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290B1 -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290B1
KR100545290B1 KR1020030013623A KR20030013623A KR100545290B1 KR 100545290 B1 KR100545290 B1 KR 100545290B1 KR 1020030013623 A KR1020030013623 A KR 1020030013623A KR 20030013623 A KR20030013623 A KR 20030013623A KR 100545290 B1 KR100545290 B1 KR 10054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source
base station
off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772A (ko
Inventor
구임수
김현경
이철수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3001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2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RF 중계기의 PN Offset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및 각 중계기에 대한 연계구성을 통합 관리하고, 이러한 RF 망의 연계구성 정보 및 PN Offset 정보를 비교하여 망 장애 등에 대한 원인을 분석 관리하는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기지국 및 광 중계기간의 연계구성을 입력 관리하는 단계; 각 RF 중계기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그 PN Offse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PN Offset 정보를 토대로 각 RF 중계기에 대한 상위 연계 Source를 갱신 관리하는 단계; 각 RF 중계기의 연계 Source 정보를 분석하여 기지국, 광 중계기, RF 중계기간의 통합 연계구성을 관리하는 단계; RF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 값들과 통합 연계구성에 따른 Source PN 값을 비교하여 망 장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통합 망관리, PN Offset, 광 중계기, RF 중계기, RASS

Description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BTS/Repeater management method for discerning Root-cause of an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중계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ASS(Remote Air Surveillance System)장비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 중계기의 SOURCE PN에 대한 초기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N Offset을 이용한 RF 중계기의 Source 갱신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연계구성 및 PN Offset을 통해 망 장애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중앙관리 시스템 20: 교환국
30: 기지국 40: 광 중계기
50: RF 중계기 60: RASS 장비
본 발명은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각 RF 중계기의 PN Offset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및 각 중계기에 대한 연계구성을 통합 관리하고, 이러한 RF 망의 연계구성 정보 및 PN Offset 정보를 비교하여 망 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근본 원인)를 효율적으로 분석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은 다수의 기지국 및 중계기들로 구성되며, 가입자에게 최적의 통화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망 환경의 상태 및 출력 장애 등을 수시로 체크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은 유선환경의 기지국과 광 중계기에 대해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지만, 일반 RF 중계기를 기지국/광 중계기와 통합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무선 환경에서 운영되는 RF 중계기는 인접한 다수의 기지국 또는 광 중계기들의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망 환경의 변화, 출력장애 등에 따라 그 Source 기지국 또는 광 중계기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RF 중계기를 포함한 통합 연계구성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화 장애 등에 대한 근본 원인(Root Cause)이 무엇인지 또는 장애 발생 장소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하지 못하 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 중계기의 Source PN Offset 정보를 통해 PCS망의 기지국 및 각 중계기에 대한 연계구성을 통합 관리하여 RF환경의 이동통신망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및 운용을 도모하고, 망 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를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은, 중앙관리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 및 광 중계기의 유선 연결상태에 따라 기지국과 광 중계기간 연계구성을 입력 관리하는 단계; 각 RF 중계기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그 PN Offse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PN Offset 정보를 토대로 각 RF 중계기에 대한 상위 연계 Source를 갱신 관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및 광 중계기의 연계구성 데이터와 상기 RF 중계기의 연계 Source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지국, 광 중계기, RF 중계기간의 통합 연계구성을 관리하는 단계; RF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 값들과 통합 연계구성에 따른 Source PN 값을 비교하여 망 장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 RF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 정보와 통합 연계구성에 따른 Source PN 값을 비교하여 망 장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중계기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S망 환경의 기지국/중계기 통합 구성관리 시스템은, 중앙관리 시스템(10), 교환국(20), 다수의 기지국(30), 및 각 기지국(30)의 커버리지(coverage)를 확장하기 위한 다수의 광 중계기(40) 및 RF 중계기(5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는 RF 망환경 전체에 대한 통화품질, 장애분석 및 성능보완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하위의 기지국(30), 광 중계기(40), 및 RF 중계기(50)들에 대해 각각의 관리항목들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기지국/중계기간 연계구성 및 출력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를 분석 관리한다.
