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794B1 - 활주형 중심컨덕터가 장착된 공축형 스위치잭 - Google Patents

활주형 중심컨덕터가 장착된 공축형 스위치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794B1
KR100538794B1 KR10-1999-7009004A KR19997009004A KR100538794B1 KR 100538794 B1 KR100538794 B1 KR 100538794B1 KR 19997009004 A KR19997009004 A KR 19997009004A KR 100538794 B1 KR100538794 B1 KR 10053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jack
sleeve
coaxia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927A (ko
Inventor
핀케토마스알.
슈미트존디.
사자디아흐마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0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Abstract

스위치형 공축잭모듈은 하우징에 포함된 2개의 중심컨덕터를 포함한다. 중심컨덕터는 접속위치와 단속위치 사이에서 서로 축방향 상대이동하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한다. 접속위치에서, 전방부는 후방부에 전기접속된다. 단속위치에서, 전방부는 후방부와 전기단속된다. 스위치 메카니즘은 양측 전방부가 단속위치에 있을 때 후방부를 전기접속시키고 또한 전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접속위치에 있을 때 후방부를 전기단속시키기 위해 내부에 구비된다.

Description

활주형 중심컨덕터가 장착된 공축형 스위치잭 {COAXIAL SWITCHING JACK WITH SLIDING CENTER CONDUCTOR}
본 발명은 공축잭에 관계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주파수 트랜스미션속도 응용에 적합한 스위치형 공축잭에 관계한다.
스위치형 공축잭은 공지되어있다. 한가지 예로서 Burroughs의 미국특허 제4,749,968호 및 제5,467,062호를 들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Seiceanu의 미국특허 제5,246,378호가 있다.
공지의 스위치형 공축잭은 접지형 전도성하우징 속에 나란히 배치된 형태의 일반적으로 2개의 딱딱한 중심컨덕터를 포함한다. 스위치조립체가 이 2개의 중심컨덕터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치조립체는 제1 중심컨덕터에 편향된 제1말단 및 역시 제2 중심컨덕터에 편향된 제2말단을 가진 V형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결과, 중심컨덕터는 상기 중심컨덕터 중 하나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를 스위치조립체를 통과해 다른쪽 중심컨덕터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정상신호흐름의 소통상태가 된다.
이러한 스위치형 공축잭은 통상 통신이나 영상전송산업 등에 사용된다. 하우징의 후방말단에는 공축케이블에 반영구적 혹은 영구적 접속하는 커넥터가 설치된다. 중심컨덕터의 전방말단에는 또한 예정치수의 플러그를 수용할 잭포트가 구비된다. 정상적으로, 이러한 스위치형 잭은 포트에 플러그 삽입없이 조작된다. 따라서, 후방커넥터 중 하나로부터 중심컨덕터로 들어가는 신호는 스위치 조립체를 통과하여 다른쪽 후방 공축커넥터를 지나 잭장치 밖으로 전달된다.
때때로 잭을 접근시켜 신호를 탭오프(tap off)하거나 새로운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달성하려면, 공축케이블에 부착된 잭플러그를 전방포트 중 하나속으로 삽입한다. 전방포트 속으로 잭플러그를 삽입할 때, 잭플러그는 V형 스프링에 맞물림결합시켜 플러그가 삽입된 포트와 연결된 중심컨덕터로부터 분리가능하게 한다.
중심컨덕터로부터 V형 스프링을 분리함으로써, 중심컨덕터는 다른쪽 중심컨덕터와 떨어지며 이에따라 신호가 중심컨덕터 길이전체를 따라 직접 통과하여 포트밖으로 나가게된다. 또한, 잭의 중심컨덕터 2개 사이의 접속이 끊어지는 것 이외에도, 플러그삽입시 다른쪽 중심컨덕터가 저항을 거쳐 그라운드에 전기접속하며 그결과 시스템의 적절한 전기임피던스가 유지된다.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 전방커넥터에서 후방커넥터로의 정상신호흐름이 V형 스프링을 관통하게된다. 중심컨덕터의 길이 대부분은 그라운드나 기타 다른 접속원에 대한 연결없이 V형 스프링 아래로 연장한다. 과거에, 중심컨덕터의 이 길이는 통신산업에서 아무런 혹은 거의 문제가 되지않았다. 그러나 점차 고전송주파수를 사용하면서, 이 길이는 신호의 왜곡을 가져오거나 혹은 신호완전성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다.
