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886B1 - 제품 분류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분류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886B1
KR100545886B1 KR1020040011974A KR20040011974A KR100545886B1 KR 100545886 B1 KR100545886 B1 KR 100545886B1 KR 1020040011974 A KR1020040011974 A KR 1020040011974A KR 20040011974 A KR20040011974 A KR 20040011974A KR 100545886 B1 KR100545886 B1 KR 10054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roduct
finger assembly
lan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455A (ko
Inventor
이계복
이석호
전성진
경규윤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 filed Critical (주)엔에스
Priority to KR102004001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8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소정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을 거친 각 제품들을 판별유형별로 이송시켜주는 다수의 이송레인과, 상기 이송레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는 상기 이송레인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의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각 이송레인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각 안내레일을 따라 다수의 제품들을 각각 소정의 이송레인 위치까지 이송시켜주는 다수의 핑거조립체와, 상기 각 핑거조립체가 상기 이송레인의 상부로 전진 이송되려는 성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핑거조립체를 당겨주는 다수의 탄성견인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각 관통공에 수용되어 하부외측으로 각각 출몰하면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가 특정 이송레인상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 및 이들을 각각 작동시켜주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와, 상기 각 핑거조립체의 전후진 이송을 제어하는 이송제어바아 및 이를 작동시켜주는 구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성능 테스트된 다수의 제품을 해당 이송레인 상에 동시에 정확히 선별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품 분류이송장치, 제품성능테스트, 선별, 이송레인, 스토퍼, 핑거

Description

제품 분류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classifying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제품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선행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각 제품들을 판별유형별로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품들을 본 발명의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의하여 해당 이송레인별 위치까지 각각 이송시켜주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제품 분류이송장치 1 ; 제품
10 ; 상판 11 ; 안내홈
20 ; 지지플레이트 21 ; 안내레일
22 ; 관통공 23 ; 브래킷
30 ; 실린더 31 ; 실린더로드
32 ; 핀 40 ; 탄성견인부재
41 ; 인장스프링 42 ; 이송로울러
43 ; 안내로울러 44 ; 강선
50 ; 구동력전달유닛 51 ; 이송제어바아
52a, 52b; 너트부재 53a, 53b ; 볼스크류
54 ; 구동모우터 55a, 55b, 56a, 56b ; 벨트풀리
55c, 56c ; 벨트 60 ; 핑거조립체
61 ; 핑거 62 ; 선회축
63 ; 그립작동용 실린더 64 ; 승강부재
65 ; 승강안내레일 66 ; 승강용 실린더
67 ; 결합부재 100 ; 이송컨베이어벨트
101 ; 레인가드 102 ; 이송레인
본 발명은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행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에서 구분된 다수의 제품을 해당 이송레인 상에 동시에 신속하고도 정확히 선별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나 회로 따위를 구성하는 단위부품으로서의 소자(素子)나 건전지 등과 같이, 균일 형상으로 다량 생산되는 전기 또는 전자부품(이하, '제품'이라 통칭함.)들은 제품을 출하하기 전에 그 제품이 정상적인 전압이나 저항 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을 거쳐 제품의 불량여부를 판 별한 후 정상적인 제품만을 선별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이 제품의 성능을 검사한 후 양품을 선별하여 분류이송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들을 자동화한 선별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양품 자동선별시스템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소수의 제품만을 선별하여 이송하는 정도의 기술수준에 머물러 있으므로 다수의 제품을 동시에 선별하여 이송하는데 적합하지 못한 시스템의 구조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다수의 제품을 선별하여 이송하기 위해서는 그 장치적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작업속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선별시스템에 적용된 분류이송장치를 생산라인에 직접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생산성 저하로 인하여 제품 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의 제품을 선별 및 이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장치 구성이 복잡해지고 대형화될 수밖에 없어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주목적은, 선행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에서 구분된 다수의 제품을 해당 이송레인 상에 동시에 신속하고도 정확히 선별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킴과 아울러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제품 분류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능테스트가 완료된 제품을 다량 이송하여 분류할 수 있는 집적적이고도 단순화된 장치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제품 분류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는, 통상의 이송컨베이어벨트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을 거친 각 제품들을 판별유형별로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레인과, 