또한, 각 기지국(30)은 상위의 교환국(20)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알파 섹터, 베타 섹터, 감마 섹터별로 고유의 PN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광 중계기(40)는 기지국(30)으로부터 전파도달이 어려운 전파불감 지역의 통화품질 개선 및 커버리지의 확장을 위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30)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광 중계기(40)는 무선 안테나를 구비하여 기지국(30)으로부터의 광 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증폭하여 주위의 전파불감 지역으로 송출한다. 이때, 광 중계기(40)는 Source 기지국(섹터)의 PN 신호를 주위로 방송한다.
상기 RF 중계기(50)도 통화품질 개선 및 커버리지의 확장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인접 기지국(30) 또는 광 중계기(4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증폭하여 주위로 송출한다. 이러한 RF 중계기(50)는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인접된 다수의 기지국(30) 또는 광 중계기(40)들의 PN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RF 중계기(50)에 별도의 RASS(Remote Air Surveillance System, 60) 장비를 설치하여 각 RF 중계기(50)들이 수신하는 PN Offset 데이터를 소정의 주기로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각 RF 중계기(50)의 PN Offset 정보를 이용하여 RF 망환경의 기지국/중계기간 연계구성을 용이하게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출력 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를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각 RF 중계기(50)에 설치되는 RASS 장비(6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ASS 장비(60)는 각 RF 중계기(5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RF 중계기(50)와 RS-232C 케이블로 연결되고, 무선 모뎀부(61)와, 제어기능 모듈(62)과, 데이터 측정 수집부(63)와, Script 수행 및 데이터 가공부(64)와, 데이터 전송부(65)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 모뎀부(61)는 핸드폰 단말기와 같은 무선 모뎀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위의 기지국(30) 또는 중계기를 통해 중앙관리 시스템(10)과 SMS 메시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측정 수집부(63)는 무선 모뎀부(61)를 통해 전파 환경 데이터를 측정 수집한다. 이러한 전파 환경 데이터로는 RF 중계기의 PN Offset 정보, Tx/Rx Power, Ec/Io, FER 등이 된다.
상기 Script 수행 및 데이터 가공부(64)는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Script에 지정된 것에 따라 즉시 또는 지정 시간마다 추출하고, 이를 SMS 메시지 형태로 가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부(65)는 상기 가공된 SMS 메시지 형태의 전파환경 데이터를 상기 무선 모뎀부(61)를 통해 중앙관리 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부(65)는 SMS 전파환경 데이터에 RASS 장비(즉, RF 중계기)를 식별할 수 있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정보를 태깅하여 전송한다.
한편,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에서 설정 관리되는 기지국(30), 광 중계기(40), 일반 RF 중계기(50)에 대한 관리항목들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 관리 항목으로는, BSS_ID(기지국 서브 시스템에 대한 식별 ID), BSC_ID(제어국에 대한 식별 ID), BTS_ID(기지국에 대한 식별 ID), BTS 코드(기지국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 SECTOR_NUMBER(기지국의 섹터 수), 알파 섹터_PN(기지국 알파 섹터의 PN값), 베타 섹터_PN(기지국 베타 섹터의 PN값), 감마 섹터_PN(기지국 감마 섹터의 PN값), 등이 있다.
이러한 기지국(30)에 대한 관리항목들은 중앙관리 시스템의 운영자가 직접 입력하여 각 기지국 및 섹터별로 기지국 구성 테이블에 관리하며, 기지국(30)은 유선 연결상태이므로 관리항목에 대한 갱신 등의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광 중계기 관리 항목으로는, 광중계기_ID(광중계기에 대한 식별 ID), BTS_코드(상위 기지국의 고유식별 코드), 섹터_ID(광중계기가 연결된 상위 기지국의 섹터 ID), 섹터_PN(광중계기가 연결된 상위 기지국 섹터의 PN값), MASTER_ID(기지국측 MASTER 광중계기의 식별 ID), SLAVE_ID(필드측 SLAVE 광중계기의 식별 ID), 등이 있다.
여기에서, BTS_코드, 섹터_ID, 섹터_PN 관리항목은 그 광중계기가 어떤 상위 기지국 및 섹터와 연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구성정보를 갖고, 광중계기_ID, MASTER_ID, SLAVE_ID 관리항목은 그 광 중계기(4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갖는다.