공지의 스위치형 공축잭에 관련된 또다른 문제점은 스위치조립체에 먼지나 기타 오염물이 붙는 것이다. 잭에는 전방포트를 통과하여 잭의 스위치조립체속으로 들어가는 자유공기흐름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형 공축잭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잭속에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개선된 임피던스 매칭의 신형 잭플러그의 개략측면도.
도 4는 개선된 플러그의 또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잭속에 삽입된 개선된 플러그의 3번째 구현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의 한 구현형태에 따르면, 스위치형 공축잭장치는 평행배열된 제1 및 2 공축형 중심컨덕터를 갖춘 하우징을 가진 것으로 소개된다. 중심컨덕터는 하우징의 전방벽내의 포트를 통과하여 노출된 전방말단을 갖추었으며 이것이 플러그의 중심핀을 수용한다. 중심컨덕터의 후방말단은 이 후방말단을 외부컨덕터에 커플링연결할 공축커넥터와 연결되었다. 각 중심컨덕터는 후방부와 전방부를 포함한다. 전방부는 전방부의 내부속에 활저형으로 고정되어 접속위치와 단속위치 사이를 축방향으로 활주한다. 접속위치일 때, 전방부는 후방부와 전기접속한다. 단속위치일 때, 전방부는 후방부와 전기단속된다. 스위치 메카니즘은 후방부 사이에 있는 하우징 속에 구비되며 양측 전방부가 단속위치일 때 후방부를 전기접속시킨다. 스위치 메카니즘은 전방부 중 하나이상이 접속위치에 있을 경우 후방부를 전기단속시킨다.
스위치형 공축잭모듈(10)은 측벽(14), 전방벽(16) 및 후방벽(18)을 포함한 전기전도성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이 벽(12),(14),(16),(18)은 하벽(20) 및 커버(도면에 없음)와 함께 하우징내부(22)를 형성한다.
중간벽(24)은 측벽(14) 사이의 내부(22)속으로 연장된다. 이 벽(24)은 전방벽(16)과 후방벽(18)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내부(22)를 후방챔버(22a) 및 전방챔버(22b)로 분할한다.
하우징은 제1 및 2 공축형 중심컨덕터(30),(30')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전방말단(32),(32')에서 후방말단(34),(34')쪽으로 연장된다. 중심컨덕터(30), (30')는 내부(22)에서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고정된다.
전방벽(16)은 2개의 포트(36),(36')을 포함하며 슬리브(102)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핀(104)를 갖춘 통신플러그(100)(도 2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됨)를 수용한다. 포트(36),(36')는 삽입된 플러그(100)의 중심핀(104)에 대해 위치하고 이것은 중심컨덕터(30),(30')의 개방된 전방말단(32),(32')과 전기커플링결합된다. 접지클립(38)는 전방챔버(26b)속에 구비되어 각 포트(36),(36')속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부슬리이브(102)와 활주형의 연결되며 따라서 전기접지부에 외부슬리이브(102)를 접속시킨다. 하우징(12)의 내부면은 중심컨덕터(30),(30')를 에워싸며 전기전도성 중심컨덕터(30),(30') 주변에 접지차폐물을 제공한다.
중심컨덕터(30),(30') 각각은 후방부(30a),(30a')와 전방부(30b),(30b')를 포함한다. 전방부(30b),(30b')는 내부(22)에 평행하고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전방벽(16)은 슬리이브(102)로 에워싼 중심핀(104)을 가진 통신플러그(100)(도 2에서만 개략적으로 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포트(36),(36')를 포함한다. 포트(36),(36')는 중심컨덕터(30),(30')의 개방된 전방말단(32),(32')과 전기커플링 결합된 삽입플러그(100)의 중심핀(104)을 위한 위치에 있다. 접지클립(38)은 각 포트(36),(36') 속에 삽입된 플러그의 외부슬리이브(102)과 활주형으로 연결되게 전방챔버(26b) 속에 구비되며 이에의해 외부슬리이브(102)가 전기접지부에 연결된다. 중심컨덕터(30),(30')를 둘러싼 하우징(12)의 내부면은 전기전도성 중심컨덕터(30),(30')를 주변에 접지차폐부를 제공한다.
