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313B1 -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 Google Patents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313B1
KR100539313B1 KR10-2002-0083686A KR20020083686A KR100539313B1 KR 100539313 B1 KR100539313 B1 KR 100539313B1 KR 20020083686 A KR20020083686 A KR 20020083686A KR 100539313 B1 KR100539313 B1 KR 10053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ter
light
optical signal
waveleng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6945A (ko
Inventor
함형석
박승우
김경훈
윤학구
임대순
Original Assignee
화이버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버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이버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93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6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4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operating by wave or beam interference
    • G02B6/29361Interference filters, e.g. multilayer coatings, thin film filters, dichroic splitters or mirrors based on multilayers, WDM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삽입추출기가 개시된다.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선로와 출력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와,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선로와 출력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와, 광송신부로부터 입력광선로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와,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 및 제2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3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3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은 보다 적은 개수의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하여 삽입손실은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파장대의 다채널을 송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Add/Drop Multiplexer having multiple input/output ports and plural filters}
본 발명은 광삽입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다채널의 광신호 전달을 위해 다중 입출력광전송로를 갖는 광삽입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병행하여 대용량의 초고속 광통신망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기술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광통신망의 일 예인 FTTH(Fiber-To-The-Home) 의 실현을 위해 저가의 광가입자망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시되고 있다.
저가의 광가입자망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기술로서 양방향 송수신모듈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에는 시간 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 이하 'TDM'이라 칭함) 방식 또는 파장 분할 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이 하 'WDM'이라 칭함) 방식 등이 사용된다.
TDM 방식은 시간대를 나누어 서로 다른 타임슬롯(Time Slot)에서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단일모드 광섬유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이다. TDM 방식은 송신 및 수신을 서로 다른 시간대로 나누어 처리하므로 신호처리 속도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WDM 방식은 하나의 전송선으로 다수의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즉, WDM은 하나의 전송선으로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써, 수신측에서는 전송된 신호를 각각의 파장에 따른 신호로 분리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이 WDM 방식은 광신호를 송신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광도파로소자, 광신호를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등을 집적하고, 1,310nm 및 1,550nm의 두 파장을 이용하여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WDM 방식을 이용하는 광통신은 도 1과 같이 MUX/DeMUX와 이를 연결하는 광케이블로 구성된다. 이 때 MUX와 DeMUX 사이에서는 광신호를 송신하거나(add) 수신하는(drop)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add/drop을 위해 필요한 것이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이다. OADM은 동일 채널의 ADM(Add/Drop Multiplexer)이 한 쌍 이상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동일 채널의 ADM 두 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이동통신에 있어서 ADM을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은 1,310nm 및 1,550nm 외의 다채널의 광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ADM을 구비하여야 하며, 구비되는 ADM 수가 증가에 따른 비용손실 및 삽입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중 입출력광전송로를 가지며 구비된 필터의 특성을 조절하여 다채널의 광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광삽입추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와 제4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및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 입사된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투과 및/또는 반사시키는 적어도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삽입추출기는,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와 제4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필터를 투과한 상기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3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3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상기 제2광선로는 두 개의 출력광선로, 상기 제3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및 상기 제4광선로는 하나의 출력광선로이다. 또한, 상기 제2 내지 상기 제4광선로는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송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1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3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3파장영역은 동일하며, 상기 제1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1파장영역은 상기 제2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2파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는,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선로와 출력광선로가 배치된 페럴(Ferrul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선로와 출력광선로를 상기 페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달소자 각각은 상호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의 일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집속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의 타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집속장치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의 일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의 타단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삽입추출기는,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상기 제2광선로는 두 개의 출력광선로, 상기 제3광선로는 하나의 출력광선로이며, 상기 제2 내지 상기 제3광선로는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송가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삽입추출기는,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 및 제4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3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상기 제2 및 상기 제4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이며, 상기 제2 및 상기 제4광선로는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송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2파장영역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2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3-2 포트 광삽입추출기(200)는 광신호가 갖는 파장 특성에 따라 광신호를 전송하는 양방향 통신 모듈로서, 일반적인 AD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5-포트 광삽입추출기(200)는 제1광집속장치(210), 제2광집속장치(220),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 및 하우징(260)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를 구비하였으나, 3개 이상도 구비가능하다. 또한, 후술할 입력광선로(212a, 222a)는 일점쇄선으로, 출력광선로(212b, 212c)는 이점쇄선으로, 광경로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제1광집속장치(210)는 제1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입력광선로(212a)와 제2광선로로 적용된 두 개의 출력광선로(212b, 212c)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이하 '제1피그테일'이라 한다)(212) 및 제1렌즈(214)를 갖는다.
