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599B1 -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599B1
KR100539599B1 KR10-1999-0029783A KR19990029783A KR100539599B1 KR 100539599 B1 KR100539599 B1 KR 100539599B1 KR 19990029783 A KR19990029783 A KR 19990029783A KR 100539599 B1 KR100539599 B1 KR 10053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level
load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731A (ko
Inventor
유한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5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4Heavy duty vehicles, e.g. trucks, trains, agricultural or construction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전압레벨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 후 출력하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 각 부하에 교류전원을 인가/차단하는 부하구동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양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직류를 인가받고,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부하들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부하구동부를 제어하는 반면,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전원의 오입력을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적합하지 않은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의 오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원의 오입력을 표시할 수 있으며, 교류전원의 전압레벨과 기준전압레벨이 일치할때만 부하에 전원을 인가시키므로 부하들이 파손되거나 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load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사전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할 때 제어부가 각 부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의 교류전원(AC)의 양단에 교류전원을 감압하기 위한 감압트랜스(1)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감압트랜스(1)는 1차측과 2차측의 코일 권수비에 따라 감압하는데, 일예로 100V 혹은 220V의 교류전원(AC)을 약 15V로 감압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감압트랜스(1)의 후단에는 전원평활부(2)가 병렬로 접속되어 약 15V로 감압된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예를 들어 약 5V의 직류와 약 12V의 직류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전원평활부(2)가 출력하는 약 5V의 직류는 제어부(4)와 온도감지부(6)에 인가되며, 약 12V의 직류는 디스플레이부(5)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4)는 입력단자(Vi)를 통해 전원평활부(2)로부터 약 5V의 직류를 인가받아 작동함으로써 냉장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온도감지부(6)는 약 5V의 직류를 온도센서들에 인가하여 냉동실의 고내온도와 냉장실의 고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감지하게 된다. 또, 디스플레이부(5)는 약 12V의 직류를 인가받아 냉동실과 냉장실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표시하며, 그 밖에 운전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단의 교류전원(AC)의 양단에 부하구동부(3)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부하구동부(3)는 압축기(7), 순환팬(8), 제상히터(9), 고내등(10)에 교류전원(AC)을 인가/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부하구동부(3)는 각각의 부하인 압축기(7), 순환팬(8), 제상히터(9), 고내등(10)에 대응되는 릴레이들(RY1-RY4)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릴레이들(RY1-RY4)은 제어부(4)의 출력단자(OP1-OP4)로부터 인가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게 된다. 부하구동부(3)의 릴레이들(RY1-RY4)은 제어부(4)의 릴레이 제어신호에 의해 온되면 입력단의 교류전원(AC)이 각 부하 예를 들어 압축기(7)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압축기(7)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 부하 제어장치는 감압트랜스(1)가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 예를 들어, 100V의 교류전원 혹은 220V의 교류전원에 맞추어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100V용으로 제작된 감압트랜스(1)를 채택하여 사용할 때 입력단으로부터 100V의 교류전원(AC)이 입력되면 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용자의 부주의로 220V의 교류전원(AC)을 입력시킬 경우 감압트랜스(1)에 내장된 휴즈가 단선되기 때문에 약 5V의 직류와 약 12V의 직류를 출력할 수 없게 된다. 또한, 220V용으로 제작된 감압트랜스(1)를 채택하여 사용할 때 입력단으로부터 220V의 교류전원(AC)이 입력되면 정상적인 운전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용자의 부주의로 100V의 교류전원(AC)을 입력시킬 경우 감압트랜스(1)는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고정되어 출력특성이 저하하게 되어 정상적인 약 5V의 직류와 약 12V의 직류를 출력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입력단의 교류전원(AC)에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즉, 도 1에서 감압트랜스(1)와 전원평활부(2)를 대신하여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를 사용하게 된다. 이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는 프리볼트(free-volt)로 제작되어 100V의 교류전원과 220V의 교류전원을 모두 사용하더라도 약 5V의 직류와 12V의 직류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로부터 약 5V의 직류를 인가받는 제어부(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로부터 약 12V의 직류를 인가받는 디스플레이부(2)가 정상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이용자는 냉장고의 운전상태를 확인하고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냉장고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를 사용하는 경우 입력단의 교류전원(AC)으로 100V의 교류전원을 사용하거나 혹은 220V의 교류전원을 사용하더라도 제어부(4)와 디스플레이부(5)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부하구동부(3)에 의해 구동되는 부하들은 100V의 교류전원에 적합하게 제작되거나 혹은 220V의 교류전원에 적합하게 제작된다. 