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360B1 -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360B1
KR100539360B1 KR1020040007390A KR20040007390A KR100539360B1 KR 100539360 B1 KR100539360 B1 KR 100539360B1 KR 1020040007390 A KR1020040007390 A KR 1020040007390A KR 20040007390 A KR20040007390 A KR 20040007390A KR 100539360 B1 KR100539360 B1 KR 10053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ttom member
fitted
side members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971A (ko
Inventor
김현성
Original Assignee
김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성 filed Critical 김현성
Priority to KR102004000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3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 E04G13/066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or other parts corbelled out of the wall for overha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출용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중량체인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기 위해 포장 및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장박스의 프레임을 철재로 하여 이들을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저면 모서리에 받침다리(2)가 고정되고,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개구홈(2)이 형성되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바닥부재(1)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얹혀져 바닥부재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재 폐쇄부재(4)와, 외측을 향하는 면에 개구홈(9)(10)이 형성되어 바닥부재의 각 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제1, 2측면부재(7)(8)와, 상기 제1, 2측면부재가 상호 맞닿은 면 및 제1, 2측면부재가 접속되는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각각 용접 고정되며 삽입공(15a)(16a)이 각각 형성된 제1, 2브라켓(15)(16)과,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끼워지게 제1, 2브라켓이 고정된 대응부재에 고정된 제1, 2클립(17)(18)과,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제1, 2클립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2클립에 결합되어 이들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는 쐐기형태의 제1, 2키이(19)(20)와, 상기 바닥부재 및 제1, 2측면부재의 개구홈에 각각 끼워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쫄대(11)와, 상기 개구홈에 끼워진 쫄대에 스테이플(14)로 고정되어 포장박스의 외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패널(12)과,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를 폐쇄하며 각 변에 외부패널과 중첩되어 스테이플로 쫄대에 고정되는 날개부(13a)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상부패널(13)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바닥부재에 제1, 2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바닥부재에 제1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제1, 2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보조부재가 제1측면부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바닥부재에 하부 가이드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포장박스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 - 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10은 바닥부재 및 제1, 2측면부재에 형성된 삽입홈 내에 끼워지는 쫄대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부재 2, 9, 10 : 개구홈
3 : 받침다리 4 : 바닥부재 폐쇄부재
5, 6 : 포크 가이드 7 : 제1측면부재
8 : 제2측면부재 11 : 쫄대
12 : 외부패널 13 : 상부패널
12a, 13a : 날개부 15, 16, 25 : 제1, 2, 3브라켓
17, 18, 26 : 제1, 2, 3클립 19, 20, 28 : 제1, 2, 3키이
21 : 하부 가이드 24 : 보조부재
27 : 상부 가이드 27a : 삽입홈
본 발명은 수출용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중량체인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기 위해 포장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차량, 기차, 선박, 비행기 등)을 이용하여 각종 물품을 운송할 때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동시에 운송 시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 포장용 박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포장용 박스의 재질 및 형태로는 여러 가지가 제안 된 바 있다.
상기 포장용 박스의 재질로는 종이를 이용한 종이 박스, 합성수지의 플라스틱 박스, 나무를 이용한 나무 박스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종이박스의 경우는 보온성과 쿠션이 양호한 특성을 갖으나,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고 습기에 취약하며 사용 후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지로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박스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나, 커다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플라스틱 박스가 깨지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는다.
한편, 나무 박스는 비교적 견고하여 운송 중에 커다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파손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 장거리 운송되는 수출용 물품의 포장박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무 박스 또한 포장된 물품의 운송 중에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통상 수출용 물품이 포장된 박스는 운송비의 과다로 인해 선박을 이용하여 장기간 운송되므로 운송 과정에서 나무 박스에 수분이 함유되고, 이에 따라 외기의 온도가 차거운 지역에 수출하는 경우에는 포장박스에 결로(結露)현상이 발생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는다.
둘째, 포장박스가 나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선적지역에 있는 미생물 또는 세균 등이 나무재질에 오염될 경우 수출된 물품의 통관 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역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셋째, 포장용 박스가 나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수출용 물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어느 정도는 견디게 되지만, 포장 박스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커다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포장박스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넷째, 한 번 사용하고 난 포장박스를 해체한 상태에서는 재활용이 거의 불가 능하여 잡목으로 처리하게 되므로 회수율이 거의 제로(0)에 가깝다.