중심컨덕터(30),(30') 각각은 후방부(30a), (30a') 및 전방부(30b),(30b')를 포함한다. 전방부(30b),(30b')는 내부(22)속에 활주형으로 고정되어 접속위치 및 단속위치 사이를 후방부(30a),(30a')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도 1에서, 전방부(30b),(30b') 양측은 후방부(30a),(30a')에서 이격된 단속위치에 도시된다. 접속위치(도 2에서 전방부(30b)에 관하여만 도시)에서, 전방부(30b),(30b')는 후방부(30a),(30a') 방향으로 활주이동하여 후방부(30a),(30a')와 전기접속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부(30a),(30a')는 후방챔버(22b) 속에 완전포함된다. 전방부(30b),(30b')는 후방챔버(22a) 속으로 연장될 후방 접속말단(31),(31')에 의해 전방챔버(22b)속에 설치된다.
전방부(30b),(30b')는 내부벽(24)을 관통하고 유전지지체(40),(40')의 실링처리로 내부벽속에 활주형태로 지지된다. 후방부(30a),(30a')는 유전지지체(42),(42')에 의해 챔버(22a)속에서 지지된다.
유전지지체(40),(40')는 전방부(30b),(30b')를 활주형으로 수용하는 중심허브(44),(44')를 구비하고 고정형 후방부(30a),(30a')에 대해 전방부(30b),(30b')를 활주형 및 공축배열상태로 유지한다. 지지체(40),(40')는 고정위치로 지지체(40),(40')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벽(14),(24)에 대해 쉽게 수용되는 원추형벽(46),(46')을 포함한다. 원추형벽(46),(46')은 중심컨덕터(30),(30')의 축에 직각인 폐쇄된 방사면으로 나타나며 전방챔버(22b)에서 후방챔버(22a)로 먼지가 이동하는 것으로 방해한다. 또한 지지체(42),(42')는 하우징의 외부에서 후방챔버(22a)속으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제한한다. 이결과, 후방챔버(22a)는 하우징(12)의 외부에서 후방챔버(22a) 속으로 먼지가 이동하지않도록 시일처리된다.
먼지흐름 방지효과 이외에도, 원추형벽(46),(46')은 지지체(40),(40')가 중심컨덕터(30),(30')의 축에 수직하여 유전재질의 면적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신호반사 편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직면이 없으면 중심컨덕터(30),(30')에 들어간 신호의 불필요한 반사편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 후방부(30a),(30a')는 후방부(30a),(30a')의 전방접속말단(52),(52') 상에서 축방향연장하는 유전스프링 지지핀(50),(50')을 포함한다. 핀(50),(50')은 중심컨덕터 전방부(30b),(30b')의 후방접속부(31),(31') 속으로 연장된다.
제1 및 2 스프링(54),(54')는 각각의 핀(50),(50')에 수용되고 또한 전방부(30b),(30b')의 내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스프링(54),(54')는 전방부(30b),(30b')를 도면에 도시된 접속위치에서 단속위치로 강제이동시킨다.
후방접속부(31),(31')는 내부원통면을 포함한다. 전방접속말단(52),(52')의 외부면에는 말단(31),(31')의 내부직경보다 더 큰 직경부분이 있는 직경확대면적(52),(52')을 가진 캔틸레버탭(56),(56')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방부(30b),(30b')는 접속위치까지 이동할 때 말단(31),(31')은 말단(52),(52') 위를 활주하고 또한 전기접촉 및 기계접촉 상태로 탭(56)과 맞물림결합한다. 탭(56),(56')은 핀(50),(50')과 이격되어 탭(56),(56')이 방사형으로 내부편향할 수 있게 해준다. 후방접속말단(31),(31')은 또한 후속설명에 따른 단열캠(60),(60')을 수용한다.
스위치메카니즘(62)은 후방챔버(22a)속에 구비된다. 스위치메카니즘(62)은 유전지지블럭(66) 내에 지지된 주스프링(64)을 포함한다. 주스프링(64)은 제1말단(65)과 제2말단(65')을 갖추었다. 제1말단(65)은 편향하여 후방부(30a)와 전기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제2말단(65')은 편향하여 말단후방부(30a')와 전기접촉한다.
