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319B1 -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 Google Patents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319B1
KR100541319B1 KR1020030007068A KR20030007068A KR100541319B1 KR 100541319 B1 KR100541319 B1 KR 100541319B1 KR 1020030007068 A KR1020030007068 A KR 1020030007068A KR 20030007068 A KR20030007068 A KR 20030007068A KR 100541319 B1 KR100541319 B1 KR 10054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cture
insertion tube
liner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862A (ko
Inventor
윤택림
김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알앤디
박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알앤디, 박혜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알앤디
Priority to KR102003000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3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3/00Gearings based on repeated accumulation and delivery of energy
    • F16H33/02Rotary transmissions with mechanical accumulators, e.g. weights, springs, intermittently-connected flywheels
    • F16H33/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velocity ratio, in which self-regulation is sought
    • F16H33/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velocity ratio, in which self-regulation is sought based essentially on spr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5/00Gearings or mechanisms with other special functional features
    • F16H2035/006Gearings or mechanisms for stopping or limiting movement, e.g. stopping a movement after few tu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뼈의 절단면이 원형이 아닌 면적이 넓은 골반 뼈 등의 골절 치료시, 골반 전반부에서 대좌골 절흔이나 소좌골 절흔으로 강선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절된 뼈 부근의 근육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강선이 삽입되는 강선삽입관을 골절된 뼈 주위로 관통시키고, 삽입된 강선삽입관의 내측으로 강선을 통과시켜 강선을 고정하는 강선고정법을 시술하기 위한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관(15)은 중공된 관상으로 골반 뼈의 외측면과 인접되도록 내각이 110° 내지 170°로 굴곡된 밴딩부(13)가 3 내지 4군데 형성되고, 종단에 상기 강선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강선유출부(14)가 80° 내지 100°의 내각을 갖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선통과기, 강선삽입관, 골반, 골절, 강선

Description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WIRE PASSER FOR PELV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사용하여 골절을 치료한 상태를 보인 사진,
도 7은 종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강선통과기 11 : 손잡이
12 : 지지대 13 : 밴딩부
14 : 강선유출부 15 : 강선삽입관
20 : 골반 뼈 21 : 대좌골 절흔
22 : 소좌골 절흔
본 발명은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뼈의 절단면이 원형이 아닌 면적이 넓은 골반 뼈 등의 골절 치료시, 골반 전반부에서 대좌골 절흔이나 소좌골 절흔으로 강선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는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로 인해 뼈에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골절된 뼈를 원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깁스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의 골유합술을 수행한다. 즉, 금(crack)이 가는 등의 단순골절인 경우에는 석고 등을 이용하여 깁스를 함으로써 골절된 뼈가 현상태에서 그대로 유합되도록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그러나, 골반 뼈 골절과 같이 골절상태가 복잡하고 부러진 뼈가 서로 어긋나는 등 골절된 상태 그대로 유합시킬 수가 없는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을 하여 골절된 뼈를 잘 맞춘 후 금속판과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고 있다.
한편, 상기 골반 뼈 골절의 수술적 치료의 중점은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고정을 통한 조기 운동으로 고관절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근래에는 골반 뼈 골절에 대한 수술적 방법으로 금속판과 나사못을 이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강선고정법을 이용한 치료방법은 현재 골절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다는 학계의 보고가 많아짐에 따라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선고정법은 근육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강선통과기를 골절된 뼈 주위로 관통시킨 후, 강선통과기 내측으로 강선을 통과시켜 강선을 고정하는 과정으로 시술한다.
종래의 강선통과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1)로부터 연장된 지지대(102)와, 상기 지지대(102)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종단부에 후크(hook) 형상의 굴곡부(103)가 형성된 중공형의 강선삽입관(104)으로 구성되어, 수술시 노출된 골절 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강선삽입관(104)의 굴곡부(103)가 뼈 주위를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강선삽입관(104)에 와이어를 통과시켜 골절된 뼈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도록 사용한다.
