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954B1 -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 Google Patents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954B1
KR100539954B1 KR10-2003-0096661A KR20030096661A KR100539954B1 KR 100539954 B1 KR100539954 B1 KR 100539954B1 KR 20030096661 A KR20030096661 A KR 20030096661A KR 100539954 B1 KR100539954 B1 KR 10053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nnels
output
odd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781A (ko
Inventor
김성기
오윤제
황성택
박성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954B1/ko
Priority to US10/860,717 priority patent/US20050141894A1/en
Priority to JP2004359395A priority patent/JP2005192210A/ja
Publication of KR2005006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04B10/275Ring-typ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8Interleav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3WDM ring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으로 출력하고 제2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이 광섬유에 의해 환형으로 링크된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 각각은 상기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와 상기 제1 단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1 입력로를 통해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출력로를 통해 상기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입출력부와, 상기 순환부와 상기 제2 단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단으로부터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제2 입력로를 통해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제2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입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BIDIRECTIONAL ADD/DROP NODE}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화 링 구조는 트래픽의 전달 방향에 따라서 단방향 또는 양방향 링 구조로 구분되며, 다시 상기 링 구조는 특정 구간 광섬유의 손상시 수행하는 자기 치유 방식에 따라서 라인 스위칭 또는 패스 스위칭 방식의 링 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은 단일 광섬유로 링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노드들을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다른 구조의 광 네트워크 시스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프로텍션을 위한 스위치 동작 시간이 짧다. 그러나,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은 각 채널 또는 광신호의 양방향 전송시 선로 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반사파 등으로 인한 신호의 교란 또는 노이즈의 발생을 고려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을 구성하는 노드들 각각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노드는 2×2 구조의 인터리버(110)와,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3 및 제4 포트에 환형으로 연결된 도파로(130)와, 상기 도파로(130) 상에 위치된 광증폭기(12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리버(110)는 제1 내지 제4 포트까지의 4개의 포트들을 구비하며, 제1 포트와 연결된 제1 광섬유로부터 입력되는 채널들 중에서 오드 채널들을 제1 포트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제4 포트로 출력하며, 제2 포트와 연결된 제2 광섬유로부터 입력되는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4 포트로 출력한다. 즉, 상기 인터리버(110)는 오드 또는 이븐 채널들을 제4 포트를 통해서 상기 도파로(130)로 출력한다.
상기 도파로(130)는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4 포트와 제3 포트의 사이에 연결하는 일종의 순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4 포트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3 포트로 순환시킨다. 상기 광증폭기(120)는 상기 도파로(130) 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4 포트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증폭시켜서 상기 도파로(130)를 통해서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3 포트로 출력한다.
즉, 상기 도파로(130)는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4 포트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순환시켜서 상기 인터리버(110)의 제3 포트로 출력하고, 상기 인터리버(110)는 제3 포트로 입력된 상기 오드와 이븐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2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2 광섬유로 출력되고, 오드 채널들을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1 광섬유로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은 복수의 노드들을 링크시키기 위한 광섬유 선로 상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상술한 노드들 각각으로 반사되는 채널들로 인한 노이즈 또는 채널들의 세기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노드들은 광섬유 선로 상에 발생된 문제를 인식할 수 없을 뿐더러, 광섬유 선로 상에 발생된 문제로 인해서 채널들의 손실 및 노이즈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출력되는 채널의 세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광섬유 선로 상의 문제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광섬유 선로 상에 장애로 인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애드/드롭 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으로 출력하고 제2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이 광섬유에 의해 환형으로 링크된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 각각은,
상기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와 상기 제1 단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1 입력로를 통해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출력로를 통해 상기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입출력부와;