스위치메카니즘(62)는 추가로 지지블럭(66)속에 지지되고 또한 레지스터(도면에 없음)를 거쳐 접속 및 접지하는 종단스프링(68)을 포함한다. 종단스프링(68)은 제1 스프링아암(69)과 제2 스프링아암(69')을 포함한다. 스프링아암(69),(69')는 주스프링(64)의 제1 및 2 말단(65),(65')에서 이격되어 있다. 아암(69),(69') 각각은 유전캠의 표면(70),(70')을 수용한다.
도면과 같은 조립체에서, 플러그(100)가 포트(36),(36') 속에 삽입될 때 플러그의 중심핀(104)은 중심컨덕터(30),(30')의 전방말단(32),(32')속에 수용된다. 이 삽입처리에 의해 전방부(30b),(30b')는 후향이동하여 접속위치까지 도달한다. 전방부(30b),(30b')가 후향이동할 때 캠(60),(60')이 캠표면(70),(70')과 맞물림결합한다. 맞물림결합에 의해 스프링아암(69),(69')이 제1 및 2 스프링(65),(65')과 전기접촉하고 또한 스프링말단(65),(65')이 후방부(30a),(30a')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플러그(100)가 포트(36),(36')속에 수용되지 않을 때, 후방부(30a),(30a')는 주스프링(64)을 통해 전기접속된다. 그러나, 플러그(100)를 포트(36),(36')에 삽입하면 종단스프링(68)이 주스프링(64)을 중심컨덕터의 연계후방부와 접촉상태에서 해방시키고 다른 중심컨덕터를 저항을 거쳐 접지면에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주스프링이 후방부(30a),(30a')로부터 벗어나기전에 전방부(30b),(30b')가 후방부(30a),(30a')와 전기접속상태로 이동하도록 스위치메카니즘(62)의 요소들을 조립한다. 이러한 조작순서를 흔히 "메이크 브레이크(make-before-break)"스위치라고한다.
도 2에서, 표준플러그(100)는 개략적인 포맷으로 도시된다. 이 플러그는 통상 공축배열된 슬리이브(102)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중심핀(104)을 포함한다. 슬리이브와 중심핀은 전기전도성이다. 도 2에서, 플러그(100)는 개략적인 단면으로 도시된다. 개략적으로 이것은 플러그(100)를 도면상의 빗금처리된 부분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 슬리이브(102)는 중심핀(104)에서 분리되는 것이 일반이며 이는 중심핀(104)을 신호원(혹은 신호목표)에 접속하고 슬리이브(102)는 플러그(100)에 부착된 공축케이블의 접지슬리이브에 전기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슬리이브(102)와 핀(104) 사이의 공간 때문에 플러그(100)는 임피던스특징을 갖게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104)을 중심컨덕터(30)의 개방말단(32)에 삽입하면 핀(104)과 중심컨덕터(30)가 겹쳐 중복길이(106)가 발생한다. 종래의 잭플러그(100)에서, 중복길이(106)는 슬리이브(102)속에 완전포함되고 포트(36)로 둘러싸인 면적속으로 부분연장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플러그(100)를 사용할 때 중복면적이나 중복길이(106)가 발생하면 임피던스 부정합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잭(10)은 75 오옴 정도의 적절한 임피던스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플러그(100) 역시 75오옴의 적정임피던스를 갖게된다. 본 출원인은 슬리이브(102)의 내경이 .328"(통상)인 플러그(100)가 .125"외경을 가진 중심컨덕터(30)(공기 유전성이 있는)를 둘러쌀 때, 중복길이(106)에 약 58오옴의 임피던스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마찬가지로, .125"외경의 중심컨덕터(30)는 포트(36)속에 위치할 때(통상 내경은 .381") 67오옴의 임피던스를 일으킨다. 상술한 치수가 대표적이며 WECO 표준플러그로서 잘알려진 표준플러그이다. 신호경로 전체의 이상적인 임피던스값은 약 75오옴이다. 상기의 임피던스 부정합이 발생하면, 공급전력의 일부 퍼센트가 공급원으로 반사되어 신호를 저하시킨다. 신호저하는 특히 잭(10)과 플러그(100)를 고전송속도에 응용할 때 문제가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잭(10)은 종래의 또한 표준크기의 플러그(1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임피던스 부정합을 축소하거나 없앨 수 있는 신형설계의 잭(10)과 플러그(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된 잭과 플러그를 도 5에서 도시한다. 도 2의 것과 동일한 기능 및 목적의 요소들은 도 5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했으며 단, 구현체를 구별할 수 있도록 "-1"를 추가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잭 중심컨덕터(30-1)과 플러그(100-1)의 핀(104-1)은, 플러그(100-1)를 포트(36-1)에 삽입했을 때 중심컨덕터(30-1)의 자유말단(32-1)이 잭(10-1)의 내부(22-1)에 완전안착되고 포트(36-1)밖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상호적절한 크기로 되어있다. 자유말단(32-1)을 포트(36-1)밖으로 이동시킬 요소의 크기를 이와같이 설정한 결과, 잭포트 속으로 연장되는 잭 중심컨덕터가 더이상 잭포트와 겹치지 않으므로 상술한 임피던스 부정합을 피할 수 있다.
