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993B1 -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심해 양식장 활용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심해 양식장 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993B1
KR100545993B1 KR1020050066472A KR20050066472A KR100545993B1 KR 100545993 B1 KR100545993 B1 KR 100545993B1 KR 1020050066472 A KR1020050066472 A KR 1020050066472A KR 20050066472 A KR20050066472 A KR 20050066472A KR 100545993 B1 KR100545993 B1 KR 10054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h
air
tubular portion
tubular
aqua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민
Original Assignee
서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민 filed Critical 서상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993B1/ko
Priority to JP200605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7029078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심해 양식장 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는 상하부가 개방된 제 1 관형부와, 상기 제 1 관형부 상부에 밀착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 하방에 제 1 부력실을 형성하고 수중에서만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부 및 상기 제 1 관형부 하부에 상기 공기 발생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공기 발생시 제 2 부력실을 형성하는 제 2 관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면을 기준으로 일정 수심에서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부자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정 수심에 양식장이 설치됨으로써 자연재해 또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없이 바다를 입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심해 양식장 활용방법{UNDERWATER FLOATING UNIT, METHOD FOR CONTROIIING A BUOYANCY THEREOF AND UTILIZING METHOD OF A UNDERWATER FAR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를 이용한 심해 양식장의 활용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의 내부 구성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 2의 Ⅲ-Ⅲ 종단면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에 사용된 공기 발생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중 양식용 부자 7 : 제 1 관형부
8, 13 : 연결 고리 10 :제 1 부력실
11 : 제 2 부력실 14 : 밀폐부
15 : 하단 개구 16 : 공기 발생원
17 : 제 2 관형부
20 : 공기 발생부
본 발명은 수중 양식용 부자(이하 수중 양식이란 양식장 전체가 물속에 잠긴 형태를 의미한다),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심해 양식장 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수심에서 일정 수압을 견디고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심해 양식장 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의 표층은 큰 파력을 받게 되므로 양식 시설물이 파랑의 충격력에 의해서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적조 및 유류 오염 등에 의한 생물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엘니뇨현상 등으로 매년 해수면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고수온에 의한 피해가 점차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양식 산업 및 어촌 활성화를 위해서는 파랑 재해 또는 고 수온에 의한 재해를 입지 않고, 또한 해양 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양식시설의 개발 및 보급이 요망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부자를 수면에 띄워 놓고 그 수면 하 해저 면에 고정체에 고정 로프로 연결함으로써 양식장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부자가 해파의 영향을 받아 부자 연결 로프가 끊어져 양식장이 파손되거나 비중이 무거운 각종 고착 해양 생물이 고착 성장함으로써 양식장 자체가 파손 및 가라앉아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그 해결 방안으로서 부자를 많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해파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양식 시설의 비용 증가 및 해수면의 환경이 크게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또한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식장 자체를 일정 수심 아래에 배치하기 위하여 잠수 시 수압의 변화에 따라 변화가 없는 수중 양식용 부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정 수심 아래 일정 수압 하에서 부자가 일정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 부력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해상의 자연 재해를 피하여 일정 수심 아래에 양식장을 설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심해 양식장의 활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는 상하부가 개방된 제 1 관형부와, 상기 제 1 관형부 상부에 