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804B1 -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804B1
KR100538804B1 KR10-2003-0079002A KR20030079002A KR100538804B1 KR 100538804 B1 KR100538804 B1 KR 100538804B1 KR 20030079002 A KR20030079002 A KR 20030079002A KR 100538804 B1 KR100538804 B1 KR 100538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message
wireless
information
wirel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059A (ko
Inventor
이병복
노광현
김응배
남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79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8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원격지 디바이스와 목적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원격지 디바이스는 목적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는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목적지 디바이스로 송출한다. 이때, 방송 메시지는 원격지 디바이스의 아이피 주소와 같은 사용자 정보와 이동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면, 목적지 디바이스는 송출한 방송 메시지를 분석하며, 분석한 방송 메시지가 목적지 디바이스를 겨냥해서 송출한 것이면, 목적지 디바이스가 제어권 이내에 진입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어권 이내에 목적지 디바이스가 진입했으면, 분석한 방송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목적지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저전력형 저가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어의 보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DEVICE OF WIRELESS CONTROL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제어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d-hoc 네트워크는 기지국과 같은 기반 망 장치의 도움 없이 노드들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임시적인 네트워크이다. Ad-hoc 노드들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전송 거리상의 제약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원거리 Ad-hoc 노드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중간에 위치한 노드들을 경유하는 멀티-홉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Ad-hoc 노드들은 기본적인 호스트 기능 외에 라우팅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Ad-hoc 네트워크는 다른 기존의 망과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Ad-hoc 노드가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유선 인터넷으로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IG(Internet Gateway)가 Ad-hoc 네트워크 내에 존재해야 한다.
이러한 Ad-hoc 네트워크의 특징을 갖는 무선 제어 네트워크(Wireless Control Network)는 이동 Ad-hoc 노드, 즉 이동 디바이스(Device)들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로서, 기지국과 같은 다른 기반의 네트워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무선 제어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이동 디바이스들간에 피어-투-피어(Peer-to-Peer)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의 무선 제어 네트워크는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성으로 인해, 망 토폴로지(Topology)가 변화하여 무선 제어 네트워크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기는 하나, 복잡한 유선을 간단한 무선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무선제어 네트워크 개발과 관련한 기술로는, 김녹원 외 5명이 저자인 [제목 : 론 토크 프로토콜 기반의 새로운 제어 네트워크 노드 구조, 게재지 : JCCI2002, 발표년도 : 2002년]의 논문이 있는데, 이는 고성능을 요구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경우, 저가의 저전력형 소형 뉴런칩을 사용하면 성능 제약성의 문제를 가지는데, 이러한 제약성 문제를 고성능의 메인보드를 사용하여 해결한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은 성능 위주의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 관점이지만,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는 그 성능 보다 저전력형 저가의 소형화 및 제어의 보장성이 중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저전력형 저가의 소형화 및 제어의 보장성이 이루어지는 디바이스 의 제어 장치 및 그 방안이 현실적으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뉴론 칩과 유사한 PHY/MAC/응용 프로세서의 구성을 통해 저전력형 저가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어의 보장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홈 제어 네트워크에서부터 이동 Ad-hoc 제어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 반경을 이루는 제어권 이내에 진입한 목적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원격지 디바이스; 및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에서 송출한 방송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를 겨냥하여 송출한 방송 메시지이면, 상기 제어권 이내에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방송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목적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와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원격지 디바이스가 일정 반경을 이루는 제어권 이내에 진입한 목적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b)상기 송출한 방송 메시지를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분석하는 단계; c)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한 방송 메시지가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를 겨냥한 것이면,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권 이내에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가 진입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상기 제어권 이내에 목적지 디바이스가 진입했으면,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는 상기 분석한 방송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상기 원격지 디바이스가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이루는 제어권 이내에 진입한 목적지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송출하는 기능; b)상기 송출한 방송 메시지를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분석하는 기능; c)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한 방송 메시지가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를 겨냥한 것이면,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권 이내에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가 