다섯째,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 부피가 커 보관 및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포장박스의 재질을 금속으로 대체하여 수출용 물품의 운송 중에 포장박스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박스의 골조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여 포장박스의 재활용은 물론 포장박스의 원재료인 부품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저면 모서리에 받침다리가 고정되고,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개구홈이 형성되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얹혀져 바닥부재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재 폐쇄부재와, 외측을 향하는 면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바닥부재의 각 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제1, 2측면부재와, 상기 제1, 2측면부재가 상호 맞닿은 면 및 제1, 2측면부재가 접속되는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각각 용접 고정되며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제1, 2브라켓과,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끼워지게 제1, 2브라켓이 고정된 대응부재에 고정된 제1, 2클립과,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제1, 2클립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2클립에 결합되어 이들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는 쐐기형태의 제1, 2키이와, 상기 바닥부재 및 제1, 2측면부재의 개구홈에 각각 끼워지는 합성수지재질의 쫄대와, 상기 개구홈에 끼워진 쫄대에 스테이플로 고정되어 포장박스의 외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패널과,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를 폐쇄하며 각 변에 외부패널과 중첩되어 스테이플로 쫄대에 고정되는 날개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상부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바닥부재에 제1, 2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바닥부재에 제1측면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외측을 향하는 면에 "C"형상의 개구홈(2)이 형성되도록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바닥부재(1)의 저면 모서리에 받침다리(3)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재(1)의 상면에는 바닥부재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재 폐쇄부재(4)가 얹혀져 있다.
상기 바닥부재 폐쇄부재(4)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청필름을 사용하였으나, 이를 폐 합성수지 패널 등으로 대체 가능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바닥부재(1)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장변 저면에 도 6과 같이 리프트의 포크가 끼워지는 한 쌍의 포크 가이드(5)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는, 물품의 포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포크 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포장박스 를 안정적으로 상,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포크 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포장박스를 상, 하차하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을 잃고 포크로부터 포장박스가 일측으로 쏠리더라도 포크에서 포장박스가 추락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해 바닥부재(1)의 장변을 이용하지 못하고 단변을 이용하여 상, 하차작업을 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이를 위해 바닥부재(1)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단변 저면 일측에 도 9와 같이 또 다른 1개의 포크 가이드(6)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포크 가이드(6)를 1개만 구성한 이유는 바닥부재(1)의 단변 길이가 짧아 일측의 받침다리(3)가 포크 가이드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닥부재(1)의 각 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1, 2측면부재(7)(8)가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각 제1, 2측면부재(7)(8) 또한 바닥부재(1)와 마찬가지로 외측을 향하는 면에 "C"형상의 개구홈(9)(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재(1) 및 제1, 2측면부재(7)(8)에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개구홈(2)(9)(10)의 내부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 합성수지로 성형된 쫄대(11)가 삽입되어 외부패널(12) 및 상부패널(13)의 고정작업 시 스테이플(14)이 박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2측면부재(7)(8)가 접속되는 바닥부재(1)의 모서리 및 제1, 2측면부재(7)(8)가 상호 맞닿은 면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삽입공(15a)(16a)이 각각 형성된 제1, 2브라켓(15)(16)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제1, 2브라켓(15)(16)이 고정된 대응부재에는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는 제1, 2클립(17)(18)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클립(17)(18)이 고정된 부재에 대응부재를 접속시키면 제1, 2브라켓(15)(16)에 형성된 삽입공(15a)(16a)으로 제1, 2클립(17)(18)이 통과하여 상기 제1, 2클립(17)(18)이 제1, 2브라켓(15)(16)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제1, 2클립(17)(18)의 상부에서 쐐기형태의 제1, 2키이(19)(20)를 망치 등으로 두드려 박으면 상기 제1, 2키이(19)(20)가 제1, 2클립(17)(18)에 견고히 