밀착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 하방에 제 1 부력실을 형성하고 수중에서만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부 및 상기 제 1 관형부 하부에 상기 공기 발생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공기 발생시 제 2 부력실을 형성하는 제 2 관형부를 포함하여 수면을 기준으로 일정 수심아래에서도 일정 부력을 유지하는 부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력 조절 방법은 상기 부자에 고정추를 달아 소정 깊이로 잠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관형부의 관통홀 및 하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상기 공기 발생부가 파열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 발생부의 공기발생원이 물에 노출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 발생부가 상기 제 2 관형부와 함께 상기 제 1 관형부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 발생부와 상기 제 2 관형부가 상기 제 1 관형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양식장을 해상에서 발생되는 자연재해 및 유류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해양 생물이 부착되어 성장하거나 하여도 상기 공기 발생부 에 의해서 양식장이 해저에 가라앉아 폐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를 이용한 심해어장 활용 방법은 상기 부자를 연결로프로 연결하고 그 무게중심에 고정추를 달아 잠수시킴으로써 일정 수심 아래에 양식장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자와 상기 고정추 사이를 수직하방으로 연결하는 연결고리에 양식물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자를 상기 고정추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부자를 적어도 상기 제 1 부력실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수면 근처로 떠오른 상기 부자로부터 그 하방에 달린 양식물을 채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바다를 입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최적 환경에 따라 양식물을 일정 수심에 배치할 수 있으며, 고온 환경을 피해서 냉온 환경에서 양식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를 이용한 심해 양식장의 활용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파는 수심이 깊을수록 영향이 적어지는 바, 물입자의 원궤적 운동이 거의 없는 파장의 1/2 깊이의 수심 아래에 양식장 전체를 배치하였다. 수중 양식용 부자(1)는 바둑판 모양으로 연결 로프에 의해서 연결되고, 이들의 연결체가 고정 로프(3)에 의해서 고정체(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부자(1)에 하방으로 연결된 연결 고리(13)에는 양식물(9)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부자(1)는 진동 없이 거의 상방을 향해 수직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상기 연결 로프들 사이 상기 고정체(5)와 부자(1) 사이에 해파에 의한 힘이 감소되어 연결 로프가 끊어지거나 양식장이 해저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심해 양식장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중 양식용 부자(1)의 무게중심에 부자의 부력보다 무거운 고정추(6)를 매달아서 일정 수심 아래로 잠수시키면 된다. 이 때 상기 부자(1)들 사이를 연결로프로 연결하고 상기 부자와 상기 고정추 사이의 연결고리에 양식물을 배치하여 함께 잠수시키면 고정추(6)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 한번에 대형 양식장을 설치할 수도 있다. 양식물(9)에 따라서 일정 양식 기간이 지난 후, 상기 연결고리를 상기 고정추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부자가 부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될 때 표층에서 떠 오른 부자의 하방에 달린 양식물을 채취할 수 있다.
상기 양식물(9)은 양식물(9)이 성장하기에 최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연장된 연결고리(13) 또는 상기 수중 양식용 부자(1)의 외주면에 포자 줄을 감아 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심해 양식장을 입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적조, 유류 오염, 고온 환경 등에 영양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양식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의 내부 구성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1)는 제 1 관형부(7), 밀폐부(14), 제 2 관형부(17), 공기 발생부(20), 연결고리(8, 13) 및 이들의 체결수단(18, 19)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관형부(7)는 상하가 개방되어 있고, 상하선단에는 요철부(1c)가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요철부(1c)는 포자줄을 일정 간격으로 걸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관형부(7)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콜로라이드, 나일론 및 ABS 수지 등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티로폼 등의 발포체로 형성된 부자에 비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파손되거나 하여 주면을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관형부(7)는 원 궤적 운동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L) 및 직경은 예비 부력을 고려하여 수심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형부(7)은 이하 설명하는 상기 공기발생부(20)가 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홀(1b)을 적어도 2 이상 구비한다.
