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222A -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222A
KR20020041222A KR1020000071030A KR20000071030A KR20020041222A KR 20020041222 A KR20020041222 A KR 20020041222A KR 1020000071030 A KR1020000071030 A KR 1020000071030A KR 20000071030 A KR20000071030 A KR 20000071030A KR 20020041222 A KR20020041222 A KR 2002004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sector
loss area
linking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165B1 (ko
Inventor
엄우식
이경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165B1/ko
Priority to JP2001315901A priority patent/JP3563056B2/ja
Priority to US09/976,034 priority patent/US6873594B2/en
Publication of KR2002004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 blocks are arranged within multiple radial zones, e.g. Zone Bit Recording or Constant Density Recording discs, MCAV discs, MCLV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7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for managing gaps between two recordings, e.g. control data in linking areas, run-in or run-out fields, guard or buffer z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기록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은 소정 크기의 에러 정정 블록을 복수의 섹터로 구분한 기록 매체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자 하는 해당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를 체크하여 링킹 손실 영역인 경우 이전 블록을 독취하는 단계, (b) 독취 완료 후에 상기 이전 블록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 식별 정보를 0으로 수정하는 단계, (c) 상기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킹 손실 영역 판단에 따라 해당 블록 또는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재생 시 에러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블록 에러 정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Method for overwriting data in linking loss area}
본 발명은 광 기록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D-RW(Digital Versatile Disc Re-recordable)의 경우, 기본 기록 단위가 DVD-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물리적 식별(Physical Identifier:PID) 영역 또는 버퍼(스핀들 모터의 제어에 따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할당된 여유 영역) 등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각 기본 단위의 기록 시작점을 정확히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DVD-RAM의 기본 기록 단위는 섹터가 될 수 있고, DVD-RW의 기본 기록 단위는 ECC(Error Correction Code) 블록이 될 수 있다.
동일한 물리적 포맷을 갖고 있는 DVD-R(Recordable)과 DVD-RW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 기록 단위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순간적으로 끊어지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이어서 기록할 경우, 다음 기록 시작점의 여유 영역을 할당하는 링킹 체계(Linking Scheme)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링킹체계에 적용되는 링킹 영역의 크기는 0킬로바이트(Kilo Byte:KB), 2KB, 32KB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링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도 1a는 2KB 링크 방법을, 도 1b는 32KB 링크 방법을, 도 1c는 0KB 링크 방법을 보이기 위한 데이터 구조이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링크 방법은 섹터 정보 내의 데이터 타입이 1b이면 다음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Linking Loss Area)임을 나타낸다. 링킹 손실 영역에는 유효한 데이터가 없고 전부 의사(Dummy) 데이터 즉, 00h가 기록된다. 따라서, 링킹 손실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메인 데이터는 재생되는 데이터에 관계없이 00h로 치환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ECC 블록의 정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링킹 손실 영역의 크기가 2KB로 할당된 데이터 구조를, 도 1b는 링킹 손실 영역의 크기가 32KB로 할당된 데이터 구조를 보이고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ECC 블록 1을 다 채우지 못할 경우 나머지 ECC 블록 1에는 패딩 데이터가 기록된다.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이 1b인 경우, 링킹 타입에 따라 ECC 블록 2의 제1 섹터(2KB) 또는 ECC 블록 2 전체(16 섹터=32KB)는 링킹 손실 영역이 되어 패딩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c는 2BK 링크 또는 32KB 링크를 수행하나서, 0KB 링크를 수행한 데이터 구조를 보여준다. 즉, 도 1a 또는 도 1b의 ECC 블록 2(32KB의 링킹 손실 영역)에 0KB 링크를 기록하는 경우로, 0KB 링크를 수행한 ECC 블록 2에는 첫 번째 섹터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도 1c의 ECC 블록 1의 마지막 기록 섹터에서 데이터 타입이 1b인 경우, 다음 섹터 즉,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를 링킹 손실 영역으로 착각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00h로 치환함으로써 이 섹터에 에러가 발생된다. 또한 그 여파로 ECC 블록 2 전체가 ECC 에러를 발생하여 재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기록하고자 하는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에 따라 해당 블록 또는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은 소정 크기의 에러 정정 블록을 복수의 섹터로 구분한 기록 매체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자 하는 해당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를 체크하여링킹 손실 영역인 경우 이전 블록을 독취하는 단계; (b) 독취 완료 후에 상기 이전 블록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 식별 정보를 0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자 하는 해당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를 체크하여 링킹 손실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해당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 링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DVD-R/RW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4는 데이터 타입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식별(ID) 영역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DVD-R/RW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DVD-R/RW 장치는 디스크(20), 픽업(21), ALPC(Auto Laser Power Control)(22), 고주파 증폭부(23), 데이터 프로세서(24), 호스트 인터페이스(Host Interface)(25), 호스트(26), 서보 프로세서(27), 모터&드라이버(28), 마이콤(29)으로 구성된다.