삭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강선통과기(100)의 강선삽입관(104)은 굴곡부(103)의 골곡된 부분이 짧고 밴딩각도가 반원의 형상을 이루어져 뼈의 외경이 작은 대퇴골이나 경골 등 장관골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원형이 아닌 경우, 즉 면적이 넓은 골반 뼈 등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부(103)의 밴딩각도가 작아 절개된 근육부위에 삽입이 어려운 문제점과, 이로 인해 골절된 뼈 주위의 근육을 과도하게 절개해야 상기 강선통과기(100)를 삽입시킬 수 있어, 수술이 복잡함과 아울러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과 고통을 주게되어 상기 강선통과기(100)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특히 강선통과기(100)의 구조상 밴딩각도가 작은 굴곡부(103)의 내측으로 강선을 통과시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선통과기의 강선삽입관을 다단으로 밴딩하여 성형함으로써, 시술부위의 단면이 넓고 굴곡이 많은 골반 뼈 등의 하부면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뼈의 하부에 삽입된 강선삽입관으로부터 강선을 용이하게 당겨 골절편을 강선으로 점차 조임으로써 골절부위의 정복과 고정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절된 부위의 근육을 소폭으로 절개하여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술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과 고통을 줄여 줄 수 있는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골절된 뼈 부근의 근육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강선이 삽입되는 강선삽입관을 골절된 뼈 주위로 관통시키고, 삽입된 강선삽입관의 내측으로 강선을 통과시켜 강선을 고정하는 강선고정법을 시술하기 위한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관(15)은 중공된 관상으로 골반 뼈의 외측면과 인접되도록 내각이 110° 내지 170°로 굴곡된 밴딩부(13)가 3 내지 4군데 형성되고, 종단에 상기 강선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강선유출부(14)가 80° 내지 100°의 내각을 갖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를 사용하여 골절을 치료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10)는, 손잡이(11)와,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에 연장된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의 측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강선삽입관(1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강선삽입관(15)은 내부가 중공된 관으로, 골절된 뼈(20)를 감싸도록 다단으로 굴곡되어 다수의 밴딩부(13)가 형성됨과 아울러 종단에 내각이 작게 형성된 강선유출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밴딩부(13)의 내각(α)은 110°∼170°이고, 상기 강선유출부(14)의 내각(β)은 80°∼100°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다수의 밴딩부(13)와 상기 강선유출부(14)의 굴곡된 부분에 의해 수술시, 근육의 절개부로 상기 강선삽입관(15)을 삽입하여 면적이 넓고 그 형상이 굴곡된 면을 갖는 골반 뼈(20)의 외측에 밀착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상기 강선유출부(14)가 상기 골반 뼈(20)의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돌출된다.
또한, 강선삽입관(15)의 전체적 형상이 곡선형에 가깝도록 상기 다수의 밴딩부(13)를 3∼4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강선삽입관(15)에 삽입되는 강선(W)의 단부가 밴딩부(13) 내측에서 걸리지 않고 상기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강선삽입관(15)의 길이는 골반 전반부를 감싸며 대좌골 절흔(21)이나 소좌골 절흔(22)으로 상기 강선유출부(14)가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골반 골절수술의 일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면적이 큰 골반 뼈(20)의 골절 시, 골절 상태를 파악하여 강선(W)을 대좌골 절흔(21)이나, 소좌골 절흔(22)을 통과하여 고정이 가능할 경우는 Kocher-Langebeck 도달법으로, 후방에서 비교적 넓게 피부를 절개하고 전방에서는 작은 면적의 피부절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를 측와위에서 수술하고 전후방 모두를 피부를 절개할 수 있게 수술준비를 한다.
상기 강선(W)의 고정위치는 골절선의 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데, 골반에 형성된 골절선이 상기 대좌골 절흔(21)의 위쪽으로 뻗은 경우에는, 강선통과기(10)의 강선삽입관(15)에 강선(W)을 삽입한 상태로 전방에 절개된 피부를 통해 상기 강선삽입관(15)을 골반 뼈(20)의 내측 하부로 통과시켜, 상기 강선삽입관(15) 종단부의 강선유출부(14)가 상기 대좌골 절흔(2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강선삽입관(15)의 형상이 곡선형에 가깝게 다수의 밴딩부(13)가 형성되어 강선(W)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삭제
또한, 골반 뼈(20)는 원형 단면을 갖는 대퇴골이나 경골 등 장관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크고 굴곡되게 형성된 바, 상기 다수의 밴딩부(13)에 의해 골반 뼈의 하부면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강선삽입관(15)이 골반 뼈의 하부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강선삽입관(15)이 골반 뼈(20)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강선삽입관(15)이 골반 뼈(2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삽입시, 강선삽입관(15)이 골반 뼈 하부의 근육을 찌르거나 충돌되는 것에 의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삭제
이어서, 후방에 절개된 피부를 통해 상기 대좌골 절흔(21)의 외측으로 돌출 된 상기 강선삽입관(15)으로부터 강선(W)을 잡아 빼낸 후, 강선(W)을 조이면서 골절부위를 정복시킨다.