예를 들어, 220V의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각 부하들을 제작시 이용자의 부주의로 100V의 교류전원을 인가시킬 경우 이때, 부하구동부(3)의 릴레이들(RY1-RY4)이 온되어 100V의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압축기(7), 순환팬(8), 제상히터(9), 고내등(10)은 220V의 교류전원에 적합하게 제작되었기 때문에 구동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에서 약 5V의 직류를 인가받는 제어부(1)와 약 12V의 직류를 인가받는 디스플레이부(5)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므로 이용자는 220V의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하므로 교류전원의 오입력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냉장고의 운전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이상상태에 돌입하게 되고, 이를 이용자가 인식하지 못하여 방치함에 따라 고내에 저장된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없게 되어 식품의 부패를 초래하게 되었고, 이용자는 냉장고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고장수리를 서비스센타에 요청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00V의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각 부하들을 제작시 이용자의 부주의로 220V의 교류전원을 인가시킬 경우 압축기(7), 순환팬(8), 제상히터(9), 고내등(10)은 100V의 교류전원에 적합하게 제작되었기 때문에 파손되거나 소손이 발생하게 되어 작동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단의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사전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부하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전압레벨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 후 출력하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 각 부하에 교류전원을 인가/차단하는 부하구동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양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직류를 인가받고,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부하들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부하구동부를 제어하는 반면,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전원의 오입력을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적합하지 않은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의 오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압감지부는 교류전원의 양단에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분압저항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압저항의 접속점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타측이 접속된 동작저항과, 상기 동작저항과 상기 제 2분압저항 사이에 연결된 콘덴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전압레벨의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가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 직류를 인가받아 작동하는 제어부가 부하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상기 부하에 적합한 교류전원에 따라 사전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하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며, 감지된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전원의 오입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분압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분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분압된 전압을 제어부가 입력받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의 교류전원(AC)의 양단에 스위칭전원모드공급장치(51)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스위칭전원모드공급장치(51)는 교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예를 들어 약 5V의 직류와 약 12V의 직류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이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51)가 출력하는 약 5V의 직류는 제어부(54)와 온도감지부(56)에 인가되며, 약 12V의 직류는 디스플레이부(55)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54)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51)로부터 약 5V의 직류를 인가받아 작동함으로써 냉장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온도감지부(56)는 약 5V의 직류를 온도센서들에 인가하여 냉동실의 고내온도와 냉장실의 고내온도 및 외기온도를 각각 감지하게 된다. 또, 디스플레이부(55)는 약 12V의 직류를 인가받아 냉동실과 냉장실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표시하며, 그 밖에 운전기능에 대한 설정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단의 교류전원(AC)의 양단에 부하구동부(53)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부하구동부(53)는 압축기(57), 순환팬(58), 제상히터(59), 고내등(60)에 대응되는 릴레이들(RY1-RY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하구동부(53)의 릴레이들(RY1-RY4)은 제어부(54)의 출력단자(OP1-OP4)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된다.
또, 본 발명은 교류전원(AC)의 양단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52)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압감지부(5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AC)의 양단에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분압저항(R1)(R2)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압저항(R1)(R2)의 접속점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54)에 타측이 접속된 동작저항(R3)과, 상기 동작저항(R3)과 상기 제 2분압저항(R2) 사이에 연결된 콘덴서(C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감지부(52)의 양단에 교류전원(AC)이 인가되면, 상기 제1분압저항(R1)과 제2분압저항(R2)에는 저항비에 따라 교류전원(AC)의 전원전압을 분압하게 된다. 일예로, 교류전원(AC)의 전원전압이 "Vc"라 할때 제1분압저항(R1)의 양단에 걸리는 분압전압(V1)과 제2분압저항(R2)의 양단에 걸리는 분압전압(V2)은 다음의 관계식과 같다.