상기 순환부와 상기 제2 단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단으로부터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제2 입력로를 통해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제2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입출력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은 양방향으로 채널들을 송수신 할 수 있는 복수의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을 단선의 광섬유로 고리 형태를 갖도록 링크시킨 통신 구조로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 각각은 제1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으로 출력하고 제2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으로 출력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는 제1 단(201)으로 입력된 상기 오드 채널들 및 제2 단(202)으로 입력된 상기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230)와, 상기 순환부(230)와 상기 제1 단(201)의 사이에 위치된 제1 입출력부(210)와, 상기 순환부(230)와 상기 제2 단(202)의 사이에 위치된 제2 입출력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는 제1 단 및 제2 단(201, 202) 각각이 다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들과 광섬유에 의해 상호 링크됨으로써, 제1 단(201)으로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202)으로 출력하고, 제2 단(202)으로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2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입출력부(210)는 제1 서큘레이터(213)와, 제1 인터리버(214) 등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230)와 상기 제1 단(201)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201)을 통해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1 입력로(211)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230)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230)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출력로(212)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1 단(2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입력로(211)는 오드 채널만을 상기 제1 인터리버(211)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1 출력로(212)는 이븐 채널만을 상기 제1 서큘레이터(21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서큘레이터(213)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1 단(201)을 통해서 입력되는 채널들 중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입력로(211)를 통해서 상기 제1 인터리버(214)의 제1 포트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출력로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 제1 단(2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인터리버(214)는 상기 제1 입력로(211)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230)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23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출력로(212)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입출력부(220)는 제2 서큘레이터(223)와, 제2 인터리버(224) 등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230)와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2 단(20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단(202)으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2 입력로(221)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230)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230)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제2 출력로(222)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2 단(202)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입력로(221)는 이븐 채널만을 상기 제2 인터리버(224)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2 출력로(222)는 오드 채널만을 상기 제2 서큘레이터(223)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입력로들(211, 221)과 제1 및 제2 출력로들(212, 222)은 평면 광도파로 또는 광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입력로(211) 상에는 상기 오드 채널들의 세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1 탭(211a)이 위치되고, 상기 제2 입력로(221) 상에는 상기 이븐 채널들의 세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2 탭(221a)이 위치된다. 즉, 상기 제1 탭(211a)은 상기 제1 입력로(211)로 입력되는 오드 채널들의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1 단(201)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제2 탭(221a)은 상기 제2 입력로(221)로 입력되는 이븐 채널들의 유무에 따라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2 단(202)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한다.
상기 제2 서큘레이터(223)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2 단(202)으로부터 입력되는 채널들 중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2 입력로(221)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출력로(222)에서 출력되는 오드 채널들을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2 단(202)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인터리버(224)는 상기 제2 입력로(221)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을 상기 순환부(230)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23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출력로(222)로 출력한다.
상기 순환부(230)는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도파로(234)와, 제3 인터리버(231)와, 광증폭기(233)와, 애드/드롭 다중화기(Add/Drop Multiplexer, 2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순환부(230)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200)의 제1 단(201)으로 입력된 오드 채널들 및 제2 단으로 입력된 상기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켜서 상기 오드 채널들은 상기 제2 입출력부(220)로 출력하고, 상기 이븐 채널들은 상기 제1 입출력부(210)로 출력한다.
상기 제3 인터리버(231)는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부들(210, 220) 각각으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상기 도파로(234)로 출력하고, 상기 도파로(234)를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순환된 이븐 및 오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입출력부(210)로 출력하고,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입출력부(220)로 출력한다.