이 관통홀(1b)중 적어도 1은 상기 제 2 관형부(17)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관통홀(1b)은 상기 공기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되는 공기 및 반응열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공기압을 일정 정도로 조절하고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폐부(14)는 상하부(14a, 14b)가 개방되고, 그 중앙 내부에 밀폐판(14c)을 갖는다. 상기 밀폐부(14)는 상기 제 1 관형부(7)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밀폐판(14c)은 내구성이 좋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다. 상기 밀폐부(14)는 상기 제 1 관형부(7)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관형부(7)의 상단을 통해서 끼워맞춤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더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판(14c)은 상기 제 1 관형부(7)로부터 공기가 상방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 발생부(20)는 직경(R)을 갖는 사각형 캡슐형태로 제조된다. 이 때 사각모서리와 상기 밀폐부(14)의 직경(R)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밀폐부(14)의 하방(14b)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상기 공기 발생부(20)는 상기 제 1 관형부(20) 및 밀폐부(14)의 재료보다 파열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 발생부(20)는 제 1 부력실(10)을 형성하는 몸통부(25), 공기 발생원(16)을 수용하는 견부(21) 및 개폐가능한 마개가 형성된 목부(23)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 발생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부(21)가 제 2 관형부(17)에 끼워져 보호된다.
상기 제 2 관형부(17)는 상기 제 1 관형부(7)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공기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관통홀(1b)을 더 가지며, 상기 공기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열할 수 있도록 보다 두껍게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관형부(17)는 상기 제 1 관형부(7)가 수압에 파손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하므로 그 길이(ℓ)는 부자가 배치되는 수심 및 상기 공기 발생부(20)에 따라 결정된다. 다만, 상기 제 2 관형부(17)는 상기 공기 발생부(20)가 일정 수압에서 파열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25) 전체를 덮도록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 + H2O ⇒ AO + H2(g) ( 4-1 ) AO ⇒ A + 1/2 O2(g) ( 4-2 ) 또는, B + H2O ⇒ BH2 + 1/2 O2(g) ( 4-3 ) BH2 ⇒ 0B + H2 (g) ( 4-4 )
여기서 상기 공기 발생부(20)내에 수용된 공기 발생원(16)을 설명하면, 다공 성 물질, 예컨대 석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발생부(20)의 목부(23)를 통해서 수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 발생부(20)의 하부(24)를 개방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발생원(16)은 상기 공기 발생부(20)의 무게 중심에 모여져 수중 양식용 부자(1)의 고정추 역할을 더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발생원(16)은 상기 테이블에 표시한 바와 같이, 물을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금속(A 또는 B) 바람직하게는 카드뮴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발생원(16)은 일정 압력과 일정 온도만으로는 공기를 별도로 발생하지 않고 수중에서만 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수중 양식용 부자(1)의 감소된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발생원(16)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기량은 코팅된 금속량에 따라 화학량적으로 결정되며 공기량의 증가에 따라 금속 량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때에는 공기량의 증가에 의해서 상기 제 1 관형부(7) 내부의 공기압이 증가하여 수압과 평형을 이루었기 때문에 물이 하단 개구를 밀폐하는 역할을 하여 공기가 더 이상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석회 또는 금속 등이 녹아서 없어지는 만큼 부자 하부의 양식물 무게에 의해서 일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형부(7)는 그 상하부에 각각 고정 볼트(19)가 관통하는 관통 홀(18)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18)을 관통한 고정 볼트(19)의 선단에 고정 너트(19)가 장착된다. 이들 고정 볼트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적어도 1개 이상 의 연결고리(8, 13)가 연결된다.
상기 상단부의 연결고리(8)는 양식 기간이 종료된 후 상기 부자(1)가 표층으로 떠올랐을 때 이들을 채취할 때 갈고리 등으로 걸어서 끌어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기 하단부의 연결고리(13)는 양식물(9)을 매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고리(8, 13)는 개방 및 폐쇄가 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암나사부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단부에 수나사부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 이러한 구성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의 부력 조절 방법 및 그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먼저, 상기 공기 발생원(16)을 상기 공기 발생부(20)에 수납하고 상기 공기 발생부(20)에 압축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제 1 부력실(1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수중 양식용 부자(1) 내부에 구비된 제 1 부력실(10)의 부력 보다는 무거운 고정 추(6)를 연결고리(13)에 연결하여 잠수시킨다.