이러한 광중계기 관리항목들도 중앙관리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어 각 광중계기별로 관리되며, 광 중계기(40)는 상위 기지국(30)과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관리항목들에 대한 설정 및 갱신이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일반 RF 중계기 관리 항목으로는, 중계기_ID(RF 중계기에 대한 식별 ID), BTS_코드, BTS_섹터, BTS_PN(RF 중계기 설치시에 설정되는 Source 기지국의 고유식별 코드, 기지국 섹터, 기지국 PN값), SOURCE_ID(RF 중계기에 대한 현재 Source 기지국/중계기의 식별 ID), SOURCE_PN 1,2,3,..(현재 Source 기지국/중계기의 PN값), MIN 번호(RF 중계기에 설치된 RASS 장비의 식별번호), 등이 있다.
여기에서, BTS_코드, BTS_섹터, BTS_PN 관리항목은 RF 중계기의 설치 장소와 가장 인접한 기지국, 즉 RF 중계기가 가장 큰 신호레벨을 받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갖는 항목으로서, 서버 운영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관 리항목이다.
또한, SOURCE_ID, SOURCE_PN(s) 관리항목은 그 RF 중계기(50)에 현재 Source 신호를 주는 인접 기지국(30)들에 대한 정보를 갖는 항목으로, 그 RF 중계기의 RASS 장비(60)로부터 수신되는 PN Offset 정보와 비교하여 갱신 관리되며 그 RF 중계기(50)가 현재 어떤 기지국/중계기와 연계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MIN 번호 관리항목은 그 RF 중계기(50)에 설치된 RASS 장비(60)에 대한 식별 항목으로서, RASS 장비(60)로부터 수신된 PN Offset 정보가 어떤 RF 중계기에 대한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PN Offset 정보를 통해 각 RF 중계기(50)에 대한 Source 기지국/중계기를 수시로 갱신 관리함으로써, RF 환경으로 인해 직접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RF 중계기(50)에 대한 상위 기지국/중계기와의 연계구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중앙관리 시스템(10)에서 PN Offset 정보를 통해 RF 중계기(50)에 대한 연계 Source 관리 과정을 도 3 및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각 RF 중계기(50)에 대한 Source PN을 초기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운영자는 중앙관리 시스템(10)의 기지국 관리항목 및 광중계기 관리항목에 그 기지국 및 광중계기의 유선 연결상태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한다.(S301)
RF 중계기의 RASS 장비(60)가 PN Offset 정보를 갖는 SMS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그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태깅된 RASS 장비(60)의 MIN 번호를 통해 해당 RF 중계기(50)를 식별한다.(S302)
그리고, RASS 장비(60)로부터 획득된 PN Offset 값을 그 강도 순서로 인접 기지국(30)의 섹터 PN 값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S303)
이때, 획득된 PN 값과 인접 기지국(30)의 섹터 PN 값이 일치하게 되면,(S304)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구성관리 테이블의 관리항목을 참조하여 그 인접 기지국, 및 그 섹터와 연계된 광중계기(또는 RF 중계기)의 ID를 확인하고, 이를 해당 RF 중계기(50)의 SOURCE_ID 관리항목에 입력한다.(S305)
또한, 그 PN 값을 해당 RF 중계기(50)의 관리항목에 SOURCE_PN 값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RASS 장비(60)로부터 획득된 모든 PN Offset 값이 인접 기지국의 PN 값과 비교될 때까지 상기 S303 단계 내지 상기 S305 단계를 반복하여, 해당 RF 중계기(50)의 SOURCE_ID 및 SOURCE_PN 관리항목을 초기 설정하게 된다.(S306)
이때, 획득된 모든 PN 값에 대해 비교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된 PN 값들 중에서 수신 강도가 큰 순서로 3개 이하의 PN 값을 비교하여 SOURCE_ID 및 SOURCE_PN 관리항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는 PN Offset 정보를 통해 RF 중계기(50)에 대한 상위 Source를 갱신 관리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이다.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RASS 장비(60)로부터 그 RF 중계기(50)의 PN Offset에 대한 SMS 메시지를 소정의 주기(대략 20분 주기)로 전송 받는다.(S401)
이에 따라, 중앙관리 시스템(10)은 SMS 메시지에 태깅된 MIN 번호를 통해 해당 RF 중계기(50)를 식별한 후, 획득된 PN Offset 값이 그 RF 중계기(50)의 SOURCE_PN 관리항목에 이미 등록된 Source PN 값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
이때, 획득한 PN Offset 값이 기 설정 등록된 Source PN 값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그 RF 중계기(50)에 대한 소정 기간동안(바람직하게는 3회 내지 5회 주기의 기간)의 최근 SOURCE_PN 이력값과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조사한다.(S403)
이때에도 획득한 PN Offset 값과 일치하는 기 설정된 Source PN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그 RF 중계기(50)의 SOURCE 관리항목을 상기 획득한 PN Offset 값으로 갱신하게 된다.(S404)
즉, 도 3의 상기 S303 단계 내지 상기 S305 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PN Offset 값을 인접 기지국(30)의 PN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지국 및 그 연계 중계기로 SOURCE_ID, 및 SOURCE_PN 관리항목을 갱신함으로써, 그 RF 중계기(50)에 대한 상위 연계 Source를 새로 설정한다.