상기 이송레인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이송레인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레일과 인접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각 이송레인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각 안내레일상에 각각 결합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며 다수의 제품들을 각각 파지하여 소정의 이송레인 위치까지 이송 및 안착시켜주는 다수의 핑거조립체와, 상기 각 핑거조립체가 각각의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이송레인의 상부로 전진 이송되려는 성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탄력적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핑거조립체와 연결된 다수의 탄성견인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각 관통공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출몰하면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가 특정 이송레인상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각 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작동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와, 상기 각 핑거조립체의 전면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송레인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각 핑거조립체의 전진이송시에는 각각의 전진성향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며 전진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각 핑거조립체에 의한 제품 분류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핑거조립체를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제품성능테스트를 마친 다수의 제품들을 재차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후진이송시켜주는 이송제어바아와, 상기 이송제어바아를 안정적으로 구동시켜줄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이송제어바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너트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 너트부재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된 한 쌍의 볼스크류와, 상기 한 쌍의 볼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그 볼스크류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구동모우터와, 상기 각 볼스크류가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우터가 장착된 볼스크류의 타단부와 나머지 볼스크류의 일단부에 체결된 벨트풀리 및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견인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평행을 유지하며 상기 각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상에서, 상기 각 안내레일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다수의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인장스프링의 후방측 일단은 상기 상판에 각각 고정되고, 이들의 각 선단측 일단은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안내홈을 따라 상기 핑거조립체의 이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전후진이송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와 결합되며, 상기 각 이송로울러에는 강선이 각각 권취되어 상기 각 강선의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 각각의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각 강선의 타단은 각각 한 쌍의 안내로울러를 매개로 방향 전환되어 상기 각 핑거조립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 제품 분류이송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품 분류이송장치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품 분류이송장치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제품(1)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선행 제품성능테스트 결과에 따라 각 제품(1)들을 판별유형별로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제품(1)들을 본 발명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의하여 해당 이송레인(102)별 위치까지 각각 이송시켜주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이송장치(M)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벨트(100)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이송레인(102)과, 상기 이송레인(102)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상판(10) 및 지지플레이트(20)와, 제품(1)을 파지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저면상에서 안내레일(21)을 따라 이송하여 소정의 이송레인(102) 상에 안착시켜주는 다수의 핑거조립체(60)와, 상기 핑거조립체(60)를 전진이송시켜주는 탄성견인부재(4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로부터 하향 출몰하면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60)가 특정 이송레인(102)상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스 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32) 및 이를 각각 작동시켜주는 다수의 실린더(30)와,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전후진 이송을 강제적으로 제어해주는 이송제어바아(51)와, 상기 이송제어바아(51)를 안정적으로 구동시켜줄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력전달유닛(5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레인(102)은 상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이송컨베이어벨트(100)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폭의 레인가드(10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소정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을 거친 각 제품(1)들을 판별유형별로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00)는 벨트풀리(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각 