잠수 시 상기 제 1 관형부(7)의 하부 개구(15) 및 관통홀(1b)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수압에 의해서 상기 공기발생부(20)가 파열한다.
이 때, 상기 공기 발생원(16)이 물에 노출되어 공기를 발생하고, 이 공기는 밀폐부(14)의 밀폐판(14c)때문에 상방으로 나가지 못하고, 추진력을 발생한다. 이 추진력은 상기 제 2 관형부(17)와 함께 상기 공기 발생부(20)의 일부를 상기 제 1 관형부(7)의 하방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관형부(7)의 하방 내주면을 따라 돌기부(1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 발생부(20)로부터 분리된 일부 및 상기 제 2 관형부(17)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관형부(17)가 상기 제 1 관형부(7)의 하부로 이동함으로써 제 2 부력실(11)이 형성된다.
이 제 2 부력실(11)은 소정 이상의 기체에 의해서 채워지면, 제 1 관형부(7)의 하부로 유입되는 물과 평형을 이루어 상기 부자(1)는 소정의 부력을 유지한다.
이 때, 상기 제 2 관형부(17)는 관통홀(1b)을 가져 상기 공기 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열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 발생원(16)이 물과 접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 2 관형부(17)는 소정 이상의 두께를 가져 상기 공기 발생부(20)가 파열되더라고 그 충격이 상기 제 1 관형부(7)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한편, 제 1 부력실(10)의 크기는 상기 수중 양식용 부자(1)의 총 길이와 수심에 의해 결정되며, 부자(1)가 유실 되어도 회수하기 쉽게 하거나 또는 무게 중심을 아래로 집중시켜 작업성을 좋게 한다.
상기 부자(1)의 하부에 달린 연결고리(13), 고정추(6) 외에 상기 공기 발생원(16)이 무게 중심을 잡아 주어 수직하게 잠수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기 발생원(16)이 분해되어 없어지더라도 일정 양식기간이 지난 후에는 양식물이 수직하게 무게 중심을 잡아준다.
수면으로 부상 시킬 때에는 상부에 있는 연결고리(8)에 로프를 연결하여 윈치 등으로 끌어 올리거나 또는 하단 개구(15)를 통하여 공기를 더 주입함으로써 상기 부자(1)가 수면위로 더 잘 떠오르게 함으로써 작업을 용히 하게 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공기 발생원(16)이 모두 소모되어 추의 역할을 하지 않아도, 양식물들 이 하부에서 중심을 잡아 주고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설명하겠다.
도 5는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 2의 Ⅲ-Ⅲ 종단면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양식용 부자에 사용된 공기 발생부의 사시도이다.
이를 살펴보면, 제 1 관형부(7')에는 일정 피치를 두고 복수열의 길이방향을 따른 요철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7a')는 제 2 관형부(17')의 외주부에 일정 피치를 두고 복수열의 길이방향을 따른 형성된 요철부(17a')와 대응한다. 따라서, 이 요철부(7a' 17a')가 서로 형합하여 상기 제 2 관형부(17')가 상기 제 1 관형부(7') 내부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철부(7a')를 따라 포자줄을 배치함으로써 양식물이 일정 피치를 두고 배치되어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고, 부자(1')의 외부에도 양식물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 2 관형부(17')가 공기발생원(16')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기발생부(20')의 마개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발생부(20')는 슬리브 형상으로 간단히 제조될 수 있고 밀폐부(14')에 끼워맞춤되도록 직경(R)을 갖는다.
일정 수압하에서 상기 공기 발생부(20')는 제 1 부력실(10')위치로부터 추진되어 제 2 부력실(11')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관형부(7')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1a')에 의해 고정된다.