또한, RASS로부터 획득한 PN Offset 값이 SOURCE_PN 관리항목에 설정된 PN 값 또는 최근 SOURCE_PN 이력값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경우는, 기지국/중계기간 연계구성에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SOURCE_PN 관리항목을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도 5는 기지국/중계기의 PN 연계구성 정보를 통해 기지국 및 중계기의 출력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출력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를 판별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기지국/중계기의 관리항목들을 분석하여 그들 상호간의 연계구성을 파악한다. 즉,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알파 섹터에는 광중계기1과 RF 중계기1이 연계되어 있고, RF 중계기1의 하위에는 RF 중계기1-1과 RF 중계기 1-2가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RF 중계기의 경우 상기 갱신 관리되는 SOURCE_ID, 및 SOURCE_PN 관리항목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광중계기/RF 중계기간의 연계구성이 파악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각 RF 중계기의 RASS 장비(60)로부터 수신되는 PN 값 데이터와 이러한 통합 연계구성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기지국 및 중계기의 Reverse 출력 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를 판별하게된다.
이러한 Root Cause 판별의 기본 개념은 RF 중계기로부터 획득한 PN 값 데이터 중에 상위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PN값이 존재하는가 이다. 즉, 일반 RF중계기의 Source가 정상이라면 RF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 데이터 중에는 Source의 PN 값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Source의 PN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중앙관리 시스템(10)은 해당 RF 중계기와 Source를 같이 하는 모든 RF 중계기들의 PN 값을 조사하고, 조사한 모든 PN 값에 Source PN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RF 중계기의 Source 쪽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그 상위 Source에도 동일한 과정을 적용하여 상위의 어떤 Source(기지 국 또는 중계기)에 장애가 발생한 것인지를 판별한다.
이러한 Root Cause 판별 방법을 도 5에 예시된 것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RF 중계기1을 Source로 하는 RF 중계기1-1, 1-2는 Rf 중계기1의 PN 값(542)를 갖고 있으므로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별한다. 하지만, RF 중계기1로부터 수집된 PN Offset 데이터에는 Source 기지국의 PN 값(233)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RF 중계기1의 Source인 기지국 알파섹터의 Reverse 출력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RF 중계기2는 Source인 광중계기2의 PN 값(777)을 갖고 있으며, 광중계기2도 기지국 베타 섹터의 PN 값(777)을 갖고 있으므로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RF 중계기3의 경우, PN offset 데이터를 전혀 검출하지 못하므로 RF 중계기3 자체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RF 중계기4-1, 4-2, 5-1의 PN Offset 데이터에는 상위 Source인 광중계기4 및 RF 중계기5의 PN 값(100)이 포함되어 있고, 광중계기4와 RF 중계기5도 상위 감마섹터의 PN 값(100)을 갖고 있으므로 모두 정상인 것으로 판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합 연계구성상의 Source PN과 RF 중계기로부터 수시로 수집되는 PN Offset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망 환경 변화, 출력장애 등에 대한 Root Cause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은, RF 중계기의 Source PN Offset 정보를 이용하여 PCS망의 기지국 및 각 중계기에 대한 연계구성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RF 통신망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망 장애, Reverse출력 감소, 망 환경 변화 등에 대한 Root Cause를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중앙관리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 및 광 중계기의 유선 연결상태에 따라 기지국과 광중계기간 연계구성을 입력 관리하는 단계;
    각 RF 중계기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PN Offset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PN Offset 정보를 토대로 각 RF 중계기에 대한 상위 연계 Source를 갱신 관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및 광 중계기의 연계구성 데이터와 상기 RF 중계기의 연계 Source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지국, 광 중계기, RF 중계기간의 통합 연계구성을 관리하는 단계
    ; 및
    RF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 정보와 통합 연계구성에 따른 Source PN 값을 비교하여 망 장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의 PN Offset 수집 단계는, 각 RF 중계기에 대한 PN Offset 데이터와 MIN 정보를 SMS 메시지 형태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의 연계 Source 관리 단계는, RF 중계기에 대한 연계 Source를 초기 설정할 경우,