상기 도파로(234)는 상기 제3 인터리버(231)로부터 입력받은 이브 및 오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켜서 상기 제3 인터리버(231)로 출력하며, 상기 도파로(234) 내에 상기 광증폭기(233)와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232) 각각이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광증폭기(233)는 상기 도파로(234)를 통해서 입력받은 상기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증폭시켜서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232)로 출력하며,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232)는 상기 광증폭기(233)로부터 입력받은 채널들 중에서 특정 파장의 채널을 드롭 시키거나, 새로운 파장의 채널을 애드시켜서 상기 도파로(234)를 통해서 상기 제3 인터리버(231)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인터리버들(214, 224, 231) 각각은 제1 내지 제4 포트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입력된 오드 채널들은 입력된 포트의 대각선상에 위치된 포트를 통해서 출력되고, 이븐 채널들은 입력된 포트의 직선 상에 위치된 포트를 통해서 출력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인터리버들은 오드 및 이븐 채널들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상기 제1 인터리버(214)의 제2 포트로 입력된 이븐 채널들은 제2 포트의 대각선상에 위치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3 인터리버(231)의 제1 포트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3 인터리버(231)의 제3 포트에 입력된 이븐 채널들은 제3 포트의 직선 상에 위치된 상기 제3 인터리버(231)의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1 인터리버(214)의 제3 포트로 출력되고, 상기 제1 인터리버(214)는 제3 포트로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서큘레이터(213)와 연결된 자신의 제1 포트를 통해서 출력한다. 반대로 상기 제3 인터리버(231)의 제3 포트에 입력된 오드 채널들은 제3 포트의 대각선상에 위치된 자신의 제2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2 인터리버(224)의 제3 포트로 출력되고, 상기 제2 인터리버(224)는 제3 포트로 입력된 상기 오드 채널들을 제3 포트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 자신의 제2 포트를 통해서 출력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300)는 제1 단(301)으로 입력된 상기 오드 채널들 및 제2 단(302)으로 입력된 상기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330)와, 상기 순환부(330)와 상기 제1 단(301)의 사이에 위치된 제1 입출력부(310)와, 상기 순환부(330)와 상기 제2 단(302)의 사이에 위치된 제2 입출력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300)는 제1 단 및 제2 단(301, 302) 각각이 다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들과 광섬유에 의해 상호 링크됨으로써, 제1 단(301)으로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302)으로 출력하고, 제2 단(302)으로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3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입출력부(310)는 제1 서큘레이터(313)와, 제1 인터리버(31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330)와 상기 제1 단(301)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301)을 통해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1 입력로(311)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330)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330)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출력로(312)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300)의 제1 단(3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인터리버(313)는 상기 애드/드롭 다중 노드(300)의 제1 단(301)과 상기 제1 서큘레이터(314)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301)으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입력로(311)를 통해서 상기 제1 서큘레이터(314)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출력로(312)를 통해서 상기 제1 서큘레이터(314)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단(3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서큘레이터(314)는 상기 순환부(330)와 상기 제1 인터리버(313)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순환부(330)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출력로(312)를 통해서 상기 제1 인터리버(313)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인터리버(313)에서 출력된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입력로(311)를 통해서 입력받아서 상기 순환부(330)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입출력부(320)는 제2 서큘레이터(324)와, 제2 인터리버(323) 등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330)와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300)의 제2 단(302)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2 입출력부(320)는 상기 제2 단(302)을 통해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330)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330)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단(302)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인터리버(323)는 상기 제2 서큘레이터(324)와 상기 제2 단(302)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서큘레이터(324)와 함께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330)로 입력시키기 위한 제2 입력로(321)와, 상기 순환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로(322)를 형성한다 .
상기 제1 입력로(311)와 상기 제2 입력로(321) 상에는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의 진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1 및 제2 탭들(311a, 321a) 각각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300)의 제1 및 제2 단(301, 302) 각각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한다.
상기 순환부(330)는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도파로(334)와, 제3 인터리버(Interlever, 331)와, 광증폭기(333)와, 애드/드롭 다중화기(Add/Drop Multiplexer, 332)를 포함한다. 이하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400)는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430)와, 복수의 입출력부들(410, 420)을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400)는 제1 및 제2 단(401, 402) 각각에 광섬유에 의해 링크됨으로써 상기 제1 단(401)으로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402)으로 출력시키며 상기 제2 단(402)으로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단(4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입출력부들(410, 420)은 제1 및 제2 입출력부들(410, 420) 각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출력부(410)는 상기 순환부(430)와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400)의 제1 단(401)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401)을 통해서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입출력부(42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2 입출력부(420)는 상기 순환부(430)와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400)의 제2 단(40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입출력부(410)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과 상기 제2 단을 통해서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43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입출력부(410)는 제1 인터리버(413)와, 제3 인터리버(414)와, 제1 탭(41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리버(413)의 제3 포트와 상기 제3 인터리버(414)의 제1 포트는 상호 연결된 제1 출력로(41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인터리버(413)의 제4 포트는 상기 제2 입출력부(420)의 상기 제4 인터리버와 연결된 제1 입력로(411)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인터리버(413)는 상기 제1 단과 연결된 제1 포트로 입력된 상기 오드 채널들을 그 대각선 상에 위치된 제4 포트를 통해서 제1 입력로(411)로 출력하며, 제3 포트와 연결된 제1 출력로(412)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430)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 드롭 노드(400)의 제1 단(40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3 인터리버(414)는 상기 순환부(430)와 연결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이븐 및 오드 채널들 중에서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출력로(412)와 연결된 제1 포트로 출력하고, 상기 오드 채널들은 상기 제3 인터리버(414)의 제2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2 출력로(422)로 출력된다.