진입했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및d)상기 제어권 이내에 목적지 디바이스가 진입했으면,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는 상기 분석한 방송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A)는 그 역할에 따라 원격지 디바이스(100)와 목적지 디바이스(101) 및 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 102)를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원격지 디바이스(100)는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는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며, 목적지 디바이스(101)는 원격지 디바이스(100)로부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 102)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유무선 디바이스로서, 목적지 및 원격지 디바이스(100, 101)가 인터넷 망(103)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망(103)으로의 관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100, 101)는 무선 인터페이스(104)를 통해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무선 제어 네트워크와 인터넷 망(103)간의 연동은 이더넷 인터페이스(105)를 이용한다. 즉, 사용자는 인터넷 망(103)을 통하여 무선 제어 네트워크의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100, 101)를 원격 제어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A)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100, 101)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나, 그 역할에 따라 구성부 내의 기능은 상호 다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무선 디바이스(100, 101)는 유비쿼터스 칩(Ubiquitous Chip, 110)과 동작기(Actuator, 120) 및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를 포함하며, 유비쿼터스 칩(110)은 응용 프로세서(111)와 MAC 프로세서(112) 및 PHY 프로세서(113)를 포함한다. 이때, MAC 프로세서(112)와 PHY 프로세서(113)는 내부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무선 디바이스 중, 먼저 방송 메시지를 송신하는 원격지 디바이스(100) 관점에서의 각 기능부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는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동작기(120)는 외부의 데이터 입력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키보드 등)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사용자 신호 등을 수신한다. 즉, 원격지 디바이스(100) 사용자가 선택하는 일종의 기준값 등을 수신한다.
응용 프로세서(111)는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정보에 따라,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이동 거리를 계산한 후, 동작기(120)를 통해 입력된 이동 거리 기준값을 초과하면 목적지 디바이스(101)를 제어할 수 있는 방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목적지 디바이스로 송출되도록 한다.
이때, 방송 메시지는 원격지 디바이스(100)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아이피 주소 또는 임의적인 논리 주소 등)와 위치 정보 및 동작 정보(예를 들어, 목적지 디바이스명과 동작 제어 정보 등)를 포함한다.
그리고, MAC 프로세서(112)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Physical Layer Protocol)에 따라 미디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를 수행한다.
PHY 프로세서(113)는 목적지 디바이스(101)와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데, 생성한 방송 메시지를 목적지 디바이스(101)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목적지 디바이스(101) 관점에서의 각 기능부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는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는 유비쿼터스 칩(110)과 시리얼 통신 포트(131)를 통해 연결되어 관련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동작기(120)는 외부의 동작 제어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LED 등)와 연결되어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 결과를 외부의 제어 결과 표시 장치(미도시)로 송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동작기(120)는 유비쿼터스 칩(110)과 입출력 포트(121)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응용 프로세서(111)는 PHY 프로세서(113) 및 MAC 프로세서(112)를 통해 원격지 디바이스(100)로부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분석한 방송 메시지가 목적지 디바이스(101)를 겨냥하여 송출한 방송 메시지이면, 목적지 디바이스(101)는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원격지 디바이스(100)와 목적지 디바이스(101)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즉, 원격지 디바이스(100)와 목적지 디바이스(101)간의 거리차가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값(예를 들어, 반경 1M 등) 이내인 경우,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수신한 방송 메시지에 따라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사용자가 설정한 원격 디바이스(100)와의 제어권 거리값(예를 들어, 반경 1M 등) 이내에 원격지 디바이스(100)가 위치하게 될 경우,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원격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메시지의 제어 내용에 따라 목적지 디바이스(101)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 제어 결과는 동작기(120)와 연결되는 제어 결과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A)는 뉴론 칩 형태의 유비쿼터스 칩 구성을 통해 저전력형 저가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어의 보장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을 무선으로 대체하고, 유비쿼터스 홈 제어 네트워크에서부터 이동 Ad-hoc 제어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응용할 수 있다.
참고로, 뉴론 칩이란 일반 가정, 산업 분야, 건물 및 교통 응용 분야 등에서 기기들을 네크워크화 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로서, 이는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모터, 스위치, 밸브, 보안 시스템, 전등 스위치, 냉온방 시스템 등과 같은 광범위한 제품을 연결할 수 있는 개방형 컨트롤 표준을 제공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통해 알아본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의 동작 과정 중,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는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에 앞서, 먼저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최근(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1 변수, 예를 들어 pst_{xAxis, yAxis, zAxis}를 모두 0으로 초기화(S310)하며, 새로 이동할 위치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2 변수, 예를 들어 new_{xAxis, yAxis, zAxis}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S320).
