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583B1 -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583B1
KR100546583B1 KR1019990003151A KR19990003151A KR100546583B1 KR 100546583 B1 KR100546583 B1 KR 100546583B1 KR 1019990003151 A KR1019990003151 A KR 1019990003151A KR 19990003151 A KR19990003151 A KR 19990003151A KR 100546583 B1 KR100546583 B1 KR 10054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data
buffering
block
record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233A (ko
Inventor
박우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3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5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 blocks are arranged within multiple radial zones, e.g. Zone Bit Recording or Constant Density Recording discs, MCAV discs, MCLV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87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parameters, e.g. for decoding or en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96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방식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에 대한 기록방식을 판별한 후, 트랙으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이 버퍼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미터정보를 설정하여,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입력 데이터 블록에서 유효 데이터 블록만을 버퍼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및 방법은 링크블록들을 건너 뛰어 유저 데이터 블록들만을 버퍼링함으로써 종래에 광픽업을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링크블록들을 스킵하여 버퍼링하는 방법과 대비할 때 시간적으로 더 효율적이 됨과 아울러 데이터를 빨리 읽어 냄으로써 호스트로의 전송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Data Buffe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in Optical Recording Medium Recorded By Packet Manner}
도 1은 패킷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가변 패킷 기록방식의 어드레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고정 패킷 기록방식의 어드레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종래 재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코더와 버퍼 램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고정 패킷 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트랙의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링크 블록 스킵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링크 블록 스킵핑시 도 7에 도시된 마이콤의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광픽업 4 : RF 증폭기
6 : DSP 8 : 버퍼링 제어부
10 : 디코더 12 : 버퍼 램
16 : 마이콤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방식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을 이용한 기록매체로서 이미 일반화된 CD 및 DVD 등의 광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레이저광을 기록면에 조사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광기록 매체는 재생전용과 재기록 가능한 매체로 대별되며 전자의 경우 CD-ROM, DVD-ROM 등과 같은 ROM 타입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 재기록 가능 횟수에 따라 WORM(Write Once Read Many) 타입, Rewritable 타입, RAM 타입 등으로 나뉘어진다.
Rewritable 타입으로서 CD-RW 디스크는 데이터 기록단위에 따라 크게 DAO(Disc At Once) 방식, SAO(Session At Once) 및 TAO(Track At Once)의 3가지 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어진다. DAO 방식은 모든 데이터를 한 번에 디스크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SAO 방식은 여러 번에 걸쳐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한 번에 기록되는 단위는 세션(session)이다. 즉, SAO 방식에 의해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면 한 장의 디스크에 여러 세션으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멀티-세션 디스크(Multi-session Disc)를 구현하게 된다. TAO 방식은 SAO 방식과 마찬가지로, 여러 번에 걸쳐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한 번에 기록되는 단위는 SAO 방식과 달리 트랙(Track) 단위로서 패킷(Packet) 기록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패킷 기록방식이란 도 1과 같이 실제 유용한 데이터가 포함된 유저 데이터 블록(User Data Block)을 링크블록들과 함께 기록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링크블록들은 1 개의 링크블록(Link block), 4 개의 런-인 블록들(Run-in Blocks) 및 2 개의 런-아웃 블록들(Run-out Blocks)로 구성된다. 유저 데이터 블록을 중심으로하여, 유저 데이터 블록 앞에 링크블록과 런-인 블록들이 위치하게 되며 유저 데이터 블록 뒤에 런-아웃 블록이 위치하게 된다. 링크블록은 런-아웃 블록들 앞에 위치한다. 이들 링크블록들은 다음 번 패킷 기록시에 기록 경계가 되며 또한 기록시에 여러 가지 서보 파라미터(Servo parameter)들을 조정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전술한 TAO 방식은 어드레싱(addressing) 방법에 따라 두 가지의 기록방식으로 나뉘어진다. 그 첫 번째 방법은 가변 패킷 기록(Variable Packet Writing) 방법으로서 유저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가 가변적이다. 즉, 한 트랙이 여러 개의 가변 패킷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 패킷에 포함된 유저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 가 패킷마다 다를 수 있다. 이 가변 패킷 기록방법의 어드레싱은 도 2와 같다. 두 번째 방법은 고정 패킷 기록(Fixed Packet Writing) 방법으로서, 그 어드레싱은 도 3과 같다. 유저 블록들의 개수는 패킷 사이즈(Packet size)라 하며, 패킷 사이즈는 매 트랙 앞부분에 존재하는 프리갭(Pregap) 영역에 포함된 블록 디스크립터(Block descriptor)라는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어 있다.