ALPC(22)는 픽업(21)의 레이저 광량을 제어하고, 고주파 증폭부(23)는 디스크(20)로부터 픽업된 미세한 신호를 증폭한다. 데이터 프로세서(24)는 데이터 타입에 따른 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며, 동기 신호검출, 삽입, 보호 및 변복조를 실행하고, 에러 정정 및 고주파 증폭부(23)의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25)는 광 기록기와 호스트(26)를 연결한다. 호스트(26)는 본 발명의 지휘부로 링킹 손실 영역의 판단과 데이터 타입 수정, 이전 블록 독취 등 각종 명령을 데이터 프로세서(24)에 전송한다. 서보 프로세서(27)는 디스크(20)에 관계된 각종 모터 제어와 트래킹, 포커스 등의 서보를 제어한다. 모터&드라이버(28)는 디스크(20) 회전과 모터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마이콤(29)은 광 기록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시작 블록(목표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30), 목표 블록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31), N개의 블록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32), 이전 블록을 독취하는 단계(33), 이전 블록 독취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34), 이전 블록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을 0으로 수정하는 단계(35),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의 기록을 시작하는 단계(36), N+1개 블록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37)로 구성되며, 모든 동작의 명령 주체는 호스트(26)이다. 본 발명에서는 N개의 ECC 블록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다고 가정한다.
호스트(26)에서 디스크(20)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시작 블록(목표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 판단한다(30단계).
목표 블록을 도 5의 ECC 블록 2라고 가정하면,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의 링킹 손실 영역 판단은 링킹 손실 영역 정보를 가지고 있는 호스트(26)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시작 블록(목표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링킹 손실 영역이 아닌 경우 목표 블록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다(31단계).
N개의 ECC 블록에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경우 종료한다(32단계).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시작 블록(목표 블록)의 첫 번재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 경우 이전 블록을 독취한다(33단계).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재생 시에 다음 ECC 블록2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으로 처리되어 ECC 오류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ECC 블록 1을 독취한다.
이전 블록 즉, ECC 블록 1의 독취가 완료된 경우,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을 1b에서 0b로 수정한다(34,35단계). 재생 시에 기록/재생 장치는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 비트 정보에 따라 다음 섹터 즉,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수 있다.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을 1b에서 0b로 수정하게되면, 재생시 기록/재생 장치는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를 링킹 손실 영역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을 0b로 수정하고 독취한 ECC 블록 1의 데이터를 ECC 블록 1에 기록한다.(36단계). 사용자 데이터는 ECC 블록 1과 ECC 블록 2에 링킹 없이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그러면 재생 시에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는 링킹 데이터가 Re-recordable 데이터로 처리되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N+1개의 블록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면 종료한다(37단계). 목표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 경우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N+1개의 블록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데이터 식별 영역의 구조도를 도시하였으며, 데이터 타입은 기록/재생 장치의 디코딩 시에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식별 영역은 섹터 정보와 섹터 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섹터 정보는 섹터 포맷 타입, 트래킹 방법, 반사율, 예비, 영역 타입, 데이터 타입, 계층 수로 이루어져 있다.
즉, 비트 위치 b31의 섹터 포맷 타입 정보는 아래와 같이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또는 ZCLV(Zone Constant Linear Velocity)인지를 나타낸다.
0b : CLV format type
1b : Zoned format type, specified for Rewritable discs
비트 위치 b30의 트래킹 방법 정보는 아래와 같이 피트(Pit) 트래킹 또는 그 루브(Groove) 트래킹인지를 나타낸다.
0b : Pit tracking
1b : Groove tracking, specified for Rewritable discs
비트 위치 b29의 반사율 정보는 아래와 같이 반사율이 40%를 초과하는지 또는 그 이하인지를 나타낸다.
0b : If the reflectivity is greater than 40%
1b : If the reflectivity is less than or equal to 40%
비트 위치 b28은 예비 비트를 나타낸다.
비트 위치 b27과 b26의 영역 타입 정보는 아래와 같이 데이터 영역, 리드인(Lead-in) 영역, 리드아웃(Lead-out) 영역 또는 재생 전용 디스크를 위한 중앙(Middle) 영역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00b : In the data area
01b : In the Lead-in area
10b : In the Lead-out area
11b : In the middle area of read-only discs
비트 위치 b25의 데이터 타입 정보는 아래와 같이 재생 전용 데이터인지 또는 링킹 데이터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0b : Read-only data
1b : Linking data
비트 위치 b24의 계층 수 정보는 아래와 같이 단면 디스크 또는 양면 디스크에서의 계층 수를 나타내고 있다.