상기 제1 탭(411a)은 상기 제1 입력로(411)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입력(411)로를 진행하는 오드 채널들의 세기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400)의 제1 단(401)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한다.
상기 제2 입출력부(420)는 제2 인터리버(423)와, 제4 인터리버(424)와, 제2 탭(421)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인터리버(423)의 제3 포트와 상기 제4 인터리버(424)의 제1 포트는 상호 연결된 제2 입력로(42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인터리버(424)의 제4 포트는 상기 제3 인터리버(414)의 제2 포트와 연결된 제2 출력로(422)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인터리버(423)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400)의 제2 단(402)과 연결된 제1 포트로 입력된 상기 이븐 채널들을 그 직선 상에 위치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제2 입력로(421)로 출력하며, 제1 입출력부(410)와 연결된 제2 출력로(422)를 통해서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 드롭 노드(420)의 제2 단(402)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4 인터리버(424)는 상기 제1 입력로(411)를 통해서 상기 제1 입출력부(410)와 연결된 제2 포트로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과, 상기 제2 입력로(421)와 연결된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2 인터리버(423)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430)와 연결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430)로 출력한다.
상기 순환부(430)는 상기 제4 인터리버(424)의 제3 포트와 상기 제3 인터리버(414)의 제3 포트를 연결하기 위한 도파로(433)와, 상기 도파로(433) 내에 직렬로 연결된 광증폭부(432) 및 애드/드롭 다중화기(431)를 포함한다.
상기 도파로(433)는 상기 제4 인터리버(424)의 제3 포트로부터 입력된 상기 오드 및 애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켜서 상기 제3 인터리버(414)의 제3 포트로 출력한다.
상기 광증폭기(432)는 상기 도파로(433) 내에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4 인터리버(424)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증폭시켜서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31)로 출력한다.
상기 애드/드롭 다중화기(431)는 상기 광증폭기(432)와 상기 제1 입출력부(41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광증폭기(432)에서 증폭된 상기 오드 및 이븐 채널들 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채널을 드롭 시키거나, 기설정된 파장의 채널을 애드시켜서 상기 도파로(433)를 통해서 상기 제1 입출력부(41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 개시된 제1 및 제2 입출력부들 각각은 그 내부를 진행하는 오드 채널들과 이븐 채널들의 진행 경로를 제1 및 제2 입력로와, 제1 및 제2 출력로와 같이 구분하고, 이븐 또는 오드 채널 각각의 세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오드 채널을 입력시키기 위해 링크된 광섬유 선로와, 이븐 채널을 입력시키기 위해 링크된 광섬유 선로 상의 문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는 오드 및 이븐 채널 각각의 경로를 분할함으로써 전체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는 그 내부에 입력된 오드 또는 이븐 채널들의 세기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링크된 광섬유 선로 상의 이상 발생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인터리버들을 포함함으로써 광섬유 선로 상의 장애로 인해 발생한 잡음 발생의 억제 및 전송 품질의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6)

  1. 제1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으로 출력하고 제2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이 광섬유에 의해 환형으로 링크된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 각각은,
    상기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와;
    상기 순환부와 상기 제1 단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단으로부터 입력된 오드 채널들을 제1 입력로를 통해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출력로를 통해 상기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입출력부와;
    상기 순환부와 상기 제2 단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단으로부터 입력된 이븐 채널들을 제2 입력로를 통해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제2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입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 및 상기 제2 입출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켜서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입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입출력부로 출력하기 위한 도파로와;
    상기 도파로 내에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파로 내를 진행하는 상기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증폭시키기 위한 광증폭기와;
    상기 광증폭기에서 증폭된 이븐 및 오드 채널들 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채널을 드롭시키거나, 다른 파장을 갖는 이븐 또는 오드 채널들을 애드시키기 위한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제1 입출력부와 연결된 제1 포트로 입력된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포트와 대각선 상에 위치된 제4 포트와 연결된 상기 도파로의 일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입출력부와 연결된 제2 포트로 입력된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2 포트와 직선 상에 위치된 제4 포트로 출력하며, 상기 도파로의 타단과 연결된 제3 포트로 입력된 이븐 및 오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을 제1 포트로 출력하고, 오드 채널들을 제2 포트로 출력하기 위한 제3 인터리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1 단을 통해서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입력로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출력로를 통해서 입력받은 이븐 채널을 상기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1 서큘레이터와 상기 순환부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입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1 서큘레이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출력로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인터리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부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2 단을 통해서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2 입력로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출력로를 통해서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서큘레이터와;