박히면서 바닥부재(1) 및 제1, 2측면부재(7)(8)의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바닥부재(1)의 상면에 위치하는 바닥부재 폐쇄부재(4)의 상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부피가 큰 단일체의 물품을 안치한 다음 이를 바닥부재(1)에 운반중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제1, 2측면부재(7)(8)의 조립을 완료하고 나면 외벽을 이루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패널(12)을 측면에 대고 바닥부재(1) 및 제1, 2측면부재(7)(8)의 개구홈(2)(9)(10)에 삽입된 쫄대(11)측으로 스테이플(14)을 박아 외부패널(12)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1, 2측면부재(7)(8)의 개구홈(9)(10) 내에 끼워진 쫄대(11)에 스테이플(14)로 고정되는 외부패널(12) 중 단변에 위치하는 외부패널(12)은 제1측면부재(7)의 개구홈(9)에 끼워진 쫄대(11)에 직접 스테이플(14)로 고정하여도 되지만, 장변에 위치하는 외부패널(12)에는 양측으로 날개부(12a)가 형성되어 있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부(12a)를 제1측면부재(7)측으로 감싼 다음 스테이플(14)로 쫄대(11)에 고정하여야만 외부패널(12)이 쫄대(1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박스의 측면을 이루는 외부패널(12)을 각각 고정하고 나면 도 7과 같이 각 변에 외부패널(12)과 중첩되어 스테이플(14)로 쫄대(11)에 고정되는 날개부(13a)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상부패널(13)을 덮어 포장박스의 상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날개부(13a)를 절곡하여 외부패널(12)과 함께 쫄대(11)에 스테이플(14)로 고정하므로써 포장박스의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바닥부재(1)에 안치되는 물품이 단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부피가 작은 다수개의 물품인 경우에는 운반 중에 포장된 물품이 유동되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재(1)의 상면에 얹혀진 바닥부재 폐쇄부재(4)를 통해 바닥부재(1)에 포장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하부 가이드(21)가 스크류(22)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측면부재(7)(8)사이에는 개구홈(23)에 합성수지재질의 쫄대(11)가 끼워진 보조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보조부재가 제1측면부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제1, 2측면부재(7)(8) 또는 보조부재(24)에 삽입공(25a)이 형성된 제3브라켓(25)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3브라켓에 고정된 대응부재에는 제3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25a)에 끼워지는 제3클립(2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부재(24)에 삽입된 쫄대(11)에는 하부 가이드(21)에 끼워진 포장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부 가이드(21)의 위치에 알맞게 삽입홈(27a)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27)가 스테이플(14)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3브라켓(25)이 고정된 제1측면부재(7)사이에 상부 가이드(27)가 고정된 보조부재(24)를 조립하면 상기 보조부재(24)에 용접 고정된 제3클립(26)이 제3브라켓(25)에 형성된 삽입공(25a)으로 끼워져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외부로 노출된 제3클립(26)의 상부에서 쐐기형태의 제3키이(28)를 망치 등으로 박아 제1측면부재(7)에서 보조부재(24)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부 가이드(21)와 상부 가이드(27)에 형성된 삽입홈(27a)의 내부에 자동차의 문짝과 같은 판상의 물품을 차례로 끼워 안치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수출 물품을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에서는 제1측면부재(7)사이에 보조부재(24)를 조립하도록 하였으나, 포장되는 물품의 크기(길이)에 따라 제2측면부재(8) 사이에 보조부재(24)를 조립하여 물품을 포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물품을 포장하여 원하는 장소로 물품을 운반하고 나면 스테이플(14)의 제거로 외부패널(12) 및 상부패널(13)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됨은 물론 제1, 2, 3키이(19)(20)(28)를 제거하기만 하면 보조부재(24)는 물론이고 제1, 2측면부재(7)(8)를 바닥부재(1)로부터 파손없이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이들의 재사용이 가능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수출용 물품을 선박을 이용하여 장기간 운송하더라도 외부패널 및 상부패널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수분을 흡수하지 않게 되므로 외기의 온도가 차거운 지역에서도 포장박스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둘째, 포장박스가 금속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 선적지역에서 포장박스가 미생물 또는 세균 등에 오염될 우려가 없으므로 수출된 물품의 통관 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역과정에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셋째, 포장용 박스의 골조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포장 박스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커다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포장박스가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넷째, 한 번 사용하고 난 포장박스는 스테이플을 제거하여 외부패널 및 상부패널을 분리하고 제1, 2, 3키이의 제거만으로 바닥부재로부터 제1, 2측면부재 및 보조부재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포장박스의 재활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다섯째,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모든 부품이 조립식으로 되어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다.