상술한 임피던스 부정합 회피방법에 더하여, 플러그 슬리이브(102-1)의 축방향길이는 슬리이브(102-1)가 중복면적(106-1)를 에워싸지 않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기하형태는 상술한 75오옴 임피던스 부정합을 소거한다. 중복면적(106-1)상의 슬리이브(102-1)확장을 방지하기 위한 슬리이브(102-1)의 단축은 임피던스 부정합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도 5는 슬리이브(102-1)가 단축되어 이 슬리이브의 어느 부분도 중복면적(106-1)을 에워싸지않도록 하는 기하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슬리이브(102-2)가 도 5에서 도시한 한도까지 단축되지 않고 중심핀(104-2)의 일부가 슬리이브(102-2) 아래로 돌출하도록 할 수 있는 정도까지 단축된 플러그(102-2)의 구현체를 보여준다.
도 4는 슬리이브(102-3)이 중심핀(104-3)을 완전히 둘러싼 플러그(100-3)의 또다른 구현체를 보여준다. 도 4의 구현에서, 슬리이브(102-3)는 유전재질로 구성되며 따라서 전도성 슬리이브는 핀(104-3)을 둘러싸지 않는다. 접지클립(110)을 구비하고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잭(10)의 접지면과 맞물림결합하여 잭(10)의 접지부품에 대해 부착케이블(도시되지않음)의 접지단을 접속시킨다.
요약하면, 부적절한 임피던스 부정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잭 및 이에 연관된 플러그의 3가지 형태를 도시하였다. 3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잭 중심컨덕터 자유말단(32)을 슬리이브(36)밖으로 이동시켜 플러그(100)가 포트(36)에 삽입된 후 이 포트(36)에 의해 잭 중심컨덕터(30)가 둘러싸이지 않도록 한다.
2. 플러그 슬리이브(102)를 단축시켜 이 슬리이브가 중심컨덕터(30)를 둘러싸지 않도록 한다. 또한
3. 유전재로 플러그 슬리이브(102)를 성형제작한다. 유전재로된 내부 기하형태는 공지기술로 계산하여 유전 슬리이브의 길이를 따라 어느 단면에서도 원하는 임피던스를 제공할 수 있게한다.
상기 3가지 방법은 모두 전체개조가 필요없다. 예컨대, 자유말단(32)이 플러그 삽입시 포트(36)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것이 아니라 대체로 벗어난 경우 임피던스 부정합은 완전소거되는 것이 아니라 크게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3가지 기술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5의 경우 자유말단(32-1)은 포트(360-1)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다. 슬리이브(102-1)는 단축되어 중복면적(106-1)을 둘러싸는 부분이 전혀 없으며 또한 이 슬리이브(102-1)는 축방향 길이를 따라 원하는 임피던스를 갖기위해 선택된 기하형태로 유전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이다.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체로서 그 목적을 실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상술한 개념의 변형이나 등가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1)

  1. 내부를 구성하는 벽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내부속에 각각 평행하고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또한 각각 전방말단에서 후방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공축 중심컨덕터 및 제2 공축 중심컨덕터로 구성되고;
    상기 벽은 포트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전방말단과 접촉하기 위해 중심핀을 가진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된 제1 및 2 포트가 구비된 전방벽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벽은, 외부 공축컨덕터에 부착할 공축커넥터를 갖추고 상기 후방말단 각각에 대해 외부컨덕터를 전기커플링 결합시키는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의 중심컨덕터는 각각 상기 후방말단을 구비한 후방부와 또한 상기 전방말단을 구비한 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는 후방부에 전기접속된 전방부가 있는 접속위치와 또한 후방부로부터 전기단속된 전방부가 있는 단속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하기 위해 전방부를 위한 내부에 활주형으로 고정되고; 또한
    상기의 양측 전방부가 모두 단속위치에 있을 때 후방부를 전기접속시키고 또한 전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접속위치에 있을 때 후방부를 전기단속시키기 위해 내부에 스위치 메카니즘이 구비되고 이 스위치 메카니즘은 또한 예정저항값을 가진 접지된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컨던터 중 하나의 후방부는 하나의 컨덕터가 단속위치에 있고 다른 하나가 접속위치에 있을 때, 접지된 접촉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내부를 전방챔버와 후방챔버로 분리하는 내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부와 스위치 메카니즘은 후방챔버속에 완전배치되고;