제2광집속장치(220)는 제3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입력광선로(222a)와 제4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출력광선로(222b)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이하 '제2피그테일'이라 한다)(222) 및 제2렌즈(224)를 갖는다.
각각의 입력광선로(212a, 222a) 및 출력광선로(222b, 222c, 222b)는 광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2광집속장치전송부(210, 220)는 후술할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렌즈(214, 224)는 제1 및 제2렌즈(214, 224)로 입력된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하여 출력시키는 렌즈로서, 비구면렌즈를 비롯하여 그린 렌즈(Graded-index lens : GRIN 렌즈), 볼렌즈(Ball lens), Plano 렌즈, 구면 렌즈 등이 사용된다.
도 3은 도 1에 마련된 제1피그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1피그테일(212)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제2피그테일(222)도 제1피그테일(212)과 유사한 구성을 갖되 출력광선로(222b)의 개수만이 상이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피그테일(212)은 페럴(ferrule)(213), 입력광선로(212a) 및 출력광선로(212b, 212c)를 갖는다. 페럴(213)은 내부에 하나의 통공(213a)을 갖는다. 통공(213a)은 패럴(21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패럴(213)의 길이방향에 대한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통공(213a)은 입력광선로(212a) 및 출력광선로(412b, 212c)는 에폭시 경화와 같은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통공(213a)에 고정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된 페럴(213)의 일단면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을 갖도록 사선으로 연마한다. 연마시에는 페럴(21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갈아주며, 갈아준 부분은 폴리싱 및 코팅처리한다. 이로서 제1피그테일(212)이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피그테일(212)과 제1렌즈(214) 조립시, 제1피그테일(212)과 제1렌즈(214)의 거리 및 각도에 따라 빛의 초점 크기는 달라진다. 또한, 제1피그테일(212)의 입력광선로(212a, 222a)로 입사된 빛이 반사되어 재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피그테일(212) 및 제1렌즈(214)의 일단면은 일정각도(θ)를 갖도록 사선으로 연마하며, 두 사선이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면, 제1피그테일(212) 및 제1렌즈(214)의 일단면은 경사각(θ)은 8°의 각을 갖도록 한다.
경사각(θ) 및 초점거리가 맞춰지면 제1피그테일(212)과 제1렌즈(214)를 에폭시 경화를 이용해 고정시킨다. 고정된 제1피그테일(212) 및 제1렌즈(214)에 대응하여 빛이 반사 및/또는 투과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는 에폭시 경화 또는 UV 경화로 고정된다. 또한, 제1광접속장치(210)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고정된다.