    상기 제2 서큘레이터와 상기 순환부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입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2 서큘레이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출력로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인터리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1 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1 입력로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출력로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인터리버와;
    상기 제1 입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1 인터리버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오드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1 인터리버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부는,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2 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2 입력로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출력로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인터리버와;
    상기 제2 입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2 인터리버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오드 채널을 상기 제2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2 인터리버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제1 입력로 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입력로 내에 입력된 오드 채널들의 세기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1 단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제1 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로 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입력로 내에 입력된 이븐 채널들의 세기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2 단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제2 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0. 제1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오드 채널들을 제2 단으로 출력하고 제2 단으로 입력된 채널들 중에서 이븐 채널들을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이 광섬유에 의해 환형으로 링크된 양방향 패스 스위치 망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들 각각은,
    상기 이븐 및 오드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와;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1 단을 통해서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과,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2 단을 통해서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로 출력하며,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상기 제2 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출력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들은,
    상기 제1 단과 연결된 제1 포트로 입력된 상기 오드 채널들을 그 대각선 상에 위치된 제4 포트를 통해서 제1 입력로로 출력하며, 제3 포트와 연결된 제1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 드롭 노드의 제1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제1 입출력부와;
    상기 제2 단과 연결된 제1 포트로 입력된 상기 이븐 채널들을 그 직선 상에 위치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제2 입력로로 출력하며, 제4 포트와 연결된 제2 출력로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로부터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을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양방향 애드 드롭 노드의 제2 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인터리버를 포함하는 제2 입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순환부와 연결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이븐 및 오드 채널들 중에서 상기 이븐 채널들을 상기 제1 출력로와 연결된 제1 포트로 출력하고, 상기 오드 채널들은 상기 제2 출력로에 의해서 상기 제2 입출력부와 연결된 제2 포트로 출력하기 위한 제3 인터리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부는,
    상기 제1 입력로를 통해서 상기 제1 입출력부와 연결된 제2 포트로 입력받은 오드 채널들과, 상기 제2 입력로와 연결된 제1 포트를 통해서 상기 제2 인터리버로부터 입력받은 이븐 채널들을 상기 순환부와 연결된 제3 포트를 통해서 상기 순환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제4 인터리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입출력부들 각각에 귀환 루프를 형성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단으로 입력된 상기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시계 방향으로 순환시켜서 그 타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도파로와;
    상기 도파로 선로 내에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오드 및 이븐 채널들을 증폭시켜서 출력하기 위한 광증폭기와;
    상기 광증폭기와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광증폭기에서 증폭된 상기 오드 및 이븐 채널들 중에서 기설정된 파장의 채널을 드롭시키거나, 기설정된 파장의 채널을 애드시키기 위한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제1 입력로 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입력로 내에 입력된 오드 채널들의 세기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1 단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제1 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로 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입력로 내에 입력된 이븐 채널들의 세기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의 제2 단에 링크된 광섬유 선로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제2 탭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KR10-2003-0096661A 2003-12-24 2003-12-24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KR10053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661A KR100539954B1 (ko) 2003-12-24 2003-12-24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US10/860,717 US20050141894A1 (en) 2003-12-24 2004-06-03 Bi-directional add/drop node