    상기 전방부는 전방챔버내에 상기 전방말단과 함께 배치되고 또한 후방챔버내에 배치된 전방부의 후방접속말단과 함께 배치되며;
    또한 전방챔버에서 후방챔버속으로 유동하는 입자차단시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내부에 전방부를 활주형으로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중심컨덕터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밀폐면을 구비한 유전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메카니즘은 전방부 중 하나가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부가 연계된 후방부와 전기접속한 후 상기 후방부를 전기단속시킬 메이크 브레이크(make-before-break)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위치에 대해 제1 및 2 공축형 중심컨덕터의 전방부를 각기 따로 편향시킬 제1 및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는 전방부가 접속위치로 이동할 때 전방접속말단을 활주시키기 위해 후방접속말단을 위한 전방부의 반대편 후방접속말단과 함께 배열된 전방접속말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접속말단은 후방접속말단이 상기 전방접속말단 위로 활주할 때 접촉탭의 편향에 대응하여 방사형으로 내향하도록 강제력을 받는 방사형 결함 접촉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2 후방부 각각의 전방접속말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전성 제1 및 2 스프링지지핀이 후방접속말단의 강제력에 대응하여 상기 탭의 휨현상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스페이서에 의해 탭으로부터 떨어지고;
    제1 및 2 스프링의 제1말단은 상기 핀에 고정되고 또한 스프링이 구비된 전방부와 대향하는 제2말단은 전방말단에 대응하여 스프링의 편향에 대해 압축되어 상기 접속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메카니즘은 전방부 중 하나가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연계된 후방부와 전기접속한 후 상기 후방부를 전기단속시킬 메이크 브레이크(make-before-break) 스위치이고;
    또한 상기 스위치 메카니즘은 제1 및 2 후방부에 대해 편향되는 제1 및 2 말단을 가진 주스프링과 또한 주스프링의 제1 및 2 말단에서 이격된 제1 및 2 스프링아암을 가진 종단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및 2 캠을 가진 제1 및 2 전방부의 후방접속말단은, 전방부가 제1 및 2 말단이 제1 및 2 후방부에서 벗어나도록 강제이동시키기 위해 제1 및 2 말단에 대해 제1 및 2 스프링아암을 강제이동시키는 상기 캠에 의해 상기 접속위치까지 이동할 때, 상기 제1 및 2 캠과 맞물림결합하는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메카니즘은 제1 및 2 후방부에 대해 편향되는 제1 및 2 말단을 가진 주스프링과 또한 주스프링의 제1 및 2 말단에서 이격된 제1 및 2 스프링아암을 가진 종단스프링을 포함하고, 이 종단스프링은 상기 접지된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또한
    제1 및 2 전방부의 후방접속말단은 전방부가 접속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스위치 메카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에 제1 및 2 캠을 구비하고, 제1 및 2 말단과 제1 및 2 스프링아암이 접촉하고 제1 및 2 말단이 상기 제1 및 2 후방부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메카니즘은 전방부 중 하나가 접속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방부가 연계된 후방부와 전기접속한 후 상기 후방부를 전기단속시킬 메이크 브레이크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컨덕터는 포트를 통해 개방 및 노출되도록 전방말단에 의해 하우징 내에서 지지되고;
    포트내에 활주형으로 수용되는 크기의 플러그 슬리이브 및 상기 슬리이브 속에 축방향 배열되고 또한 슬리이브가 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개방된 전방말단 내에 활주형으로 수용되는 크기로된 중심핀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핀 및 커플링결합된 중심컨덕터는 이 컨덕터 내에 중심핀 일부의 중복 길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및 잭은 잭의 임피던스와 동등한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중복 길이부를 위한 형상으로 상호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길이부는 하우징 내부와 포트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길이부는 슬리이브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유전성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치형 공축잭모듈.