제2피그테일(222), 제2렌즈(224) 및 제2광접속장치(220)의 고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1피그테일(212), 제1렌즈(214) 및 제1광접속장치(210)의 고정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제1 및 제2광접속장치(210, 220) 및 제1내지 제3필터(230, 240, 250)에 대한 하우징(260)은 에폭시에 의한 접합, 솔더링(soldering) 또는 레이저 웰딩(laser welding) 등 다양한 기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5-포트 광삽입추출기(200)가 만들어진다.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및 제2렌즈(214, 224)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는 제1 및 제2광접속장치(210, 22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는 제1 내지 제3필터(230, 240, 250)에 설정된 파장 또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집속된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킨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필터(230)는 소정의 입력광선로(212a) 및 제1렌즈(214)를 통해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제2필터(240)는 제1필터(230)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제3필터(250)는 제2필터(240)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3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제1필터(230)에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및 제3필터(250)에 기설정된제3파장영역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5-포트 광삽입추출기(200)의 광신호의 경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250nm ~ 1650nm의 파장 영역을 갖는 광신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CWDM(Coarse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의해 채널수를 증가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CWDM 방식인 경우, 1,250nm ~ 1,650nm의 파장 영역은 1.3um 파장 대역에 위치하는 1,310nm 파장 및 1.4um 내지 1.5um 파장 대역에 위치하는 1,470nm, 1,490nm, 1,510nm, 1,530nm, 1,550nm, 1,570nm, 1,590nm 및 1,610nm 파장으로 구분된다.
입력광선로(212a)를 거쳐 제1렌즈(214)로 입사된 소정의 파장대역(1,250nm ~ 1650nm)을 갖는 광신호는 제1렌즈(214)에 의해 제1필터(230)로 집속된다.
제1필터(230)는 1,460nm ~ 1,620nm의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290nm ~ 1,330nm 파장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1필터(230)로 집속된 광신호 중, 1,460nm ~ 1,620nm 파장만이 제1필터(230)를 투과하여 제2필터(240)로 입사되며, 1,290nm ~ 1,330nm 파장은 출력광선로(212c)로 반사된다.
제2필터(240)는 1,542nm ~ 1,558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460nm ~ 1,538nm와 1,562nm ~ 1,620nm의 파장은 반사시킨다. 이에 의해, 제1필터(230)를 투과한 광신호 중, 1,542nm ~ 1,558 파장만이 제2필터(240)를 투과하여 제3필터(250)로 입사되며, 1,460nm ~ 1,538nm와 1,562nm ~ 1,620nm의 파장은 출력광선로(212b)로 반사된다.
제3필터(250)는 제1필터(230)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2필터(240)를 투과한 1,542nm ~ 1,558 파장은 제3필터(250)를 투과하여 출력광선로(222b)로 입사한다.
또한, 제2필터(240)에서 반사되어 출력광선로(212c)로 입사된 1,290nm ~ 1,330nm 파장은 다시 입력광선로(222a)로 입사되어 제3필터(250)에서 반사된 후, 출력광선로(222b)로 입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2 포트 광삽입추출기(200)를 두 개 구비하여 CWDM 방식에 의해 광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기존의 두 개의 채널 사용이 가능한 WWDM(Wide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비해 1,310nm 및 1,550nm를 제외한 7개의 파장(예를 들면, 1,470nm, 1,490nm, 1,510nm, 1,530nm, 1,570nm, 1,590nm 및 1,610nm 파장)에 대한 채널 증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 내지 상기 제4광선로로 적용된 두 개의 출력광선로(212b, 212c), 하나의 입력광선로(222a) 및 하나의 출력광선로(222b)는 1,250nm ~ 1,650nm의 파장대역 중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 광삽입추출기(미도시)로부터 입력받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도 2의 광삽입추출기(200)를 이용하여 CWDM 방식에 의해 7개의 채널을 증설하는 경우, 발생되는 삽입손실은 1,310nm 파장 및 1, 550nm 파장의 경우 대략 1dB 이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3-1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1 포트 광삽입추출기(400)는 제1광집속장치(410), 제2광집속장치(420), 제1 및 제2필터(430, 440) 및 하우징(450)을 갖는다. 또한, 후술할 입력광선로(412a, 422a)는 일점쇄선으로, 출력광선로(412b, 412c)는 이점쇄선으로, 광경로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광집속장치(410), 제2광집속장치(420) 및 하우징(450)은 도 2에 도시된 제1광집속장치(210), 제2광집속장치(220) 및 하우징(260)과 동일한 구조 및 특성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광집속장치(410)는 제1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입력광선로(412a)와 제2광선로로 적용된 두 개의 출력광선로(412b, 412c)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412) 및 제1렌즈(414)를 갖는다.