V1 = [R2/(R1+R2)]*Vc
V2 = [R1/(R1+R2)]*Vc .......[관계식]
위 관계식에 의하면 교류전원(AC)의 전원전압(Vc)은 제1분압저항(R1)과 제2분압저항(R2)의 저항비에 의해 분압된다. 그리고, 교류전원(AC)의 전원전압(Vc)에 따라 제 2분압저항(R2)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다르게 된다. 즉, 100V의 교류전원(AC)이 인가될 때 제2분압저항(R2)의 양단에 걸리는 분압전압(V2')과 220V의 교류전원(AC)이 인가될 때 제2분압저항(R2)의 양단에 걸리는 분압전압(V2'')은 다르다.
교류전원(AC)이 제1 및 제2분압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후, 제 1분압전압(R1)과 제 2분압전압(R2)의 접속점에 일측이 연결된 동작저항(R3)에 의해 충전전류가 유기됨에 따라 콘덴서(C1)는 충전하게 되고 그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이 전압감지신호로서 제어부(54)의 입력단자(I1)에 인가된다. 100V의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경우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은 약 2V인 반면, 220V의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경우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은 약 4V가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54)는 입력단자(I1)에 인가되는 충전전압 즉 전압감지신호에 따라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 즉 100V의 교류전원(AC)인지 혹은 220V의 교류전원(AC)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4)는 전압감지부(52)를 통해 감지된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예를 들어 압축기(57), 순환팬(58), 제상히터(58), 고내등(60)의 부하들이 100V의 교류전원(AC)에 적합하게 제작된 경우 이에 따라 기준전압레벨이 사전에 설정되고 전압감지부(52)로부터 약 2V의 전압감지신호가 입력되어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100V로 감지되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4)는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냉장고를 운전시키기 위해 부하구동부(53)의 릴레이(RY1-RY4)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릴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압축기(57), 순환팬(58), 제상히터(58), 고내등(6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54)는 100V의 교류전원(AC)으로 사전에 설정되는 기준전압레벨이 전압감지부(52)를 통해 감지된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이용자의 부주의로 220V의 교류전원(AC)을 인가한 경우 상기 제어부(54)는 100V의 교류전원(AC)으로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이 전원감지부(52)로부터 약 4V의 전압감지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전원의 오입력 상태를 디스플레이부(55)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디스플레이부(55)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전원의 오입력상태를 확인하여 100V의 교류전원(AC)을 인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방법을 도 4의 동작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냉장고에 소정 전압레벨의 교류전원 예를 들어 100V의 교류전원(AC) 혹은 220V의 교류전원(AC)을 인가하여 냉장고의 전원을 온시킨다(단계 S1).
이어,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51)는 입력단의 교류전원(AC)을 스위칭하여 약 5V의 직류를 상기 제어부(54)는 온도감지부(56)에 출력하는 한편, 약 12V의 직류를 디스플레이부(55)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4)는 약 5V의 직류를 인가받아 냉장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온도감지부(56)도 약 5V의 직류를 인가받아 냉동실과 냉장실의 고내온도와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상태가 되고, 디스플레이부(55) 역시 약 12V의 직류를 인가받아 냉동실과 냉장실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표시하고 그 밖의 설정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감지부(52)는 인가되는 교류전원(AC)의 전원전압을 제1 및 제2분압저항(R1)(R2)이 분압하고 동작저항(R3)에 의해 충전전류가 유기되어 콘덴서(C1)가 충전하게 됨에 따라 그 충전전압 예를 들어 100V의 교류전원(AC)일 때 약 2V의 전압감지신호가 220V의 교류전원(AC)일 때 약 4V의 전압감지신호가 제어부(54)의 입력단자(I1)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4)는 입력단자(I1)을 통해 입력되는 전압감지신호에 따라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단계 S2).
이어, 상기 제어부(54)는 전압감지부(52)를 통해 감지된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데, 이 기준전압레벨은 교류전원(AC)에 적합하게 제작되는 부하들인 압축기(57), 순환팬(58), 제상히터(58), 고내등(60)를 기준으로 설정하게 된다(단계 S3).
단계 S3에서 감지된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예를 들어, 100V의 교류전원(AC)에 적합하게 부하들을 제작한 경우 이에 따른 기준전압레벨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전압감지부(52)로부터 약 2V의 전압감지신호가 제어부(54)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4)는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부하구동부(53)의 릴레이들(RY1-RY4)을 온오프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냉장고를 운전하게 된다(단계 S4).