  14. 잭이 개방선단을 갖춘 중심컨덕터를 구비하고, 이 컨덕터는 잭포트와 함께 공축배열된 중심컨덕터의 축에 의해 잭하우징 속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선단은 포트에 노출되며, 또한,
    상기 포트속에 활주형으로 수용되는 크기로된 플러그 슬리이브와;
    상기 슬리이브 속에 축방향 배열되고 슬리이브가 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개방선단 속에 활주형으로 수용되는 크기로된 플러그 중심핀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핀과 중심컨덕터는 중심컨덕터내에 중심핀 일부의 중복 길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및 잭은 잭의 임피던스와 동등한 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중복 길이부를 위한 형상으로 상호구성되어 상기 플러그 및 잭 사이에 형성되는 임피던스 부정합을 피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길이부는 상기 하우징내부와 포트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길이부는 상기 슬리이브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유전성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길이부는 슬리이브밖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19. 제15항 또는 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유전성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유전성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축잭 및 플러그.
  21. 삭제
KR10-1999-7009004A 1997-04-04 1998-03-23 활주형 중심컨덕터가 장착된 공축형 스위치잭 KR100538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35,116 US5964607A (en) 1997-04-04 1997-04-04 Coaxial switching jack with sliding center conductor
US08/835,116 1997-04-04
US8/835,116 1997-04-04
PCT/US1998/005744 WO1998045905A1 (en) 1997-04-04 1998-03-23 Coaxial switching jack with sliding center condu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927A KR20010005927A (ko) 2001-01-15
KR100538794B1 true KR100538794B1 (ko) 2005-12-26

Family

ID=2526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004A KR100538794B1 (ko) 1997-04-04 1998-03-23 활주형 중심컨덕터가 장착된 공축형 스위치잭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964607A (ko)
EP (2) EP0972319B1 (ko)
JP (1) JP3996956B2 (ko)
KR (1) KR100538794B1 (ko)
CN (1) CN1252177A (ko)
AT (2) ATE218012T1 (ko)
AU (1) AU6581298A (ko)
BR (1) BR9808652A (ko)
CA (1) CA2285414C (ko)
DE (2) DE69819045T2 (ko)
ES (2) ES2210048T3 (ko)
HK (2) HK1025188A1 (ko)
MY (1) MY117125A (ko)
TW (1) TW365076B (ko)
WO (1) WO1998045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645B1 (ko) * 1998-09-29 2001-08-07 정진택 디지털 신호 분배 잭 장치
EP1169753B1 (en) 1999-04-06 2003-05-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Dsx module with removable jack
US6589062B1 (en) 1999-04-06 2003-07-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DSX module with removable jack
US6213801B1 (en) 2000-04-07 2001-04-10 Kings Electronics Co., Inc. Electrical coupling and switching device with flexible microstrip
US6817876B2 (en) * 2002-06-07 2004-11-16 Switchcraft, Inc. High frequency coaxial jack
US20040067671A1 (en) * 2002-10-04 2004-04-08 Switchcraft, Inc. Audio jack for patchbays
US6848948B1 (en) * 2003-11-03 2005-02-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with modular mounting sleeve
US20050148225A1 (en) * 2004-01-07 2005-07-07 Zahlit Wayne A. Telecommunications patch jack having wishbone actuator with bifurcated contact
US7175455B2 (en) * 2005-04-15 2007-02-13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coaxial switching jack
WO2006115813A1 (en) * 2005-04-21 2006-11-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r mounting sleeve for jack
US7074080B1 (en) * 2005-04-21 2006-07-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r mounting sleeve for jack
US7238035B2 (en) * 2005-06-14 2007-07-03 Trompeter Electronics, Inc. Normal-through jack with monitor and test ports
US7393249B2 (en) 2006-04-21 2008-07-01 Trompeter Electronics, Inc. Interconnection and monitoring module
US7591677B2 (en) * 2006-04-21 2009-09-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coaxial jack and panel
US7244131B1 (en) 2006-04-21 2007-07-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coaxial jack