가변 패킷 기록방법과 고정 패킷 기록방법의 가장 큰 차이점은 링크블록들의 처리에 있다. 가변 패킷 기록방법은 호스트(Host)에서 요구하는 블록의 어드레스(Logical Block Address : 이하 "LBA"라 함)가 실제로 디스크에 기록된 어드레스(Physical Block Address : 이하 "PBA"라 함)와 일치하는 어드레스 맵핑(Address Mapping) 구조를 가진다. 즉, 호스트가 처리하는 LBA와 디스크 상에 기록된 PBA가 일치하게 되므로 링크블록들이 논리적 어드레스를 기준으로 운영되는 CD-ROM 디코더(Decoder)에 의해 디코딩되어 버퍼 램(Buffer RAM)에 저장된다.
이와 달리, 고정 패킷 기록방법은 링크블록들에는 LBA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 이는 호스트가 처리하는 LBA에 링크블록들은 포함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링크블록들은 CD-ROM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되어 버퍼 램에 저장되어서는 안된다. 이 경우, 종래의 버퍼링 방법에 있어서는 광픽업이 디스크의 트랙을 따라 스캔하여 디스크를 억세스할 때 링크블록들을 만나게 되면 서보의 제어에 의해 광픽업을 기계적으로 이송시킴으로써 링크블록들을 건너 뛰어 다음의 유저 데이터 블록을 읽어들이게 된다. 이를 정리하면 도 4의 흐름도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로부터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마이콤(MICOM)은 디스크에 기록된 SUB-Q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광픽업을 이송시켜 목표 블록을 서치(search)하게 된다.(S1 단계) 그리고 마이콤은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 이하 "DSP"라 함)로부터 검출된 SUB-Q 코드 데이터에 의해 현재의 트랙이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를 판별한다.(S2 단계) S2 단계에서 패킷 기록방식으로 판단되면 마이콤은 광픽업을 트랙의 프리갭 영역으로 이송시켜 패킷사이즈와 기록방법을 알아낸다.(S3 및 S4 단계) S4 단계에서 고정 패킷 기록방법으로 판단되면 마이콤은 고정 패킷 기록방법에 대응하는 어드레싱으로 PBA를 계산하여 다시 광픽업을 이송시켜 유저 데이터 블록을 서치하게 된다.(S5 및 S6 단계) 검출된 데이터는 디코더에 의해 에러정정되는데, 블록 전체가 에러정정되는 것이 아니라 링크블록들을 제외한 유저 데이터 블록만이 재생되도록 광픽업을 유저 데이터 블록 쪽으로 이송시켜 검출된 유저 데이터만을 에러정정하게 된다.(S7 단계) 에러정정된 유저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데이터 재생방법에 있어서,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어진 디스크를 재생함에 있어서 링크블록들을 건너 뛰기(skip) 위하여 광픽업을 이송시키기 때문에 데이터를 독취하여 호스트로 전송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디스크는 계속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링크블록들을 버퍼링하지 않으면 링크블록들은 지나가고 다음 유저 데이터 블록을 억세스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패킷 기록방식으로 기록된 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 버퍼링시의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버퍼링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효율을 높이도록 한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는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에 대한 기록방식을 판별함과 아울러 트랙으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이 버퍼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미터정보를 설정하는 제어수단과,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입력 데이터 블록에서 유효 데이터 블록만을 버퍼링시키기 위한 디코딩수단과, 디코딩수단의 제어에 의해 유효 데이터 블록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방법은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에 대한 기록방식을 판별하는 단계와, 트랙으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이 버퍼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미터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 블록에서 유효 데이터 블록만을 버퍼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는 디스크를 광학적으로 억세스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픽업(2)과, 광픽업(2)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주파신호(RF)를 소정 이득 값으로 증폭하기 위한 RF 증폭기(4)와, RF 증폭기(4)의 출력신호로부터 CD 데이터와 SUB-Q 코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 이하 "DSP"라 함)(6)와, SUB-Q 코드 데이터로부터 패킷 기록 여부를 판별함과 아울러 링크블록들의 PBA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셋팅하는 마이콤(16)과, 마이콤(16)으로부터 전송되는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링크블록들에 대한 버퍼링을 하지 않고 유저 데이터 블록만을 버퍼링하는 디코더(10)와, 디코더(10)로부터 전송되는 유저 데이터 블록들이 저장되는 버퍼 램(12)을 구비한다.