이송레인(102) 내에 안착된 제품(1)들이 각각의 이송레인(102)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상기 상판(10) 및 지지플레이트(20)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상기 다수의 실린더(30)들을 수용한 채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판(10)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견인부재(40)가 안정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다수의 안내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는 상기 이송레인(102)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이송레인(102)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안내레일(21)이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레일(21)과 인접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각 이송레인(102)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22)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각 핑거조립체(6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 지플레이트(20)의 각 안내레일(21)상에 각각 결합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며 다수의 제품(1)들을 각각 파지하여 소정의 이송레인(102) 위치까지 이송 및 안착시켜주기 위한 장치부로서,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일례를 들어 하나의 핑거조립체(60)의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각 안내레일(21)에 조립되는 결합부재(67)의 하부에 승강안내레일(65)이 연직방향을 따라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승강안내레일(65) 상에는 그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승강부재(64)가, 상기 승강안내레일(65)의 외측에는 승강용 실린더(66)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재(64)의 하단부가 상기 승강용 실린더(66)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용 실린더(66)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64)가 승강작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64)의 외측에는 제품(1)을 파지하기 위한 핑거(61)를 하부에 구비한 그립작동용 실린더(6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핑거(61)는 그 내측단부가 상기 그립작동용 실린더(63)의 실린더로드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그립작동용 실린더(63)의 작동시 한 쌍의 핑거부재가 각각의 선회축(62)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응되게 선회함으로써 제품(1)을 잡거나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고적으로, 도 1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기 위하여 3개의 핑거조립체(60)가 결합된 구조로, 이하 나머지 도면에서는 6개의 핑거조립체(60)가 결합된 구조로 각각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이는 개수의 차이만 있을 뿐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 핑거조립체(60)의 개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 탄성견인부재(40)는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가 각각의 안내레일(21)을 따라 상기 이송레인(102)의 상부로 전진 이송되려는 성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탄력적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의 선단쪽과 연결된 장치부로서, 본 발명에서는 인장스프링(41)을 적용하였다. 즉, 상기 탄성견인부재(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와 평행을 유지하며 상기 각 실린더(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10) 상에서, 상기 각 안내레일(21)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다수의 인장스프링(4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인장스프링(41)의 후방측 일단은 상기 상판(10)에 각각 고정되고, 이들의 각 선단측 일단은 상기 상판(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안내홈(11)을 따라 상기 핑거조립체(60)의 이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전후진이송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42)와 결합되며, 상기 각 이송로울러(42)에는 강선(44)이 각각 권취되어, 상기 각 강선(44)의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고정 설치된 각각의 브래킷(23)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각 강선(44)의 타단은 상기 브래킷(23)의 상, 하단부에 위치한 각각 한 쌍의 안내로울러(43)를 매개로 방향 전환되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에 고정된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60)를 강제적으로 밀어 후진이송시키지 않는 한, 상기 인장스프링(41)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는 이송레인(102)의 상부로 전진이송하려는 성향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인장스프링(41)의 견인력이 상기 이송로울러(42)를 후진이송시키면 여기에 걸려있는 강선(44)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를 전진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핀(32)들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 트(20)의 각 관통공(22)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출몰하면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60)가 특정 이송레인(102)상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핀(32)의 상부에는 이를 상하로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각 실린더(3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각 핀(32)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작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이송제어바아(51)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 