0b : Layer 0 of dual layer discs of single layer discs
1b : Layer 1 of dual layer discs
종래에는 도 1c에서 ECC 블록 1의 마지막 기록 섹터에서 데이터 타입이 1b인 경우, 다음 섹터 즉,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를 링킹 손실 영역으로 착각함으로써 에러가 발생되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의 도 5에서는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는 ECC 블록 2(목표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 경우 ECC 블록 1(이전 블록)을 독취하고, ECC 블록 1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을 0b로 수정한 후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ECC 블록 2의 첫 번째 섹터를 링킹 손실 영역으로 착각하여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링킹 손실 영역 판단에 따라 해당 블록 또는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재생 시 에러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블록 에러 정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 크기의 에러 정정 블록을 복수의 섹터로 구분한 기록 매체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자 하는 해당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를 체크하여 링킹 손실 영역인 경우 이전 블록을 독취하는 단계;
    (b) 독취 완료 후에 상기 이전 블록의 마지막 섹터의 데이터 타입 식별 정보를 0으로 수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전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자 하는해당 블록의 첫 번째 섹터가 링킹 손실 영역인지를 체크하여 링킹 손실 영역이 아닌 경우 상기 해당 블록부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KR10-2000-0071030A 2000-11-27 2000-11-27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KR10037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30A KR100378165B1 (ko) 2000-11-27 2000-11-27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JP2001315901A JP3563056B2 (ja) 2000-11-27 2001-10-12 リンキング損失領域にデータを上書きする方法
US09/976,034 US6873594B2 (en) 2000-11-27 2001-10-15 Method of modifying identification data in linking loss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030A KR100378165B1 (ko) 2000-11-27 2000-11-27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222A true KR20020041222A (ko) 2002-06-01
KR100378165B1 KR100378165B1 (ko) 2003-03-29

Family

ID=1970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030A KR100378165B1 (ko) 2000-11-27 2000-11-27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73594B2 (ko)
JP (1) JP3563056B2 (ko)
KR (1) KR100378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062A (ja) * 2002-06-25 2004-03-18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識別情報記録方法、識別情報記録装置、識別情報再生方法、識別情報再生装置、情報サービス方法、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US8254240B2 (en) * 2005-02-16 2012-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32675B (it) * 1975-04-16 1979-06-20 C Olivetti Ec Spa Ing Dispositivo per la ricerca di informazioni registrate sun un supporto di registratione ad accesso semicasuale
KR100295219B1 (ko) * 1992-07-31 2001-09-17 이데이 노부유끼 디스크기록장치및디스크기록방법
HU229820B1 (en) * 1996-02-16 2014-08-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recording an information carrier, method and information carrier therefor
KR19990033795A (ko) * 1997-10-27 1999-05-15 구자홍 디스크의 데이터 재생방법
KR100601598B1 (ko) * 1998-06-15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방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기록 방지 방법
JP2000011383A (ja) * 1998-06-16 2000-01-14 Pioneer Electron Corp 光学記録再生装置
JP2000137952A (ja) * 1998-10-30 2000-05-16 Victor Co Of Japan Ltd 記録媒体、記録方法及び装置、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0215452A (ja) * 1999-01-19 2000-08-04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2000311449A (ja) * 1999-04-28 2000-11-07 Victor Co Of Japan Ltd 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
KR100544175B1 (ko) * 1999-05-08 2006-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링킹 타입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결함 영역 처리 방법
US6728879B1 (en) * 1999-06-02 2004-04-27 Microsoft Corporation Transactional log with multi-sector log block validation
KR100611953B1 (ko) * 1999-07-07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단위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와 이 속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165B1 (ko) 2003-03-29
US6873594B2 (en) 2005-03-29
JP3563056B2 (ja) 2004-09-08
JP2002208226A (ja) 2002-07-26
US20020064119A1 (en)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8884B1 (e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CN100401388C (zh) 高密度光盘的记录/再现方法
US7315500B2 (en) Recording medium storing link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data
KR101101393B1 (ko) 광학 디스크의 포매팅 방법
EP1607970B1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information recording program
KR100378165B1 (ko) 링킹 손실 영역에 데이터를 오버라이팅 하는 방법
US6515948B1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7983123B2 (en) Methods of defect management and reproduc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es for information recording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JPH10106170A (ja) 光ディスク情報記録システム
US20080002531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693024B2 (e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disc
JP2006024298A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US8203927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50119702A (ko) 광학 디스크 상에 리드아웃을 기록하는 방법
KR20050034999A (ko) 정보 저장매체, 데이터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