마이콤(16)은 디코더(10)로 공급되는 데이터 블록들에 링크블록들이 포함되는지를 디코더(10)가 판별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게 된다. 즉, 마이콤(16)은 DSP(6)로부터 검출된 SUB-Q 코드 데이터의 정보 비트로부터 현재 억세스되는 디스크가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들이 기록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기록방식이 패킷 기록방식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은 트랙의 프리갭 영역 내 의 트랙 디스크립터를 읽어 내어 고정 패킷 기록방식 여부를 판단하고, 고정 패킷 기록방식으로 판단되면 파라미터들을 디코더(10)에 전송함과 아울러 링크블록들을 스킵핑 하기 위한 스킵 기능을 턴-온(turn-on)시키게 된다.
디코더(10)는 마이콤(16)이 셋팅한 파라미터들(parameters)을 근거로 하여 링크블록들의 PBA를 계산하여 그 링크블록들에 대하여는 버퍼링을 스킵핑(skipping)하게 되고 유저 데이터 블록들만을 버퍼링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디코더(10)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램(12)과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절환하는 버퍼링 제어부(8)를 구비한다. 버퍼링 제어부(8)는 링크블록들의 PBA에서는 DSP(6)와 버퍼 램(12)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절체하고 유저 데이터 블록들의 PBA에서는 DSP(6)와 버퍼 램(12)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접속시키게 된다. 이 디코더(10)는 호스트의 요구에 의해 버퍼 램(12)에 저장된 CD 데이터 즉, 유저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게 된다. 버퍼링 제어부(8)에는 DSP(6)로부터 데이터, BCLK, LRCK, C2PO 신호가 공급된다. 여기서, BCLK와 LRCK는 각각 비트 클럭(bit clock) 신호와 Left/Right 신호로서 CD 데이터를 읽어 내는데 필요한 클럭신호이다. 그리고 C2PO는 CD 데이터의 에러여부를 표시하는 신호이다. 또한, 디코더(10)는 마이콤(16)의 제어에 의해 DSP(6)로부터 공급되는 CD 데이터를 디코딩함과 아울러 에러정정을 수행하게 된다.
링크블록들의 위치는 고정 패킷 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된 디스크의 트랙 구조의 규칙성에 근거하여 계산되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디스크 상의 트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디스크 상의 트랙은 유저 데이터 블록들 사이에 링크블록들이 존재한다. 즉, 하나의 링크블록과 4 개의 런-인 블록이 유저 데이터 블록 앞에 위치하게 되고 두 개의 런-아웃 블록이 유저 데이터 블록 뒤에 위치하게 된다. ps를 트랙 디스크립터 블록 내에 기록된 패킷 사이즈 정보라 하고, ts를 트랙의 스타트 어드레스라할 때 제1 내지 제3 패킷들에서 링크블록들과 유저 데이터 블록의 PBA는 각각 아래의 표1 내지 표3과 같다.
링크블럭[1]+런-인블럭[4] 유저 데이터 블록[ps] 런-아웃 블럭[2]
PBA · ts ts+ps
링크블럭[1]+런-인블럭[4] 유저 데이터 블록[ps] 런-아웃 블럭[2]
PBA ts+ps+7-1 ts+ps+7 ts+2×ps+7
링크블럭[1]+런-인블럭[4] 유저 데이터 블록[ps] 런-아웃 블럭[2]
PBA ts+2×ps+2×7-1 ts+2×ps+2×7 ts+3×ps+2×7
트랙구조에서 알 수 있는 바, 버퍼링되어서는 않되는 링크블록들의 PBA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링크블록 : PBA=(ts+ps)부터 PBA=(ts+ps+2×7-1)
두 번째 링크블록 : PBA=(ts+2×ps+7)부터 PBA=(ts+2×ps+2×7-1)
세 번째 링크블록 : PBA=(ts+3×ps+2×7)부터 PBA=(ts+3×ps+3×7-1)
: :
n+1 번째 링크블록 : PBA=(ts+(n+1)×ps+n×7)부터 PBA=(ts+(n+1)×ps+(n+1) ×7-1) 여기서, n=0 이상인 정수.
링크블록들 내의 링크블록, 런-인 블록들 및 런-아웃 블록들은 다음과 같이 판별되어진다.
런-아웃 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0일 경우
런-아웃 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1일 경우
링크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2일 경우
런-인 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3일 경우
런-인 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4일 경우
런-인 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5일 경우
런-인 블록 : (PBA-ts-ps)/(ps+7)의 나머지가 6일 경우
따라서, (PBA-ts-ps)/(ps+7)의 나머지가 0에서 6일 때 디코더(10)의 버퍼링 제어부(8)는 DSP(6)와 디코더(10)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절체하여 버퍼링되지 않도록 스킵(Skip)하게 된다.