전면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송레인(102)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전진이송시에는 각각의 전진성향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며 전진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에 의한 제품(1)의 분류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를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제품성능테스트를 마친 다수의 제품(1)들을 재차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후진이송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력전달유닛(50)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제어바아(51)를 안정적으로 구동시켜줄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제어바아(5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너트부재(52a)(52b)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 너트부재(52a)(52b)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된 한 쌍의 볼스크류(53a)(53b)와, 상기 한 쌍의 볼스크류(53a)(53b)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그 볼스크류(53a)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구동모우터(54)와, 상기 각 볼스크류(53a)(53b)가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우터(54)가 장착된 볼스크류(53a)의 타단부와 나머지 볼스크류(53b)의 일단부에 각각 고정된 벨트풀리(56a)(56b) 및 이들간에 체결되는 벨트(56c)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우터(54)의 모우터축과 상기 볼스크류(53a)의 일단부에는 한 쌍의 벨트풀리(55a)(55b)가 각각 고정되고, 이들간에 벨트(55c)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구동모우터(54)로부터 볼스크류(53a) 쪽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부 구성에 의한 해당 이송레인(102)으로의 제품 이송원리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별도의 제품 이송컨베이어(미도시)를 따라 이송된 제품(1)들을 일정개수 단위로 성능 테스트하여 각 제품(1)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이와 같이 검사된 일정개수 단위의 제품(1)들은 동일개수의 핑거(61)에 의해 각각 파지되어 이송레인(102)쪽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제품성능테스트과정을 진행하는 이송컨베이어의 위치로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후진이송은, 구동모우터(54)에 의해 회전되는 볼스크류(53a)(53b)를 따라 각 너트부재(52a)(52b)가 후진이송되면서 상기 각 너트부재(52a)(52b)간을 가로지르는 이송제어바아(51)에 의해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 전면이 동시에 강제적으로 가압됨으로써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41)은 상기 이송제어바아(51)의 가압력에 의해 신장되어 그 수축방향으로 복원되려는 성향을 가짐으로써 상기 이송제어바아(51)와 각 핑거조립체(60)의 결합부재(67) 전면간에는 상 호 긴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후, 상기 구동모우터(54)의 역회전에 의해 볼스크류(53a)(53b)가 역회전되어 상기 각 너트부재(52a)(52b)를 전진이송시켜 상기 이송제어바아(51)가 전진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60)들은 제품(1)을 파지한 상태로 각 안내레일(21)을 따라 상기 각 인장스프링(41)의 수축 복원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전진이송된다.
이러한 상기 각 핑거조립체(60)에 의한 제품이송과정에서 제품성능테스트 결과에 따른 판별유형별로 할당된 각 이송레인(102)상에 해당 제품(1)이 정확히 멈춰서기 위해서는, 해당 지점에 위치한 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하여 그 실린더로드(31)에 결합된 핀(32)이 지지플레이트(20)의 저면상으로 하강 돌출되어야 한다. 이는, 핑거(61)의 개수와 이송레인(102)의 개수를 곱한 행렬(Matix)의 형태로 그 각 교차지점마다 배열된 다수의 핀(32)들이 제어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작동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4에서는 6개의 핑거(61)와 5개의 이송레인(102)이 구비된 작업환경에 있어서의 핀 배열에 관한 일례(6×5 행렬)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수의 핀(32) 중에서 검은색으로 채색된 것은 지지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핀(32)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이송제어바아(51)의 최종 전진이송위치를 최전방의 이송레인(102)까지로 제한하는 경우에는, 그 이송레인(102)상의 핑거(61) 개수만큼의 실린더(30) 및 핀(32)에 의한 스토퍼 기능을 상기 이송제어바아(51)로서 대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일렬의 실린더(30) 및 핀(32)들을 제거 가능하여 장치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과정을 통해 각 이송레인(102)상에 안착된 제품(1)들은 각각의 이송레인(102)을 따라 단일 이송컨베이어벨트(100)상에서 동시에 전진이송되어 각 제품(1)들을 동일 유형별로 각각 분리하여 수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품 분류이송장치에 의하면, 지지플레이트 상에 행렬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스토퍼용 핀의 독립적 출몰제어 작동방식을 적용하여, 선행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에서 구분된 다수의 제품을 해당 이송레인 상에 동시에 신속하고도 정확히 선별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생산원가를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성능테스트가 완료된 제품을 다량 이송하여 분류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핀 작동에 의한 위치제어 방식에 따른 집적적이고도 단순화된 장치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이송컨베이어벨트상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제품성능테스트 과정을 거친 각 제품들을 판별유형별로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이송레인;
    상기 이송레인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그 저면에는 상기 이송레인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안내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레일과 인접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상기 각 이송레인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각 안내레일상에 각각 결합되어 이를 따라 이송되며 다수의 제품들을 각각 파지하여 소정의 이송레인 위치까지 이송 및 안착시켜주는 다수의 핑거조립체;