제2광집속장치(420)는 제3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출력광선로(422a)를 갖는 제2광전송부(422) 및 제2렌즈(424)를 갖는다.
제1 및 제2필터(430, 44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및 제2렌즈(414, 414)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필터(430, 440)는 제1 및 제2필터(430, 440)에 설정된 파장 또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집속된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킨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필터(430)는 소정의 입력광선로(412a) 및 제1렌즈(414)를 통해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제2필터(440)는 제1필터(430)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3-1 포트 광삽입추출기(400)의 광신호의 경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WDM 방식의 광신호 파장 영역, 즉, 1,250nm ~ 1650nm의 파장 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입력광선로(412a)를 거쳐 제1렌즈(414)로 입사된 소정의 파장대역(1,250nm ~ 1650nm)을 갖는 광신호는 제1렌즈(414)에 의해 제1필터(430)로 집속된다.
제1필터(430)는 1,460nm ~ 1,620nm의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290nm ~ 1,330nm 파장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1필터(430)로 집속된 광신호 중, 1,460nm ~ 1,620nm 파장만이 제1필터(430)를 투과하여 제2필터(440)로 입사되며, 1,290nm ~ 1,330nm 파장은 출력광선로(412c)로 반사된다.
제2필터(440)는 1,542nm ~ 1,558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460nm ~ 1,538nm와 1,562nm ~ 1,620nm의 파장은 반사시킨다. 이에 의해, 제1필터(430)를 투과한 광신호 중, 1,542nm ~ 1,558 파장만이 제2필터(440)를 투과하여 출력광선로(422a)로 입사되며, 1,460nm ~ 1,538nm와 1,562nm ~ 1,620nm의 파장은 출력광선로(412b)로 반사된다.
상술한 3-1 포트 광삽입추출기(400) 및 미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2-1포트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하여 광채널을 증가하는 경우, 제2필터(440)에서 반사되어 출력광선로(412c)로 입사된 1,290nm ~ 1,330nm 파장은 2-1 포트 광삽입추출기(미도시)의 소정의 포트(즉, 소정의 입력광선로(미도시))로 입사된다. 이러한 경우, 제2 및 제3광선로로 적용된 세 개의 출력광선로(412b, 412c, 422a)는 1,250nm ~ 1,650nm의 파장대역 중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2-1 포트 광삽입추출기(미도시)로부터 입력받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2-2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2 포트 광삽입추출기(500)는 제1광집속장치(510), 제2광집속장치(520), 제1 및 제2필터(530, 540) 및 하우징(550)을 갖는다. 또한, 후술할 입력광선로(512a, 522a)는 일점쇄선으로, 출력광선로(512b, 522b)는 이점쇄선으로, 광경로는 실선으로 도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제1광집속장치(510), 제2광집속장치(520) 및 하우징(550)은 도 2에 도시된 제1광집속장치(210), 제2광집속장치(220) 및 하우징(260)과 동일한 구조 및 특성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광집속장치(510)는 제1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입력광선로(512a)와 제2광선로로 적용된 두 개의 출력광선로(512b, 412c)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512) 및 제1렌즈(514)를 갖는다.
제2광집속장치(520)는 제3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입력광선로(522a) 및 제4광선로로 적용된 하나의 출력광선로(522b)를 갖는 제2광전송부(522) 및 제2렌즈(524)를 갖는다.