이후,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동작기(120)와 연결되는 외부의 데이터 입력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키보드 등)로부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수신(S330)되면, 응용 프로세서(111)는 수신한 사용자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이동 반경(c)을 설정한다(S340).
즉,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설정한 제어권 거리값(d) 이내에 위치한 원격지 디바이스(100)로부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처럼, 제어권 거리값(d)은 목적지 디바이스(101)에서 설정되는 것으로써,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선택 신호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사전에 설정되어 목적지 디바이스(101)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후, 원격지 디바이스(100)가 위치 이동을 하여 앞서 설정한 이동 반경(c)을 초과(S350)하면,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원격지 디바이스(100) 사용자 정보와 위치 정보 및 동작 정보(예를 들어, 목적지 디바이스명과 동작 제어 정보 등)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접한 디바이스 또는 목적지 디바이스(101)로 송출한다(S360).
이때, MAC 프로세서(112)와 PHY 프로세서(113)를 통해 해당 디바이스로 방송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후,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PHY 프로세서(113)는 송출한 방송 메시지에 대한 결과 메시지(-디바이스별 동작 제어 결과에 대한 결과 메시지-)를 목적지 디바이스(101)로부터 수신(S370)하며, MAC 프로세서(112)는 수신한 결과 메시지를 응용 프로세서(111)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목적지 디바이스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통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목적지 디바이스의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실내 위치 인식 센서(130)는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원격지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에 앞서, 먼저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최근(현재) 위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1 변수, 예를 들어 pst_{xAxis, yAxis, zAxis}를 모두 0으로 초기화(S410)하며, 새로 이동할 위치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2 변수, 예를 들어 new_{xAxis, yAxis, zAxis}를 모두 0으로 초기화한다(S420).
이후,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기(120)와 연결되는 외부의 데이터 입력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키보드 등)로부터 사용자 선택 신호를 수신(S430)한 후, 응용 프로세서(111)는 수신한 사용자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권 거리값(d)을 설정한다(S440).
즉,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설정한 제어권 거리값(d) 이내에 위치한 원격지 디바이스(100)로부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이후, 인접한 디바이스 또는 목적지 디바이스(101)는 원격지 디바이스(100)로부터 방송 메시지를 수신한다(S450). 이때, 목적지 디바이스(101)는 방송 메시지 내에 있는 동작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을 통해 원격지 디바이스(100)가 송출한 방송 메시지가 여러 무선 디바이스들 중 자신(101)을 겨냥하여 송출한 메시지임을 알아낸다.
이후,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원격지 디바이스(100)와의 거리를 계산(S460)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권 거리값(d)에 진입(S470)했으면, 방송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기(120)를 제어한다(S480).
그리고, 응용 프로세서(111)는 상기한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동작 제어 결과를 원격지 디바이스(100)로 보고(S490)한 후, 다음 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수행한다.
즉,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응용 프로세서(111)는 동작기(120)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 결과 표시 장치(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 디바이스(101)의 상태가 변화되었거나, 또는 원격지 디바이스(100)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밖으로 벗어났음을 알린다.
예를 들어, 원격지 디바이스(100)가 리모콘이고, 목적지 디바이스(101)가 조명등인 경우, 리모콘에서 송출하는 방송 메시지에 따라 조명등이 소등 또는 점등된다. 그리고, 원격지 디바이스(100)가 미아 방지용 목걸이이고, 목적지 디바이스(101)가 LED가 구비된 리모콘일 경우, 미아 방지용 목걸이를 착용한 어린이가 위치를 이동을 하면 방송 메시지를 송출하게 되고, 이를 감지하여 리모콘의 LED는 적색 또는 검은색으로 발광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방법은 뉴론 칩과 유사한 PHY/MAC/응용 프로세서의 구성을 통해 무선 매체를 전력선, 적외선 등과 같은 다른 통신 매체로의 대체가 가능하며, 유선을 무선으로 대체하고 유비쿼터스 홈 제어 네트워크에서부터 이동 Ad-hoc 제어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이르는 각종 네트워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그 방법은 유선을 무선으로 대체하고, 유비쿼터스 홈 제어 네트워크에서부터 이동 Ad-hoc 제어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이르는 각종 네트워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뉴론 칩과 유사한 PHY/MAC/응용 프로세서의 구성을 통해 저전력형 저가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어의 보장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격지 및 목적지 디바이스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원격지 디바이스의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목적지 디바이스의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3)

  1. 목적지 디바이스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실내 위치 인식 센서;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된 이동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유비쿼터스 칩;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하는 PHY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Y 프로세서는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방송하는 무선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IP 주소인 무선 디바이스.