JP2004359395A JP2005192210A (ja) 2003-12-24 2004-12-13 両方向アッド/ドロップノー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661A KR100539954B1 (ko) 2003-12-24 2003-12-24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781A KR20050065781A (ko) 2005-06-30
KR100539954B1 true KR100539954B1 (ko) 2005-12-28

Family

ID=3469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661A KR100539954B1 (ko) 2003-12-24 2003-12-24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41894A1 (ko)
JP (1) JP2005192210A (ko)
KR (1) KR100539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99B1 (ko) * 2004-12-09 2006-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광루프 전송 장치
US7773883B1 (en) * 2007-05-04 2010-08-10 Vello Systems, Inc. Single-fiber optical ring networks based on optical double sideband modulation
US9485050B2 (en) 2009-12-08 2016-11-01 Treq Labs, Inc. Subchannel photonic routing, switching and protection with simplified upgrades of WDM optical networks
US9608757B2 (en) * 2015-04-20 2017-03-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ith coherent detection
WO2019114942A1 (en) * 2017-12-13 2019-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optical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1441C2 (nl) * 1995-10-18 1997-04-22 Nederland Ptt Koppelinrichting voor het koppelen van optische verbindingen.
TW510092B (en) * 2000-05-06 2002-11-11 Browave Corp High-isolation wavelength management module
EP1191808A2 (en) * 2000-08-24 2002-03-27 JDS Uniphase Corporation Bi-directional cross-connect
CN100407602C (zh) * 2001-01-05 2008-07-30 富士通株式会社 在宽带波分复用光纤传输系统中用于长波长信道的控制方案
KR100357627B1 (ko) * 2001-01-09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 시스템
US20020106146A1 (en) * 2001-02-08 2002-08-08 Richard Lauder Optical network structure
CA2449563C (en) * 2001-06-22 2011-12-06 John C. Carrick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of optical signals carried over a fiber optic link
EP1376918B1 (de) * 2002-06-24 2004-09-29 Alcatel Vorrichtung für ein passives optisches Netzwe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41894A1 (en) 2005-06-30
KR20050065781A (ko) 2005-06-30
JP2005192210A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3311B2 (en) Optical wavelength add-drop multiplexer
US8131149B2 (en) Optical routing device and optical network using same
US7650075B2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and optical network equipment using the same
US6327060B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ptically branching apparatus and optic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8396361B2 (en)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a passive optical transmission network as well as a passive optical transmission network with a corresponding protection mechanism
US20130315591A1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US6301404B1 (en) Supervisory signal optical bypass circuit, optical amplifying repeater and supervisory system
EP3364569B1 (en) Optical amplification system and optical amplification method
US20020067526A1 (en) 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EP1001562A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with break point detection using an optical amplifier and corresponding bidirectional transmission system
EP1445973A2 (en) WDM self-healing optical ring network
KR100539954B1 (ko) 양방향 애드/드롭 노드
EP2685641A1 (en) Optical amplification stage for otdr monitoring and related method and system for otdr monitoring of an optical communication link
US10491293B2 (en) Protection apparatus for a bidirection optical link
WO2012108549A1 (ja) 光伝送装置
US6574192B1 (en) Communications network and an add and drop node
JP3943537B2 (ja) Bpsr光伝送ノード
JP6537285B2 (ja) 光伝送装置、光伝送路の正常性判定方法、及び波長多重光通信システム
JP5191959B2 (ja) 光伝送システム
JP4405250B2 (ja) 信号光反射阻止回路および光伝送システム
JP3823764B2 (ja) 光直接増幅装置
US20010021044A1 (en) Method for monitoring optical transmission path and optical fiber amplification repeater used in the method
JP3591494B2 (ja) 光直接増幅装置
KR100651424B1 (ko)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
Mahmoud et al. Innovative architecture of switching device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s in fiber to the home (FT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