기타 체결수단(18', 19'), 연결고리(8', 13'), 돌기부(1a'), 관통홀(1b'), 하부 개구(15')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하게 작용하는 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해수면에 부자를 배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해파의 영향으로 부자와 연결 로프가 끊어져 어장이 파손 되거나 가라 앉아 양식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2) 부력을 크게 하기 위해 보다 많은 부자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비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해수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3) 고수온기에도 양식장이 냉온영역에 있으므로 고수온에 의한 집단폐사를 방지할 수 있고,
4) 해파나 조류, 환경적인 스트레스를 덜 받으므로 양식물의 성장이 왕성하게 될 수 있고,
5) 일정 수심 아래에서는 부자가 해파 등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양식장의 관리가 용이하고,
6) 고착성 미생물의 제거 등에 드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7) 기타 관광 자원으로써 해안 조망권을 유지할 수 있고, 해수면을 효율적으 로 이용할 수 있으며, 스티로폼 조각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일정 수심 아래에 수직하게 유지되고, 자동적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중 양식용 부자에 있어서,
    상하부가 개방된 제 1 관형부와, 상기 제 1 관형부 상부에 밀착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 하방에 제 1 부력실을 형성하고 수중에서만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부 및 상기 제 1 관형부 하부에 상기 공기 발생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공기 발생시 제 2 부력실을 형성하는 제 2 관형부를 포함하는 수중 양식용 부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부, 제 2 관형부 및 밀폐부는 각각 내구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콜로라이드, 나일론 및 ABS 수지 등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를 관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수중 양식용 부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부 및 제 2 관형부의 길이는 부자가 설치되는 수심에 따라 결 정되고 상기 제 2 관형부보다 상기 제 2 관형부가 두껍게 형성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부에는 적어도 2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1 이상의 관통홀은 상기 제 2 관형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하며, 상기 제 1 관형부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돌기부가 형성된 수중 양식용 부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부 상하부에 체결홀과,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고정볼트에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고정볼트에 결합되고, 개방 및 폐쇄가 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 암나사부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단부에 수나사부를 갖는 복수개의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수중 양식용 부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형부의 상하 선단에는 일정 피치를 두고 요철부가 형성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그 내부 중앙에 일정 두께를 갖는 밀폐판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 하부와 상기 공기 발생부가 끼워맞춤 결합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발생부는 캡슐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1 부력실은 형성하는 몸통부, 상기 공기 발생원을 수용하는 견부 및 개폐가능한 마개가 형성된 목부로 구성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발생부는 상기 제 1 관형부, 밀폐부 및 상기 제 2 관형부보다 내구성이 약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발생원은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수중 양식용 부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석회이며, 상기 공기발생원은 물과 반응하는 금속으로 코팅되고, 코팅된 금속량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량이 화학량적으로 결정되며 공기량의 증가에 따라 금속량이 감소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카드뮴인 수중 양식용 부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발생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관형부의 길이와 해수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따라 결정되는 수중 양식용 부자.
  14. 상하부가 개방된 제 1 관형부와, 상기 제 1 관형부 상부에 밀착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 하방에 제 1 부력실을 형성하고 수중에서만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부 및 상기 제 1 관형부 하부에 상기 공기 발생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공기 발생시 제 2 부력실을 형성하는 제 2 관형부를 포함하는 수중 양식용 부자를 일정 수심 아래에 수직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력 조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자에 고정추를 달아 소정 깊이로 잠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관형부의 관통홀 및 하부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상기 공기 발생부가 파열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 발생부의 공기발생원이 물에 노출되는 단계와,
    상기 공기 발생부가 상기 제 2 관형부와 함께 상기 제 1 관형부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 발생부와 상기 제 2 관형부가 상기 제 1 관형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력 조절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와 상기 고정추 사이의 연결고리에 양식물이 배치되는 부력 조절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발생부는 양식물의 성장 무게에 따라 결정되는 부력 조절 방법.