반면, 단계 S3에서 감지된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100V의 교류전원(AC)에 적합하게 부하들을 제작한 경우 이에 따른 기준전압레벨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전압감지부(52)로부터 약 4V의 전압감지신호가 제어부(54)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4)는 디스플레이부(55)를 통해 전원의 오입력을 표시하여 이용자가 올바르게 교류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단계 S5).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교류전원(AC)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된 전압감지부가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출력하고, 마이컴은 감지된 교류전원(AC)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전원의 오입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어부가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전압레벨이 일치할때만 부하구동부의 릴레이를 온오프시켜 부하에 전원을 인가시키므로 부하에 적합하지 않은 과도한 교류전원(AC)이 인가되어 부하들이 파손되거나 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전압감지부의 상세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부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SMPS) 52 : 전압감지부
53 : 부하구동부 54 : 제어부
55 : 디스플레이부 56 : 온도감지부
57 : 압축기 58 : 순환팬
59 : 제상히터 60 : 고내등

Claims (4)

  1. 소정 전압레벨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 후 출력하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 각 부하에 교류전원을 인가/차단하는 부하구동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양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직류를 인가받고,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부하들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부하구동부를 제어하는 반면, 상기 전압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전원의 오입력을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 적합하지 않은 교류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의 오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는
    교류전원의 양단에 병렬접속된 제 1 및 제 2분압저항과, 상기 제 1 및 제 2분압저항의 접속점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타측이 접속된 동작저항과, 상기 동작저항과 상기 제 2분압저항 사이에 연결된 콘덴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부하 제어장치.
  3. 소정 전압레벨의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스위칭모드전원공급부가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그 직류를 인가받아 작동하는 제어부가 부하구동부를 제어하여 부하들을 구동시키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이 상기 부하에 적합한 교류전원에 따라 사전 설정된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면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부하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며, 감지된 전압레벨이 기준전압레벨과 일치하지 않으면 전원의 오입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부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의 전압레벨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교류전원의 전원전압을 분압저항의 저항비에 따라 분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분압된 전압을 제어부가 입력받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부하 제어방법.
KR10-1999-0029783A 1999-07-22 1999-07-22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53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83A KR100539599B1 (ko) 1999-07-22 1999-07-22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783A KR100539599B1 (ko) 1999-07-22 1999-07-22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31A KR20010010731A (ko) 2001-02-15
KR100539599B1 true KR100539599B1 (ko) 2005-12-29

Family

ID=1960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783A KR100539599B1 (ko) 1999-07-22 1999-07-22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0269A1 (en) * 2021-10-19 2023-04-26 Evco S.P.A. Electronic thermoregulator configured to control a professional refrigeration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0269A1 (en) * 2021-10-19 2023-04-26 Evco S.P.A. Electronic thermoregulator configured to control a professional refrigeratio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731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5200B2 (e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ontrol unit powered by a switching power supply
EP1100190A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and the static capacitance of a compressor
KR100415322B1 (ko) 전기적액튜에이터구동단을테스트하는방법및회로
MX2007014286A (es) Atenuador de dos alambres con fuente de alimentacion y circuito de proteccion de carga en caso de falla del interruptor.
EP0794691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accurately detecting end of usage lifetime of a discharge lamp
US4984184A (en) Controlling device for electric apparatus
KR100539599B1 (ko) 냉장고의 부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5164058A (ja) 空気調和機
KR100187287B1 (ko) 인버터형 공조기기의 실외기 운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64777B1 (ko) 냉장고
KR10030856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원공급장치및 그 방법
KR19990053425A (ko) 냉장고의 운전방법
KR0182744B1 (ko) 인버터용 공기조화기
KR102125644B1 (ko) 쇼케이스의 글래스히터 제어시스템
KR100339355B1 (ko) 냉장고
KR100479490B1 (ko) 기동전류 저감회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190293B1 (ko) 냉장고 고내램프의 점소등 제어장치
KR101469444B1 (ko) 업소용 다단식 취반기의 축전지 충방전 제어방법
KR0136081Y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보호장치
KR19990054015A (ko) 전자식 냉장고의 릴레이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37411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파워 디스플레이 방법
KR0117779Y1 (ko) 과전압 감지 전원회로
KR100396943B1 (ko) 차량 배터리의 전압 안정화를 통한 엔진효율 향상 장치 및그 향상방법
KR100364775B1 (ko)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940006910B1 (ko) 에어콘의 냉방능력 및 주위조건 이상감지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