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856B1 -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856B1
KR100539856B1 KR10-2003-0049612A KR20030049612A KR100539856B1 KR 100539856 B1 KR100539856 B1 KR 100539856B1 KR 20030049612 A KR20030049612 A KR 20030049612A KR 100539856 B1 KR100539856 B1 KR 100539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number
ring back
called party
back tone
numb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383A (ko
Inventor
채성수
박인래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03-004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856B1/ko
Publication of KR2005001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은, 발신측으로부터 착신측으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의 다이얼링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이 소정의 신호로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난수 발생함수가 호출되어 난수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복권 등을 실행함으로써 통화 상태를 기다라는 동안의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통해 제2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random number instead of ring back tone}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인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대신 난수를 생성하여 이를 화면에 출력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 지는 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발신자가 소정의 번호로 다이얼링하면, 이는 디지털 신호 등으로 변환되어 교환기로 전송되고, 상기 교환기는 호출 전류를 착신측에 인가하면, 상기 착신측은 링백톤(ring back tone) 신호, 비지톤(busy tone) 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network busy tone) 신호 등으로 교환기에 응답을 하게 되고, 그 후 후크오프(hook-off) 신호가 상기 교환기에 전달되면, 발신측과 수신측의 통화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으로부터의 링백톤 신호, 비지톤 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 등을 발신측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발신측은 이러한 신호를 통하여 착신측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누른 후, 통화 또는 송신(send) 버튼을 누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기지국과 무선 통화로가 형성되는 경우는 링백톤 신호가 송출되고, 무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는 비지톤 신호가 송출된다.
이 때 상기 링백톤 신호 등의 통화 연결음은 경우에 따라 상기 발신자로 하여금 지루하게 느껴질 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화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통화 연결음 즉 링백톤 신호는 일률적으로 제공되어 단조롭고 따분하며, 또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시간을 그냥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통화의 연결 과정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단계에서 매끄럽지 못한 연결이 지속되거나, 불능처리 되어 초기화 되는 과정을 겪게 되면 상기 통화 연결음을 최대 20초 안팎까지 들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단조롭고 따분한 통화 연결음을 계속 들어야 하게 되고, 그 만큼 낭비되는 시간 또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일반적인 통화 연결음 대신 난수를 생성하여 이를 화면에 출력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로,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복권 등을 실행함으로써 통화 상태를 기다라는 동안의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은, 발신측으로부터 착신측으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의 다이얼링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이 소정의 신호로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난수 발생함수가 호출되어 난수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를 난수 발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는 특정의 난수 정보를 전송한 발신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하는 복권 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신호는 링백톤 신호이고,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것은 상기 착신자가 후크 오프 함에 따라 통화 상태로 진입할 때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복권 등을 실행함으로써 통화 상태를 기다라는 동안의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통해 제2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단, 도 1에 도시된 단말기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중앙 처리부(100), 신호 처리부(120), 음향/ 영상 처리부(130), 난수 발생부(140), 키 입력부(150), 안테나(ANT) 및 스피커(SP), 표시부(DIS)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처리부(100)는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상기 난수 발생부(140)의 난수 발생함수를 호출하여 난수를 발생시키며, 이를 상기 표시부(DIS)를 통해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앙 처리부(100)는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를 난수 발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미도시)에게 상기 신호 처리부(120) 및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소정의 난수 정보는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되어 특수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복권 등과 같이 제시되는 수와 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경품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소정의 신호는 링백톤 신호이며, 착신자의 후크 오프(hook-off)에 의해 발신자 즉, 사용자 및 착신자 간에 통화 상태가 이루어 질 때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가 상기 표시부(DIS)로 출력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발신자는 통화 상태를 기다라는 동안의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신호 처리부(120)는 전화 및 데이터 통산망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상기 중앙 처리부(100)로부터 입력 받아 안테나(ANT)를 통해 전송하고, 전화 호출 신호 및 상기 난수 정보를 부호화시켜 안테나(ANT)를 통해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난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함에 있어, 발신자의 신상 정보 등의 서비스 등록 정보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한다.
이는 최초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에 가입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가입을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난수 발생 서비스를 제공 받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복권 등과 같이 상기 전송된 소정의 난수 정보와 서비스 제공자가 제시되는 수와 일치하는 경우 소정의 경품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음향/ 영상 처리부(130)는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에 해당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는 영상처리부(130)의 표시부(DIS)를 통해 출력되나, 난수 정보 출력시 일정한 음향적 효과를 상기 음향 처리부(130)의 스피커(SP)를 통해 화면 출력과 동시에 출력시키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는 키 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하여 그 내용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수 발생부(140)의 난수 발생함수는 여러 가지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물리적 현상이 아니라 수리 계산을 근거로 한다는 측면에서 그 결과를 의사 난수(Pseudorandom Number)라 하며, 대개의 범용 소프트웨어(MS window, Norton 등) 또는 통계 패키지(SAS, SPSS 등) 등에 일반적 기능의 하나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난수 발생부(140)의 난수 발생 소프트 웨어는 사용자가 최초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에 가입할 때 다운로드 받는 등의 경우에 의해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측(사용자)으로부터 착신측으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ST 20)
즉, 사용자는 자신의 전화기(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전화기(단말기)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난수 발생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에 가입된 상태에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는 특정의 전화번호에만 적용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는 경우에만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다이얼링이 있으면, 상기 발신측의 다이얼링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이 소정의 신호로 응답하게 된다. (ST 21)
그리고, 사용자의 전화기에서는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한다. (ST 22)
여기서, 상기 발신측(사용자측)으로부터 검출되는 소정의 신호는 링백톤 신호, 비지톤 신호,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발신측과 착신측간에 교환기를 거쳐 무선 통화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링백톤 신호가 검출되고, 무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비지톤 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가 검출된다.
본 발명의 경우는 상기 소정의 신호가 링백톤 신호인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며,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검출되는 소정의 신호가 링백톤 신호가 아닌 경우 즉, 비지톤 신호 또는 네트워크 비지톤 신호의 경우에는 상기 착신측과의 통화 연결을 재 시도하게 된다.
다만, 상기 착신측과의 통화 연결을 재 시도하는 횟수는 소정의 횟수로 제한되고, 일정 횟수 이상 시도한 경우에는 통화 연결 시도를 중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되는 소정의 신호 즉, 링백톤 신호에 의해 난수 발생함수가 호출되어 난수가 발생된다. (ST 23)
즉, 사용자의 전화기를 통해 착신측에서 응답한 링백톤 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이에 상기 난수 발생부의 난수 발생함수가 호출되어 난수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된다. (ST 24)
이 때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것은 상기 착신자가 후크 오프 함에 따라 통화 상태로 진입할 때에 이루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는 난수 발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된다. (ST 25)
여기서,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는 특정의 난수 정보를 전송한 발신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하는 복권 서비스 등을 말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통화 상태를 기다리는 동안 자신의 행운을 기대하게 되여 그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는 다수의 사용자로 하여금 가입을 하게 함으로써 제2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복권 등을 실행함으로써 통화 상태를 기다라는 동안의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통해 제2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중앙 처리부 120 : 신호 처리부
130 : 음향/ 영상 처리부 140 : 난수 발생부
150 : 키 입력부