  17. 상하부가 개방된 제 1 관형부와, 상기 제 1 관형부 상부에 밀착 결합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 하방에 제 1 부력실을 형성하고 수중에서만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 발생부 및 상기 제 1 관형부 하부에 상기 공기 발생부의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공기 발생시 제 2 부력실을 형성하는 제 2 관형부를 포함하는 수중 양식용 부자를 이용한 심해어장 활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자를 연결로프로 연결하여 양식장을 형성하고 고정추를 무게 중심에 달아 일정 수심 아래로 양식장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자와 상기 고정추 사이를 수직하방으로 연결하는 연결고리에 양식물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자를 상기 고정추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부자를 적어도 상기 제 1 부력실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자가 수면위로 떠올랐을 때 그 하방에 달린 양식물을 채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해어장 활용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의 개수는 양식물의 습생 환경 또는 양식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심해어장 활용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양식용 부자의 외주면을 따라 포자줄을 감아주는 심해어장 활용방법.
KR1020050066472A 2004-10-25 2005-07-21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심해 양식장 활용방법 KR10054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3624A JP2007029078A (ja) 2005-07-21 2006-02-28 水中養殖用浮子、その浮力調節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深海養殖場活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287A KR20050025939A (ko) 2004-10-25 2004-10-25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
KR1020040085287 2004-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993B1 true KR100545993B1 (ko) 2006-01-25

Family

ID=371783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287A KR20050025939A (ko) 2004-10-25 2004-10-25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
KR1020050066472A KR100545993B1 (ko) 2004-10-25 2005-07-21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심해 양식장 활용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287A KR20050025939A (ko) 2004-10-25 2004-10-25 부력조절부분이 내장된 육성기에 의한 멍게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259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363B1 (ko) 2015-06-08 2015-09-25 주식회사 혁신 기능성 인공어초
CN112219781A (zh) * 2020-10-28 2021-01-15 苑忠娟 一种防干水和缺水的生态复合养殖鱼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56B1 (ko) 2019-12-11 2021-10-20 박칠석 다영양 입체양식을 이용한 해조류와 우렁쉥이의 복합양식방법
KR102510208B1 (ko) * 2020-07-16 2023-03-15 유원기 수중 양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363B1 (ko) 2015-06-08 2015-09-25 주식회사 혁신 기능성 인공어초
CN112219781A (zh) * 2020-10-28 2021-01-15 苑忠娟 一种防干水和缺水的生态复合养殖鱼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939A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4495B1 (ja) 水上生簀用耐圧調整式水中上向飼料供給装置
JP6923547B2 (ja)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US10568304B2 (en) Steel structure cage for marine crustacean aquaculture and integration thereof into vertical fish-crustacean aquaculture system
US5299530A (en) Submergible fish cage
CN107148930B (zh) 沉浮式网箱
KR101185861B1 (ko) 중심부력제어에 의한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
CN106417130A (zh) 一种海洋甲壳类动物养殖钢结构网箱及立体养殖系统
CN111084139B (zh) 深海养殖沉浮平台
KR101845500B1 (ko) 잠수형 가두리장치
WO2019196651A1 (zh) 养殖网箱升降调节装置及其开放海域重力式养殖网箱
WO2014077159A1 (ja) 浮沈式生け簀
KR101947319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KR100545993B1 (ko) 수중 양식용 부자, 그 부력 조절 방법 및 그를 이용한심해 양식장 활용방법
CN103782937A (zh) 一种深水网箱升降系统
KR101315042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101444134B1 (ko) 수상가두리용 수중 상향식 사료공급장치
KR101724819B1 (ko) 홍해삼 해중 양식틀
KR101639477B1 (ko) 부침식(浮沈式) 가두리 양식장
CN201674875U (zh) 鲍鱼吊养球形养殖箱
CN207167433U (zh) 一种深海养殖网箱
KR20090029417A (ko) 가두리양식장용 전용 활어류 운송 장치
CN107155995B (zh) 一种筒桩式浮鱼礁
KR101868455B1 (ko) 수중에 수면을 형성한 양식장치
KR20050008554A (ko) 패류용 가두리 시설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