제1 및 제2필터(530, 54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및 제2렌즈(514, 524)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필터(530, 540)는 제1 및 제2필터(530, 540)에 설정된 파장 또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 집속된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킨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필터(530)는 소정의 입력광선로(512a) 및 제1렌즈(514)를 통해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제2필터(540)는 제1필터(530)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2-2 포트 광삽입추출기(500)의 광신호의 경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CWDM 방식의 광신호 파장 영역, 즉, 1,250nm ~ 1650nm의 파장 영역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입력광선로(512a)를 거쳐 제1렌즈(514)로 입사된 소정의 파장대역(1,250nm ~ 1650nm)을 갖는 광신호는 제1렌즈(514)에 의해 제1필터(530)로 집속된다.
제1필터(530) 및 제2필터(540)는 1,290nm ~ 1,330nm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460nm ~ 1,620nm의 파장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제1필터(530)로 집속된 광신호 중, 1,290nm ~ 1,330nm 파장만이 제1필터(530) 및 제2필터(540)를 투과하여 출력광선로(522b)로 입사되며, 1,460nm ~ 1,620nm 파장은 출력광선로(512b)로 반사된다.
나아가, 상술한 2-2 포트 광삽입추출기(500) 및 미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2-1포트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하여 광채널을 증가하는 경우, 출력광선로(512b)로 입사된 1,460nm ~ 1,620nm 파장은 2-1 포트 광삽입추출기(미도시)의 소정의 포트(즉, 소정의 입력광선로(미도시))로 입사된 후, 다시 제2필터(540)에서 출력광선로(522b)로 반사되어 광채널 증가에 일조한다. 이러한 경우, 제2 및 제4광선로로 적용된 두 개의 출력광선로(512b, 522b)는 1,250nm ~ 1,650nm의 파장대역 중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2-1 포트 광삽입추출기(미도시)로부터 입력받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3-2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 시스템(600)은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Lase Diode, 이하 "LD"라 한다)(1, 3 내지 6, 11, 13 내지 15),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이하 "PD"라 한다)(2, 7 내지 9, 12, 16 내지 19), 제1광삽입추출기(610), 제2광삽입추출기(620), 제1MUX/DeMUX(630), 제3광삽입추출기(640), 제4광삽입추출기(650) 및 제2MUX/DeMUX(660)를 갖는다.
제1광삽입추출기(610), 제2광삽입추출기(620), 제3광삽입추출기(640) 및 제4광삽입추출기(650)는 양방향 통신 모듈인 ADM으로서, 도 2에 도시된 3-2 포트 광삽입추출기(200)와 유사한 구조 및 특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및 제3광삽입추출기(610, 640)는 200nm의 파장영역 차이를 갖는 다수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하는 WWDM 통신방식에 적용되는 모듈이다. 또한, 제1광삽입추출기(610)는 2-1 포트(a, b, c)와 하나의 필터(612)를 가지며, 제3광삽입추출기(640)는 2-1 포트(g, h, i)와 하나의 필터(642)를 갖는다.
또한, 제2 및 제4광삽입추출기(620, 650)는 20nm의 파장영역 차이를 갖는 다수의 파장을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한다. 제2광삽입추출기(620)는 도 2에 도시된 광삽입추출기(200)와 동일하며, 3-2 포트(a, d, e, f)와 세 개의 필터(622, 624, 626)를 가지며, 제4광삽입추출기(650)는 3-2 포트(f, i, j, k)와 세 개의 필터(652, 654, 656)를 갖는다.
LD(1)는 1,550nm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제1광삽입추출기(610)의 포트(a)로 송신하며, LD(11)는 1,310nm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제3광삽입추출기(630)의 포트(g)로 송신한다.