Claims (5)

  1. 발신측으로부터 착신측으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측의 다이얼링에 의하여 상기 착신측이 소정의 신호로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난수 발생함수가 호출되어 난수가 발생되는 단계와,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난수 정보를 난수 발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 발생 서비스는 특정의 난수 정보를 전송한 발신자에게 소정의 경품을 제공하는 복권 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신호는 링백톤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난수가 발신측 전화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것은 상기 착신자가 후크 오프 함에 따라 통화 상태로 진입할 때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KR10-2003-0049612A 2003-07-21 2003-07-21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KR10053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12A KR100539856B1 (ko) 2003-07-21 2003-07-21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12A KR100539856B1 (ko) 2003-07-21 2003-07-21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83A KR20050010383A (ko) 2005-01-27
KR100539856B1 true KR100539856B1 (ko) 2005-12-28

Family

ID=3722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12A KR100539856B1 (ko) 2003-07-21 2003-07-21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801B1 (ko) * 2007-05-02 2008-06-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게임 링백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83A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6277C (zh) 彩景式回铃/来电显示方法
CN100359909C (zh) 用于呼叫应答的方法和系统
JP2002016696A (ja) 電話システムにおいてアベイラビリティ・サービスを実施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20213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ble messages in replacement of telephone tones
JP2002218010A (ja) 個人用呼受信プロンプタ
KR100442662B1 (ko) 교환시스템에서 발신 호 예약 서비스방법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US20060258335A1 (en) Mobile handset capable of transmitting preset voice message and related method thereof
KR20010108937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호 발신음 발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539856B1 (ko) 통화 연결음을 대신하는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JP2003348239A (ja) 電話交換接続システムおよび電話交換接続方法
KR100518421B1 (ko) 난수 발생을 이용한 할인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1003735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음 발생 방법
CA2693731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ble messages in replacement of telephone tones
KR100767990B1 (ko) 발신자번호 표시서비스가 내장된 일반전화 및 인터넷전화겸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50028642A (ko) 통화대기음을 이용한 게임 및 광고 서비스 방법과 그 시스템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KR1009536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음 설정 방법
US20020150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verse-hold capability for telephone users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JP3349980B2 (ja) 電話装置
KR100234128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녹음메시지 동보 전송방법
KR100574660B1 (ko) 사용자 등록 전화번호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호 제한 방법 및 상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28641A (ko) 링톤 신호를 이용한 난수 발생 서비스 방법
KR20010096461A (ko) 호 대기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