KR100963424B1 (ko) * 2008-07-23 2010-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케일러블 영상 복호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1018993A1 (de) * 2011-04-28 2012-10-31 Mc Technology Gmbh Schirmkontaktfeder
JP2020095834A (ja) * 2018-12-11 2020-06-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785A (en) * 1973-10-25 1975-03-25 Magnetic Controls Co Electrical connector
US4749968A (en) * 1985-12-13 1988-06-07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device
US4952174A (en) * 1989-05-15 1990-08-28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US5246378A (en) * 1989-08-09 1993-09-21 Trimm, Inc. Coaxial jack assembly
DE9003258U1 (ko) * 1990-03-20 1990-05-23 Pvt Praezisions-Verbindungstechnik Und Steuerungsbau Gmbh, 7031 Steinenbronn, De
GB2263590B (en) * 1992-01-21 1995-05-10 Transradio Ltd Cross-connector with co-axial characteristics
EP0634061B1 (en) * 1992-04-02 1997-06-04 Adc Telecommunications, Inc. Miniature coax jack module
US5217391A (en) * 1992-06-29 1993-06-08 Amp Incorporated Matable coaxi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edance compensation
US5348491A (en) * 1993-10-29 1994-09-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module
FR2712433B1 (fr) * 1993-11-08 1996-02-02 Nicomatic Composant connecteur-commutateur de type coaxial pour hautes fréquences.
US5626485A (en) * 1994-10-06 1997-05-06 Itt Industries Switching connector apparatus
US5702262A (en) * 1996-10-04 1997-12-30 Trompeter Electronics, Inc. Connector assembly
US5775927A (en) * 1996-12-30 1998-07-07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Self-terminating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5414C (en) 2007-11-06
EP0972319B1 (en) 2002-05-22
ATE252281T1 (de) 2003-11-15
BR9808652A (pt) 2001-01-30
CN1252177A (zh) 2000-05-03
EP0972319A1 (en) 2000-01-19
DE69819045T2 (de) 2004-06-24
EP1120866B1 (en) 2003-10-15
HK1039220A1 (en) 2002-04-12
WO1998045905A1 (en) 1998-10-15
AU6581298A (en) 1998-10-30
TW365076B (en) 1999-07-21
MY117125A (en) 2004-05-31
ES2210048T3 (es) 2004-07-01
US5964607A (en) 1999-10-12
HK1025188A1 (en) 2000-11-03
CA2285414A1 (en) 1998-10-15
ES2178181T3 (es) 2002-12-16
EP1120866A1 (en) 2001-08-01
DE69805519D1 (de) 2002-06-27
JP3996956B2 (ja) 2007-10-24
HK1039220B (zh) 2004-01-21
DE69819045D1 (de) 2003-11-20
JP2001519082A (ja) 2001-10-16
ATE218012T1 (de) 2002-06-15
DE69805519T2 (de) 2002-11-14
KR2001000592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794B1 (ko) 활주형 중심컨덕터가 장착된 공축형 스위치잭
KR100507552B1 (ko) 스위치형 공축잭
US5632637A (en) Cable connector
US5062808A (en) Adapter for interconnecting socket connectors for triaxial cable
JP3012116B2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KR100385489B1 (ko) 고속신호를 포함한 상이한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커넥터
EP1641089B1 (en) A connector provided with contacts mounted in an adapted insulator
US20090093166A1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plug interface
US6045378A (en) Switching coaxial jack with impedance matching
JP2008538050A (ja) 高密度同軸スウィッチングジャック
US5904579A (en) Right-angle adaptor for coaxial jacks
US6106314A (en) Coaxial jack with integral switch and shielded center conductor
EP4060827A1 (en) Subsea connector
JPS61290677A (ja) ハイブリッド・ジャック
US5882217A (en) Coaxial jack with an internal switch mechanism
US5219297A (en) Self-bypass twin coaxial network connector
US5730623A (en) Matched impedance triax contact with grounded connector
US5090915A (en) Self-terminating coaxial tap connector with external termination element
AU2000276087B2 (en) Self-terminating electrical connector
MXPA99008848A (en) Coaxial switching jack with sliding center conductor
US5181863A (en) Emi shielding backshell system
EP2779318A1 (en)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WO1999007041A1 (en) Self-terminating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