제1MUX/DeMUX(630)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3 내지 6으로 도시된 LD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7 내지 9로 도시된 PD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4광삽입추출기(620, 650)는 CWDM 통신 방식에 적용되는 모듈이고, LD(3)는 1,470nm의 광신호를, LD(4)는 1,490nm의 광신호를, LD(5)는 1,510nm의 광신호를, LD(6)는 1,530nm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1MUX/DeMUX(630)는 3 내지 6으로 도시된 LD로부터 각 파장의 광신호를 입력광선로(e)로 송출한다. 또한, 제1MUX/DeMUX(630)는 입력광선로(e)를 통해 전송된 1,570nm, 1,590nm 및 1,610nm의 광신호를 각각 7 내지 9로 도시된 PD로 송출한다.
제2MUX/DeMUX(660)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13 내지 15로 도시된 LD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16 내지 19로 도시된 PD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4광삽입추출기(620, 650)는 CWDM 통신 방식에 적용되는 모듈이고, LD(13)는 1,570nm의 광신호를, LD(14)는 1,590nm의 광신호를, LD(15)는 1,610nm의 광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제1MUX/DeMUX(630)는 13 내지 15로 도시된 LD로부터 각 파장의 광신호를 입력광선로(j)로 송출한다. 또한, 제2MUX/DeMUX(660)는 입력광선로(k)를 통해 전송된 1,470nm, 1,490nm, 1,510nm 및 1,530nm의 광신호를 각각 16 내지 19로 도시된 PD로 송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광신호 전송 경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612)는 1,310nm 파장의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1,550nm 파장의 광신호는 반사시킨다. 이에 의해, LD(1)로부터 입력광선로(a)를 통해 제1광삽입추출기(610)로 입사된 1,55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12)에서 반사되어 제2광삽입추출기(620)의 입력광선로(c)를 거쳐 필터(622, 624, 626)를 투과한다. 그리고, 필터(626)를 투과한 1,550nm 파장의 광신호는 출력광선로(f)를 통해 필터(652, 654, 656)를 순차적으로 투과한 후, 입력광선로(i)를 거쳐 필터(642)를 투과한다. 이에 의해, 1,550nm 파장의 광신호는 출력광선로(h)를 통해 PD(12)로 수신된다.
필터(622)는 1,460nm ~ 1,620nm의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290nm ~ 1,330nm 파장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필터(624)는 1,542nm ~ 1,558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460nm ~ 1,538nm와 1,562nm ~ 1,620nm의 파장은 반사시킨다. 제3필터(626)는 제1필터(624)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이에 의해, 필터(622)로 집속된 1,55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22), 필터(624) 및 필터(626)을 투과하여 출력광선로(f)로 반사된다.
또한, 제1MUX/DeMUX(630)로부터 송출된 1,470nm, 1,490nm, 1,510nm 및 1,530nm 파장의 광신호는 입력광선로(e)를 통해 필터(626)를 투과하여 필터(624)로 집속된다. 그리고, 필터(624)로 집속된 1,470nm, 1,490nm, 1,510nm, 및 1,53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24)에서 반사되어 출력광선로(f)를 거쳐 제4광삽입추출기(650)의 필터(652)로 입사된다.
필터(652)는 1,460nm ~ 1,620nm의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290nm ~ 1,330nm 파장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필터(654)는 1,542nm ~ 1,558 파장은 투과시키며, 그 외의 파장 즉, 1,460nm ~ 1,538nm와 1,562nm ~ 1,620nm의 파장은 반사시킨다. 제3필터(656) 제1필터(652)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필터(652)로 입사된 1,470nm, 1,490nm, 1,510nm, 1,530nm 및 1,57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52)를 투과한 후 필터(654)에서 반사되어 출력광선로(k)를 통해 제2MUX/DeMUX(660)로 입사된다. 1,470nm, 1,490nm, 1,510nm 및 1,530nm 파장의 광신호 각각은 16 내지 19로 도시된 PD로 입사된다.
또한, 13 내지 15로 도시된 LD로부터 송출된 1,570nm, 1,590nm 및 1,610nm 파장의 광신호는 제2MUX/DeMUX(660)에 의해 출력광선로(k)를 거쳐 필터(652)로 입사한다. 그리고, 1,570nm, 1,590nm 및 1,61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52)를 투과한 후, 필터(654)에서 반사되어 출력광선로(f)를 거쳐 필터(626)으로 입사된다.