링크블록들을 스킵핑(skipping) 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들은 링크블록들 판단하기 위한 파리미터들은 ps와 ts이고, 트랙 종료 판단에 필요한 파라미터는 트랙 엔드 어드레스(track end address : 이하 "te"라 함)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링크블록 스킵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마이콤(16)은 현재 디코더(10)로 공급되는 데이터 블록들이 링크블록들인지의 여부를 디코더(10)가 알 수 있도록 파라미터들을 디코더(10)에 전송하고 스킵 모드(Skip mode)를 턴-온(turn-on)시키게 된다.(S81 및 S82 단계) 디코더(10)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의 PBA를 읽어 낸다(S83 단계) 또한, 디코더(10)는 마이콤(16)으로부터 입력되는 파라미터 중 ts 및 te와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의 PBA를 비교하여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고정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트랙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84 단계) S84 단계에서 디코더(10)는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고정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트랙이 아닌 경우 트랙이 종료되었음을 마이콤(16)에 통보하게 된다.(S85 단계) 그리고 디코더(10)는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의 PBA와 파라미터에 의해 계산된 PBA를 비교하여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이 링크블록들인지를 판별하게 된다.(S85 단계) S85 단계에서, 입력 데이터 블록이 링크블록들로 판단되면 버퍼링 제어부(8)는 데이터 입력라인과 버퍼 램(12)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절체하여 버퍼링을 차단하게 된다.(S87 단계) 그리고 입력 데이터 블록이 유저 데이터 블록으로 판단되면 버퍼링 제어부(8)는 데이터 입력라인과 버퍼 램(12)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접속시켜 버퍼링을 수행하게 된다.(S88 단계)
도 9는 마이콤의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호스트로부터 재생명령(LBA 기준)이 입력되면 마이콤(16)은 슬레드 서보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SUB-Q 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목적 트랙을 서치하기 위하여 광픽업(2)을 목적 트랙으로 이송시키게 된다.(S91 단계) 그리고 마이콤(16)은 SUB-Q 코드 데이터의 정보 비트(Bit)로부터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들이 기록되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S92 단계)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6) 은 트랙의 프리갭 영역으로 광픽업(2)을 이송시켜 프리갭 영역 내의 트랙 디스크립터를 읽어 내어 패킷사이즈와 기록방식을 알아낸다.(S93 및 S94 단계) 그 결과,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의 기록방식이 고정 패킷 기록방식으로 판단되면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대응하는 PBA를 계산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 블록을 서치하기 위하여 픽업을 목표 데이터 블록 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S95 및 S96 단계) 그리고 마이콤(16)은 디코더(10)에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고 링크블록 스킵 모드를 턴-온시킨다(S97 단계) 최종적으로, 마이콤(16)은 디코더(10)를 제어하여 입력 데이터 블록들에 대한 에러정정을 수행하고 호스트의 요청에 의해 버퍼 램(12)에 저장된 에러정정된 데이터 블록들을 호스트에 전송하게 된다.(S98 및 S99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및 방법은 CD-R이나 CD-RW 등의 광기록 매체에 있어서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의하여 기록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경우, 링크블록들을 건너 뛰어 유저 데이터 블록들만을 버퍼링함으로써 종래에 광픽업을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링크블록들을 스킵하여 버퍼링하는 방법과 대비할 때 시간적으로 더 효율적이 됨과 아울러 데이터를 빨리 읽어 냄으로써 호스트로의 전송효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의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광기록매체의 버퍼링장치에 있어서,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에 대한 기록방식을 판별함과 아울러 상기 트랙으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이 버퍼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미터정보를 설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효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입력 데이터 블록에서 유효 데이터 블록만을 버퍼링시키기 위한 디코딩수단과,
    상기 디코딩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효 데이터 블록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정보는 동일 트랙 상에 존재하는 상기 유효 데이터 블록의 개수를 나타내는 패킷사이즈와,
    상기 트랙의 물리적 시작 어드레스와,
    상기 트랙의 물리적 종료 어드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블록은 호스트에 전송되어지는 유저 데이터 블록이고,
    상기 무효 데이터 블록은 상기 유저 데이터 블록들 사이에 기록되는 링크블록, 런-인블록 및 런-아웃 블록을 포함하여 서보 정보를 제공하는 링크블록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수단은 상기 패킷사이즈, 상기 트랙의 물리적 시작 어드레스 및 상기 트랙의 물리적 종료 어드레스를 각각 ps, ts 및 te라 하고 상기 트랙에서 현재 읽어지는 트랙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PBA라 하면,
    (PBA-ts-ps)/(ps+7)의 나머지가 0에서 6일 때 데이터 입력라인과 상기 메모리 사이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절체하여 상기 무효 데이터 블록의 버퍼링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의 기록방식이 상기 고정 패킷 기록방식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효 데이터 블록의 버퍼링을 차단하기 위한 버퍼링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장치.