여기서, 상기 강선삽입관(15)의 강선유출부(14)는 내각(β)이 80°∼100°로 굴곡되어 상기 대좌골 절흔(21)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하게 되며, 이로 인해 강선(W)을 상기 강선삽입관(15)으로부터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골절부위이 정복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고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강선통과기(10)는 다수의 밴딩부(13)와 강선유출부(14)가 형성되어 면적이 큰 골반 뼈의 하부를 따라 원활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피부를 소폭으로 절개하여도 골절부위의 정복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의사에게는 수술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환자에게는 수술에 대한 부담이나 고통 및 수술 후 후유증을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의학적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선통과기에 다수의 밴딩부가 형성되어 비교적 면적이 크고 굴곡되게 형성된 골반 뼈의 하부면을 따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어 피부를 소폭으로 절개하여도 강선통과기를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뼈의 하부면을 통과하는 강선통과기가 골반 뼈 하부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아 수술에 대한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그리고, 강선통과기의 강선삽입관을 골반 뼈의 하부면에 위치하게 되면, 종단부의 강선유출부가 자연스럽게 뼈의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강선을 강선삽입관으로부터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골절편을 강선으로 점차 조이면서 골절부위이 정복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삭제
  2. 골절된 뼈 부근의 근육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강선이 삽입되는 강선삽입관을 골절된 뼈 주위로 관통시키고, 삽입된 강선삽입관의 내측으로 강선을 통과시켜 강선을 고정하는 강선고정법을 시술하기 위한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에 있어서,
    상기 강선삽입관(15)은 중공된 관상으로 골반 뼈의 외측면과 인접되도록 내각이 110° 내지 170°로 굴곡된 밴딩부(13)가 3 내지 4군데 형성되고, 종단에 상기 강선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강선유출부(14)가 80° 내지 100°의 내각을 갖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KR1020030007068A 2003-02-05 2003-02-05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KR100541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068A KR100541319B1 (ko) 2003-02-05 2003-02-05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068A KR100541319B1 (ko) 2003-02-05 2003-02-05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299U Division KR200312451Y1 (ko) 2003-02-05 2003-02-05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의 강선삽입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862A KR20040070862A (ko) 2004-08-11
KR100541319B1 true KR100541319B1 (ko) 2006-01-10

Family

ID=3735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068A KR100541319B1 (ko) 2003-02-05 2003-02-05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575A (ko) 2017-02-16 2018-08-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와이어 패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575A (ko) 2017-02-16 2018-08-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가능한 와이어 패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862A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662B2 (en) Percutaneous fixator and method of insertion
KR101327244B1 (ko) 뼈 골절 고정방법 및 고정장치
US9301789B2 (en) Osteosynthesis plate for treatment of fractures or osteotomies in the vicinity of joints
US8979846B2 (en) Flexible nail assembly for fractures of long bones
US20110257652A1 (en) Intramedullary fixation device and methods for bone fixation and stabilization
US20070043377A1 (en) Two members cerclage tool
WO2008116170A2 (en) Fracture fixation device with support rods and sheath
US20070288016A1 (en) Bone support
EP1682008B1 (en) A fixator for repairing of long bone fractures
KR20190067202A (ko) 대퇴골 골절을 치료하기 위한 각도 가변형의 세팔로메듈러리 네일링 시스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외반-생성 절골술 장치를 포함한, 그 시스템을 배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
KR100541319B1 (ko) 골반의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
EP0517435A1 (en) Intramedullary osteosynthetic device
KR200312451Y1 (ko) 골절치료용 강선통과기의 강선삽입관 구조
Apivatthakakul et al. Idea and innovation: Simple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instruments
JP6935111B2 (ja) 治療器具
RU2458642C2 (ru) Устройство-проводник для трансоссального шва
RU2595090C2 (ru) Способ блокируемого остеосинтеза проксимальных переломов бед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8272146A (ja) 橈骨遠位端骨折用鋼線
RU2778673C2 (ru) Направитель стержней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коротких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человека
RU20709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проволочного серкляжа
JPH08206129A (ja) 髄内釘の強度漸減方法及びネジ止め無用の非リー ミング髄内釘
RU128473U1 (ru) Фиксатор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ереломов, переломо-вывихов и пластики связок акромиального конца ключицы
RU61542U1 (ru) Стержень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плечевой кости
RU2233628C2 (ru) Проводник проволочной пилы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стеотомии трубчатых костей с врожденной и посттравматической деформацией в рассчитанной плоскости и под заданным углом
RU2142756C1 (ru) Стержень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ключ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