 제1캠축 및 상기 제2트레이의 제2요입홈에 요입되는 제2캠축을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트레이는 대략 사각형 판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저면에 형성된 제1요입홈은 상기 제1트레이의 단변측 방향으로 갈수록 장변측 방향에 비해 멀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제2트레이는 대략 원형 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트레이의 내측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더불어 그 저면에 형성되는 제2요입홈은 상기 제2트레이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의 제1요입홈은
    그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으로부터 상측 혹은, 하측까지의 거리가 우측 혹은, 좌측까지의 거리에 비해 긴 타원형을 이루는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수단는
    링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제2트레이의 회전 방향으로 구름 가능하게 장착 된 다수의 지지롤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둘레면에 각각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두께에 비해 높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1트레이에 형성된 수용부 내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 지지수단를 이루는 각 지지롤러의 구름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 레일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20030052227A 2003-07-23 2003-07-29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4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227A KR100546660B1 (ko) 2003-07-29 2003-07-29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DE602004025351T DE602004025351D1 (de) 2003-07-23 2004-07-22 Mikrowellenofen
CA2532977A CA2532977C (en) 2003-07-23 2004-07-22 Microwave oven
AT04748460T ATE456925T1 (de) 2003-07-23 2004-07-22 Mikrowellenofen
ES04748460T ES2337690T3 (es) 2003-07-23 2004-07-22 Horno de microondas.
EP04748460A EP1649727B1 (en) 2003-07-23 2004-07-22 Microwave oven
PCT/KR2004/001822 WO2005009083A1 (en) 2003-07-23 2004-07-22 Microwave oven
US10/895,976 US7202455B2 (en) 2003-07-23 2004-07-22 Microwave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227A KR100546660B1 (ko) 2003-07-29 2003-07-29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21A KR20050013721A (ko) 2005-02-05
KR100546660B1 true KR100546660B1 (ko) 2006-01-26

Family

ID=3722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227A KR100546660B1 (ko) 2003-07-23 2003-07-29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06B1 (ko) * 2004-05-17 2011-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어셈블리
KR101207302B1 (ko) 2005-07-07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740B1 (ko) * 2006-01-25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구의 운전전달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906B1 (ko) * 2004-05-17 2011-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어셈블리
KR101207302B1 (ko) 2005-07-07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721A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8420B2 (ja) 電子レンジ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EP1272008B1 (en) Device for linearly moving tray in microwave oven
KR100546660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50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49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46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0694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19347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1073906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어셈블리
KR100546659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46657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동작 어셈블리
KR100556429B1 (ko) 전자 레인지의 트레이 어셈블리
KR100424568B1 (ko) 선형이동트레이를 가지는 전자레인지
JP3970888B2 (ja) 電子レンジ
KR200248986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KR200248867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20325B1 (ko) 사각트레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0424573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560205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이동장치
KR100451936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51934B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100416770B1 (ko) 전자레인지
KR100395962B1 (ko) 사각트레이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200248865Y1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장치
KR20030000204A (ko) 전자레인지의 트레이 선형이동거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