  6.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의하여 데이터가 기록된 광기록매체의 버퍼링방법에 있어서,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에 대한 기록방식을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으로부터 검출되는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무효 데이터 블록들이 버퍼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미터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효 데이터 블록들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 블록에서 유효 데이터 블록만을 버퍼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정보를 디코딩수단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효 데이터 블록의 버퍼링을 차단하기 위한 버퍼링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와,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의 물리적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상기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트랙이 상기 고정 패킷 기록 방식 이외의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정 패킷 기록방식으로 기록된 트랙을 벗어났음을 통보하는 단계와,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의 물리적 어드레스와 상기 파라미터정보에 근거하여 검출된 물리적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이 링크블록들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 블록이 링크블록들로 판단되면 버퍼링을 차단하는 단계와,
    현재 입력 데이터 블록이 유저 데이터 블록으로 판단되면 버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논리적 어드레스를 기준으로하여 재생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
    재생하고자 하는 목적 트랙을 서치하는 단계와,
    SUB-Q 코드 데이터로부터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들이 기록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이 패킷 기록방식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트랙의 프리갭 영역 내의 트랙 디스크립터를 참조하여 패킷사이즈와 기록방식을 판별하는 단계와,
    현재 억세스되는 트랙의 기록방식이 고정 패킷 기록방식으로 판단되면 고정 패킷 기록방식에 대응하는 물리적 어드레스를 산출한 다음, 재생하고자 하는 데이터 블록을 서치하는 단계와,
    디코딩수단에 파라미터정보를 전송하고 링크블록 스킵 모드를 턴-온시키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 블록들에 대한 에러정정을 수행하고 호스트의 요청에 의해 에러정정된 데이터 블록들을 호스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방법.
KR1019990003151A 1999-01-30 1999-01-30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KR10054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151A KR100546583B1 (ko) 1999-01-30 1999-01-30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151A KR100546583B1 (ko) 1999-01-30 1999-01-30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33A KR20000052233A (ko) 2000-08-16
KR100546583B1 true KR100546583B1 (ko) 2006-01-26

Family

ID=1957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151A KR100546583B1 (ko) 1999-01-30 1999-01-30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5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496A (ja) * 1993-05-18 1994-11-25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装置
JPH09282796A (ja) * 1996-04-08 1997-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システム装置
JPH10289528A (ja) * 1997-04-14 1998-10-27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496A (ja) * 1993-05-18 1994-11-25 Olympus Optical Co Ltd 情報記録装置
JPH09282796A (ja) * 1996-04-08 1997-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システム装置
JPH10289528A (ja) * 1997-04-14 1998-10-27 Ricoh Co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233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5099B1 (en) Disk defect management method and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743642B1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rror correcting system and a data recording medium
US20060067193A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6661758B2 (en) High spee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increased sector access speed
JP2005536000A (ja) 光情報保存媒体及びその記録方法
KR20020072341A (ko)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전용 광디스크 장치에서의재생방법
JP4082670B2 (ja) 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US54385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optical information and optical disk-shaped recording medium
KR100546583B1 (ko) 패킷 방식으로 기록된 광기록 매체의 데이터 버퍼링 장치 및 방법
US6819642B2 (en) Data recording device, data reproducing device, and optical disc
JPH10106170A (ja) 光ディスク情報記録システム
KR100396618B1 (ko)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결함 관리방법 및 장치
JP200715727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6842411B2 (en) Optical disc driver and data recording method therefor
KR100510498B1 (ko) 결함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
US20040252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ilt of disc
JP3257024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251956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램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재생시 디펙트 섹터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609164B1 (ko)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KR100528690B1 (ko) 광디스크와 데이터 기록 방법 및 장치
KR100217752B1 (ko) 광 디스크면의 배드섹터 처리방법
KR20020095856A (ko)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재생 속도 제어 방법
US7349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lank detection on an optical storage disc
JP4065613B2 (ja) ディスクの欠陥管理方法およ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20041222A (ko)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