Claims (4)

  1. 저면 모서리에 받침다리가 고정되고, 외측을 향하는 면에는 개구홈이 형성되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재질의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얹혀져 바닥부재의 공간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재 폐쇄부재와, 외측을 향하는 면에 개구홈이 형성되어 바닥부재의 각 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제1, 2측면부재와, 상기 제1, 2측면부재가 상호 맞닿은 면 및 제1, 2측면부재가 접속되는 바닥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각각 용접 고정되며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제1, 2브라켓과,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끼워지게 제1, 2브라켓이 고정된 대응부재에 고정된 제1, 2클립과, 상기 제1, 2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제1, 2클립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 2클립에 결합되어 이들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는 쐐기형태의 제1, 2키이와, 상기 바닥부재 및 제1, 2측면부재의 개구홈에 각각 끼워지는 합성수지재질의 쫄대와, 상기 개구홈에 끼워진 쫄대에 스테이플로 고정되어 포장박스의 외벽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패널과,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를 폐쇄하며 각 변에 외부패널과 중첩되어 스테이플로 쫄대에 고정되는 날개부를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상부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얹혀진 바닥부재 폐쇄부재를 통해 바닥부재에 스크 류로 고정되어 포장되는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하부 가이드와, 상기 제12측면부재 또는 제2측면부재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개구홈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쫄대가 고정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제1, 2측면부재 또는 보조부재에 용접 고정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제3브라켓과, 상기 제3브라켓에 고정된 대응부재에 고정되어 제3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는 제3클립과, 상기 제3브라켓에 형성된 삽입공에 제3클립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3클립에 결합되어 이들의 조립상태를 유지하는 쐐기형태의 제3키이와, 상기 보조부재에 삽입된 쫄대에 고정되어 하부 가이드에 끼워진 포장 물품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부 가이드의 위치에 알맞게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장변 저면에 리프트의 포크가 끼워지는 한 쌍의 포크 가이드가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단변 저면에 또 다른 1개의 포크 가이드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KR1020040007390A 2004-02-04 2004-02-04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KR10053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390A KR100539360B1 (ko) 2004-02-04 2004-02-04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390A KR100539360B1 (ko) 2004-02-04 2004-02-04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603U Division KR200349743Y1 (ko) 2004-02-03 2004-02-03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71A KR20050078971A (ko) 2005-08-08
KR100539360B1 true KR100539360B1 (ko) 2006-01-10

Family

ID=3726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390A KR100539360B1 (ko) 2004-02-04 2004-02-04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3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71A (ko) 2005-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835B2 (en) Collapsible pallet system and methods
US5174448A (en) Container for shipping and stacking sheets of glass
US3073500A (en) Container
US3072313A (en) Figure 4 corner post
US6619477B2 (en) Pallet and transportation container
US2730287A (en) Shipping container
KR101137441B1 (ko) 골판지 포장박스
KR101672981B1 (ko) 운송용 포장박스
KR100970150B1 (ko) 화물적재용 파레트 및 이에 조립된 화물포장용 상자
US5823349A (en) Securing a corrugated container to a pallet
KR101451540B1 (ko) 리유저블 컨테이너
BR102013021281A2 (pt)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caixa palete com meio de união e dobra flexível
KR200349743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US20210139194A1 (en) Shipping pallet sleeve system and methods
KR100539360B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US3910446A (en) Floor structure for cargo container
KR101613010B1 (ko) 철재 박스
JP2006001637A (ja) ロール製品輸送用コンテナ
KR101999669B1 (ko) 운송용 박스
KR200214418Y1 (ko) 컨테이너용 포장 운반상자
KR200400241Y1 (ko) 안전하게 적층가능하고 강도보강된 철재 포장박스
US20230382626A1 (en) Cold chain recyclable packaging
CN216862293U (zh) 一种花格木箱结构
KR200490064Y1 (ko) 스태커크레인 운반에 적합하며 조립성이 우수한 화물용 운반상자
WO2017078514A1 (en) A reinforced corner car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