필터(626)으로 입사한 1,570nm, 1,590nm 및 1,61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24)에서 반사되어 제1MUX/DeMUX(630)로 입사되며, 제1MUX/DeMUX(630)에 의해 각각 7 내지 9로 도시된 PD로 입사된다.
한편, 필터(642)는 1,310nm 파장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며 1,550nm 파장의 광신호는 투과시킨다. 이에 의해, LD(11)로부터 입력광선로(g)를 통해 제3광삽입추출기(640)로 입사된 1,310nm의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42)에서 반사되어 제4광삽입추출기(650)의 입력광선로(i)를 거쳐 필터(656)로 입사된다.
필터(656)로 집속된 1,310nm 파장의 광신호는 필터(656)에서 반사되어 출력광선로(j)를 거쳐 필터(652)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반사된 1,310nm 파장의 광신호는 출력광선로(f)를 거쳐 필터(626)에서 반사된 후, 출력광선로(d)를 거쳐 필터(622)에서 반사되며, 반사된 후 출력광선로(c)를 거쳐 필터(612)를 투과한다. 필터(612)를 투과한 1,310nm 파장의 광신호는 출력광선로(b)를 거쳐 PD(2)로 입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3-2 포트의 광삽입추출기(620, 650)를 이용하여 광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에 비해 적은 개수의 광삽입추출기로도 많은 파장 즉, 많은 채널의 광신호를 증설할 수 있다. 또한, 광삽입추출기의 개수가 줄어듬에 따라 콜리메이터(즉,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광집속장치(210, 220, 410, 420, 510, 520)의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삽입손실 또한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3-2 포트의 광삽입추출기(200), 3-1 포트의 광삽입추출기(400) 및 2-2 포트의 광삽입추출기(500)뿐만 아니라 3-3 포트의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하여 광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포트 개수는 그 수에 제한받지 않고, 3-3 포트 이상의 포트를 갖는 광삽입추출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만, 3-3 포트 광삽입추출기(미도시)의 경우, 3-2 포트의 광삽입추출기(200)와 상이한 것은 적어도 네 개의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각 필터(미도시)에서 투과 및 반사되는 파장 영역 및 광신호 경로가 다르다는 것에 있다.
또한, 상술한 광삽입추출기는 다중 입출력광전송로를 가지며, 상이한 파장 특성을 갖는 적어도 두 개 또는 적어도 세 개의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채널수 증가에 일조하며, CWDM 방식 또는 WWDM 방식의 광통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과 같은 그 외의 광통신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하는 광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ADM 내에 구비되는 필터의 파장 특성을 조절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ADM만으로도 다채널의 광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1,310nm의 파장뿐만 아니라, 1,470nm, 1,490nm, 1,510nm, 1,530nm, 1,550nm, 1,570nm, 1,590nm 및 1,610nm의 파장에 채널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최소 개수의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함으로써 삽입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다채널을 증설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신호를 주고 받는 광통신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3-2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마련된 제1피그테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3-1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2-2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3-2 포트 광삽입추출기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8)

  1.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와 제4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및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 입사된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투과 및/또는 반사시키는 적어도 세 개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세 개의 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2.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와 제4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필터를 투과한 상기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3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3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상기 제2광선로는 두 개의 출력광선로, 상기 제3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및 상기 제4광선로는 하나의 출력광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상기 제4광선로는 1,250nm ~ 1,650nm의 파장대역 중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3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3파장영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1파장영역은 상기 제2필터에 기설정된 상기 제2파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파장영역은 1,450nm 내지 1,630nm 파장영역이며, 상기 제2파장영역은 1,542nm 내지 1,558nm 파장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는,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선로와 출력광선로가 배치된 페럴(Ferrul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선로와 출력광선로를 상기 페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달소자 각각은 상호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의 일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집속장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의 타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집속장치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의 일단면은 상기 제1 및 제2광전송부의 타단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0.