    상기 각 핑거조립체가 각각의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이송레인의 상부로 전진 이송되려는 성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탄력적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핑거조립체와 연결된 다수의 탄성견인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각 관통공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각각 출몰하면서 상기 각 핑거조립체가 특정 이송레인상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다수의 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각 핀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작동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 하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
    상기 각 핑거조립체의 전면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송레인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각 핑거조립체의 전진이송시에는 각각의 전진성향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며 전진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각 핑거조립체에 의한 제품 분류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각 핑거조립체를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제품성능테스트를 마친 다수의 제품들을 재차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후진이송시켜주는 이송제어바아; 및
    상기 이송제어바아를 안정적으로 구동시켜줄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이송제어바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너트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 너트부재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된 한 쌍의 볼스크류와, 상기 한 쌍의 볼스크류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그 볼스크류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구동모우터와, 상기 각 볼스크류가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우터가 장착된 볼스크류의 타단부와 나머지 볼스크류의 일단부에 체결된 벨트풀리 및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견인부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평행을 유지하며 상기 각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 상에서, 상기 각 안내레일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된 다수의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인장스프링의 후방측 일단은 상기 상판에 각각 고정되고, 이들의 각 선단측 일단은 상기 상판 상에 형성된 다수의 안내홈을 따라 상기 핑거조립체의 이송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전후진이송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와 결합되며, 상기 각 이송로울러에는 강선이 각각 권취되어 상기 각 강선의 일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 각각의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각 강선의 타단은 각각 한 쌍의 안내로울러를 매개로 방향 전환되어 상기 각 핑거조립체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이송장치.
KR1020040011974A 2004-02-23 2004-02-23 제품 분류이송장치 KR10054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74A KR100545886B1 (ko) 2004-02-23 2004-02-23 제품 분류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974A KR100545886B1 (ko) 2004-02-23 2004-02-23 제품 분류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55A KR20050083455A (ko) 2005-08-26
KR100545886B1 true KR100545886B1 (ko) 2006-01-26

Family

ID=3726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974A KR100545886B1 (ko) 2004-02-23 2004-02-23 제품 분류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54B1 (ko) 2007-10-29 2008-10-09 (주)엔에스 제품 분류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654B1 (ko) 2007-10-29 2008-10-09 (주)엔에스 제품 분류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455A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8219B (zh) 多铆钉自动装配铆接机
DE69922553T2 (de) Hängend angeordnete Sortiervorrichtung für Förderer
EP0477104A2 (en) Modular sorting unit for conveyor systems
US3512638A (en) High speed conveyor sorting device
KR100862654B1 (ko) 제품 분류이송장치
US5220715A (en) Printed circuit board processing apparatus
KR100545886B1 (ko) 제품 분류이송장치
KR101071203B1 (ko) 양품 자동선별시스템
KR20100131581A (ko) 제품 분류이송장치
JP2007301517A (ja) 球塊状農産物の選別装置
KR101056350B1 (ko) 이동 방향 자동 전환 시스템
US5323912A (en) Conveyer with an automated sorting system
CN207082520U (zh) 掰片装置及掰片设备
US20030079958A1 (en) Sorting system
US2902150A (en) Mechanisms and methods for the sorting of lumber
KR100917001B1 (ko) 테스트 핸들러용 트레이 공급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트레이 이송방법
KR100565853B1 (ko) 전복 등급 자동 선별장치
CN109969726B (zh) 一种物品多种分类管理输送机、分类管理输送系统及其管理输送方法
CN211277259U (zh) 一种笔帽方向检测装置
CN212086600U (zh) 无镂空pcb联板自动拆板设备
JP4857474B2 (ja) 果実の選別装置
CN220332732U (zh) 一种老化芯片周转车
CN110817362B (zh) 一种货物分拣设备及货物找中装置
JPH0616232A (ja) 駆動ベルトを自動的な方法にて取り扱う方法及びその装置
CN112058711A (zh) 锂电池老化分选机及其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