    수집된 PN Offset SMS 메시지에 태깅된 MIN 번호를 통해 해당 RF 중계기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PN Offset 값을 강도 순서로 그 인접 기지국들의 PN 값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단계와,
    PN 값이 일치할 경우, 그 인접 기지국의 섹터 및 그 섹터와 연계된 중계기를 해당 RF 중계기의 Source로서 등록 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PN 값 비교 단계는 획득된 PN Offset 값들 중에서 수신 강도가 큰 순서로 3개 이하의 PN 값을 비교하여 해당 RF 중계기의 Source를 초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중계기 연계 Source 관리 단계는, RF 중계기의 Source를 갱신할 경우,
    수집된 PN Offset SMS 메시지에 태깅된 MIN 번호를 통해 해당 RF 중계기를 식별하는 단계와,
    그 PN Offset 값을 해당 RF 중계기에 대해 기 등록된 Source PN 값들과 비교하는 단계와,
    PN Offset 값이 기 등록된 Source PN 값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PN Offset 값을 해당 RF 중계기에 대한 소정 기간의 최근 Source PN 이력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수신된 PN Offset 값이 Source PN 이력값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해당 RF 중계기의 Source PN을 그 PN Offset 값으로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ource PN 이력값 비교 단계는 PN Offset 수집주기의 3회 내지 5회 주기동안의 Source PN 이력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장애 분석 단계는, RF 중계기로부터의 PN Offset 데이터 중에 통합 연계구성에 따른 그 Source의 PN 값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Source PN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RF 중계기와 Source를 같이 하는 모든 RF 중계기들의 PN Offset 값들을 조사하여, 조사한 모든 PN 값에 Source PN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해당 RF 중계기의 Source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KR1020030013623A 2003-03-05 2003-03-05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KR10054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623A KR100545290B1 (ko) 2003-03-05 2003-03-05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623A KR100545290B1 (ko) 2003-03-05 2003-03-05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72A KR20040078772A (ko) 2004-09-13
KR100545290B1 true KR100545290B1 (ko) 2006-01-24

Family

ID=3736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623A KR100545290B1 (ko) 2003-03-05 2003-03-05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2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772A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8588B (zh) 无线基站系统、控制设备以及无线设备
KR100328853B1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7039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interfer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56719B1 (ko) 무선망 통합 감시 및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514826A (ja) 障害移動ユニットの分離装置および方法
CN108401257B (zh) 一种铁路基站一体化监测系统
US11736208B2 (en) Antenna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monitoring for wireless and telecommunications for private, public, and first responders
KR101597272B1 (ko) 비콘장치의 자동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19700A (ko)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공공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8112021B (zh) 一种射频通道检测数据的回传方法及设备
KR100545290B1 (ko) 망 장애 판별을 위한 기지국 및 중계기 통합 관리 방법
CN102291728A (zh) 无线网络质量监控终端、系统及其方法
KR20030091361A (ko) 중계기 제어 시스템
JP7403637B2 (ja) 不正な基地局の識別および報告
KR100441438B1 (ko) 씨.디.엠.에이(CDMA)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밴드(Multi Band) 중계기 감시 방법 및 장치
CN109803301B (zh) 一种用于无线网络的掉线识别管理系统
EP33729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onnectivity in an optical fiber communication (ofc) network
CN101179440A (zh) 一种通信系统的远程预警实现方法及其系统
CN111385732B (zh) 数据处理方法以及路测设备
KR20030022633A (ko) 광중계기의 원격감시장치
JP6902766B2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5046866A (zh) 基于WiFi热点名称的多点烟雾数据采集方法
CN101257717A (zh) 用于自动设置归属基站的配置的设备及方法
CN112737803A (zh) 一种微模块数据中心监控方法和系统
KR101442993B1 (ko)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