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상기 제2광선로는 두 개의 출력광선로, 상기 제3광선로는 하나의 출력광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상기 제3광선로는 1,250nm ~ 1,650nm의 파장대역 중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장영역은 1,450nm 내지 1,630nm 파장영역이며, 상기 제2파장영역은 1,542nm 내지 1,558nm 파장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4.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광선로와 제2광선로를 가지는 제1광전송부 및 제1렌즈를 갖는 제1광집속장치;
    상기 광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광선로 및 제4광선로를 가지는 제2광전송부 및 제2렌즈를 갖는 제2광집속장치;
    광송신부로부터 상기 제1광선로로 입사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1파장영역 내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1필터; 및
    상기 제1필터를 투과한 광신호 중, 기설정된 제2파장영역에 대응하는 광신호는 투과시키며 그 외의 광신호는 반사시키는 제2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필터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렌즈 사이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렌즈는 입력받은 상기 광신호를 직선광으로 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3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 상기 제2 및 상기 제4광선로는 하나의 입력광선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상기 제4광선로는 1,250nm ~ 1,650nm의 파장대역 중 소정의 파장대역을 갖는 광신호를 외부로부터 입력받아 전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2파장영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장영역 및 상기 제2파장영역은 1,290nm 내지 1,330nm 파장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삽입추출기.
KR10-2002-0083686A 2002-12-24 2002-12-24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KR10053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686A KR100539313B1 (ko) 2002-12-24 2002-12-24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686A KR100539313B1 (ko) 2002-12-24 2002-12-24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945A KR20040056945A (ko) 2004-07-01
KR100539313B1 true KR100539313B1 (ko) 2005-12-28

Family

ID=3734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686A KR100539313B1 (ko) 2002-12-24 2002-12-24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9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57B1 (ko) * 2005-08-10 2007-08-01 에스인포텍(주) 고 아이솔레이션 값을 갖는 광삽입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945A (ko)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0075B2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US6498876B1 (en) Multi-port fiber optic device with v-groove ferrule
US7198416B2 (en) Optical combiner device
US4904043A (en) Optical data link dual wavelength coupler
US5799120A (en) Waveguide type wavelength multiplexing/demultiplexing module
JP5714229B2 (ja) 二重レンズの単一光受信器アセンブリ
US6084994A (en) Tunable, low back-reflectio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WO2019152612A1 (en) Multi-channel optical coupler
US11474299B2 (en)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devices with modified angles of incidence
US20130287407A1 (en) Hybrid Multichannel or WDM Integrated Transceiver
JP2017181554A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の調心方法
US6860644B2 (en) Dual fiber collimator assembly pointing control
US10469923B2 (en) Routing band-pass filter for routing optical signals between multiple optical channel sets
US10795170B2 (en) Multi-channel optical multiplexer or demultiplexer
KR100541090B1 (ko) 광감쇠기 일체형 파장분할다중화장치
US7031610B2 (en) Diffraction-compensated integrated WDM
US6839485B2 (en) Optical device for compensation of multiple wavelengths and working distances in dual-fiber collimators
US7010190B2 (en) Silicon optic base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evice
KR100539313B1 (ko) 다중 입출력광전송로 및 다수의 필터를 갖는 광삽입추출기
KR101908325B1 (ko) 양방향 센싱 통신을 위한 광 송수신기 및 광 송수신기 제작방법
US9188745B2 (en) Multi-channel, multi-port optical tap coupler
JP2009093131A (ja) アレイ型タップフォト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06728B1 (en) Add/drop module using two full-ball lenses
US6894846B1 (en) Optical add/drop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426875B1 (ko) 광접속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집속장치 및광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