  4. 원격지 디바이스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의 대상인 동작기;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실내 위치 인식 센서;
    이동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한 원격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PHY 프로세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상기 동작기를 제어하는 유비쿼터스 칩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비쿼터스 칩은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동작기를 제어하는 무선 디바이스.
  6. 목적지 디바이스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b)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계산된 이동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거리가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일정 반경을 이루는 제어권 이내의 목적지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제어 대상이 되는 목적지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방송 메시지에 더 포함하여 방송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원격지 디바이스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외부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b) 이동 거리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한 원격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동작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지 디바이스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3-0079002A 2003-11-10 2003-11-10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053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02A KR100538804B1 (ko) 2003-11-10 2003-11-10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002A KR100538804B1 (ko) 2003-11-10 2003-11-10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59A KR20050045059A (ko) 2005-05-17
KR100538804B1 true KR100538804B1 (ko) 2005-12-23

Family

ID=3724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002A KR100538804B1 (ko) 2003-11-10 2003-11-10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2307B (zh) * 2011-11-07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通过分层数据通信协议实现电源管理的方法
US10412570B2 (en) * 2016-02-29 2019-09-10 Google Llc Broadcasting device st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781A (ja) * 1999-11-18 2001-05-25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3218785A (ja) * 2002-01-22 2003-07-31 Sony Corp 無線通信装置、通信相手探索方法、および通信相手探索プログラム
JP2003218733A (ja) * 2002-01-28 2003-07-31 Alps Electric Co Ltd 短距離無線伝送装置
KR20050004912A (ko) * 2002-06-07 2005-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4781A (ja) * 1999-11-18 2001-05-25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3218785A (ja) * 2002-01-22 2003-07-31 Sony Corp 無線通信装置、通信相手探索方法、および通信相手探索プログラム
JP2003218733A (ja) * 2002-01-28 2003-07-31 Alps Electric Co Ltd 短距離無線伝送装置
KR20050004912A (ko) * 2002-06-07 2005-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59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0074A1 (en) Mesh network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dividual mesh networks
US9338071B2 (en) Locale profile for a fabric network
Aju A survey of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Topology, applications and challenges
JP3707403B2 (ja) 無線lanシステムと基地局及び端末並びに自律的基地局選択方法
Narmada et al. Zigbee based WSN with IP connectivity
US201003102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Signals in Communication Networks
CN203896554U (zh) 室内照明控制系统和室内智能控制系统
KR20050007810A (ko) 이종 단말들의 애드-혹 망을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60189343A1 (en) Method for forming power-efficient network
CN103987173A (zh) 室内照明控制系统和室内智能控制系统
Yang et al. Principle of wireless sensor networks
Labib et al. Networking solutions for connecting bluetooth low energy devices-a comparison
KR100538804B1 (ko) 무선 제어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Ba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 multi-interface gateway for establishing a digital art interactive system
Jeong et al. Remote service discovery and binding architecture for soft real-time QoS in indoor location-based service
Padma et al. End-to-end communication protocol in IoT-enabled ZigBee network: Investig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Shuker Improvement of routing protocol for IoT network using SDN/OpenFlow
CN102694716A (zh) IPv6微型传感路由器体系结构
Aslan et al. Comparison of IoT Protocols with OSI and TCP/IP Architecture
Ayad et al. Locally selectable protocol for sparse, highly-volatile, robotic wireless video sensor networks
Luo A ZigBee and Sip-Based Smart Hom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Said et al. Simulating Associated Routing Protocol for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KR20090102277A (ko) 무선통신을 이용해 지그비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JP2004349779A (ja) 無線lanの高速ローミング処理手段を備えた無線端末装置
KR100668286B1 (ko) 무선 센서망을 액세스하는 지능형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